맨위로가기

빈 독일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빈 독일어는 오스트리아 빈 지역에서 사용되는 바이에른 방언의 한 종류이다. 표준 독일에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고유한 억양과 단모음화, 문장 끝 모음의 장음화 등의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 소유격 회피, 전치사 "ohne"의 여격 사용, 인칭 대명사 변화 등 문법적인 특징도 나타난다. 다양한 언어에서 유래된 어휘를 사용하며, 반어법과 비엔나식 유머를 특징으로 하는 화용론적 특징을 보인다. 최근에는 이민의 영향으로 어휘와 발음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오스트리아 독일어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를 기반으로 합스부르크 시대부터 표준화된 독일어 변종으로, 독일 표준 독일어와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유럽 연합 가입 후 국제법적으로 인정받는 다중 중심 언어의 변종이다.
  • 빈의 문화 - 레드 바이올린
    레드 바이올린은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바이올린이 여러 소유주를 거치며 그들의 운명에 영향을 미치는 기구한 여정을 그린 캐나다-이탈리아 합작 영화로, 바이올린 제작자의 아내의 예언과 붉은색 바니시의 비밀을 간직하고 있으며, 프랑수아 지라르 감독, 다국적 배우 출연, 존 코릴리아노의 아카데미 수상 음악이 특징이다.
  • 빈의 문화 - 비엔나 빵
    비엔나 빵은 19세기 오스트리아에서 맥주 효모와 갓 만든 반죽으로 시작되어 1867년 파리 엑스포에서 카이저 롤로 소개되었으며, 젖산균의 산미, 헝가리식 고제분법, 증기 빵 굽기 기술을 특징으로 오늘날 다양한 제빵 제품 개발과 한국 제빵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오스트리아의 언어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오스트리아의 언어 - 슬로베니아어
    슬로베니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약 200만 명이 사용하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와는 달리 어휘, 문법, 발음에서 차이를 보이며, 9세기 후반에서 11세기 초에 작성된 프라이징 사본이 가장 오래된 기록이며, 1991년 슬로베니아 독립 이후 공용어로 사용되고 2004년에는 유럽 연합의 공용어가 되었다.
빈 독일어
언어 정보
언어 이름빈 독일어
고유 이름,
발음(제공된 발음 정보 없음)
사용 국가오스트리아 (빈)
화자 수(알 수 없음)
언어 분류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게르만어파
어군서게르만어군
분기엘베 게르만어
하위 분기고지 독일어
세부 분기상부 독일어
더 세부 분기바이에른어
더더 세부 분기중앙 바이에른어
가장 세부 분기동중앙 바이에른어
기타 정보
ISO 639-3방언으로 간주
글롯로그vien1238 (Lower Austria-Vienna Bavarian)
IETF 언어 태그bar-u-sd-at9
문자 체계라틴 문자 (독일어 알파벳)
지도 정보
빈 바이에른 방언 지도 (세부)
빈 방언

2. 역사

빈 독일어는 역사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20세기 초에는 지역에 따라 파보리텐, 마이들링, 오타크링, 플로리드스도르프 방언으로 구분되었으나, 현재는 이러한 구분이 사라지고 단일 방언으로 통칭된다. 또한 계급에 따른 사회 방언도 존재했지만, 현대에는 덜 사용되는 추세이다.

최근 빈 방언은 표준 독일에 더 가까워지고 있지만, 특유의 억양과 단모음화는 여전히 남아있다. 이는 미디어를 통해 오래된 빈 방언이 하류층과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이 강화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유한 빈 단어는 계속 사용되고 있다.

또한, 빈 방언은 이민으로 인해 외국어의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1세대 및 2세대 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는 새로운 차용어가 유입되고 발음에 변화가 나타나는 등 현대 빈 방언의 새로운 변형이 나타나고 있다.

2. 1. 20세기 초의 방언 구분

20세기 초, 빈에서는 4개의 방언을 구분할 수 있었다. 각 방언은 사용되는 구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방언 이름구역 (빈 구)
파보리트너리쉬 (Favoritnerisch)파보리텐 (10구)
마이들링어리쉬 (Meidlingerisch)마이들링 (12구)
오타크링어리쉬 (Ottakringerisch)오타크링 (16구)
플로리드스도르퍼리쉬 (Floridsdorferisch)플로리드스도르프 (21구)



오늘날에는 이러한 명칭은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며, 도시에서 멀어질수록 사용법이 달라지는 단일 빈 방언에 대해 이야기한다.

구 빈의 지역 방언 외에도 계급 기반 방언, 즉 사회 방언이 있었다. 예를 들어 Schönbrunner Deutsch|쇤브룬 도이치de(쇤브룬 궁전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궁정 신하들과 시종들이 사용하는 독일어)는 과장된 발음과 결합된 지루한 억양으로 말하는 방식이었다. 이 사회 방언은 표준 독일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빈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코를 울리는 음조는 프랑스 억양으로 말하는 표준 독일어와 유사했다. 오늘날에는 훨씬 덜 사용되지만, 교육받은 빈 사람들은 여전히 이 궁정 사회 방언에 익숙하다.

2. 2. 현대 빈 방언의 변화

20세기 초, 빈 방언은 사용 지역에 따라 파보리트너리쉬(파보리텐, 10구), 마이들링어리쉬(마이들링, 12구), 오타크링어리쉬(오타크링, 16구), 플로리드스도르퍼리쉬(플로리드스도르프, 21구)의 네 가지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러한 구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으며, 도시에서 멀어질수록 사용법이 달라지는 단일 빈 방언으로 통칭된다.

구 빈의 지역 방언 외에도 계급 기반 방언, 즉 사회 방언이 존재했다. 쇤브룬 독일어|쇤브룬 독일어de는 쇤브룬 궁전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궁정 신하들과 시종들이 사용하던 독일어로, 과장된 발음과 지루한 억양이 특징이다. 이 사회 방언은 표준 독일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빈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코를 울리는 음조는 프랑스 억양으로 말하는 표준 독일어와 유사했다. 오늘날에는 덜 사용되지만, 교육받은 빈 사람들은 여전히 이 궁정 사회 방언에 익숙하다.

최근 빈 방언은 표준 독일에 더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전형적인 빈 억양으로 말하는 일종의 표준 독일어로 발전했는데, 예를 들어 원래 빈 방언인 ''Wos host’n fir a Notn gschriebn?''는 현대식 ''Was hast’n für eine Note gschriebn?''로 변화했다. 이 방언이 인접 방언과 구별되는 전형적인 빈 단모음화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특히 다른 독일어 사용 지역에서 온 많은 방문객들이 보기에 혐오스러운 "가짜 표준 독일어"의 형태로 남아 있다.

예를 들어 ''Waaaßt, wos mir heut in der Schule für än gråååsliches Fläääsch kriegt ham?'' (표준 독일어 ''Weißt du, was für ein widerliches Fleisch wir heute in der Schule vorgesetzt bekamen?'', "오늘 학교에서 우리가 얼마나 역겨운 고기를 먹었는지 아니?")와 같이 ''ei'' ~ ''äää'' 또는 ''au'' ~ ''ååå''와 같은 단모음화된 이중모음은 특히 강조되고 길게 발음된다.

전형적인 빈 방언이 표준 독일어와 수렴하는 이유는 미디어를 통해 강화된 ''Urwienerisch''(오래된 빈 방언)가 하류층과 연관되어 있다는 인식 때문이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원래의 빈 방언은 더욱 표준 독일어에 수렴될 수 있는데, 이는 하류층 출신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고유한 빈 단어(예: ''Zwutschgerl'')는 일반적으로 계속 사용된다.

빈 방언은 이민으로 인해 외국어의 영향을 받아왔다. 지난 40년간 이민자들은 주로 구 유고슬라비아, 터키, 최근에는 (동)독일에서 왔지만, 현대의 이민은 변화했고, 이는 현대 빈 방언의 새로운 변형에 영향을 미치고 만들었다. 특히 1세대 및 2세대 이민자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진행 중인 과정으로, 새로운 차용어가 빈 방언에 유입되고 발음에도 변화가 나타난다.

3. 음운론적 특징

빈 독일어는 다음과 같은 음운론적 특징을 보인다.[2]


  • '''단모음화'''
  • '''모음의 장음화'''
  • '''메이들링 L'''
  • '''자음군 내 모음 삽입'''


이러한 특징들은 빈 독일어의 독특한 발음을 형성하며, 특히 노동 계급 방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다음은 다른 오스트로-바이에른어 방언에서도 발견되는 빈 독일어 특징이다.

  • 자음의 긴장도: 무성 강음 자음 /p, t, k/|프, 트, 크de는 약음 [b̥, d̥, ɡ̊]|브, 드, 그de가 된다. 그러나 [k]|크de는 일반적으로 모음 뒤에 오면 강음으로 남아 있다.
  • 모음 뒤의 단어 내에서 /l/|엘de의 모음화:
  • ''also'' → ''oeso'' oeso|알소de
  • ''Soldat'' → ''Soedot'' Soedot|졸다트de
  • ''fehlen'' → ''föhn'' föhn|펠렌de
  • ''Kälte'' → ''Köödn'' Köödn|켈테de
  • 모음 뒤, 단어 끝에서 /l/|엘de의 모음화:
  • ''schnell'' → ''schnöö'' schnöö|슈넬de
  • ''viel'' → ''vüü'' vüü|필de
  • 치경 자음 뒤의 무성 모음의 비원순모음화:
  • ''Glück'' Glück|글뤼크de → ''Glick'' Glick|글리크de
  • ''schön'' schön|쇤de → ''schee'' schee|셰de
  • /l/|엘de 앞에서 비원순모음의 원순모음화(현재 생략되었을 수 있음):
  • ''schneller'' → ''schnöller'' schnöller|슈넬러de
  • ''vielleicht'' → ''vülleicht'' vülleicht|필라이히트de
  • ''wild'' → ''wüüd'' wüüd|빌트de

3. 1. 단모음화

단모음화: 표준 독일어 및 다른 바이에른 방언과 비교하여, 이중 모음은 종종 단모음화된다. (일부 미국 남부 영어 억양이 ''oil''을 ''o-ol''로 바꾸는 방식과 다소 유사하다).[2]

예시는 다음과 같다.

표준 독일어바이에른어빈 독일어
heißhoaßhaaß
weißwääß
HausHåås


3. 2. 모음의 장음화

문장의 끝에서 모음을 다소 길게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Heeaasd, i bin do ned bleeed, wooos waaasn ii, wea des woooa" (표준 독일어 "Hörst du, ich bin doch nicht blöd, was weiß denn ich, wer das war")는 "들어봐, 나는 멍청하지 않아; 내가 뭘 알아, 그게 누구였는지?"라는 뜻이다.[2]

3. 3. 메이들링 L

메이들링 L은 노동 계급 방언에서 발견되는 연구개음화된 발음으로, 체코어 발음의 영향을 받았다.[2]

3. 4. 자음군 내 모음 삽입

노동 계급 방언에서 발견되는 연구개음화 로 발음되는 는 체코어 발음을 반영한다.[2]

사회 계급에 따라, 화자는 가끔씩 두 개의 연속 자음 사이에 모음 를 삽입할 수 있다. (에펜테시스) 이는 일반적으로 단어를 "강화"하는 추가 음절을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느낌을 준다.[2]

표준 독일어빈 독일어강화된 표현
Verschwinde!Vaschwind!ascha'wind!
Verbrecher!Vabrecha!aba'recha!
abgebranntoobrenntoba'rennt
Geradeaus!Groodaus!a'roodaus!


3. 5. 기타 특징


  • 단모음화: 표준 독일어 및 다른 바이에른 방언과 비교하여, 이중 모음은 종종 단모음화된다.[2]
  • 표준 독일어 ''heiß'' – 바이에른어 ''hoaß'' – 빈 독일어 ''haaß'' haaß|하스de
  • 표준 독일어 ''weiß'' – 빈 독일어 ''wääß'' wääß|바이스de
  • 표준 독일어 ''Haus'' – 빈 독일어 ''Håås'' Håås|하우스de
  • 문장의 끝에서 모음을 다소 길게 발음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메이들링 L: 노동 계급 방언에서 발견되는 연구개음화 된 ɫ|엘de로 발음되는 /l/|엘de체코어 발음을 반영한다.
  • 자음군에 모음 삽입 (에펜테시스): 사회 계급에 따라, 화자는 가끔씩 두 개의 연속 자음 사이에 모음 ɐ|아de를 삽입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단어를 "강화"하는 추가 음절을 생성하며,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느낌을 준다.
  • 표준 독일어 ''Verschwinde!'' – 빈 독일어 ''Vaschwind!'' – 강화된 ''Vasch'''a'''wind!''
  • 표준 독일어 ''Verbrecher!'' – 빈 독일어 ''Vabrecha!'' – 강화된 ''Vab'''a'''recha!''
  • 표준 독일어 ''abgebrannt'' – 빈 독일어 ''oobrennt'' – 강화된 ''oob'''a'''rennt''
  • 표준 독일어 ''Geradeaus!'' – 빈 독일어 ''Groodaus!'' – 강화된 ''G'''a'''roodaus!''


다음 빈 독일어 특징은 다른 오스트로-바이에른어 방언에서도 발견된다.

  • 자음의 긴장도: 무성 강음 자음 /p, t, k/|프, 트, 크de는 약음 [b̥, d̥, ɡ̊]|브, 드, 그de가 된다. 그러나 [k]|크de는 일반적으로 모음 뒤에 오면 강음으로 남아 있다.
  • 모음 뒤의 단어 내에서 /l/|엘de의 모음화
  • ''also'' → ''oeso'' oeso|알소de
  • ''Soldat'' → ''Soedot'' Soedot|솔다트de
  • ''fehlen'' → ''föhn'' föhn|펠렌de
  • ''Kälte'' → ''Köödn'' Köödn|켈테de
  • 모음 뒤, 단어 끝에서 /l/|엘de의 모음화
  • ''schnell'' → ''schnöö'' schnöö|슈넬de
  • ''viel'' → ''vüü'' vüü|필de
  • 치경 자음 뒤의 무성 모음의 비원순모음화
  • ''Glück'' Glück|글뤼크de → ''Glick'' Glick|글리크de
  • ''schön'' schön|쇤de → ''schee'' schee|셰de
  • /l/|엘de 앞에서 비원순모음의 원순모음화(현재 생략되었을 수 있음)
  • ''schneller'' → ''schnöller'' schnöller|슈넬러de
  • ''vielleicht'' → ''vülleicht'' vülleicht|필라이히트de
  • ''wild'' → ''wüüd'' wüüd|빌트de

4. 문법

빈 독일어는 다른 바이에른 방언과 문법적으로 큰 차이는 없지만, "ihn" 또는 "ihm"을 "eam"으로 대체하거나("Host eam gsehn?" - "그를 봤니?"), "wir"를 "mia"로 대체하는 등 몇 가지 특징을 보인다.[1]

4. 1. 소유격 회피

바이에른 방언과 문법적 차이는 크지 않지만, 소유격 회피[1]와 같은 특징을 보인다.

4. 2. 전치사 ohne의 여격 사용

바이에른 방언과 문법적 차이는 크지 않지만, 전치사 ''ohne''(없이)를 대격 대신 여격과 함께 사용하는 것이 빈 독일어의 특징 중 하나이다.[1]

4. 3. 인칭 대명사 변화

다른 바이에른 방언과 문법적 차이는 많지 않지만, 전형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소유격 회피
  • 대격 대신 전치사 ''ohne''(없이)를 여격과 함께 사용
  • "ihn" 또는 "ihm"을 "eam"으로 대체. 예를 들어, "Hast du ihn gesehen?" ("그를 봤니?")은 빈에서는 "Host eam gsehn?"이 된다.
  • "wir"를 "mia"로 대체

5. 어휘

빈 독일어는 주로 어휘에서 뚜렷하게 구별된다.

5. 1. 다양한 언어의 영향

빈 독일어는 오스트리아 표준 독일어 및 오스트리아의 다른 방언들과 구별된다. 빈 독일어는 특히 어휘에서 두드러지는데, 중고 독일어와 고대 고지 독일어 어원을 많이 유지하고 있다. 또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빈이 다양한 구성 인구의 용광로 역할을 하면서 옛 합스부르크 군주국 지역의 다른 언어 표현들을 통합했다.

빈 독일어는 다음과 같은 언어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언어예시
고대 고지 독일어Zähnd (표준 독일어 Zähne, 영어 teeth, zand에서 유래), Hemad (Hemd, 영어 shirt, hemidi에서 유래)
중세 고지 독일어Greißler (작은 식료품상, griuzel에서 유래 – Gruz지소사 곡물), Baaz (끈적한 덩어리, batzen=끈적이는 것에서 유래), si ohgfrettn (분투하다, vretten에서 유래)
히브리어이디시어Masl (행운, 이디시어 מזל mazl에서 유래), Hawara (친구, 동료, 이디시어 חבֿר khaver 또는 아슈케나즈 히브리어 חבר chavér에서 유래), Gannef (사기꾼, 이디시어 גנבֿ ganef에서 유래), Beisl (술집, 펍, 히브리어 bajis 집 + 이디시어 지소사 접미사 -ל -l = bajsl 작은 집)
체코어Motschga (맛없는 죽, močka=파이프의 잔여물 또는 오줌 또는 omáčka=소스, 수프)에서 유래), Pfrnak (큰 코, frňák에서 유래), Lepschi (Auf Lepschi gehen = 나가다 또는 즐기다, lepší=더 나은)
헝가리어Maschekseitn (반대편, a másik에서 유래), Gattihosn (긴 속옷, gatya = 바지에서 유래)
이탈리아어Gspusi (여자친구, sposa에서 유래), Gstanzl (유머러스한 노래의 스탄차, stanza에서 유래), Gusta (무언가에 대한 식욕, gusto에서 유래)
프랑스어Trottoa (보도, trottoir에서 유래), Lawua (세면대, lavoir에서 유래), Loschie (logis에서 유래)
아랍어Hadscha (긴 길, Hajj에서 유래)


6. 화용론

빈 독일어에서는 다음과 같은 화용론적 특징이 자주 발견된다.


  • 반어법을 활용한 화법이 잦으며, 이는 억양이나 제스처로 구분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비꼼은 문맥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특히 외국인에게는 오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 "Kaffeetscherl" 또는 "Plauscherl"과 같이 "-l" 또는 "-erl"과 같은 인식 가능한 지소사 접미사를 사용하여 과소평가하는 표현을 사용한다.

6. 1. 반어법과 비엔나식 유머

빈 독일어는 반어법을 자주 사용하는데, 이는 억양이나 몸짓으로는 잘 구별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비꼼은 문맥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특히 외국인에게는 오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반어법은 비엔나 특유의 유머로 더 잘 알려진 비엔나식 유머에서 흔히 사용된다.

또한, "Kaffeetscherl" 또는 "Plauscherl"과 같이 "-l" 또는 "-erl"과 같은 지소사 접미사를 사용하여 과소평가하는 표현도 자주 쓰인다.

6. 2. 완곡어법

빈 독일어는 화용론적 특징을 보인다.

  • 반어법을 활용한 화법이 잦으며, 이는 억양이나 제스처로 구분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경우, 비꼼은 문맥을 통해 파악해야 한다. 특히 외국인에게는 오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반어법은 비엔나 특유의 유머에서 흔히 사용된다.
  • "Kaffeetscherl" 또는 "Plauscherl"과 같이 "-l" 또는 "-erl"과 같은 지소사 접미사를 사용하여 과소평가하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7. 현대의 경향

빈 독일어는 오스트리아 표준 독일어 및 오스트리아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언들과는 구별된다.

20세기 초에는 빈 방언을 4가지로 구분했었다.



오늘날에는 이러한 구분이 더 이상 적용되지 않으며, 도시에서 멀어질수록 사용법이 달라지는 단일 빈 방언으로 이야기한다.

구 빈의 지역 방언 외에도 계급 기반 방언, 즉 사회 방언이 존재했다. 예를 들어 쇤브룬 독일어(쇤브룬 궁전에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궁정 신하들과 시종들이 사용)는 과장된 발음과 결합된 지루한 억양으로 말하는 방식이었다. 이 사회 방언은 표준 독일어를 기반으로 하지만, 빈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코를 울리는 음조는 프랑스 억양으로 말하는 표준 독일어와 유사했다. 오늘날에는 덜 사용되지만, 교육받은 빈 사람들은 여전히 이 궁정 사회 방언에 익숙하다.

최근 빈 사투리는 표준 독일에 더 가까워졌다. 전형적인 빈 억양으로 말하는 일종의 표준 독일어로 발전했다. 이 방언이 인접 방언과 구별되는 전형적인 빈 단모음화는 여전히 남아 있지만, 특히 다른 독일어 사용 지역에서 온 많은 방문객들이 보기에 혐오스러운 "가짜 표준 독일어"의 형태로 남아 있다.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원래의 빈 사투리는 더 수렴될 수 있다. 이는 하류층 출신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여겨지는 반면, 고유한 빈 단어는 일반적으로 계속 사용된다.

빈 사투리는 특히 이민으로 인해 항상 외국어의 영향을 받아왔다. 지난 40년 동안 이민자들은 주로 구 유고슬라비아, 터키, 최근에는 (동)독일에서 왔지만, 현대의 이민은 변화했고, 이는 현대 빈 사투리의 새로운 변형에 영향을 미치고 만들었다.

참조

[1] 서적 The German Language and the Real World: Sociolinguistic, Cultural, and Pragmatic Perspectives on Contemporary German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997
[2] 서적 Language Variation - European Perspectives IV: Selected papers from the Six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guage Variation in Europe (ICLaVE 6), Freiburg, June 2011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2013-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