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는 이탈리아 비첸차 외곽에 위치한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르네상스 시대의 빌라로, '라 로톤다'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1565년 파올로 알메리코 신부의 의뢰로 시작되어 팔라디오 사후 빈첸초 스카모치가 건축을 이어받아 완성했다. 정사각형 평면에 4개의 파사드와 포르티코, 중앙 원형 홀과 돔을 특징으로 하며, 르네상스 인문주의적 가치를 반영하여 설계되었다. 팔라디오의 원래 계획과는 달리 돔의 형태가 변경되었으며, 내부 장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빌라는 주변 풍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으며, 1994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이 건축물은 이후 500년 동안 다양한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영국, 폴란드, 미국 등지에서 영향을 받은 건축물들을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2년 완공된 건축물 - 레덴토레 교회
1570년대 흑사병 종식을 기원하며 세워진 베네치아의 레덴토레 교회는 르네상스 건축가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흰색 돔과 개선문 형태의 정면이 특징인 건축물로, 내부에는 베네치아 화가들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으며 매년 흑사병 종식 기념 레덴토레 축제가 열리고 콜러스에 소속되어 있다. - 비첸차의 건축물 - 바실리카 팔라디아나
바실리카 팔라디아나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16세기에 팔라초 델라 라조네를 재건축한 건축물로, 고전적인 로지아와 포르티코, '세리아나' 창문 모티프가 특징이며, 현재는 시민 행사 및 전시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고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비첸차의 건축물 - 테아트로 올림피코
이탈리아 비첸차에 있는 테아트로 올림피코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하고 빈첸초 스카모치가 완성한 고대 로마 극장 양식의 극장이자 르네상스 건축의 걸작으로, 특히 스카모치의 트롱프뢰유 기법 무대 배경은 연극사에 혁신을 가져왔으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베네토주의 박물관 - 빌라 포스카리
빌라 포스카리는 1558년에서 1560년 사이에 포스카리 형제의 의뢰로 브렌타 강변에 건설된 베네토 지방의 팔라디오 빌라로,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며, 프레스코 장식과 독특한 건축적 특징을 자랑하고, 1996년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베네토주의 박물관 - 빌라 바르바로
빌라 바르바로는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하여 16세기 중반 바르바로 가문을 위해 이탈리아 베네토 지방 마세르에 지어진 건축물로, 팔라디오 건축 양식의 대표적 사례이며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일반에 공개된 와인 농장이다.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비첸차, 베네토, 이탈리아 |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 1994년 |
면적 | 9.00 헥타르 |
웹사이트 |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공식 웹사이트 |
세계 유산 정보 | |
명칭 | 비첸차 시와 베네토 주의 팔라디오 빌라 |
영문명 | City of Vicenza and the Palladian Villas of the Veneto |
불문명 | Ville de Vicence et les villas de Palladio en Vénétie |
소재국 | 이탈리아 |
기준 | I, II |
등록 구분 | 문화유산 |
지정 번호 | 712 |
지역 | 유럽 및 북아메리카 |
등록 년도 | 1994년 |
2. 역사
2. 1. 건립 배경
1565년, 파올로 알메리코 신부는 교황청에서 교황 비오 4세와 교황 비오 5세의 서기로 일하다 은퇴한 후, 고향인 베네치아 공화국의 비첸차 근교 시골로 돌아와 별장을 짓기로 결정했다.[6] 이 별장은 훗날 '라 로톤다'로 알려지며 팔라디오가 남긴 가장 유명한 건축 유산 중 하나가 되었다. 빌라 카프라는 이후 수많은 건축물에 영감을 주었지만, 정작 이 건물 자체는 로마에 있는 판테온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되었다.[6]건축 부지는 비첸차 시 외곽의 언덕 위로 선정되었다. 다른 팔라디오식 빌라들과 달리, 이 건물은 처음부터 농업 경영을 위한 목적이 아니었다. 세련된 디자인의 이 건물은 오늘날의 "교외 주택(suburban house)" 개념으로 설계되었으며, 팔라디오 자신도 이를 빌라가 아닌 팔라초(궁전)로 분류했다.[6]
건물은 사방에 동일한 파사드를 가진 완전한 대칭 구조의 정사각형 평면이며, 각 면에는 포르티코(현관 홀)가 있다. 건물의 네 모퉁이와 각 포르티코의 중심을 지나는 원을 그리면 건물의 거의 모든 부분이 그 안에 들어맞는다(왼쪽 평면도 참조). '라 로톤다'라는 이름은 중앙의 원형 홀과 그 위에 얹힌 돔에서 유래했지만, 건물 전체는 정사각형과 십자가 형태가 결합된 구조이므로 로턴다(원형 건물)라고 부르는 것은 기술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각 포르티코 앞에는 계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 작은 방이나 복도를 거쳐 중앙의 돔이 있는 원형 홀로 이어진다. 모든 방의 크기는 팔라디오가 자신의 저서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에 기록한 건축 원칙에 따라 정밀하게 계산되었다.[6]
설계에는 르네상스 건축의 인문주의적 가치가 반영되어 있다. 각 방에 햇빛이 잘 들도록 건물의 네 면은 동서남북 방향에서 45도 각도로 배치되었다. 네 개의 포르티코 위에는 고대 신들의 조각상이 놓인 페디먼트(박공)가 있으며, 각 페디먼트는 여섯 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지지된다. 포르티코 양옆에는 창문이 하나씩 있다. 주요 생활 공간은 모두 2층, 즉 피아노 노빌레에 배치되었다.[6]
건축은 1567년에 시작되었으나, 설계자인 팔라디오는 1580년에 세상을 떠났다. 건축주 파올로 알메리코 역시 1589년에 사망하면서, 건물은 팔라디오의 후계자인 빈첸초 스카모치가 새로운 건축주 아래에서 완성하게 되었다.[6] 스카모치는 특히 중앙 홀의 2층 부분을 수정하는 등 원설계에 몇 가지 주요 변경을 가했다.[6]
스카모치가 작업을 이어받으면서, 팔라디오의 원래 계획과 현재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의 모습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생겼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돔의 디자인이다. 팔라디오가 ''건축 사서''에 남긴 도면 속 돔은 브라만테의 템피에토의 영향을 받아 정사각형 지붕 중앙에 반구형 돔이 얹힌 형태였으며, 이는 판테온과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특징이었다. 정사각형 평면에 원형 돔을 결합한 구성은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의 추상성과 개념적 중요성을 높이는 요소로 여겨지며, 주택 건축에 신전이나 교회 건축 요소인 돔을 도입한 것은 팔라디오의 독창성을 보여준다.[6]
그러나 스카모치가 완성한 현재의 돔은 5단 계단 형태의 피라미드형 지붕이다. 이는 팔라디오의 계획과는 다른 모습이지만,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는 더 합리적인 해결책으로 평가받는다. 팔라디오의 도면에는 구조적 문제점이 일부 보였기 때문이다. 일화에 따르면, 원래 건축주 알메리코는 판테온처럼 천창(오쿨루스)이 있는 돔을 원했다고 한다. 현재 건물의 돔 정상에는 랜턴(작은 탑)이 설치되어 있다. 팔라디오의 계획대로 돔을 지었다면 구조적인 문제로 인해 비가 샜을 가능성이 높아, 스카모치가 현재 형태로 수정한 것이라는 설도 있다. 이처럼 돔의 건설 과정에는 여러 의문점이 남아 있으며, 정확한 변천 과정은 밝혀지지 않았다.[6] 돔의 개조는 내부 장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1581년까지 루비니가 제작했던 중앙 원형 홀의 스투코 장식은 알레산드로 마간차의 프레스코화로 대체되었으며, 현재 남아있는 프레스코화는 루이 도리니(Louis Dorigny, 1654-1742)의 작품이다.[6]
2. 2. 팔라디오의 설계와 스카모치의 완성
건축 부지는 비첸차 시 외곽의 언덕으로 정해졌다. 다른 몇몇 베네토의 팔라디안 빌라와 달리, 이 건물은 처음부터 농장을 수용할 목적이 아니었다. 이 세련된 건물은 현대적인 의미의 "교외 주택"으로 설계되었으며, 팔라디오 자신은 이를 빌라가 아닌 '팔라초(궁전)'로 분류하였다.설계는 정사각형 평면에 네 개의 동일한 파사드를 가진 완전한 대칭 구조이다. 각 파사드에는 외부로 돌출된 포르티코가 있다. 건물 전체는 각 모서리와 포르티코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원 안에 거의 들어맞는다(''왼쪽 평면도 참조''). '라 로톤다'(La Rotondait)라는 이름은 중앙의 원형 홀과 그 위의 돔에서 유래했지만, 건물 전체를 로툰다라고 부르는 것은 정확하지 않다. 건물은 원형이 아니라 정사각형과 십자형이 결합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각 포르티코에는 계단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작은 방이나 복도를 거쳐 중앙의 원형 홀로 이어진다. 이 홀과 다른 모든 방의 크기는 팔라디오가 그의 저서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에서 제시한 건축 원칙에 따라 수학적 정밀성에 맞춰 설계되었다.[1][6] 빌라의 하인들을 위한 작업 공간은 중앙 홀 벽 안의 숨겨진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1층 아래에 배치되었다.[2]
설계에는 르네상스 건축의 인문주의적 가치가 반영되었다. 각 방에 햇빛이 잘 들도록 건물의 방향은 동서남북의 기본 방위에서 45도 틀어져 있다. 네 개의 포르티코는 각각 고전 고대의 신들을 묘사한 조각상으로 장식된 페디먼트를 가지고 있으며, 이 페디먼트는 여섯 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이 지지하였다. 각 포르티코 옆에는 창문이 하나씩 배치되었다. 모든 주요 생활 공간은 2층, 즉 '피아노 노빌레'(piano nobileit)에 마련되었다.
건축은 1567년에 시작되었으나, 설계자인 팔라디오(1580년 사망)와 최초 소유주인 파올로 알메리코(Paolo Almerico, 1589년 사망) 모두 완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후 빌라를 인수한 이들이 건축가 빈첸초 스카모치를 고용하여 완공을 감독하게 하였다. 스카모치가 원래 설계에 가한 주요 변경 사항 중 하나는 2층 높이의 중앙 홀과 그 위의 돔 구조였다. 팔라디오는 원래 높고 반구형에 가까운 돔을 계획했던 것으로 보이나, 스카모치는 로마의 판테온에서 영감을 받아 오큘러스(개방된 천창)를 가진 더 낮은 돔을 설계하였고, 최종적으로는 쿠폴라 형태로 완성하였다. 스카모치의 돔은 팔라디오의 원안과는 차이가 있지만, 구조적인 관점에서는 더 합리적인 해결책으로 평가받기도 한다. 돔의 정확한 변천 과정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으나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다. 돔의 변경은 내부 장식에도 영향을 미쳐, 스투코 장식 대신 프레스코화가 그려지게 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프레스코화는 로도비코 도리니(Lodovico Dorigny)의 작품이다.
3. 디자인
3. 1. 건축적 특징
건설 부지는 비첸차 시 외곽의 언덕 위로 정해졌다. 다른 몇몇 베네토의 팔라디안 빌라와 달리 이 건물은 처음부터 농장을 운영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지 않았다. 이 정교한 건물은 현대적인 의미의 "교외 주택"과 같은 성격으로 계획되었다. 설계자인 팔라디오는 이 건물을 빌라가 아닌 palazzo|팔라초it(궁전)로 분류했다.
설계는 네 면에 파사드가 있는 정사각형 평면의 완전히 대칭적인 건물이며, 각 파사드에는 외부로 돌출된 포르티코가 있다. 건물 전체는 네 모서리와 각 포르티코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원 안에 거의 들어맞는다(''왼쪽 평면도 참조'').
'라 로톤다'라는 이름은 중앙의 원형 홀과 그 위의 돔에서 유래했다. 하지만 빌라 전체를 로툰다라고 부르는 것은 기술적으로 정확하지 않다. 건물 자체는 원형이 아니라 정사각형과 십자형이 결합된 형태이기 때문이다. 각 포르티코 앞에는 계단이 있으며, 이 계단을 통해 내부로 들어가면 작은 방이나 복도를 거쳐 중앙의 돔이 있는 원형 홀로 이어진다. 이 홀과 다른 모든 방의 크기는 팔라디오가 그의 저서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에서 제시한 건축 규칙에 따라 수학적 정밀도로 계산되었다.[1][6] 빌라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작업 공간은 1층 아래 지하층에 있으며, 중앙 홀 벽 안에 숨겨진 계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2]
이 설계는 르네상스 건축의 인문주의적 가치를 반영했다. 모든 방에 햇빛이 잘 들도록 하기 위해 건물은 동서남북 각 방위에서 45도씩 틀어서 배치되었다. 네 개의 포르티코 위에는 각각 페디먼트가 있으며, 그 위에는 고전 고대의 신들을 묘사한 조각상들이 놓여 있다. 각 페디먼트는 여섯 개의 이오니아식 기둥으로 지지되며, 포르티코 양옆으로는 창문이 하나씩 나 있다. 주요 생활 공간은 모두 2층, 즉 piano nobile|피아노 노빌레it라고 불리는 주층에 배치되었다.
건축은 1567년에 시작되었으나, 팔라디오와 원래 건축주인 파올로 알메리코 모두 완공을 보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 팔라디오는 1580년에, 알메리코는 1589년에 사망했다. 이후 새로운 소유주들은 건축가 빈첸초 스카모치를 고용하여 완공을 감독하게 했다. 스카모치가 원래 설계에서 변경한 주요 부분 중 하나는 2층 높이의 중앙 홀이었다.
스카모치가 작업을 이어받으면서 팔라디오의 원래 계획과 현재 남아있는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 사이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생겼다. 가장 중요한 변화는 돔의 형태이다. 팔라디오는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에 실린 도면에서 도나토 브라만테가 설계한 산 피에트로 인 몬토리오 성당의 템피에토처럼 높은 반구형 돔을 계획했다. 이는 정사각형 평면 위에 원형 돔을 얹는 구성으로, 로마의 판테온과도 유사성을 보인다. 주택 건축에 신전이나 교회에 사용되는 돔을 도입한 것은 팔라디오의 독창적인 시도였다.
그러나 스카모치는 판테온에서 영감을 받아 더 낮은 형태의 돔을 설계했으며, 꼭대기에는 오큘러스(하늘을 향해 열린 구멍)를 두려고 했다. 최종적으로 돔은 쿠폴라 형태로 완성되었는데, 이는 5단 계단 형태의 피라미드형 지붕 모양이다. 팔라디오의 도면대로 돔을 지었다면 구조적으로 불안정하여 비가 샐 가능성이 높았다는 점에서 스카모치의 수정은 구조적 합리성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일설에 따르면, 원래 건축주 알메리코는 판테온처럼 천창이 있는 돔을 원했다고도 한다. 돔이 어떤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이 되었는지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지만 정확한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
돔의 설계 변경은 내부 장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1581년까지 루비니가 제작했던 중앙 원형 홀의 스투코 장식은 알레산드로 마간차의 프레스코화로 대체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프레스코화는 로도비코 도리니(Lodovico Dorigny, 1654-1742)가 그린 것이다.
3. 2. 돔의 변천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의 돔은 원래 설계자인 팔라디오의 계획과 다르게 완성되었다. 팔라디오는 브라만테가 설계한 로마의 템피에토에서 영향을 받아, 높은 반구형 돔을 중앙 홀 위에 얹으려고 계획했다. 이는 르네상스 건축에서 주택에 신전이나 교회 건축 양식인 돔을 도입한 팔라디오의 독창적인 시도였다. 그의 저서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에 실린 도면은 이러한 초기 구상을 보여준다.[1][6] 초기 의뢰자인 파올로 알메리코는 로마의 판테온처럼 오큘러스(천창)가 있는 돔을 원했다는 일화도 있다.그러나 팔라디오와 초기 건축주 파올로 알메리코가 사망한 후, 건축을 이어받은 빈첸초 스카모치는 돔 설계를 크게 변경했다. 스카모치는 팔라디오의 반구형 돔 대신, 판테온에서 영감을 받아 오큘러스를 가진 더 낮은 돔을 설계했으며[2], 최종적으로는 쿠폴라로 덮고 5단 계단 형태의 피라미드형 지붕으로 마감했다. 현재 빌라의 돔 정상은 템피에토 양식이 적용된 오르쿠스(Orkus) 형태로 되어 있다.
스카모치가 설계를 변경한 정확한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팔라디오의 원래 도면에는 돔의 추력(구조물을 미는 힘) 처리나 방형 지붕 모서리 처리 등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부분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6] 만약 팔라디오의 설계대로 지어졌다면 비가 샐 수도 있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 스카모치의 설계는 구조적으로 더 합리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돔의 건설 과정과 설계 변경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하지만, 정확히 어떤 단계를 거쳐 현재의 모습에 이르렀는지는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다. 돔의 형태 변경은 내부 장식에도 영향을 미쳐, 1581년까지 루비니가 제작했던 중앙 홀의 스투코 장식이 알레산드로 마간차의 프레스코화로 변경되는 계기가 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프레스코화는 이후 로도비코 도리니(Lodovico Dorigny)가 그린 것이다.
3. 3. 실내 장식

빌라의 실내 장식은 외관만큼이나 중요하게 계획되었으며 매우 훌륭하다. 주요 살롱의 프레스코화 작업은 알레산드로 마간차, 조반니 바티스타 마간차, 안셀모 카네라가 맡았다.
''피아노 노빌레''(주층)에 위치한 네 개의 주요 살롱 중, 서쪽 살롱은 종교적인 주제의 프레스코화와 천장 장식으로 인해 '성스러운 방'(Holy Room)이라고도 불린다. 동쪽 살롱에는 빌라의 첫 소유주였던 파올로 알메리코의 삶과 그의 여러 덕목을 알레고리적으로 묘사한 섬세한 프레스코화가 그려져 있다.
실내 공간의 핵심은 중앙의 원형 홀이다. 이 홀은 건물 전체 높이에 걸쳐 뚫려 있으며, 2층 높이에는 발코니가 원형으로 둘러져 있고 천장은 돔 형태로 마감되었다. 홀의 꼭대기에는 쿠폴라가 설치되어 있으며, 벽면은 트롱프뢰유 기법을 사용한 그림으로 장식되어 있다.
빈첸초 스카모치가 팔라디오의 설계를 변경하여 돔을 개조하면서 내부 장식에도 변화가 있었다. 1581년까지 루비니가 제작했던 중앙 홀의 스투코 장식은 알레산드로 마간차의 프레스코화로 대체되었다. 이후 현재 남아있는 중앙 홀의 프레스코화는 Louis Dorigny|루이 도리니fra(1654-1742)가 그린 것이다.
이처럼 풍부한 프레스코화 장식은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의 내부가 개인 주택의 살롱이라기보다는 마치 대성당과 같은 장엄한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3. 4. 조경

빌라의 포르티코에서는 주변 시골의 멋진 풍경을 조망할 수 있다. 이는 빌라가 처음부터 주변 풍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빌라 알메리코 카프라가 지어지기 불과 16년 전에 건설된 빌라 파르네세와 같은 건물과는 대조적이다.
이 집은 겉보기에는 완전히 대칭적이지만, 각 파사드는 주변의 지형과 풍경에 맞춰 조금씩 다르게 설계되었다. 예를 들어, 각 파사드로 이어지는 계단의 폭이나 옹벽 등에 미묘한 차이를 두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건축 자체의 대칭성은 주변 조경의 비대칭성과 조화를 이루며, 전체적으로는 대칭적인 인상을 만들어낸다. 빌라 주변으로는 나무, 초원, 숲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져 있으며, 지평선 너머로는 비첸차 시내가 보인다.
북서쪽 포르티코는 주요 문에서부터 직선으로 뻗어 있는 마차 진입로의 끝에 자리 잡고 있다. 이 진입로는 1591년에 빌라를 구입한 카프라 형제가 빈첸초 스카모치에게 의뢰하여 지은 서비스 건물들 사이를 지나간다. 스카모치는 빌라를 완성하는 작업과 함께 직원 숙소 및 농업 관련 건물 건설도 담당했다. 이 길을 따라 빌라로 향하면 마치 높은 곳에 있는 신전으로 올라가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 반대로 빌라에서 이 길을 내려다보면 비첸차 외곽의 오래된 채플이 눈에 들어와 빌라와 도시가 하나로 이어지는 듯한 인상을 준다.
건축 부지는 비첸차 교외의 언덕 위로 정해졌다. 팔라디오 양식의 다른 빌라들과 달리, 이 건물은 처음부터 농장 운영을 목적으로 지어진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오늘날의 "교외 주택(suburban house)"과 같은 개념으로 설계된 세련된 건물이었다. 건축가 팔라디오 자신도 이 건물을 빌라가 아닌 팔라초(궁전)로 분류했다.
4. 영향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이 건축물은 초기 소유자의 예상을 뛰어넘어, 이후 500년 동안 전 세계의 수많은 건축가에게 깊은 영감을 주었다.
4. 1. 영국
팔라디오의 빌라 로톤다를 기반으로 영국에는 다섯 채의 집이 지어졌다. 체셔의 헨버리 홀이 가장 최근에 지어진 것이다. 대런던의 치즈윅 하우스와 켄트의 미어워스 성은 지정 건축물로 보호받고 있다. 반면, 켄트의 푸츠 크레이 플레이스와 노팅엄셔의 너솔 사원은 철거되었다.
영국 북부에서 가장 초기의 팔라디안 양식 빌라 중 하나는 로키비 공원이다. 안드레아 팔라디오가 설계한 이 건축물은 그 후 500년 동안 다양한 건축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4. 2. 폴란드
폴란드에서는 팔라디오의 빌라 로톤다를 기반으로 여러 궁전이 세워졌다. 대표적으로 바르샤바의 크롤리카르니아 궁전과 벨베데르 궁전, 루보스트론의 스코르제프스키 궁전이 있다.4. 3. 미국
워싱턴 D.C.의 대통령 관저 설계 공모를 위해, 토머스 제퍼슨은 익명으로 빌라 로톤다를 기반으로 한 설계로 응모했다. 실제로 채택된 것은 제임스 호번의 팔라디오 건축의 영향을 받은 설계이며, 이것이 현재의 백악관이다. 그러나 빌라 로톤다의 영향은 제퍼슨의 자택인 몬티첼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4. 4. 팔레스타인

성서에 등장하는 게리짐 산 꼭대기에 지어진 "팔레스타인 하우스"(بيت فلسطين|Bayt al-Filastinara)는 예루살렘 북쪽의 팔레스타인 도시 나블루스를 내려다보고 있으며, 빌라 로톤다와 매우 흡사하다. 이 건물은 팔레스타인 백만장자 무니브 알-마스리 소유이다.
5. 현재 상태
1994년, 유네스코는 이 건물을 비첸차 시와 베네토 주의 팔라디오 빌라의 일부로서 세계유산으로 지정했다.[3][7]
이 빌라는 1912년 안드레아 발마라나(Andrea Valmarana, 1891–1976) 백작이 구입한 이후 발마라나 가문이 소유해왔다. 그의 아들 중 한 명인 마리오 디 발마라나(Mario di Valmarana, 1929–2010)는 버지니아 대학교 건축학 교수였으며, 빌라를 미래 세대에게 물려주기 위해 보존하는 데 힘썼다.[4] 마리오의 형제인 로도비코 발마라나(Lodovico Valmarana, 1926–2018) 백작을 거쳐, 현재는 로도비코의 아들인 니콜로 발마라나(Niccolò Valmarana) 백작이 소유하고 있다.
빌라 내부는 금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일반에 공개되며,[5] 정원은 매일 개방된다. (겨울철에는 내부 공개가 제한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
Venezia
1570
[2]
Lecture
Communal Villa
https://www.hkw.de/e[...]
HKW
2015
[3]
웹사이트
Vicenza, City of Palladio
https://whc.unesco.o[...]
1996
[4]
웹사이트
In Memoriam: Mario di Valmarana
https://archive.toda[...]
2010-10-14
[5]
웹사이트
Orari
https://www.villalar[...]
2021
[6]
서적
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
Venezia
1570
[7]
웹사이트
Vicenza, City of Palladio
http://whc.unesco.or[...]
19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