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원뿔 좌표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빛원뿔 좌표계는 민코프스키 공간의 직교 좌표계를 변환하여 얻는 좌표계로,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끈 이론 등에서 널리 사용된다. 이 좌표계는 두 개의 널 벡터 좌표와 나머지 공간 좌표로 구성되며, 인과 관계 분석과 로렌츠 변환 계산을 용이하게 한다. 빛원뿔 좌표계는 입자의 운동, 특히 무질량 입자와 끈 이론에서 닫힌 끈의 운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며, 끈 위의 점을 매개변수로 표현하여 1+1차원 장론으로 해석할 수 있게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빛원뿔 좌표계 | |
---|---|
개요 | |
정의 | 상대성 이론에서 시공간을 기술하는 한 방법 |
관련 개념 | 민코프스키 공간 |
좌표계 | |
일반적인 좌표 | (x¹ , x² , ..., xᵈ⁻¹, xᵈ, xᵈ⁺¹) |
광원뿔 좌표 | (x¹ , x² , ..., xᵈ⁻¹, x⁺, x⁻) |
x⁺ 변환 공식 | (xᵈ⁺¹ + xᵈ)/√2 |
x⁻ 변환 공식 | (xᵈ⁺¹ - xᵈ)/√2 |
역사 | |
최초 제안 | 폴 디랙 (1949년) |
참고 문헌 | Dirac, P. A. M. (1949). Forms of Relativistic Dynamics. Reviews of Modern Physics, 21(392), 392–399. |
2. 정의
차원 민코프스키 공간의 직교 좌표계 를 생각하자. 직교 좌표계에서 계량 텐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시공간 평면은 분할 복소수 평면과 연관될 수 있으며, 이는 로렌츠 부스트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빛원뿔 좌표계는 이러한 분할 복소수의 대각 기저에 해당한다.
:
여기서 새로운 좌표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이를 이용한 빛원뿔 좌표계는 이다. 빛원뿔 좌표계에서 계량 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이 경우, 아래 첨자(공변) 성분과 위 첨자(반변) 성분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빛원뿔 좌표계에서 좌표 중 두 개(와 )는 널 벡터이고, 나머지 모든 좌표()는 공간 좌표이다. 후자의 공간 좌표들을 로 표기하기도 한다.
다른 부호 규약인 (d,1) 로렌츠 부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표준 좌표계에서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여 계량 텐서를
:, ()
로 쓸 때, 빛원뿔 좌표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여기서 이고 이다. (이때 는 방향 좌표를 의미한다.)
와 둘 다 "시간" 좌표로 사용될 수 있다.[2]
3. 상대성 이론에서의 빛원뿔 좌표계
빛원뿔 좌표계는 두 개의 널 벡터 좌표와 나머지 공간 좌표로 구성된다. 널 벡터 좌표는 와 로, 공간 좌표는 로 표기한다.
(d,1) 로렌츠 부호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 표준 좌표계에서의 계량 텐서는 아인슈타인 표기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이를 빛원뿔 좌표계로 변환하면 계량 텐서는 다음과 같다.
:, ()
여기서 이고 이다.
와 는 둘 다 시간 좌표처럼 사용될 수 있다.[2] 빛원뿔 좌표계의 장점 중 하나는 인과 구조가 좌표계 자체에 부분적으로 포함된다는 점이다.
평면에서의 로렌츠 부스트는 빛원뿔 좌표계에서 스퀴즈 매핑 , , 로 나타난다. 평면에서의 회전 변환은 공간 좌표 에만 영향을 미친다.
포물선 변환은 빛원뿔 좌표계에서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빛원뿔 좌표계는 일반 상대성 이론의 곡선 시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특정 계산을 더 간단하게 만드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로 뉴먼-펜로즈 형식이 있다. 또한, 상대 속도가 광속에 매우 가까운 상대론적 충돌 문제나 빛원뿔 게이지를 사용하는 끈 이론 등에서 활용된다.
3. 1. 로렌츠 변환
파라미터 β를 이용해 xd 방향으로 로렌츠 부스트를 고려하면, 로렌츠 변환에 의해 표준 좌표계에서는 다음과 같이 변환된다.
이 변환을 빛원뿔 좌표계 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처럼 빛원뿔 좌표계를 사용하면 로렌츠 변환 시 와 성분이 서로 섞이지 않아 계산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4. 입자의 운동
빛원뿔 좌표계에서 좌표 성분은 공간적인 성분과 빛적인 성분만 있으며, 시간적인 성분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빛적인 성분 와 는 입자가 질량을 갖는 경우, 시간의 경과(의 증가)에 대해 단조롭게 증가하므로, 둘 다 시간에 해당하는 좌표로 사용할 수 있다.[2] 그래서 를 빛원뿔 좌표계에서 시간에 해당하는 성분으로 선택하고, 광속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빛원뿔 시간''' 를 정의한다.
:
입자의 위치 를 빛원뿔 시간 로 미분하여 '''빛원뿔 속도'''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빛원뿔 속도의 성분은 가 성립한다.
상대론적 입자의 운동을 나타내는 작용 는 입자의 운동 경로 길이에 비례하며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여기서 은 입자의 질량, 는 광속, 는 고유 시간 간격, 는 민코프스키 계량이다. 좌표에 공액인 운동량 는 라그랑지언 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
빛원뿔 시간 에 공액인 운동량 성분 를 이용하여 빛원뿔 좌표계에서의 해밀토니언 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빛원뿔 좌표계에서의 '''에너지''' 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질량 껍질 조건 을 이용하면, 에너지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이 식에서 볼 수 있듯이, 빛원뿔 좌표계로 에너지를 나타내는 경우 제곱근이 나타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4. 1. 무질량 입자의 1차 양자화
빛원뿔 좌표계는 등각 불변이므로, 무질량 입자나 막과 같이 질량이 0인 대상을 다룰 때 유용하다.예를 들어, (1,D-1)차원 시공간에서의 무질량 입자를 생각해 보자. 질량이 0이므로, 이 입자는 등각 대칭을 갖는다.
이 입자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여기서 는 세계선의 임의의 좌표이며, 는 입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의 함수이다. 는 에 대한 속력이며, 는 세계선 위의 필바인이다. 그러나 이 작용 표현에서는 등각 대칭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등각 대칭을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가상의 "시간" 차원과 "공간" 차원을 추가하여 민코프스키 공간 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공간에서 다음과 같은 작용을 정의한다.[4]
:
여기서 는 확장된 공간에서의 입자 위치이고, 는 보조장이다.
이 작용은 다음과 같은 게이지 대칭을 갖는다.
:
:
이제, 보조장 의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
새로 추가한 두 차원의 빛원뿔 좌표를 이용하여 라고 표현하면, 운동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
여기서 와 로 정의하면, 확장된 공간에서의 작용은 다음과 같이 원래의 작용으로 돌아감을 확인할 수 있다.
:
5. 끈 이론에서의 빛원뿔 좌표계
끈 이론에서 빛원뿔 좌표계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되며, 특히 빛원뿔 게이지에서 활용된다.
닫힌 끈은 점 입자를 일반화한 개념이다. 끈 위의 점들은 라는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기술할 수 있는데, 이 매개변수는 부터 까지 변한다. 시간은 라는 또 다른 매개변수로 나타낸다. 끈 위의 각 점은 D차원 시공간의 좌표 와 횡방향 좌표 와 연결되며, 이 좌표들은 차원 장론에서 장(field)처럼 취급된다.
이론을 다룰 때, 일반적인 시간 좌표 와 공간 좌표 대신 빛원뿔 좌표 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빛원뿔 좌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이 좌표계를 사용하면, 끈 이론의 메트릭 텐서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에 대한 합은 암묵적으로 가정한다.)
끈 이론에는 게이지 자유도가 존재한다. 이 자유도를 이용하여 로 설정하고, 이를 시간 변수처럼 다룰 수 있다. 또한, 변환에 대한 재매개변수화 불변성(reparametrization invariance)을 이용하여 메트릭으로부터 제약 조건 을 얻을 수 있다.
:
이 제약 조건 때문에 는 더 이상 독립적인 자유도가 아니다.
는 해당 뇌터 전하와 동일시될 수 있다. 를 고려하고 와 에 대한 오일러-라그랑주 방정식을 사용하면 다음 관계를 유도할 수 있다.
:
이를 뇌터 정리 와 비교하면, 뇌터 전하 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즉, 제약 조건 자체가 뇌터 전하 와 같다는 결과를 얻으며, 이는 관련 문헌에서 제시된 결과와 일치한다.[3]
5. 1. 자유 입자 운동
질량 인 자유 입자의 경우, 작용 는 라그랑지안 을 적분하여 얻는다.:
여기서 는 입자의 경로를 나타내는 매개변수이며, 는 시공간 좌표, 은 입자의 질량이다.
빛원뿔 좌표계에서는 시간과 유사한 변수로 를 사용한다. 이 좌표계에서 라그랑지안 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여기서 와 는 빛원뿔 좌표이고, 는 횡방향 공간 좌표들을 나타낸다.
각 좌표에 대한 정준 운동량은 라그랑지안을 해당 좌표의 미분으로 편미분하여 구한다.
:
는 -1이라는 상수값을 가지며, 는 횡방향 속도 와 같다.
해밀토니안 는 라그랑지안과 정준 운동량을 통해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인 자연 단위계 사용).
:
여기서 는 를 의미한다. 이 해밀토니안은 횡방향 운동 에너지와 질량 항의 합으로 나타난다.
이 해밀토니안으로부터 유도되는 비상대론적 해밀턴 방정식은 횡방향 좌표 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해를 제공한다.
:
이는 입자가 횡방향으로 일정한 운동량 를 가지고 등속 운동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자유 입자에 대한 빛원뿔 좌표계 분석은 끈 이론에서 자유 끈의 운동을 기술하는 데 기초가 된다.
참조
[1]
논문
Forms of Relativistic Dynamics
1949-07-01
[2]
서적
A first course in string theory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
서적
Black Holes, Information and the String Theory Revolution
World Scientific
2004
[4]
논문
Conformal invariance of extended spinning particle mechanics
198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