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완 전쟁묘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완 전쟁묘지는 홍콩섬에 위치한 묘지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홍콩 전투에서 사망한 연합군 병사들을 기리고 있다. 1941년 일본의 홍콩 침공으로 영국군, 캐나다군, 인도군 등 연합군은 치열한 전투를 벌였으며, 이 과정에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사이완 전쟁묘지에는 영국군, 캐나다군, 인도군을 포함하여 총 1,528명의 병사가 안장되어 있으며, 이 중에는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캐나다 준장 존 K. 로슨 등이 있다. 묘지는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에서 관리하며, 묘역에는 추모관, 묘비, 기념비 등이 조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의 군사 - 스탠리 군사묘지
    스탠리 군사묘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홍콩 스탠리에서 사망한 연합군 및 민간인 희생자들을 기리는 묘지로, 격전지였던 스탠리에서 임시 매장된 유해들을 이장하여 조성되었으며, 신원 미확인 희생자, 민간인 억류자, 영국 육군 지원단 소속, 제1차 세계 대전 희생자 등을 안장하고 사이완 전쟁 묘지도 포함하고 있다.
  • 홍콩의 군사 -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
    중국 인민해방군 주홍콩부대는 홍콩 반환 이후 홍콩의 방위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주둔하며, 육해공군 병력으로 구성되어 중앙군사위원회의 지휘를 받고 홍콩의 법률을 준수하며 홍콩 정부와 소통한다.
사이완 전쟁묘지

2. 배경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진주만 공격 직후 영국왕령 식민지였던 홍콩을 침공했다.[1] 이는 제2차 세계 대전태평양 전쟁의 일부로, 영국군, 캐나다군, 호주군, 인도군 등으로 구성된 연합군은 홍콩을 방어하려 했으나 역부족이었다. 당시 영국 전쟁성은 홍콩이 군사적으로 방어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지만, 주둔군에게는 강력한 저항 명령이 내려졌다.[1]

선전시에서 출발한 일본군은 중국 본토를 통해 홍콩으로 진입했으며[2], 여러 지역에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과정에서 연합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며, 특히 인도 출신 부대들의 피해가 컸다.

결국 1941년 12월 25일, 영국은 홍콩을 일본에 항복했고, 이는 홍콩 일본 점령의 시작이었다. 점령은 일본이 3년 후 무조건 항복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전투 중 발생한 사상자 외에도, 홍콩과 일본에서의 포로 생활 중 열악한 환경과 학대로 인해 더 많은 연합군 병사들이 목숨을 잃었다.

홍콩 전투에서 전사하거나 포로 생활 중 사망한 연합군 병사들 중 상당수가 사이완 전쟁묘지에 안장되었다. 나머지 전사자들은 주로 스탠리 군사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2. 1. 홍콩 전투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최고위 장교였던 존 K. 로슨 준장의 묘비


1941년 12월 8일, 진주만 공격 이후 8시간도 채 되지 않아 일본군은 당시 영국 왕령 식민지였던 홍콩에 대한 침공을 시작했다. 이 침공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부로, 영국군, 캐나다군, 호주군, 인도군 등 연합군이 영국령 홍콩을 방어하기 위해 싸웠으나 결국 실패로 끝난 전투였다. 당시 영국 전쟁성은 홍콩을 군사적으로 방어하기 어려운 지역으로 판단했지만, 주둔군에게는 강력한 저항 명령이 내려졌고, 6개의 보병 대대가 홍콩 방어 임무를 맡았다.[1] 긴 드링커스 선, 웡나이충 갭, 마운트 버틀러, 레이 문 해협, 악마의 봉우리, 스탠리 요새 등 여러 지역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연합군은 많은 사상자를 냈다.

선전시에서 출발한 일본군은 선천강을 쉽게 건너 중국 본토 북쪽을 통해 홍콩으로 진입했다. 긴 드링커스 선을 방어하던 3개의 영국 육군 대대는 서쪽의 제2대대, 로열 스코츠, 중앙의 제2/14대대, 펀자브 연대, 동쪽의 제5/7대대, 라지푸트 연대였다.[2]

특히 인도군의 피해가 컸다. 제5/7 라지푸트 연대는 홍콩 전투에 참여한 모든 방어 전투 대대 중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를 냈는데,[3][4] 전사 또는 부상으로 인한 사망자가 156명, 실종자가 113명, 부상자가 193명에 달했다.[5] 제2/14 펀자브 연대 역시 큰 피해를 입었다. 전사 또는 부상으로 인한 사망자는 55명, 실종자는 69명, 부상자는 161명이었다.[6] 또한, 분할되지 않은 인도 출신 병력으로 구성된 홍콩 및 싱가포르 로열 포병대도 전투 중 사망 144명, 실종 45명, 부상 103명이라는 막대한 사상자를 냈으며, 이들의 이름은 사이완 전쟁 묘지 입구의 명판에 새겨져 있다.[7]

홍콩 섬에서도 격렬한 전투가 이어졌으나, 결국 영국은 1941년 12월 25일 크리스마스에 홍콩을 일본에 항복했다. 이는 홍콩의 일본 점령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으며, 점령은 일본이 3년 후 무조건 항복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전투 중 발생한 사상자 외에도, 홍콩과 일본에서의 오랜 포로 생활과 수송 과정에서 질병, 익사, 학대, 처형 등으로 인해 훨씬 더 많은 연합군 병사들이 목숨을 잃었다.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대부분의 연합군 병사들(영국군, 캐나다군, 인도군 포함)은 사이완 전쟁묘지에 안장되었다. 이곳에는 총 1,528명의 병사가 잠들어 있거나 기념되고 있으며, 대부분 영연방 출신이다. 나머지 전사자들은 주로 스탠리 군사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사이완 전쟁묘지에는 준장 존 K. 로슨을 포함하여 228명의 캐나다군 병사가 묻혀 있다.[10] 로슨은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최고위 장교이다.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수여받은 중대 선임부사관 존 로버트 오스본은 이곳에 묻혀 있지는 않지만, 그의 이름이 기념관 벽에 새겨져 있다.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CWGC)에 따르면, 영국령 인도 제국 출신 병사 914명은 사이완 묘지 단지 내 세 곳에 나뉘어 기념되고 있다. 묘지 경사면에 104명의 인도 병사 묘비가 있으며, 사이완 기념관에는 287명의 인도 병사 이름이 새겨져 있다. 또한 종교적 관습에 따라 화장된 118명의 인도 병사는 사이완 화장 기념관의 명판에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8][9]

2. 2. 연합군 피해

1941년 12월 8일, 일본군홍콩을 침공하면서 시작된 홍콩 전투에서 연합군(주로 영국군, 캐나다군, 호주군, 인도군)은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당시 홍콩은 군사적으로 방어가 어려운 지역으로 여겨졌음에도 불구하고, 주둔군은 강력한 저항을 명령받았다.[1] 긴 드링커스 선, 싱 문 요새, 웡나이충 갭, 마운트 버틀러, 레이 문 해협, 악마의 봉우리, 스탠리 요새 등 여러 지역에서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고, 이 과정에서 많은 연합군 병사들이 희생되었다.

특히 인도 출신 부대들의 피해가 컸다. 제5/7 라지푸트 연대는 홍콩 전투에 참여한 모든 방어 대대 중 가장 많은 사상자를 냈으며[3][4], 제2/14 펀자브 연대와 홍콩 및 싱가포르 로열 포병대 역시 큰 손실을 입었다. 주요 부대별 사상자는 다음과 같다.

부대전사 또는 부상으로 사망실종부상
제5/7 라지푸트 연대156명[5]113명[5]193명[5]
제2/14 펀자브 연대55명[6]69명[6]161명[6]
홍콩 및 싱가포르 로열 포병대144명[7]45명[7]103명[7]



1941년 12월 25일, 영국은 홍콩을 일본에 항복했으며, 이는 홍콩 일본 점령의 시작이었다. 전투 중 발생한 사상자 외에도, 홍콩과 일본에서의 오랜 포로 생활 및 수송 과정에서 질병, 익사, 학대, 처형 등으로 인해 더 많은 연합군 병사들이 사망했다.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대부분의 연합군 병사들은 사이완 전쟁묘지에 안장되었다. 총 1,528명의 병사가 이곳에 기념되고 있으며, 대부분 영연방 출신이다.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CWGC)에 따르면, 영국령 인도 제국 출신 병사 914명의 기념물은 사이완 묘지 단지 내 세 곳에 나뉘어 있다. 묘지 경사면에 104명의 인도 병사 묘비가 있고, 사이완 기념관에는 287명의 인도 병사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종교적 관습에 따라 화장된 118명의 인도 병사는 사이완 화장 기념관의 명판에 기록되어 있다.[8][9] 또한, 사이완 전쟁묘지에는 228명의 캐나다인 묘가 있다.[10] 나머지 매장은 대부분 스탠리 군사 묘지에 이루어졌다.

3. 위치

케이프 콜린슨 로드의 사이완 전쟁 묘지와 케이프 콜린슨 군사 묘지 방향 표지판


이 묘지는 홍콩섬 북동쪽 모퉁이에 있는 포팅거 봉우리의 서쪽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묘지 부지는 케이프 콜린슨 로드의 마운트 콜린슨 북쪽 중간 지점에 위치한다. 과거에는 묘지 부지가 바다 쪽으로 점차 경사져 있어 레이유문의 항구 해협을 조망할 수 있었다. 레이유문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일본군이 1941년 12월 18일 저녁 항구를 건너 홍콩섬에 상륙했던 역사적인 장소이다. 같은 날 밤, 이곳 사이완 포대에서는 포병 20명이 일본군에게 학살당하는 비극이 있었다.
현재는 차이완 지역에 들어선 고층 주거 건물들로 인해 항구의 전망이 대부분 가려져 있으며, 날씨가 맑은 날에만 항구 건너편의 구룡을 볼 수 있다. 묘지 주변에는 성 십자가 가톨릭 묘지, 홍콩 군사 묘지, 케이프 콜린슨 이슬람 묘지, 그리고 홍콩 불교 묘지 등 여러 다른 묘지들이 가까운 거리에 모여 있다. 또한, 포팅거 봉우리 옆으로 몇 백 미터 동쪽에는 더 큰 규모의 케이프 콜린슨 중국 영구 묘지가 위치해 있다.

4. 묘역

사이완 전쟁묘지는 1946년에 건설되었으며, 1953년부터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가 관리하고 있다. 이곳에는 홍콩 전투에서 전사하거나 이후 포로 생활 중 사망한 영연방 군인들을 비롯하여 다양한 국적의 희생자들이 안장되어 있다.

특히 캐나다 출신 군인 약 280명이 묻혀 있으며, 그중에는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최고위 장교인 준장 존 K. 로슨도 포함된다.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은 중대 선임부사관 존 로버트 오스본은 이곳에 묻히지는 않았지만, 그의 이름이 기념관에 새겨져 추모되고 있다.

콜린슨 산 경사면에 자리한 이 묘지는 콜린 세인트 클레어 오크스가 설계하였다. 현재 이곳에는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사상자 1,528명이 매장되거나 추모되고 있으며, 이 중 444명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았다.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이들의 묘비에는 Known unto Godeng (하나님께 알려진 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 홍콩 방어전 사망자 외에도 대만에서 사망한 포로들의 유해가 이곳으로 옮겨져 안장되었으며, 네덜란드인을 포함한 다른 국적의 전쟁 희생자 묘지도 있다. 또한 도시 재개발로 인해 사라진 여러 무슬림 묘지에 안장되었던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사상자들을 위한 특별 추모비도 마련되어 있다. 묘지 입구의 추모관에는 무덤이 없는 2,000명 이상의 영연방 군인들의 이름과 화장된 영국-인도군 사상자들의 이름이 새겨진 패널이 있으며, 중국 본토에서 관리할 수 없게 된 묘지의 희생자들을 기리는 기념관도 있다. 홍콩 방어에 참여했던 현지 군인 20명과 민간인 8명도 이곳에 잠들어 있다.

4. 1. 묘역 구성

사이완 전쟁묘지는 콜린슨 산(Collinson)의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묘역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가장 높은 곳에는 영국군 묘지가 있고, 중간에는 캐나다군과 네덜란드군 묘지가 위치한다. 경사면 아래쪽에는 분할 이전 인도 군인들의 묘지가 있다. 이 인도 군인들의 묘지는 원래 구룡에 있었으나, 최근 이곳으로 옮겨졌다.[1]

묘지의 각 묘비는 흰색의 직립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해당 군인이 속했던 연대나 군의 휘장이 새겨져 있다. 묘지 주변은 꽃이 피는 관목과 덤불로 이루어진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폭우에 대비한 배수구가 묘지 양쪽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나 있다.[1] 중앙 통로를 따라 돌계단을 내려가면 희생의 십자가가 보이고, 계단 꼭대기에는 추모 제단이 위치한다. 이 제단에는 집회서의 구절 "Their Name Liveth For Evermoreeng"가 새겨져 있다.[1] 묘지와 기념관은 모두 콜린 세인트 클레어 오크스(Colin St Clair Oakes)가 설계했다.[1]

묘지 입구에 있는 추모관에는 홍콩 전투 중 또는 그 이후 포로 생활 중 사망했으나 무덤이 없는 2,000명 이상의 영연방 군인들의 이름이 새겨진 패널이 있다.[1] 또한, 종교적 신념에 따라 화장된 144명의 영국-인도군 사상자들의 이름을 기리는 화장 추모관 패널도 이곳에 마련되어 있다.[1] 추모관 내에는 중국 본토에 있던 묘지를 관리할 수 없게 된 제1차 및 제2차 세계 대전 사상자 72명을 기리는 사이완(중국) 기념관도 찾아볼 수 있다.[1] 이 외에도 홍콩 방어에 참여했던 현지 군인 20명과 민간인 8명도 이곳에 안장되어 있다.[1]

현재 사이완 전쟁묘지에는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사상자 1,528명이 매장되거나 추모되고 있으며, 이 중 444명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아 묘비에 "Known unto Godeng"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1] 대만에서 포로로 사망한 이들의 유해도 이곳으로 옮겨져 안장되었다.[1] 또한, 구룡 무슬림 묘지에 묻혔다가 무덤이 사라진 제2차 세계 대전 사상자 16명을 위한 특별 추모비와, 주로 네덜란드인인 다른 국적의 전쟁 희생자 77명의 묘지도 있다.[1] 도시 재개발로 인해 사라진 두 개의 무슬림 묘지(호만틴의 3번 무슬림 묘지, 몽콕 근처 타 세쿠의 모하메덴 묘지)에 있던 제1차 세계 대전 사상자 12명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상자 28명을 위한 특별 추모비도 세워져 있다.[1]

4. 2. 주요 시설

사이완 전쟁묘지는 1946년에 건설되었으며, 영연방 전쟁 묘지 위원회가 1953년부터 토지를 임대하여 관리하고 있다. 묘지와 기념관은 모두 콜린 세인트 클레어 오크스가 설계했다.

묘지 입구에는 추모관이 있다. 이곳에는 홍콩 전투 중 또는 그 이후 포로로 사망한 2,000명 이상의 영연방 군인들과 무덤이 없는 사람들의 이름이 새겨진 패널이 있다. 또한, 종교적 신념에 따라 화장된 144명의 영국-인도군 사상자들의 이름을 새긴 화장 추모관 패널도 있다. 중국 본토에 있는 무덤을 관리할 수 없게 된 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의 사상자 72명을 기리는 사이완(중국) 기념관도 추모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외에도 홍콩 현지 군인 20명과 민간인 8명이 이곳에 묻혀 있다. 방문객들은 전투와 군대 진격을 보여주는 표지판을 통해 당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

묘지는 콜린슨 산의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다. 가장 높은 곳에는 영국군 묘지가, 중간에는 캐나다군과 네덜란드군 묘지가 있으며, 가장 낮은 부분에는 분할되지 않은 인도 군인들의 묘지가 있다. 이 인도 군인들의 묘지는 원래 구룡에 있었으나 최근 이곳으로 옮겨졌다. 각 묘비는 해당 연대나 군의 휘장이 새겨진 흰색의 직립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묘지 주변은 꽃이 피는 관목과 덤불 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양쪽으로는 폭우 배수구가 위에서 아래로 나 있다.

중앙 통로를 따라 내려가는 돌계단 꼭대기에는 추모 제단이 있다. 제단에는 집회서의 구절 "그들의 이름은 영원히 살아 있으리라"가 새겨져 있으며, 희생의 십자가를 향하고 있다.

홍콩 방어전 사망자 외에도 대만에서 사망한 포로들의 유해도 이곳으로 옮겨져 안장되었다. 현재 사이완 전쟁묘지에는 제2차 세계 대전 사상자 1,528명이 매장되거나 추모되고 있으며, 이 중 444명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아 "하나님께 알려진 자"라는 문구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무덤이 사라진 구룡 무슬림 묘지에 묻혔던 제2차 세계 대전 사상자 16명을 위한 특별 추모비와, 네덜란드인을 포함한 다른 국적의 전쟁 묘지 77개도 있다. 도시 재개발로 인해 사라진 두 개의 무슬림 묘지(호만틴의 3번 무슬림 묘지, 몽콕 근처 타 세쿠의 모하메덴 묘지)에 있던 제1차 세계 대전 묘지 12기와 제2차 세계 대전 묘지 28기를 위한 특별 추모비도 마련되어 있다.

5. 주요 안장자



이곳에는 캐나다 출신 군인 약 280명이 묻혀 있으며, 그중에는 준장 존 K. 로슨도 포함되어 있다. 로슨은 홍콩 전투에서 전사한 최고위 장교로, 그의 유해는 원래 점령 기간 동안 일본군에 의해 황내충 협곡에 묻혔으나 이후 이곳으로 이장되었다. 또한 소장 랜슬롯 어니스트 데니스와 머튼 벡위드-스미스도 이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홍콩 전투에서 공로를 인정받아 빅토리아 십자훈장을 받은 중대 선임부사관 존 로버트 오스본은 이곳에 묘가 없지만, 그의 이름은 기념관에 새겨져 있다.[13]

참조

[1] 웹사이트 The War Memorials and Cemeteries in Hong Kong https://www.dva.gov.[...] CWGC 2017-06-30
[2] 서적 The battle for Hong Kong 1941-1945 : hostage to fortune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5
[3] 간행물 Recollections of the Battle of Hong Kong 2008
[4] 서적 Race war : white supremacy and the Japanese attack on the British Empire https://archive.org/[...] New York University Press 2004
[5] 웹사이트 A scarce Far East 'Prisoner-of-War' B.E.M. group of five awarded to Company Havildar-Major Amir A https://www.the-sale[...] 2015-02-25
[6] 서적 Not the slightest chance : the defence of Hong Kong, 1941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5
[7] 서적 Not the slightest chance : the defence of Hong Kong, 1941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5
[8] 서적 Indian war memorials around the world http://trove.nla.gov[...] Centre for Armed Forces Historical Research 2017-06-06
[9] 뉴스 Sai Wan War Cemetery near Hong Kong commemorates Indian soldiers who fell in the Second World War https://www.tracesof[...] 2017-06-06
[10] 웹사이트 Canadian Encyclopedia Monuments, World Wars I and II https://www.thecanad[...] 2017-09-20
[11] 서적 Last Post – Indian War Memorials Around the World https://mea.gov.in/U[...] United Service Institution of India 2017-06-30
[12] 웹사이트 Muslim cemetery, Kowloon – Gwulo: Old Hong Kong https://gwulo.com/no[...] Gwulo 2017-06-30
[13] 웹사이트 Canadian Virtual War Memorial https://www.vetera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