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당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당화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관목으로, 관상수로 널리 재배된다. 중국이 원산지이며, 4~5월에 붉은색, 분홍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의 꽃을 피우며, 가을에는 모과와 비슷한 타원형의 열매를 맺는다. 열매는 약용 및 식용으로 사용되며, 과실주나 잼으로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 모다피닐
    모다피닐은 기면증 치료에 주로 사용되는 각성 촉진제로, 교대 근무 수면 장애,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다발성 경화증 관련 피로 등에도 사용되지만, ADHD 치료 효과는 일관적이지 않으며 인지능력 향상 효과는 논란의 여지가 있고 부작용과 의존성 위험이 존재한다.
  • 도파민 재흡수 억제제 - 벤라팍신
    벤라팍신은 우울증, 불안 장애, 혈관 운동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되는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이며, 부작용과 금기 사항이 존재하고, 오락용 남용 및 특정 생물체에 독성이 있을 수 있다.
  • 사과나무족 - 마가목
    마가목은 한국과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수로, 붉은 열매와 아름다운 단풍이 특징이며 관상용으로 많이 심고 줄기 껍질은 약재로, 열매는 과실주나 잼 등으로 활용된다.
  • 사과나무족 - 모과나무
    모과나무는 가을에 향기로운 열매를 맺는 높이 10~18m의 낙엽 활엽수로, 관상수, 과수, 분재용으로 재배되며 열매는 식용 및 약용으로 쓰인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개나리
    개나리는 한반도 특산종으로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고 열매는 약재로 사용되는 낙엽 활엽 관목이다.
  • 나카이 다케노신이 명명한 분류군 - 능금나무
    능금나무는 한국과 중국 원산의 낙엽 활엽 과수로, 사과와 혼용되었으나 별개 종으로 분류되었으며, 독특한 열매 모양과 신맛, 떫은맛을 가진 열매를 맺고 관상용, 약재,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서양 사과 도입 후 재배가 감소하여 유전자원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산당화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아브라함 야코부스 벤델의 삽화, 1868년
아브라함 야코부스 벤델의 삽화 (1868년)
학명Chaenomeles speciosa
이명Chaenomeles lagenaria (Loiseleur.) Koidz.
Cydonia lagenaria Loisel.
Cydonia speciosa Sweet
Pyrus japonica Sims. non Thunb.
영어 이름Flowering quince
높이약 2m
학명 정보
명명자(Sweet) Nak.
명명 연도1929
분류
식물계
문 (계통 분류군)속씨식물군
강 (계통 분류군)진정쌍떡잎식물군
장미목
장미과
아과사과아과
명자나무속
한국어 정보
한국어 이름산당화 (山棠花)
문화어 이름명자나무

2. 명칭

열매가 멜론을 닮아, 나무에 열리는 멜론으로 "목과(木瓜, 모케)"라고 불리던 것이 "보케"로 전화된 것이라고도 하며[1], "목과(목콰)"에서 "보케"로 전화되었다고도 한다. 본초화명(918년)에는, 열매의 한자어를 목과(목카), 와명을 모케로 하여 등장한다.[1]

학명인 speciosala는 "아름다운", "화려한"을 뜻하며, Chaenomelesla는 "chainola(크게 갈라진) + melonla(사과)"가 어원이다. 중국 식물명(한자어)은 첩경해당(貼梗海棠, 쵸쿄카이도)이다.[2]

3. 분포 및 생육지

원산지는 중국 대륙이며, 일본에는 옛 헤이안 시대에 도래하여 관상용으로 재배된 귀화 식물이다[13]. 혼슈, 시코쿠, 규슈에 걸쳐 정원에 식재되어 있으며, 일부는 야생화되었다[13]. 홋카이도 남부에서는 종류가 제한적이지만, 온난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명소로는 가마쿠라시의 구혼지가 알려져 있다.

4. 형태 및 생태

산당화는 공원이나 정원에 관상수로 많이 심는 낙엽 관목이다. 다 자라도 2m를 넘지 않으며, 포기로 자라 줄기는 덤불을 이루며 잘 갈라진다.[2][3] 어린 가지에는 갈색 털이 있고, 늙으면 회흑색이 된다. 수피는 회색이나 잿빛 갈색으로 피목이 있으며, 세로로 얕게 갈라지고, 작은 가지는 가시가 된다.[1][3]

은 장타원형에서 타원형으로 어긋나기로 나며,[2] 길이는 5cm에서 9cm이다. 잎의 끝은 뾰족하고(예두) 드물게 둔한(둔두) 경우도 있으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세열 톱니가 있다.[2] 잎의 밑동에는 신장 모양의 턱잎이 붙는다.[2]

겨울눈은 어긋나며, 잎눈은 삼각형, 꽃눈은 구형이다. 가짜 정아는 잎눈인 경우가 많고, 모과나무보다 크다.[3]

4. 1. 꽃

4~5월에 잎이 돋아나기 전, 통통한 주홍색의 5장 꽃잎을 피운다.[1][2] 짧은 가지 옆에 여러 개가 붙어 있으며, 지름은 2.5 - 3.5 cm이다. 다양한 품종이 있으며, 꽃 색깔은 연분홍, 진홍, 흰색과 붉은 반점, 흰색 등이 있고, 수꽃과 암꽃이 있다.[2]

4. 2. 열매

가을에 열매를 맺는 과실은 타원형으로, 지름은 약 3cm에서 10cm 정도이다.[1][2][4] 7cm에서 8cm 경에 익고,[4] 과피는 노란색을 띠며 낙과한다.[2] 모과와 비슷하며 과실주를 담는다.

5. 재배

산당화는 정원수로 많이 이용되며, 꽃을 관상할 목적으로 첨경수로 심는다. 꽃꽂이 재료나 분재로도 사용된다.[4] 양지성 식물이며 토양을 가리지 않고, 배수성이 좋고 약간 건조한 땅을 좋아한다. 번식은 실생, 꺾꽂이, 포기나누기로 한다. 실생은 열매를 갈라 씨앗을 꺼내 씻어 파종한다. 꺾꽂이와 포기나누기는 봄에 싹이 트기 전에 한다. 이식은 쉽지만, 대기 오염과 해일 피해에는 그다지 강하지 않다.

5. 1. 품종

이 식물은 덩굴성 습성과 초기에, 때로는 한겨울에도 나타나는 화려한 꽃 때문에 온대 지역에서 널리 재배된다. 흔히 비공식적인 낮은 울타리로 사용된다. 흰색, 분홍색, 빨간색 음영의 꽃을 가진 수많은 재배 품종이 선택되었다. 다음 재배 품종 및 교배종은 왕립원예학회의 가든 메리트 상을 받았다:[4]

  • '게이샤 걸'[5] (연어 분홍색)
  • '무어루시'[6] (진홍색)
  • '핑크 레이디'[7] (분홍색)

6. 이용

산당화 열매는 과실주나 잼으로 만들어 식용으로 이용하거나, '왜목과'라는 생약으로 만들어 약용으로 이용한다.[1][2][3] 덜 익은 산당화 열매를 소주에 담가 풀모과주를 만들기도 한다.[1]

6. 1. 약용

열매에는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류와 과당이 포함되어 있다. 유기산류는 항균 작용이 있다고 여겨져, 장내를 산성화할 정도로 많이 복용하면 세균은 약알칼리성(pH7 이상)에서 번식하므로 증식을 멈추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1]。또한, 유기산류는 철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1]

열매는 '''목과'''(모과)라고 불리는 생약이 되며, 8 - 9월경 낙과하기 전의 푸른 미숙 열매를 채취하여 물로 씻은 후 얇게 썰어 햇볕에 말려 조제한다.[1][2][3]。보혈, 강장, 피로 회복, 기침약, 식중독 외에 근육 경련()과 더위 먹음에 효용이 있다고 하며, 건조 과실 1일 5 - 10그램을 물 200 - 600cc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서 3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용법이 알려져 있다.[2][3]。단, 위장에 열이 있을 때는 금기로 한다.[2]

향기로운 열매를 사용하여 과실주나 잼으로도 이용된다. 모과주라고 불리는 과실주로 만들기도 하며, 열매의 2 - 3배 분량의 화이트 리커 또는 35도의 소주에 담가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반년에서 1년 정도 보관하여 만든다.[1][3]。과실주에도 기침이나 목의 통증, 피로 회복, 자양 보건, 저혈압, 불면증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하며, 취침 전에 한 잔 정도 복용한다.[1][4]

6. 2. 식용

열매에는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류와 과당이 포함되어 있으며, 유기산류는 항균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장내를 산성화할 정도로 많이 복용하면, 세균은 약알칼리성(pH7 이상)에서 번식하므로 증식을 멈추는 작용이 있다고 한다[1]。 또한, 유기산류는 철분의 흡수를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된다[1]

열매는 '''목과'''(모과)라고 불리는 생약이 되며, 8 - 9월경 낙과하기 전의 푸른 미숙 열매를 채취하여 물로 씻은 후 얇게 썰어 햇볕에 말려 조제한다[1][2][3]。 보혈, 강장, 피로 회복, 기침약, 식중독 외에, 근육 경련()과 더위 먹음에 효용이 있다고 하며, 건조 과실 1일 5 - 10그램을 물 200ml - 600ml로 반량이 될 때까지 달여서 3회에 나누어 복용하는 용법이 알려져 있다[2][3]。 단, 위장에 열이 있을 때는 금기로 한다[2]

향기로운 열매를 사용하여 과실주나 잼으로도 이용된다. 모과주라고 불리는 과실주로 만들기도 하며, 열매의 2 - 3배 분량의 화이트 리커 또는 35도의 소주에 담가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반년에서 1년 정도 보관하여 만든다[1][3]。 과실주에도 기침이나 목의 통증, 피로 회복, 자양 보건, 저혈압, 불면증 등의 약효가 있다고 하며, 취침 전에 한 잔 정도 복용한다[1][4]

7. 비슷한 나무

'''풀명자'''(''Chaenomeles japonica'' (Thunb.) Lindl. ex Spach)는 애기명자나무라고도 불린다. 일본 원산으로 열매가 산당화에 비해 작다.[1] クサボケ일본어(Japanese quince영어)는 장미과 모과속의 하나로, 낙엽 관목이다.[2] 모과의 야생종으로 산야나 하천 둑, 양지 바른 풀밭 등에서 자란다.[1][3] 일본 이름은 전체적으로 작기 때문에 풀로 간주되어 붙여졌다.[4] 별명으로는 시도미,[2][3] 지나시라고도 불린다. 흰 꽃을 흰꽃 풀모과라고 부르기도 하며, 왜성 원예 품종은 '장수매'로 불리며 분재로 만들어진다.

혼슈간토 지방 이서, 시코쿠, 규슈에 분포하며, 산야의 햇볕이 잘 드는 비탈 등에서 자란다.[2] 자생하는 모과속은 풀모과 한 종뿐이다.[2]

수고는 30cm~100cm 정도이다.[2] 줄기는 땅을 기거나 비스듬히 올라간다.[1] 수피는 잿빛 갈색이며, 피목이 있고 매끄러우며 작은 가지가 변화한 가시가 드문드문 있다. 어린 가지에는 거친 털이 나 있으며,[1][3] 열매나 가지도 작다. 잎 가장자리에는 작은 톱니가 있다.[2]

꽃은 4~5월에 피며, 종종 잎보다 먼저 핀다.[2] 꽃의 직경은 25mm 정도의 붉은 주홍색 홑겹 꽃이 뭉쳐서 피는 것이 보통이지만, 드물게 흰 꽃이나 겹꽃도 있다.[2] 수꽃과 양성화가 있으며, 꽃잎은 5개, 수술은 다수 있으며, 양성화의 암술대는 5개 있다.[2]

열매는 10월에 열린다.[2] 직경 3cm의 구형으로 노랗게 익으며,[2] 모과처럼 좋은 향기가 난다. 덜 익은 열매는 과실주의 재료로 사용된다.[3] 또한 열매에 모과와 같은 약효가 있어, 일본산이라는 의미로 '''왜목과'''(와못카)라고 불리는 생약이 되며, 모과(못카)와 마찬가지로 이용된다.[4][5][6] 과실주는 풀모과주라고 불리며, 열매의 3배 양의 소주에 담가 만들어진다.[4] 현재는 감소 추세에 있다.

겨울눈은 어긋나며, 잎눈은 삼각형, 꽃눈은 구형이며 가짜 정아는 잎눈인 경우가 많다.[1]

참조

[1] 웹사이트 "''Chaenomeles speciosa'' (sweet) Nakai" http://www.worldflor[...] The World Flora Online 2023
[2] 서적 Hortus third: A concise dictionary of plants cultiva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Macmillan, New York 1976
[3] 웹사이트 RHS Chaenomeles Speciosa 'Yukigoten' https://www.rhs.org.[...]
[4] 웹사이트 AGM Plants - Ornamental https://www.rhs.org.[...]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18-01-24
[5] 웹사이트 "''Chaenomeles speciosa'' 'Geisha Girl'" https://www.rhs.org.[...] RHS 2020-04-12
[6] 웹사이트 "''Chaenomeles speciosa'' 'Moerloosei'" https://www.rhs.org.[...] RHS 2020-04-12
[7] 웹사이트 "''Chaenomeles'' × ''superba'' 'Pink Lady'" https://www.rhs.org.[...] RHS 2020-04-12
[8] 웹사이트 Chaenomeles speciosa ボケ(標準) https://ylist.sakura[...] 2023-03-31
[9] 웹사이트 Chaenomeles lagenaria ボケ(シノニム) https://ylist.sakura[...] 2023-03-31
[10] 문서 ウメにちょっと似ている花。トゲがあるので注意。
[11] 웹사이트 東洋錦(トウヨウニシキ) https://www.city.nii[...] 新潟市秋葉区役所 2022-10-21
[12] 웹사이트 日月星(ジツゲツセイ) https://www.city.nii[...] 新潟市秋葉区役所 2022-10-21
[13] 웹사이트 ボケってどんな花? https://www.city.nii[...] 新潟市秋葉区役所 2022-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