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융은 고대 중국 북방에 존재했던 민족으로, 춘추 시대에 연나라와 제나라 사이에서 세력을 떨쳤다. 기원전 705년에는 연나라를 넘어 제나라를 공격하기도 했으며, 제 환공의 토벌로 세력이 약화되어 연나라에 병합되었다. 유목 생활을 했으며, 연나라의 화폐를 모방한 침수도를 사용했다. 민족 계통은 알타이어족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산융
개요
다른 이름산융 (山戎)
북융 (北戎)
역사적 배경
활동 시기주나라 시대
주요 활동 지역중국 북부 지역
민족적 분류동호 계통으로 추정
정치 및 사회
사회 구조유목 생활을 기반으로 한 부족 사회
군사력기마병을 중심으로 한 강력한 군사력 보유
문화
생활 방식유목과 수렵을 주로 함
언어동호 계통의 언어 사용 추정
관련 역사적 사건
주요 사건제나라 환공의 북벌
연나라와의 갈등
멸망 및 이후
멸망 원인중국 국가들의 북방 진출과 융합
이후흉노 등 다른 유목 민족에 흡수 또는 융합

2. 역사

산융은 한때 강대해져 그 세력의 범위가 전국 시대연나라, 조나라, 제나라의 사이에 있었다.[1] 연나라를 자주 침범하였으며, 기원전 705년에는 연나라를 넘어 제나라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기원전 679년, 제 환공이 제후들 사이에서 패권을 잡았고, 산융이 중원에 끼치는 소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다시 연나라를 공격하자 연나라는 제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제 환공은 연나라를 구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산융을 토벌하였다. 다만 이듬해인 기원전 663년에 산융은 이미 북방으로 되돌아 간 상태였다.[2]

제나라, 연나라의 연합군은 북진을 계속하여 산융의 근거지인 무종산(無終山, 현재의 허베이성 첸안시 옌산 일대)을 공격해 크게 이겼다. 산융의 왕은 고죽국으로 도망갔고, 연합군은 최종적으로 '산융을 북벌하고, 영지국(令支)를 치고, 고죽을 참한 뒤 남쪽으로 돌아오는' 결과를 얻었다. 제 환공의 산융 정벌 때 고죽국도 동시에 멸망한 것이다. 이로 인해 연나라는 강역을 넓히고 제나라의 북쪽 방벽이 될 수 있었다.[1]

기원전 660년, 제 환공은 다시 군사를 일으켜 고죽과 이지(離支, 영지)의 땅을 쳐서 철저히 산융을 정복하였다.[1]

고대에는 하 왕조 이전부터 험윤, 훈육과 함께 중국 북방에 있었다고 전해지지만[1], 확실하지 않다. 춘추 시대에 들어서면서 연의 북방에 동호와 인접하여 골짜기에 거주했다.

기원전 663년 겨울, 산융이 연을 침공해 오자 연은 제에 구원을 요청했다. 제의 환공은 산융을 정벌하여 연을 구원하고, 이어서 리지 (영지국), 고죽국을 정벌하고 귀환했다[2]

최종적으로는 연에 병합되었으며, 그 대부분이 동호[3] 또는 흉노로 도망친 것으로 여겨진다.

2. 1. 기원과 초기 활동

산융은 한때 강대해져 그 세력의 범위가 전국 시대연나라, 조나라, 제나라의 사이에 있었다. 연나라를 자주 침범하였으며, 기원전 705년에는 연나라를 넘어 제나라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기원전 679년, 제 환공이 제후들 사이에서 패권을 잡았고, 산융이 중원에 끼치는 소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다시 연나라를 공격하자 연나라는 제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제 환공은 연나라를 구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산융을 토벌하였다. 다만 이듬해인 기원전 663년에 산융은 이미 북방으로 되돌아 간 상태였다.

제나라, 연나라의 연합군은 북진을 계속하여 산융의 근거지인 무종산(無終山, 현재의 허베이성 첸안시 옌산 일대)을 공격해 크게 이겼다. 산융의 왕은 고죽국으로 도망갔고, 연합군은 최종적으로 '산융을 북벌하고, 영지국(令支)를 치고, 고죽을 참한 뒤 남쪽으로 돌아오는' 결과를 얻었다. 제 환공의 산융 정벌 때 고죽국도 동시에 멸망한 것이다. 이로 인해 연나라는 강역을 넓히고 제나라의 북쪽 방벽이 될 수 있었다.

기원전 660년, 제 환공은 다시 군사를 일으켜 고죽과 이지(離支, 영지)의 땅을 쳐서 철저히 산융을 정복하였다.

산융은 "산의 융"으로 번역된다. 융족은 춘추 시대 동안 화북에 거주했던 유목 부족들의 집단이었으며, 서융(Xirong)과는 반대로 북융의 지류로 여겨진다. 산융은 주나라의 제후국이었지만, 주 왕에게 조공을 바치지 않았고, 결국 중원에 위협이 되었다.

고대에는 하 왕조 이전부터 험윤, 훈육과 함께 중국 북방에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확실하지 않다. 춘추 시대에 들어서면서 연의 북방에 동호와 인접하여 골짜기에 거주했다.

최종적으로는 연에 병합되었으며, 그 대부분이 동호 또는 흉노로 도망친 것으로 여겨진다.

2. 2. 제 환공의 토벌

산융은 한때 강대해져 그 세력 범위가 전국 시대연나라, 조나라, 제나라 사이에 있었다. 연나라를 자주 침범하였으며, 기원전 705년에는 연나라를 넘어 제나라를 공격하기도 하였다.

기원전 679년, 제 환공이 제후들 사이에서 패권을 잡았고, 산융이 중원에 끼치는 소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다시 연나라를 공격하자 연나라는 제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제 환공은 연나라를 구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산융을 토벌하였다. 다만 이듬해인 기원전 663년에 산융은 이미 북방으로 되돌아 간 상태였다.

제나라, 연나라의 연합군은 북진을 계속하여 산융의 근거지인 무종산(無終山, 현재의 허베이성 첸안시 옌산 일대)을 공격해 크게 이겼다. 산융의 왕은 고죽국으로 도망갔고, 연합군은 최종적으로 '산융을 북벌하고, 영지국을 치고, 고죽을 참한 뒤 남쪽으로 돌아오는' 결과를 얻었다. 제 환공의 산융 정벌 때 고죽국도 동시에 멸망한 것이다. 이로 인해 연나라는 강역을 넓히고 제나라의 북쪽 방벽이 될 수 있었다.

기원전 660년, 제 환공은 다시 군사를 일으켜 고죽과 이지(離支, 영지)의 땅을 쳐서 철저히 산융을 정복하였다.

2. 3. 쇠퇴와 멸망

산융은 한때 강대해져 그 세력 범위가 전국 시대연나라, 조나라, 제나라 사이에 있었다. 연나라를 자주 침범하였으며, 기원전 705년에는 연나라를 넘어 제나라를 공격하기도 하였다.[1]

기원전 679년, 제 환공이 제후들 사이에서 패권을 잡았고, 산융이 중원에 끼치는 소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원전 664년, 산융이 다시 연나라를 공격하자 연나라는 제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제 환공은 연나라를 구하기 위해 군사를 일으켜 산융을 토벌하였다. 다만 이듬해인 기원전 663년에 산융은 이미 북방으로 되돌아 간 상태였다.[2]

제나라, 연나라의 연합군은 북진을 계속하여 산융의 근거지인 무종산(無終山, 현재의 허베이성 첸안시 옌산 일대)을 공격해 크게 이겼다. 산융의 왕은 고죽국으로 도망갔고, 연합군은 최종적으로 '산융을 북벌하고, 영지국(令支)를 치고, 고죽을 참한 뒤 남쪽으로 돌아오는' 결과를 얻었다. 제 환공의 산융 정벌 때 고죽국도 동시에 멸망한 것이다. 이로 인해 연나라는 강역을 넓히고 제나라의 북쪽 방벽이 될 수 있었다.[1]

기원전 660년, 제 환공은 다시 군사를 일으켜 고죽과 이지(離支, 영지)의 땅을 쳐서 철저히 산융을 정복하였다.[1]

최종적으로는 연에 병합되었으며, 그 대부분이 동호[3] 또는 흉노로 도망친 것으로 여겨진다.

3. 문화

산융은 유목민이므로 한민족처럼 성곽 등에 정주하지 않았다. 그곳의 가축, , 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외에 낙타, 당나귀, 노새, 결제(말의 일종), 투여(야생마), 단계(야생마) 등이 방목되었다.

문자를 갖지 않았으며, 규칙과 명령은 구두로 전달되었다.

산융은 연나라의 첨수도를 모방한 '''침수도'''라는 자국의 통화를 발행했으며, 중원 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문화 수준이 높은 부족이었다.

민족 계통으로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돌궐계, 퉁구스계 중 어느 쪽에 속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3. 1. 유목 생활

산융은 유목민이므로 한민족처럼 성곽 등에 정주하지 않았다. 그곳의 가축, , 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외에 낙타, 당나귀, 노새, 결제(말의 일종), 투여(야생마), 단계(야생마) 등이 방목되었다.

문자를 갖지 않았으며, 규칙과 명령은 구두로 전달되었다.

산융은 연나라의 첨수도를 모방한 '''침수도'''라는 자국의 통화를 발행했으며, 중원 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문화 수준이 높은 부족이었다.

민족 계통으로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돌궐계, 퉁구스계 중 어느 쪽에 속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3. 2. 독자적인 화폐

산융은 연나라의 첨수도를 모방한 '''침수도'''라는 자국의 통화를 발행했으며, 중원 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문화 수준이 높은 부족이었다.

3. 3. 구두 법령

산융은 유목민이므로 한민족처럼 성곽 등에 정주하지 않았다. 그곳의 가축, , 이 주를 이루었으며, 그 외에 낙타, 당나귀, 노새, 결제(말의 일종), 투여(야생마), 단계(야생마) 등이 방목되었다.

문자를 갖지 않았으며, 규칙과 명령은 구두로 전달되었다.

산융은 연나라의 첨수도를 모방한 '''침수도'''라는 자국의 통화를 발행했으며, 중원 문화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은 문화 수준이 높은 부족이었다.

민족 계통으로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며, 돌궐계, 퉁구스계 중 어느 쪽에 속하는 것으로 추측되지만, 확실하지 않다.

4. 민족 계통

5. 다른 유목 민족

참조

[1] 서적 史記 匈奴列伝
[2] 서적 春秋左氏伝 荘公三十年
[3] 서적 史記索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