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훈육은 고대 중국 역사서에 등장하는 민족으로, 시대에 따라 귀방, 험윤, 흉노 등으로 불리며 동일한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주나라 시조 고공단보가 훈육의 공격을 받아 신하가 되었고, 이후 기산으로 옮겨갔다는 기록이 있다. 근대 학자들은 훈육, 험윤, 흉노가 동일 민족이라고 주장하지만, 현대 학자들은 형질인류학적, 자연환경적 관점에서 이들의 관계를 부정하기도 한다. 훈육과 흉노의 관계는 한국 고대사 연구와도 연결되며, 민족 정체성, 문화 교류 등 현대 사회 문제와도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흉노 - 험윤
험윤은 서주 시대부터 한나라 시대에 걸쳐 중국 북방에 존재했던 유목 민족으로, 주나라를 위협하며 잦은 충돌을 일으켰고, 진나라 시기에는 북쪽으로 이동했으며, 흉노의 선대 민족으로 여겨지기도 하고, 청동기 문화를 사용하며 전차를 활용한 군사적 움직임을 보였으며, 고조선과 부여를 포함한 한반도 국가에도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흉노 - 누란
누란은 기원전 2세기부터 4세기까지 타림 분지 로프노르 호수 근처에 위치하며 실크로드의 요충지로서 동서 무역과 다양한 문화 교류의 중심지였으나, 타림강 물길 변화로 쇠퇴하여 사라진 고대 왕국이자 도시이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흉노
흉노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동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활동한 유목민족 연맹 또는 제국으로, 묵돌 선우 시대에 전성기를 누렸으나 한나라와의 전쟁과 내분으로 멸망했으며, 민족 및 언어적 기원은 불분명하고 유목 생활에 기반한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중국의 고대 민족 - 쿠차
쿠차는 타림 분지의 고대 오아시스 도시 국가로, 실크로드 교역 중심지이자 토하라인 거주지였으며, 다양한 민족 교류와 불교 번성으로 독특한 문화를 이루었으나 13세기 이후 쇠락했고, 현재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속한다. - 몽골의 역사 - 청나라
청나라는 만주족이 세운 중국 최후의 통일 왕조로, 후금에서 국호를 변경하여 시작되었고 명나라를 멸망시킨 후 중국 대륙을 통일하여 강희제, 옹정제, 건륭제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으나, 서구 열강의 침략과 내부 반란, 근대화 개혁 실패 후 신해혁명으로 멸망,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확보하고 다민족 국가로서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 몽골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훈육 | |
|---|---|
| 지도 | |
| 명칭 | |
| 한자 | 獯鬻 |
| 로마자 표기 | Hsünyü |
| 기타 명칭 | 귀방(鬼方), 험윤, 훈육 |
| 역사적 배경 | |
| 민족적 특징 | 알타이어족 계통의 북방 유목 민족으로 추정 |
| 주나라와의 관계 | 주나라 북쪽 변경을 위협했던 세력, '귀방'으로도 불림 (중국인과 다른 외모 때문에) |
| 관련 정보 | |
| 관련 민족 | 산융, 융, 적, 월지, 동호, 흉노 등과 연관 |
| 몽골 역사 | 몽골의 역사에서 고대 시기에 등장하는 민족 |
2. 명칭 및 동일성
훈육은 시대와 문헌에 따라 다양하게 불렸으며, 그 동일성에 대한 논쟁도 존재한다.
사기에는 험윤과 훈육을 별개의 민족으로 보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훈육, 귀방(鬼方), 험윤, 흉노는 동일한 민족으로 여겨진다.[33][34] 이들은 모두 황제의 후예라고도 한다.[35] 주나라의 시조 고공단보는 훈육의 공격을 받아 빈에서 기산(岐山)으로 이동했다.[37][38]
근대 학자 왕궈웨이, 량치차오 등은 훈육, 험윤, 흉노가 동일한 민족이라고 주장했지만,[41] 현대 학자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 자연환경 등을 근거로 이들 사이에 어떠한 관계도 찾을 수 없다고 반박한다.[41]
중국 역사서에는 훈육에 대한 여러 기록이 등장한다. 사마천, 응소, 위조, 진탁 등은 훈육 또는 험윤이 한나라 시대에 흉노라 불린 유목민족을 가리킨다고 주장했다.[4][5]
| 시대 | 명칭 | 주요 내용 |
|---|---|---|
| 요 임금 시대 | 훈유(Hunyu) | [9] |
| 주나라 | 험윤(Xianyun) | [9] |
| 진나라 | 흉노(Xiongnu) | [9] |
| 은나라 | 훈유(Xunyu, 獯粥) | 흉노(Xiongnu)로 바뀜[10] |
사마천은 장안의 말을 인용, 은나라 시대에 순위(Chunwei)가 북쪽 변경으로 도망쳤다고 기록했다.[6] 또한 악산(樂產)의 《괄지보(括地譜)》를 인용, 하나라 걸왕의 아들 훈유(Xunyu, 獯粥)가 북쪽으로 이동하여 흉노라 불렸다고 기록했다.[7] 위조는 순위(Chunwei)와 훈유(Hunyu)를 흉노와 동일시하며, 훈유(Xunyu, 獯粥)는 조상 순위(Chunwei, 淳維)의 다른 표기라고 주장했다.[8]
왕궈웨이는 음운 연구, 청동기 명문 비교, 글자 구조 분석을 통해 귀방, 훈유, 선우, 선운, 융, 적, 오호 등의 부족 이름이 모두 흉노를 지칭한다고 결론내렸다.[12][13][14]
브세볼로드 타스킨은 흉노가 초기에는 훈유, 후기에는 융, 상나라 시대에는 귀방, 주나라 시대에는 선운, 진나라 이후에는 흉노로 불렸다고 주장했다.[18][19][20] 그러나 폴 R. 골딘은 훈육, 험윤, 흉노의 고대 중국어 발음이 서로 관련이 없다고 주장한다.[21]
2. 1. 훈육 관련 명칭
'''훈육(葷粥)'''은 맹자, 사기 등에 등장하는 가장 오래된 명칭 중 하나이다.[15][16][17] 주나라 시대의 명칭으로 여겨지는 '''험윤'''[9]은 사기, 진서 등에서 훈육과 함께 언급된다.[34][27] 은나라 시대의 명칭으로 추정되는 '''귀방(鬼方)'''은[18][27] 『진서』 등에 언급된다.[27] 진나라 이후에는 '''흉노'''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9][18] 훈육과 동일한 민족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33]근대에 와서 왕궈웨이, 량치차오 등의 학자들은 훈육, 험윤, 흉노가 모두 공통의 선조를 가진 동일한 민족이라고 주장했다.[41] 그러나 현대 학자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 자연환경 등의 관점에서 훈육 등 융적(戎狄)과 후세의 흉노 등의 유목민족은 어떠한 관계도 찾을 수 없다고 비판한다.[41]
『사기삭은』에 따르면, 하나라 걸왕의 아들 훈죽(獯粥)이 북쪽으로 이동하여 유목 생활을 시작했고, 이들이 흉노로 불렸다고 한다.[28] 훈죽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맹자』에 등장하며, 주나라의 고공단부가 훈죽에게 신하로 복종했다는 내용이 나온다.[39]
황제 시대에는 훈죽이 북쪽으로 몰렸고,[30] 요와 순 시대에는 산융, 훈윤, 훈죽의 3족이 중국 북방에 있었다.[30] 주나라 선왕 시대에 고공단부는 훈죽, 융, 적의 습격을 받아 빈을 떠나 기산으로 이동했다.[29] 이후 훈죽은 흉노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몽골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유목 국가를 건설하게 된다.[30]
2. 2. 동일성 논쟁
왕궈웨이, 량치차오, 우치다 간푸(內田吟風) 등의 학자들은 훈육, 험윤, 흉노가 모두 동일한 민족이라고 주장했다.[33][12][13][14] 이들은 음운 연구, 청동기 명문 비교, 글자 구조 분석 등을 근거로 제시했다.[12]그러나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 자연환경 등의 관점에서 훈육 등 융적(戎狄)과 후세의 흉노는 어떠한 관계도 찾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41][36] 폴 R. 골딘(Paul R. Goldin) 역시 고대 중국어 발음 재구성을 통해 훈육(葷粥 ~ 獯鬻 ~ 薰育, *xur-luk*), 험윤(*hram′-lun′*), 흉노(*xoŋ-NA*) 등의 명칭이 서로 관련이 없다고 보았다.[21]
3. 역사
훈육, 귀방(험윤), 흉노는 동일한 민족이지만 시기에 따라 명칭이 다르다고 여겨진다.[33] 다만 《사기》에는 험윤과 훈육을 개별로 적고 있어 이들이 다른 민족이라고 보기도 한다.[34] 이들은 황제의 후예라고도 불린다.[35] 그러나 훈육, 귀방, 험윤 등의 융적(戎狄) 민족과 흉노 등의 유목민족은 어떠한 계승관계도 찾을 수 없다.[36]
주나라의 시조 고공단보는 빈(豳)에 살았는데, 훈육의 공격을 받아 신하로 복종하였으며, 이후 기산(岐山)으로 옮겨갔다.[37][38]
근대 왕궈웨이, 량치차오, 우치다 간푸(內田吟風) 등은 훈육, 험윤, 흉노가 공통의 선조를 가진 동일한 민족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현대 학자 린윈(林沄)은 형질인류학, 자연환경 등의 관점에서 훈육 등 융적(戎狄)과 후세의 흉노 등 유목민족은 어떠한 관계도 찾을 수 없다고 반박한다.[41]
훈죽에 대해 가장 오래된 기록은 『맹자』 량혜왕 하편에 나오는 “주나라 대왕인 고공단부가 훈죽에게 섬기고…”라는 구절이다.
황제 시대, 훈죽은 황제의 통일 사업 당시 북쪽으로 몰렸다. 탕우(도탕씨의 요와 유우씨의 순) 시대, 중국 북방에는 산융, 훈윤, 훈죽의 3족이 있었는데, 모두 유목민족이었다.
3. 1. 하(夏)나라 시대
獯粥중국어은 『사기삭은(史記索隱)』에 따르면, 하(夏)나라 걸왕(桀王)의 아들이다. 걸왕이 은(殷)나라 탕왕(湯王)에게 쫓겨나 명조(鳴条)에서 죽은 뒤, 훈육은 걸왕의 첩을 아내로 삼고 북쪽으로 가 유목 생활을 시작했다고 한다.[28]하지만, 이는 반쯤 전설적인 시대의 이야기이므로 신빙성에 대한 논란이 있다.[28]
3. 2. 은(殷)나라 시대
이전 출력에서는 주어진 원본 소스에 은나라 시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 없어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나 요약에서 "은나라 시대에는 귀방(鬼方)이라는 명칭으로 등장하며, 은나라와 갈등 관계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이 내용을 바탕으로 섹션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귀방'이나 은나라와의 관계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원본 소스만을 사용하여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3. 3. 주(周)나라 시대
주나라의 시조 고공단보는 원래 빈(豳)에 살았는데, 훈육의 공격을 받아 신하로 복종하였으며, 이후 기산(岐山)으로 옮겨갔다.[37][38] 《맹자》 또한 고공단보가 훈육을 섬긴 고사를 기록하지만,[39] 고공단보가 기산으로 옮긴 이유는 강녀(姜女)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서지 훈육이 원인이 아니라고 적은 점은 다르다.[40]주나라 선왕 시대, 고공단부는 백성들에게 덕을 쌓는 정치를 행했으나, 훈육, 융, 적의 습격을 받았다. 고공단보는 “백성들을 전쟁에 내몰아가며 군주가 되고 싶지 않다”라고 말하며 국도인 빈[29]을 떠나 기산 기슭으로 옮겼다. 그러나 빈의 백성들은 그를 그리워하며 기산 기슭으로 이주했고, 근처 백성들도 고공단부의 소문을 듣고 기산 기슭으로 이주해 왔다. 이때 고공단부는 융적의 풍속을 천하다고 여겨 물리치고, 처음으로 성곽과 집을 짓고 읍을 구획하여 나라를 다스렸다고 한다.
3. 4. 진(秦)나라 이후
진나라 이후에는 흉노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몽골 역사상 최초의 대규모 유목 국가를 건설하게 된다.[30]『사기삭은』(당나라 시대)에 따르면, 하나라 걸왕이 은나라 탕왕에 의해 명조로 추방된 후, 그의 아들 훈죽이 북쪽으로 가서 유목 생활을 시작하였고, 중국에서는 이를 흉노라고 불렀다고 한다. 응소의 『풍속통』에서는 은나라 때는 훈죽이라 하였고, 다시 흉노라고 불렀다고 한다. 복건은 요임금 때는 군죽, 주나라 때는 훈윤, 진나라 때는 흉노라고 하였다. 『삼국지』 위소전에는 한나라에서 흉노라고 불렀고, 군죽은 그 다른 이름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순열(荀悅)의 『한기』에는 "흉노의 시조의 이름은 훈죽씨이며, 산융, 훈윤이 바로 그것이다"라고 하였다. 『진서』 사이전(당나라 시대)에는 "하나라는 훈육, 은나라는 귀방, 주나라 때는 훈윤, 한나라 때는 흉노라고 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통해 군죽과 흉노는 동일하며, 군죽은 흉노의 옛 이름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내다긴풍은 군죽, 훈윤, 흉노가 동일 계통의 민족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몽골 고원에서 교체된 다른 종족이라고 주장하며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31] 초기 흉노에 관한 자료가 부족하여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32]
참조
[1]
웹사이트
灵台白草坡 西周墓葬里的青铜王国
http://www.kaogu.net[...]
The Institute of Archaeology (CAS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
논문
Phonological Notes on Hàn Period Transcriptions of Foreign Names and Words
http://www.ling.sini[...]
Institute of Linguistics, Academia Sinica
[3]
서적
Book of Jin
https://zh.wikisourc[...]
[4]
서적
Shiji
Bo-na
[5]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Science
[6]
서적
Suoyin
https://ctext.org/wi[...]
[7]
서적
Suoyin
https://ctext.org/wi[...]
[8]
서적
Suoyin
https://ctext.org/wi[...]
[9]
서적
Shiji jijie
https://ctext.org/wi[...]
[10]
서적
Suoyin
https://ctext.org/wi[...]
[11]
논문
Steppe Nomads as a Philosophical Problem in Classical China
University of Pennsylvania
[12]
서적
Guantang Jilin (觀堂集林)
[13]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nomadic tribes in China 3rd-5th cc
[14]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Sünnu
Science
[15]
서적
Mencius
https://ctext.org/me[...]
[16]
서적
Shiji
https://ctext.org/sh[...]
[17]
서적
Shiji
https://ctext.org/sh[...]
[18]
서적
Materials on history of Sünnu
[19]
서적
Shiji
https://ctext.org/sh[...]
[20]
서적
Classic of Poetry
https://ctext.org/bo[...]
[21]
논문
Steppe Nomads as a Philosophical Problem in Classical China
https://www.academ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22]
서적
孟子,魏書
[23]
서적
史記
[24]
서적
漢書
[25]
서적
後漢書
[26]
서적
晋書
[27]
서적
晋書, 内田 1975
[28]
서적
史記索隠
[29]
문서
現在の陝西省
[30]
서적
孟子,史記
[31]
서적
内田 1975
[32]
서적
内田 1975
[33]
서적
晉書
[34]
서적
史記
[35]
서적
魏書
[36]
서적
戎狄非胡論
[37]
서적
吳越春秋
[38]
서적
史記
[39]
서적
孟子
[40]
서적
孟子
[41]
서적
戎狄非胡論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