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적은 고기, 생선, 채소 등을 꼬치에 꿰어 양념하여 구운 한국 전통 음식이다. 고사리산적, 닭산적, 떡산적, 파산적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재료에 따라 고기 산적, 해산물 산적, 채소 산적, 떡 산적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장산적과 섭산적은 꼬치 요리가 아닌 떡갈비 종류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고기 요리 - 고기구이
    고기구이는 고기를 불이나 불판에 익혀 먹는 조리법 또는 음식으로, 한국에서는 고구려 시대부터 맥적, 너비아니 등의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야키니쿠의 기원이 되었고, 현재는 삼겹살, 갈비 등으로 외식 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지만 건강, 환경, 동물 복지 논란도 있다.
  • 한국의 고기 요리 - 고기 완자
    고기 완자는 다진 고기를 둥글게 뭉쳐 만든 음식으로,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이름으로 존재하며 고대 로마 시대부터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다.
  • 꼬치구이 - 떡꼬치
    떡꼬치는 꼬챙이에 떡을 꽂아 만든 음식으로, 1980년대 중후반에 노점상에서 판매되기 시작했으며 15세기 떡산적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된다.
  • 꼬치구이 - 수블라키
    수블라키는 그리스의 전통 음식으로, 꼬챙이에 꿰어 구운 형태와 꼬치에서 빼낸 고기를 피타 빵에 싸 먹는 형태가 있으며 돼지고기나 닭고기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올리브유, 레몬, 마늘 등으로 양념하여 굽는 다양한 종류와 곁들임 방식을 가진 음식이다.
산적 - [음식]에 관한 문서
산적
땅두릅산적의 모습
땅두릅산적의 모습
음식 종류
국가한국
관련 문화한국 요리
명칭
한글산적
한자散炙
로마자 표기sanjeok
문화어산적
영어Sanjeok
설명
정의가늘게 썬 고기를 양념하여 꼬챙이에 꿰어 구운 음식
어원
유래'흩을 산(散)'자와 '불에 쬐어 익힐 자(炙)'자를 사용하여 '고기를 흩어 꿰어 굽는다'는 의미를 가짐.
다른 뜻도적
음식
떼도둑

2. 종류

패주산적


산적은 소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만들며, 그 재료는 다양하다.[4]

  • '''두릅산적''': 두릅 꼬치이다.
  • '''파산적''': 데친 파와 쇠고기를 간장,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등으로 양념하여 꼬챙이에 꿰어 굽는다.
  • '''송이산적''': 송이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 갖은 양념에 버무린 뒤 잘게 썬 고기를 섞어 꼬챙이에 꿰어 굽는다.
  • '''염통산적''': 소의 염통을 넓적하게 저며 꼬챙이에 꿰어 양념해서 굽는다.
  • '''잡산적'''(雜散炙): 고기, 생선, 채소, 버섯(주로 송이) 등에 양념을 하여 꼬챙이에 꿰어 굽는다.
  • '''고사리산적''': 데친 고사리와 쇠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양념에 재었다가 굽는다.
  • '''닭산적''': 닭고기와 대파 줄기의 흰 부분을 길쭉하게 썰고 양념하여 꼬챙이에 꿰어 굽는다.
  • '''상어산적''': 상어고기를 썰어 쇠고기와 함께 양념간장에 주물러 꼬챙이에 꿰어 굽는다.


장산적과 섭산적은 꼬치 요리가 아니다.[6][7]

  • '''장산적''' – 쇠고기 떡갈비를 구워 간장에 조려 만든다.
  • '''섭산적''' – 쇠고기와 두부로 만든 떡갈비를 구워 만든다.

2. 1. 고기 산적



'''고기산적'''은 쇠고기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산적이다.[4]

2. 2. 해산물 산적


  • '''어산적'''(魚散炙): 생선(주로 민어)살을 길쭉하게 썰어서 양념에 잰 것과, 흰 파나 쇠고기를 같은 크기로 썰어서 양념에 잰 것을 함께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산적이다.[4]
  • '''홍합산적''': 홍합 꼬치이다.
  • '''오징어산적''': 오징어 꼬치이다.
  • '''소라산적''': 소라 꼬치이다.
  • '''어산적''': 생선 꼬치로, 흔히 보구치로 만든다.

2. 3. 채소 산적


  • '''고사리산적''': 데친 고사리와 기름하게 썬 쇠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양념에 재었다가 구운 산적이다.
  • '''닭산적''': 닭고기와 대파 줄기의 흰 부분을 길쭉길쭉하게 썰고 양념을 하여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산적이다.
  • '''떡산적''': 가느스름하게 뽑아 짤막하게 자른 가래떡(또는 떡면)과 쇠고기를 번갈아 꼬챙이에 꿰어서 양념을 발라 구운 산적이다.
  • '''상어산적''': 상어고기를 길쭉하게 썰어 쇠고기와 함께 양념간장에 주물러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산적이다.
  • '''송이산적''': 송이를 적당한 크기로 썰어 갖은양념에 버무린 뒤 잘게 썬 고기를 섞어 꼬챙이에 꿰어 구운 산적이다.
  • '''어산적'''(魚散炙): 생선(주로 민어)살을 길쭉하게 썰어서 양념에 잰 것과, 흰 파나 쇠고기를 같은 크기로 썰어서 양념에 잰 것을 함께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산적이다.
  • '''염통산적''': 소의 염통을 넓적하게 저며서 꼬챙이에 꿰어 양념해서 구운 산적이다.
  • '''잡산적'''(雜散炙): 고기, 생선, 채소, 버섯(주로 송이) 등에 양념을 하여 꼬챙이에 꿰어서 구운 산적이다.
  • '''파산적''': 데친 파와 길쭉길쭉하게 썬 쇠고기를 간장, 참기름, 깨소금, 후춧가루 따위로 양념하여 꼬챙이에 꿰고 구운 산적이다.
  • '''두릅산적''': 두릅 꼬치
  • '''어산적''': 생선 꼬치 (흔히 보구치로 만든다.)
  • '''홍합산적''': 홍합 꼬치
  • '''오징어산적''': 오징어 꼬치
  • '''소라산적''': 소라 꼬치

2. 4. 떡 산적

'''떡산적'''은 가느스름하게 뽑아 짤막하게 자른 가래떡(또는 떡면)과 쇠고기를 번갈아 꼬챙이에 꿰어서 양념을 발라 구운 산적이다.[4]

참조

[1] 웹사이트 Sanjeok https://krdict.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7-22
[2] 웹사이트 Sanjeo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7-07-22
[3] 웹사이트 Jeok http://premium.brita[...]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7-07-22
[4] 웹사이트 Sanjeok https://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2
[5] 웹사이트 산적(散炙) http://encykorea.aks[...] 2021-04-17
[6] 웹사이트 Jang-sanjeok https://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2
[7] 웹사이트 Seop-sanjeok https://www.doopedia[...] Doosan Corporation 2017-07-22
[8] 웹인용 산적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07-25
[9] 웹인용 이굳히산적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8-08-30
[10]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