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당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당군은 중국 역사 속 군(郡)으로,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 산시성 일대에 위치했다. 지명은 '산 속의 고지대'를 의미하며, 춘추 시대에 처음 등장하여 전국 시대, 진나라, 한나라, 삼국 시대 등 여러 왕조를 거치며 행정 구역으로 존재했다. 진나라는 상당군을 설치하고 장자현에 치소를 두었으며, 이후 시대에 따라 치소와 관할 현의 변동이 있었다. 상당군은 춘추 시대에는 진나라의 지명으로, 전국 시대에는 조, 위, 한나라의 분할 지배를 받았으며, 장평 전투를 통해 진나라에 귀속되었다. 한나라 시대에는 병주에 속했으며, 수나라 때 폐지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서하군
서하군은 전한 무제가 상군 북부를 분할하여 설치한 군으로, 삭방자사부에 소속되어 현재의 어얼둬쓰 시, 뤼량 시, 위린 시 일대에 걸쳐 있었으나, 왕망의 신나라 때 잠시 귀신군으로 개칭되었고, 후한 시대, 전조, 북위, 북주, 수나라를 거치며 행정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때 호주, 분주로 개칭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 산시성 (산서성)의 군 - 하동군 (중국)
하동군은 중국 역사 속 행정 구역으로, 전국 시대 진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명칭과 관할 구역의 변화를 겪다가 당나라 시기에 포주로 바뀌면서 사라졌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오호 십육국 시대의 군 - 하남군
하남군은 전국 시대 한나라에서 처음 설치되어 진나라를 거쳐 전한 시대에는 삼하로 불렸으며, 후한 시대에는 하남윤으로 개칭되어 낙양을 관할하는 중요한 지역으로 위진 시대까지 존속한 군이다. - 진나라의 군 - 태산군
태산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의 제북군을 전신으로 하여 전한 시대에 설치되어 예주에 속했으며, 후한, 서진, 남조 송, 북위 시대를 거치며 관할 현의 변화와 명칭 변경을 겪다가 북제 시대에 동평군으로 개칭되었다. - 진나라의 군 - 회계군
회계군은 중국 고대 월나라의 중요 지역으로, 우와 관련이 깊으며 진시황에 의해 설치되어 여러 왕조를 거치며 경제, 군사, 문화적으로 번영을 누렸던 행정 구역이다.
상당군 | |
---|---|
개요 | |
국가 | 중국 |
행정 구역 유형 | 군 |
설치 시기 | 기원전 211년 |
폐지 시기 | 수나라 대 |
역사 | |
진나라 | 기원전 211년에 설치됨 |
한나라 | 한나라 시대에 존속 |
삼국 시대 | 삼국 시대에 존속 |
진나라 | 서진 및 동진 시대에 존속 |
남북조 시대 | 남북조 시대에 존속 |
수나라 | 수나라 시대에 폐지됨 |
지리 | |
위치 | 현재의 산시성 남동부 |
관할 구역 | 현재의 창즈시 진청시 일부 지역 |
정치 | |
주요 인물 | 염파 (조나라) 인상여 (조나라) 이목 (조나라) 조괄 (조나라) 사마근 (조나라) 조참 (전한) 극맹 (후한) 원담 (후한) 장양 (후한) 곽원 (후한) 고간 (후한) 우독 (후한) 장연 (후한) 최염 (조위) 왕침 (서진) 최의 (동진) 우예 (북위) 루안 (북위) 위경 (북위) 설발 (북제) 이원 (수나라) |
기타 | |
관련 항목 | 상당 노주 |
2. 지리
고대 중국 문헌에서는 상당을 "산 속의 고지대"라고 묘사한다.[1] 동쪽과 남동쪽 지역에는 허베이성과 허난성 경계에 있는 태항산이 있었다. 남서쪽에는 왕우산과 중조산이 있었다. 서쪽에는 태악산이 있었고 북쪽에는 오운산이 있었다.[2]
상당(上黨)은 춘추 시대 진나라의 지명으로 처음 등장하며, 산 위의 고지를 의미한다. 전국 시대에는 조, 위, 한나라가 진나라를 분할하면서 각기 상당 지역을 차지했다.[2]
3. 역사
진나라가 중국을 통일하고 기원전 221년에 36개 군을 설치했을 때 상당군도 그중 하나였다. 치소는 장자현에 설치되었으며, 전한대에는 14개 현을 다스렸다. 기원전 110년(원봉 원년) 병주가 설치되면서 여기에 속했다. 『한서』에 따르면, 전한 말 상당군에는 73,798호, 337,766명이 있었다.[6] 후한대에는 13개 현, 26,222호, 127,430명을 관할했다.
삼국 시대에는 치소가 북동쪽 호구관(현재의 장치시, 호관현과는 별개)으로 이전했다. 진나라대에는 국내 혼란으로 인구가 격감하여 10개 현, 12,000호를 관할하게 되었고, 치소도 북동쪽 노현(현재 장치시 로성구 북동부)으로 이전했다. 이후 북위 시대에는 치소가 호관으로 이전했고, 수나라 시대에는 호관현이 폐지되어 상당현에 편입되었으며, 치소도 상당현(현재 장치시 상당구)으로 이전하여 10개 현, 125,057호를 관할했다.
수나라에 의해 폐지되었으며, 관할 현은 노주 직할로 되었다.
3. 1. 춘추 시대 (기원전 771년 ~ 476년)
상당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춘추 시대(기원전 771년–426년) 말기에 진나라와 관련되어 나타난다. 진 평공(재위 기원전 557년–532년) 시대에 관료 해호(解狐|해호중국어)는 형백류(邢伯柳|형백류중국어)를 진나라 상당 지역의 지방 장관으로 임명했다.[3]
3. 2. 전국 시대 (기원전 475년 ~ 221년)
기원전 403년, 진나라가 위, 조, 한나라로 분할된 후, 각 나라는 상당군의 일부를 점령했다. 이 지역은 세 나라 간의 전략적 요충지가 되어 분쟁의 최전선이 되었다.[2] 진 혜문왕 시대부터 진나라의 세력이 커지면서 동쪽으로 확장되었고, 진 소양왕 시대에는 상당군의 서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지배했다.[2]
기원전 262년, 진나라가 한나라의 상당군을 공격하자, 한나라의 관리 풍정은 조나라에 도움을 요청했고, 상당군은 조나라에 귀속되었다.[4] 기원전 262년에서 260년 사이에, 진나라와 조나라 사이에 장평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조나라가 대패하면서 상당군은 진나라에 넘어갔다.[7] 장평 전투는 진나라의 통일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전투로, 진나라의 군사적 우위를 확립하고 조나라의 세력을 크게 약화시켰다.
《전국책》에서는 조나라의 상당군에는 24현,[13] 한나라의 상당군에는 17현이 있었다고 한다.[14][15]
다음은 상당군에 속했던 현들의 목록이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자 | 長子 | 산시성 장쯔현 남서 | 원래는 한나라 땅이었으나 기원전 370년 조나라에 넘어감 |
둔류 | 屯留 | 산시성 툰류현 남 | 진나라 봉니 “둔류”(屯留) 등 |
동제 | 銅鞮 | 산시성 친현 남 | 전세 조나라 병기 “동제우고”(銅鞮右庫)과 명문에 “동제우고”(同鞮右庫) 등 |
양원 | 襄垣 | 산시성 샹위안현 북서 | 전한 장가산한간 《질률》 “양원”(襄垣)현 |
노 | 潞 | 산시성 루청시 북동 | 전국 한나라 방족소포 “노(露)”[18], 장가산한간 질률 “노(潞)” |
여오 | 余吾 | 산시성 툰류현 북서 | 전국 조나라 구멍이 셋 있는 포 “여망”(余亡)포[19] |
단씨 | 端氏 | 산시성 친수이현 동 | 전한 장가산한간 《질률》 “단씨”(端氏)현 |
의씨 | 陭氏 | 산시성 안쩌현 | 허베이성 정딩현에서 출토된 전국 진나라 병기 “의씨사?”(陭氏師□)과, 장가산한간 《질률》 “아씨”(阿氏)현[20] |
현씨 | 泫氏 | 산시성 가오핑시 | 《수경·심수주》에 인용된 《죽서기년》에 “진열공 원년(기원전 415년), 조헌자가 현씨에 성을 쌓았다” 등 |
고도 | 高都 | 산시성 진청시 북 가오두 진 | 전세 전국 위나라 병기 “입구년고도령”(廿九年高都令)검 명문에 “고도”(高都) 등 |
열씨 | 涅氏 | 산시성 우샹현 서 | 장가산한간 《질률》 “열”(涅)현 |
호관 | 壺關 | 산시성 루청현 서 | 장가산한간 《질률》 “호관”(壺關)현 |
섭 | 涉 | 허베이성 서현 | 전세 전국 만기 진나라 병기 “섭”(涉)과 명문에 “섭”(涉) 등 |
3. 3. 진나라 (기원전 221년 ~ 206년)
진 시황의 중국 통일 이후, 상당군은 창즈시를 관할하는 36개 군현 중 하나가 되었다. 치소는 장자현이었다. 현재까지 문헌자료와 유물로 밝혀낸 속현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자 | 長子 | 산시성 장자현 남서 | 허난성 신정시의 정한고성(鄭韓故城)에서 출토된 한나라 “장자과”(長子戈) 등 원래는 한나라 땅이었으나 조성후 5년(기원전 370년) 조나라에 넘어감 |
둔류 | 屯留 | 산시성 둔류현 남 | 진나라 봉니 “둔류”(屯留) 등 |
동제 | 銅鞮 | 산시성 친현 남 | 전세 조나라 병기 “동제우고”(銅鞮右庫)과 명문에 “동제우고”(同鞮右庫) 등 |
양원 | 襄垣 | 산시성 샹원현 북서 | 전한 장가산한간 《질률》 “양원”(襄垣)현 |
노 | 潞 | 산시성 노현 북동 | 전국 한나라 방족소포 “노(露)”[18], 장가산한간 질률 “노(潞)” |
여오 | 余吾 | 산시성 둔류현 북서 | 전국 조나라 구멍이 셋 있는 포 “여망”(余亡)포[19] |
단씨 | 端氏 | 산시성 친수현 동 | 전한 장가산한간 《질률》 “단씨”(端氏)현 |
의씨 | 陭氏 | 산시성 안택현 | 허베이성 정딩현에서 출토된 전국 진나라 병기 “의씨사?”(陭氏師□)과, 장가산한간 《질률》 “아씨”(阿氏)현[20] |
현씨 | 泫氏 | 산시성 고평시 | 《수경·심수주》에 인용된 《죽서기년》에 “진열공 원년(기원전 415년), 조헌자가 현씨에 성을 쌓았다” 등 |
고도 | 高都 | 산시성 진성시 북 고도진 | 전세 전국 위나라 병기 “입구년고도령”(廿九年高都令)검 명문에 “고도”(高都) 등 |
열씨 | 涅氏 | 산시성 무향현 서 | 장가산한간 《질률》 “열”(涅)현 |
호관 | 壺關 | 산시성 노현 서 | 장가산한간 《질률》 “호관”(壺關)현 |
섭 | 涉 | 허베이성 섭현 | 전세 전국 만기 진나라 병기 “섭”(涉)과 명문에 “섭”(涉) 등 |
마비백(馬非百, 1896 ~ ?)은 요양(轑陽)·연여(閼與) 두 현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했으나, 후효영은 이를 믿을 수 없다고 보았다.[17]
3. 4. 한나라 (기원전 206년 ~ 서기 220년)
전한 시대에 상당군은 병주자사부에 속했으며,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에 따르면 7만 3798호, 33만 7766명을 관할했다.[23] 영역은 현대의 창즈시, 진청시, 린펀시, 진중시의 일부에 걸쳐 있었다. 총 14현을 관할했다.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장자현 | 長子縣 | 창즈시 장쯔현 약간 서 | 군 치소가 있었다. 주나라의 사(史) 신갑(辛甲)의 봉지다. 녹곡산(鹿谷山)에서 탁수(濁水)가 나와 동으로 업에 이르러 청장(淸漳)으로 들어간다. |
툰류현[21] | 屯留縣 | 창즈시 툰류현 남 | 상흠(桑欽)에 따르면 강수(絳水)가 남서에서 나와서 동으로 바다에 들어간단다. |
여오현 | 余吾縣 | 창즈시 툰류현 북서 | |
동제현 | 銅鞮縣 | 창즈시 친현 남 | 상사정(上虒亭), 하사취(下虒聚)가 있다. |
점현 | 沾縣 | 진중시 시양현 남서 | 대맹곡(大黽谷)[22]에서 청장수(淸漳水)가 나와 북동으로 읍성(邑成)에 이르러 대하(大河)로 들어가니, 상당·위·광평·거록·신도·하간 6군을 지나 1680리를 가니 기주천(冀州川)이다. 응소에 따르면 점수(沾水)는 호관에서 나온다. |
열씨현 | 涅縣 | 창즈시 우샹현 북서 | |
양원현 | 襄垣縣 | 창즈시 샹위안현 북 | |
호관현 | 壺關縣 | 창즈시 북 | 양장판(羊腸版)이 있다. 점수가 동으로 조가에 이르러 기수(淇水)로 들어간다. 응소에 따르면 이 현의 여정(黎亭)은 옛 여후국(黎侯國)이다. |
현씨현 | 泫氏縣 | 진청시 가오핑시 | 양곡(楊谷)에서 절수(絶水)가 나와 남으로 야왕에 이르러 심수(沁水)로 들어간다. |
고도현 | 高都縣 | 진청시 | 완곡(莞谷)에서 단수(丹水)가 나와 남동으로 현수(泫水)로 들어간다. 천정관(天井關)이 있다. |
노현 | 潞縣 | 창즈시 루청시 북동 | 옛 노자국(潞子國)이었다. |
의씨현 | 陭氏縣 | 린펀시 안쩌현 남 | |
양아현 | 陽阿縣 | 진청시 양청현 북서 | |
곡원현 | 穀遠縣 | 창즈시 친위안현 | 양두산(羊頭山) 세미곡(世靡谷)에서 심수(沁水)가 나와 남동으로 형양(滎陽)에 이르러 하수로 들어가니, 상당·하내·하남 3군을 지나 970리를 간다. |
후한 시대에는 13현, 26,222호, 127,403명을 거느렸다.[25] 215년(건안 20년) 군의 일부에서 낙평군을 신설했다.
현명 | 한자 | 비고 |
---|---|---|
장자현 | 長子縣 | |
툰류현 | 屯留縣 | |
동제현 | 銅鞮縣 | |
점현 | 沾縣 | |
열씨현 | 涅縣 | |
양원현 | 襄垣縣 | |
호관현 | 壺關縣 | 여정(黎亭)이 있다. 옛 여국(黎國)이다. |
현씨현 | 泫氏縣 | 장평정(長平亭)이 있다. |
고도현 | 高都縣 | |
노현 | 潞縣 | |
의씨현 | 猗氏縣 | |
양아현 | 陽阿候國 | 서진대에 폐지되었다. |
곡원현 | 穀遠縣 |
3. 5. 삼국 시대 (220년 ~ 280년) ~ 서진 (265년 ~ 316년)
삼국 시대에 상당군의 행정 소재지는 오늘날 창즈시 북쪽으로 이동했다. 서진(265~316년)에 이르러 이 지역은 10개 현으로 축소되었고, 가구 수는 12,000호로 급감했다. 정부는 다시 동쪽으로 이동하여 오늘날 루청현 북쪽에 위치한 루현(潞县|루현중국어)으로 이동했다.3. 6. 오호 십육국 시대 (304년 ~ 439년) ~ 남북조 시대 (420년 ~ 589년)
오호 십육국 시대 (304~439년)와 남북조 시대 (420~589년)에 상당군은 전조, 전진, 서연, 북위, 북주의 영토가 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행정 소재지를 옮겼다. 578년, 북주 선제의 첫 해에 상당 지역은 오늘날 샹위안현 남쪽에 있는 루주(潞州중국어)의 일부가 되었다.[5]3. 7. 수나라 (581년 ~ 618년) 이후
수나라 건국 후 후관현이 폐지되고 상당현()으로 대체되었다. 상당군( 上党郡중국어)의 행정 소재지는 상당현으로 이동하여 10개 현과 125,057호를 통치했다.[5]당나라 시대에 상당군은 다시 루주로 바뀌면서 이 명칭의 사용이 종료되었지만, 후대에도 상당현은 계속 통치되었다. 명나라 가정제 치세인 1529년에야 상당현은 창즈현이 되었고, 이전 명칭은 공식적으로 사라졌다.[5]
4. 역대 군수·태수
진 원강 4년(294년) 5월, 흉노족 학산이 반란을 일으켜 상당을 공격하고 장리를 살해했다. 그러나 3개월 만에 학산이 항복하면서 반란은 끝났고, 학산은 풍익도위에게 살해당했다.[26][27] 영흥 원년(304년), 한왕을 자칭한 유연이 동영공 사마등이 보낸 섭현의 군사를 격파한 뒤 상당군의 군현들을 점령하면서 상당군은 한나라에 속하게 되었다.[29]
4. 1. 조
장평 대전 때 조나라에 항복한 조나라의 장수이자 한나라의 상당수였던 풍정이 있다.[1]4. 2. 전한
이름 | 재임 기간 |
---|---|
임오 | 기원전 206년 ~ 기원전 187년 |
공손융노 | ? ~ 기원전 121년[32] |
이차(李哆) | 기원전 101년 ~ ?[33] |
구간(茍諫) | 평제 시기[34] |
조흥(趙興) | 평제 시기 (구간의 후임)[34] |
5. 현대의 상당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상당 지역에서 공산당과 국민당 간의 첫 번째 전투인 상당 전역이 벌어졌다. 이 전역은 중국 국공 내전의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전투 중 하나였으며, 공산당의 승리로 끝났다.[5]
참조
[1]
문서
Shiming Chinese dictionary
[2]
웹사이트
Warring States Period Shangdang (战国上党郡考)
http://www.artx.cn/a[...]
2010-11-02
[3]
문서
Han Feizi
[4]
문서
Records of the Grand Historian • Zhao Family Annals
[5]
서적
The Third Chinese Revolutionary War, 1945-1949: An Analysis of Communist Strategy and Leadership
Routelage
2009
[6]
서적
漢書
筑摩書房
1998
[7]
문서
사기 권45 한세가제15
[8]
문서
사기 권43 조세가제13
[9]
문서
사기 권43 조세가제13
[10]
문서
고본죽서기년 위기
[11]
문서
금본죽서기년 위기
[12]
문서
고본죽서기년에서 지적하는 양성혜왕(양혜왕) 12년은 기원전 358년이고 금본죽서기년에서 지적하는 주현왕 10년은 기원전 359년으로 1년 차이가 난다.
[13]
서적
战国史
上海人民出版社
2003
[14]
문서
《전국책》 진책 1
[15]
서적
战国史
上海人民出版社
2003
[16]
서적
战国史
上海人民出版社
2003
[17]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01
[18]
문서
원래 글자는 雨+各이다. 路, 潞와 같이 읽을 수 있다.
[19]
문서
이를 여무(余無)로 읽기도 하는데, 《죽서기년》에서 “여무지융(余無之戎)을 이겼다”는 기사의 여무를 “여오”(余吾)로 적기도 한다. 혹 서오(徐吾)라고도 한다.
[20]
문서
정리자는 이를 “의씨”(陭氏)의 오자가 아닌가 의심했다.
[21]
문서
《춘추》에서는 순류(純留)로 나온다. 屯은 안사고 주에 따르면 순(純)으로 읽어야 한다. 송기(宋祁)는 純은 鈍이 옳다고 했다. 통상 '둔류'로 읽으므로 이를 따른다.
[22]
문서
맹(黽)은 요(𦥺, 要)의 오자라고 한다.
[23]
문서
한서 권28 상 지리지제8 상
[24]
서적
汉书地理志汇释
安徽教育出版社
2006-06
[25]
서적
후한서-권113
https://zh.wikisourc[...]
[26]
문서
《진서》 4권 본기 제4 효혜제기 원강 4년
https://zh.wikisourc[...]
[27]
문서
《자치통감》 82권 진기 제4 원강 효혜황제 上 원강 4년
https://zh.wikisourc[...]
[28]
문서
《진서》 14권 지 제4 지리지 上 병주 상당군
https://zh.wikisourc[...]
[29]
문서
《진서》 101권 재기 제1 유원해재기
https://zh.wikisourc[...]
[30]
서적
위서-권106 지형지2上 병주 상당군
https://zh.wikisourc[...]
[31]
서적
송서-권35 주군지 1 서주 회양군조
https://zh.wikisourc[...]
[32]
문서
한서 권17 경무소선원성공신표
[33]
문서
한서 권61 장건이광리전
[34]
문서
후한서 권29 신도강포영질운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