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생활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생활권은 도시 계획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특정 지역 내에서 주민들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시설과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구획된 지역을 의미한다. 1929년 클래런스 페리가 '뉴욕 및 주변 지역의 지역 계획'에서 구체화한 이 개념은, 학교를 중심으로 생활권을 구성하고 간선도로를 경계로 설정하여 통과 교통을 차단하며 공원과 녹지를 확보하는 등의 설계 원칙을 제시한다. 생활권은 20세기 초 자동차 사고로 인한 어린이 사망률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이후 전 세계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쳐 신도시 개발과 주거 단지 조성에 널리 적용되었다. 하지만, 생활권 개념은 사회적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하며, 도시 스프롤과 같은 문제점 해결을 위해 접근 방식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네 - 교외
    교외는 도시 주변 지역을 뜻하는 말로, 도시 팽창과 교통 발달로 주거 기능을 담당하며, 국가별로 정의와 형태가 다르고,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후 북미 지역에서 급속히 발전했다.
  • 동네 - 다운타운
    다운타운은 마천루가 밀집된 도심 또는 중심 업무 지구를 의미하며, 미국 도시의 독특한 발전 과정에서 유래하여 젠트리피케이션과 재활성화를 거치며 변화하고 있다.
  • 도시설계 - 도시 지역
    도시 지역은 국가 및 조사에 따라 다르게 정의되지만, 일반적으로 고밀도 토지 이용, 인구 밀도, 직업 구조 등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도시설계 - 도시쇠퇴
    도시쇠퇴는 인구 감소와 구별되는 현상으로, 상주·주간인구 감소, 노령화, 경제력 하락 등 복합적 요인으로 도시의 주요 기능이 전반적으로 쇠퇴하는 것을 의미하며 산업화, 탈산업화, 젠트리피케이션, 역도시화 등과 관련되어 1970년대 이후 북미와 유럽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 도시지리학 - 도시화
    도시화는 인구가 도시로 이동하고 도시적 생활 방식이 확산되는 현상으로, 경제적 기회와 사회적 이동성을 제공하지만 주택, 교통, 환경 문제 등의 부작용도 발생시키며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를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 도시지리학 - 메트로폴리스
    메트로폴리스는 고대 그리스에서 식민지를 건설한 도시를 지칭하는 용어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경제, 문화, 정치적 중심지 역할을 하는 대도시를 의미한다.
생활권
생활권 개요
정의도시 계획에서 도시의 기본적인 구성 단위
영어 명칭Neighbourhood unit
관련 개념근린 분구
도보 생활권
생활권 계획
목표주민의 일상생활 지원 및 삶의 질 향상
내용생활 서비스 시설 배치
녹지 공간 확보
보행 환경 개선
클라렌스 페리의 근린 주구 이론
주창자클라렌스 페리
주요 내용적정 규모의 인구 (5,000 ~ 9,000명)
중심 시설 (학교, 공원, 상점 등) 배치
간선도로로 구획, 내부 교통 안전 확보
보행자 중심 설계
생활권 설정 방법 (나주시 사례)
분석 방법중심지 위계별 통행 네트워크 분석
고려 요소사회경제적 특성
통행 패턴
지리적 여건

2. 서울특별시의 5대 생활권

1997년부터 서울도시기본계획은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를 도심권, 동북권, 서북권, 서남권, 동남권의 5개 생활권으로 나누고 있다.[19]

서울의 5대 생활권 구역도


각 생활권에 속하는 자치구는 다음과 같다.[20]


3. 생활권 개념의 역사

생활권 개념은 20세기 초, 자동차 보급 확대와 도시화로 인한 문제점에 대한 대응으로 등장했다. 클래런스 페리는 자동차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고, 안전하고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생활권 개념을 제시했다.

페리 이전에도 윌리엄 E. 드럼몬드 등 여러 학자와 도시 계획가들이 생활권과 유사한 개념을 제시하며 도시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1920년대 진보주의 운동과 사회 개혁 움직임은 생활권 개념 확산의 배경이 되었다.

루이스 멈포드는 생활권에 대한 논문에서 유기적으로 경험되는 생활권과 페리가 도시 계획 메커니즘으로서의 생활권의 공식화로 이어진 다양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영향을 고려하면서, 페리가 다음과 같은 점을 인정했다고 언급한다.[6]

"생활권의 사실을, 그리고 의도적인 설계를 통해 중세 시대의 쿼터나 교구와 같은 현대적 등가물인 생활권 단위, 즉 자발적이거나 본능적인 토대 위에만 존재하지 않는 단위를 어떻게 변형할 수 있는지 보여주었다."

1923년 워싱턴 D.C.에서 열린 전국 커뮤니티 센터 협회와 미국 사회학회의 합동 회의에서 생활권 개념이 처음 등장했다는 증거가 있지만, 계획 도구로 홍보된 것은 1929년 클래런스 페리의 논문 《뉴욕 및 주변 지역의 지역 계획》의 출판이었다.[2]

3. 1. 클래런스 페리와 생활권 개념

클래런스 페리는 1929년 "뉴욕 및 주변 지역의 지역 계획"에서 생활권 개념을 구체화했다.[2] 그는 이 논문에서 특정 인구 규모의 생활권에 대한 이상적인 배치도를 제시하고, 주거, 커뮤니티 서비스, 도로, 상업 시설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했다.[3]

페리는 생활권을 학교를 중심으로 구성하고, 간선도로를 경계로 설정하여 통과 교통을 차단하며, 공원과 녹지를 확보하는 등 구체적인 설계 원칙을 제시했다. 이러한 설계 원칙은 차량과 보행자 교통을 분리하고, 생활권 내부를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으로 조성하는 데 기여했다.[3][2]

페리의 생활권 개념은 20세기 초 자동차의 등장으로 인한 도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당시에는 도로 안전 의식이 부족하고 교통 관리 도구가 미비하여 도시의 거리 사망률이 높았는데, 페리는 생활권을 통해 어린이와 성인이 안전하게 걸어 다닐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했다.[1]

이후 페리의 생활권 개념은 전 세계 도시 계획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신도시 개발과 주거 단지 조성에 널리 적용되었다. 뉴저지주의 라드번은 1929년 이후 개발된 근린주구 실천 사례이다. 라드번에서는 철저한 보차분리가 이루어졌으며, 통과 교통의 유입을 배제하기 위해 주구 내 도로를 컬데삭(막다른 골목길)으로 만들고, 주민들은 녹도를 통해 학교나 상점에 갈 수 있게 했다 ('''라드번 시스템''').

또한, 근린주구의 구상은 미국의 교외 주택지 개발뿐만 아니라, 영국의 신도시 건설과 대도시 재개발, 그리고 일본의 도시계획 이론 및 실제 신도시 건설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3. 2. 윌리엄 E. 드럼몬드와 생활권 단위

윌리엄 E. 드럼몬드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스튜디오에서 1899년부터 1909년까지 핵심 건축가였으며, 1912년 시카고 시티 클럽의 계획 공모전에 제출한 제안에서 '생활권 단위' 개념을 제시했다.[7] 이 공모전은 "주택에 중점을 둔 교외 맥락의 마이크로 커뮤니티의 이론적 및 실제적 매개변수(사회적 및 물리적 측면)"을 다루고 "커뮤니티 센터"를 다루는 것이었으며, 시카고 중심부 남쪽에 있는 '쿼터 섹션' 부지에 대한 제안을 요구했다.[7] 드럼몬드의 계획은 생활권 단위를 '도시의 사회적 및 정치적 구조의 단위'로 간주하여 도시 전체를 조직하는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7]

이 공모전은 20세기 초 열악한 도시 생활 환경에 대한 반작용으로 시작되었으며, 미국 정치의 더 광범위한 진보주의 및 개혁 시대의 일부였다. 진보주의자들은 빈민가를 부패와 착취의 결과로 보았고, 지역 정치적 활성화를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7] 드럼몬드는 찰스 쿨리의 영향을 받아, 자신의 제안에서 '[생활권]은 도시의 사회적 및 정치적 조직에서 가장 작은 지역 단위'라고 언급했다.[7]

4. 생활권 계획의 원칙

클래런스 페리의 생활권 단위 개념의 핵심 원리는 다음과 같다.[1]

원리내용
학교를 생활권의 중심에 배치아이들이 학교까지 걸어가는 거리가 약 0.4km에서 0.8km를 넘지 않고, 주요 간선 도로를 건너지 않도록 한다. 인구는 5,000명에서 9,000명 사이, 면적은 약 160에이커(acre)로 한다. 학교 시설은 지역 사회 회의 및 활동에 활용하고, 넓은 놀이 공간을 만든다.
주요 간선 도로를 경계선에 배치생활권을 정의하고 통과 교통을 제거한다.
내부 도로 설계간선 도로와 국지 도로를 구별하고, 안전과 미관을 위해 곡선 도로를 사용한다. 통과 교통을 억제하고 보행자 안전을 향상시킨다.
지역 쇼핑 지역을 경계선으로 제한비지역 교통이 생활권을 침범하지 않도록 한다.
공원 및 개방 공간 할애생활권 토지 면적의 최소 10%를 공원 및 개방 공간으로 할애하여 놀이와 지역 사회 상호 작용을 위한 장소를 만든다.



클래런스 페리의 생활권 단위 다이어그램


생활권 단위는 지역 사회 이상주의로 인해 수용되었으며, 많은 국가의 공공 부문에서 공중 보건, 시민 안전, 복지를 고려하는 목적을 채택하게 했다.[3] 민간 개발업자와 투자자는 이성애 규범적이고 사회 경제적 지위가 비슷한 사람들과 함께 생활하는 이상적인 지역 사회에 대한 소비자 수요 때문에 생활권 개념을 기반으로 한 지역 사회 건설을 계속하고 있다.[4]

뉴저지주의 라드번은 1929년 이후 개발된 근린주구 실천 사례이다. 라드번에서는 철저한 보차분리가 이루어졌으며, 통과 교통 유입을 막기 위해 주구 내 도로를 컬데삭(막다른 골목길)으로 만들고, 주민들은 녹도를 통해 학교나 상점에 갈 수 있게 했다 ('''라드번 시스템''').

일본 국토교통성의 "도시계획 운용 지침"(2006년)에서는 교외 신시가지 도로 배치 계획과 관련하여, 1km 사방을 표준으로 하는 근린주구를 둘러싸도록 주요 간선도로, 도시 간선도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했다.

5. 생활권의 도시 적용 사례

생활권 개념은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었다.


  • '''소련''': 스탈린 시대에는 생활권 체계가 공간 낭비와 "부르주아적 성격"으로 인해 널리 비판받았으나, 1950년대 소련 계획가들이 제안하고 여러 공산주의 국가에서 실행된 ''마이크로디스트릭트''는 본질적으로 생활권 체계와 유사했다.[9]
  • '''미국 뉴저지주 라드번''': 1929년 이후 개발된 근린주구 실천 사례이다. 라드번에서는 철저한 보차분리가 이루어졌으며, 통과 교통의 유입을 배제하기 위해 주구 내 도로를 컬데삭(막다른 골목길)으로 만들고, 주민들은 녹도를 통해 학교나 상점에 갈 수 있게 했다 ('''라드번 시스템'''). 미국의 교외 주택지 개발뿐만 아니라, 영국의 신도시 건설과 대도시 재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 '''일본''': 일본의 도시계획 이론 및 실제 신도시 건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국토교통성의 "도시계획 운용 지침"(2006년)에서는 교외 신시가지의 도로 배치 계획과 관련하여, 1km 사방을 표준으로 하는 근린주구를 둘러싸도록 주요 간선도로, 도시 간선도로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명시했다.


1900년대 초, 생활권 법인의 증서 제한 사용은 미국의 인종 차별과 관련이 있으며,[10] 이는 본래 의도와는 달리 포괄보다는 배제를 강조하는 결과를 낳았다. 현대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는 2006년 소유자 법인법이 일반적으로 공공으로 간주되는 시설에 대한 접근 제한을 가능하게 한다.[11]

6. 생활권의 사회학적 함의

생활권 개념은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주로 활동했던 미국의 시카고 학파와 관련이 깊다.[1] 이 개념은 이주민 통합 및 아동 노동 분야에서 활동한 미국의 도시 계획가이자 인문주의자인 제인 제이콥스의 활동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1]

생활권은 찰스 호튼 쿨리의 1차 집단 이론에서 거주 공동체 유형으로 언급된다.[2]

생활권 개념은 이주민이 환경에 대해 동일시하는 감정을 향상시키고, 공간적 통합을 지원하며, 사회적 결속을 증진시키고, 소외와 시민적 무관심의 형태를 띠는 사회 병리 현상을 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3]

7. 생활권 개념에 대한 비판

1940년대 후반, 시카고 마이클 리스 병원의 계획 이사였던 레지날드 아이작스는 생활권 개념이 "모든 도시 문제에 대한 만병통치약"처럼 여겨지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4] 그는 생활권 개념이 가진 신비로운 힘 때문에, 이 개념을 적용할 때 위험할 정도로 편협한 논의만 이루어진다고 주장했다.[4]

아이작스는 특히 사적인 개발업자들이 생활권의 물리적 설계를 활용하여 인종, 민족, 종교, 경제 집단을 분리하는 도구로 사용하는 것에 주목했다.[3] 그는 새로운 생활권에 대한 홍보 자료, 정부 계획 보고서, 사회 과학자들의 정보를 예로 들며, 생활권이 신사 계급의 요새처럼 원치 않는 사람들과 통과 교통을 막는 수단으로 옹호된다고 비판했다.[4]

아이작스의 주장은 생활권에 대한 집단적 반대의 중심이 되었고, 계획가들은 생활권을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 사회적 분열, 물리적 환경 강조 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기 시작했다.[3][4] 선진국에서는 '농촌' 공동체 생활 방식을 위해 구식 또는 비실용적인 공간 사용을 포용하는 도시 시스템의 확산이 지속 가능한 대도시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3][4]

과거에는 아이작스의 주장이 공동체 계획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해 약화되었지만, 2009년을 기준으로 민간 및 공공 계획 기관들은 새로운 공동체를 계획할 때 생활권 개념을 계속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 스프롤과 같이 이 모델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문제점이 드러나면서, 도시 외곽의 새로운 공동체를 계획하거나 기존 생활권을 재개발할 때 밀도 목표를 충족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현재의 이성애 규범적 접근 방식을 재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14]

참조

[1] 간행물 The Neighbourhood Unit (1929) Reprinted Routledge/Thoemmes London 1998
[2] 논문 'The Neighbourhood Unit: Physical Design or Physical Determinism?’ 2009
[3] 서적 'Chapter 1: Introduction’ in Beyond the Neighborhood Unit: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Public Policy Plenum Press 1984
[4] 간행물 'Neighborhood Boundaries' https://www.planning[...] American Society of Planning Officials 2021-10-24
[5] 논문 The Neighbourhood and the Neighbourhood Unit
[6] 논문 The Neighbourhood and the Neighbourhood Unit'
[7] 논문 Origin of the Neighbourhood Unit
[8] 논문 'Inappropriately Appropriated or Innovatively Indigenized?: Neighborhood Unit Concept in Post-independence India' 2010
[9] 논문 Travelling urban form: the neighbourhood unit in China https://www.research[...]
[10] 논문 Restrictive Covenants and the Origins of Racial Residential Segregation in a US City, 1900-50
[11] 웹사이트 website homepage http://www.westernle[...] 2011-04-10
[12] 논문 From Garden City to Eco-urbanism: The quest for sustainable neighborhood development 2016-01
[13] 논문 The Neighborhood Unit: Physical Design or Physical Determinism? 2009-02-03
[14] 간행물 'THE TRAGEDY OF URBAN ROADS: SAVING CITIES FROM CHOKING, CALLING ON CITIZENS TO COMBAT CLIMATE CHANGE' 2010
[15] 문서 「住宅--まちづくり」に立ち向かう建築家 https://www.machinam[...]
[16] 문서 都市計画運用指針第5版 https://www.mlit.go.[...] 2006-11
[17] 저널 생활권 이론과 생활권 계획 실태 분석 연구:도시기본계획에서의 생활권 계획을 중심으로 https://www.si.re.kr[...] 서울연구원 2024-02-20
[18] 저널 중심지위계별 통행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한 지방중소도시 생활권 설정 연구 : 나주시를 사례로 http://kpaj.or.kr/_c[...]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4-02-21
[19] 서적 서울시 생활권계획의 변천과정과 발전방향: 1980~2023년까지의 기록 https://www.si.re.kr[...] 서울연구원 2024-06-10
[20] 서적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본보고서 https://lib.seoul.go[...] 서울특별시 도시계획과 2024-06-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