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교육대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육대학교는 1946년 경기공립사범학교로 개교하여 1963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된 대한민국의 국립 교육대학교이다. 1977년 서울 서초구 서초동으로 이전하였으며,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초등교사 양성을 목표로 초등교육학과를 운영하며, 13개의 심화과정을 제공한다. 교육대학원과 교육전문대학원을 통해 석·박사 과정을 운영하며, 34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있다. 학교 상징으로는 수수꽃다리, 느티나무, 사슴이 있다. 2009년 총장의 발언 관련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 대한민국의 교육대학 -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는 1886년 설립된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종합대학교로, 12개의 단과대학과 대학원을 운영하며 다양한 국제 교류를 진행하고, 친일 행적 논란 등 사회적 이슈에도 연루되었다.
  • 대한민국의 교육대학 - 청주교육대학교
    1941년 청주사범학교로 설립된 청주교육대학교는 국립대학교로서, 1963년 폐교 후 1984년 4년제 대학으로 재개교하여 초등교원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교육연수원, 평생교육원, 부설초등학교 등의 부속기관을 두고 있다.
  • 서울 서초구의 학교 - 서울프랑스학교
    서울프랑스학교는 1974년 개교하여 1985년 서초구 서래마을로 이전했으며, 프랑스 문화가 짙게 남아있는 지역으로 발전하는데 기여했다.
  • 서울 서초구의 학교 - 다니엘학교
    다니엘학교는 1974년 12월 13일에 개교하여 사회적 약자와 장애 학생들에게 균등한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전인적 성장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울교육대학교
지도
기본 정보
이름서울교육대학교
영문 이름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로고
설립일1946년 5월 22일
종류국립 교육대학
총장송광용 (14대)
위치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96
면적73,350m2
학부생 수1,726명 (2013년)
교직원 수111명 (2013년)
상징느티나무
수수꽃다리
사슴
웹사이트서울교육대학교 홈페이지
학교 표어
표어내 힘으로 한 마음으로
한국어 이름
한글서울교육대학교
한자서울敎育大學校
로마자 표기Seoul Gyoyuk Daehakgyo
매큔-라이샤워 표기Sŏul Kyoyuk Taehakkyo
기타
서울교육대학교 대학본부

2. 연혁

1946년 경기공립사범학교로 설립되어, 1949년 국립서울사범학교로 개칭되었다. 1962년 서울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가 1963년 서울교육대학으로 독립하였다. 1981년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으며, 1993년 현재의 명칭인 서울교육대학교로 변경되었다. 1996년 교육대학원이 설치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46년 ~ 1961년)

1946년 5월 22일, 경기공립사범학교로 설립되었다.[1] 1949년 10월 10일에는 국립서울사범학교로 이름이 바뀌었다.[1] 1953년 3월 1일에는 예비 교사와 연구원을 위한 연구학교인 서울사범부속국민학교를 설립했다.[5]

1962년 3월 1일, 서울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승격 및 개편되었으며, 초대학장으로 조재호가 취임했다.

2. 2. 서울대학교 병설 및 분리 (1962년 ~ 1980년)

1962년 3월 1일, 서울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승격 및 개편되었으며, 조재호가 초대학장으로 취임하였다.[1] 1963년 3월 1일, 국립학교설치령 개정에 따라 서울대학교에서 분리되어 서울교육대학으로 개편되었다.[5] 1977년에는 서울 서초구의 현재 위치로 캠퍼스를 이전하였다.[1]

연도내용
1962년서울대학교 병설 교육대학으로 승격 및 개편, 조재호 초대학장 취임
1963년서울대학교에서 분리, 서울교육대학으로 개편
1968년서울국립사범대학 부속 교원연수원 설립
1969년201 ROTC 설립, 학생지도센터 설립
1973년과학교육센터 설립
1977년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으로 캠퍼스 이전


2. 3. 4년제 승격 및 발전 (1981년 ~ 현재)

1981년 교육법 개정에 따라 서울교육대학은 2년제 대학에서 4년제 대학으로 승격되었다.[1] 1983년 3월 1일에는 교육법(제3370호)에 따라 4년제 서울국립사범대학으로 승격되었다.[1] 이후 1993년 국립학교 설치령 개정에 따라 서울교육대학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

1996년에는 교육대학원(석사과정)이 설치되었고,[1] 1997년 3월 1일에는 교육대학원에 초등윤리교육, 음악교육, 교육방법, 영어교육 전공이 추가되었다. 1998년 3월 1일에는 초등수학교육, 미술교육, 컴퓨터교육 전공이, 2001년 3월 1일에는 초등통일교육, 유아교육, 국제·문화교육 전공이 추가되었다.

1983년 2월 1일에는 의무교육연구소가, 1986년 3월 5일에는 초등교육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88년 2월 24일에는 국립학교 설치령에 따라 ‘학생지도센터’가 ‘학생생활관’으로 개칭되었고, 초등교육연구소가 법정 연구소가 되었으며, 컴퓨터센터가 설립되었다. 1995년 3월 2일에는 서울교육대학교 부속 사회교육센터가 설립되었다.

3. 교육 과정

서울교육대학교는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통해 초등 교사 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학부 과정에서는 모든 학생이 초등교육과에 속하며, 전문성 함양을 위해 13개 심화 과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이수한다.

대학원 과정에서는 초등 교육 분야의 전문성을 심화하고, 현직 교사들의 계속 교육과 학술 능력 향상을 지원한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는 호주 그리피스 대학교(Griffith University)와 협력하여 TESOL영어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원어민 및 비원어민 영어 교사에게 효과적인 교수법을 제공하고 해외 연수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3. 1. 학부

서울교육대학교의 모든 학부생은 초등교육과에 속한다. 다만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학기당 4학점가량 심화과정을 이수한다. 총 13개의 심화과정이 설치되어 있다.

서울교육대학교 학부 심화과정
심화과정
윤리교육과
국어교육과
사회과교육과
수학교육과
과학교육과
체육교육과
음악교육과
미술교육과
생활과학교육과
초등교육과
영어교육과
컴퓨터교육과
유아·특수교육과


3. 2. 대학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은 1996년 3월 5일에 개원하였다. 석사 과정은 5학기 야간제, 박사 과정은 6학기 주간제로 운영된다.[1] 초등 교육 전문 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며, 초등 교사의 전문성 함양, 계속 교육, 학술 능력 향상을 지원한다.[2]

3. 2. 1. 교육대학원 (석사 과정)

1996년 3월 5일 개원하였다. 석사과정은 학기 중 5학기 야간제로 운영되며, 박사과정은 6학기 주간제를 원칙으로 운영중이다.[1]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은 초등 교육 전문 교사 양성을 목표로 하며,[2] 초등 교사의 다양한 분야 및 전문성 함양, 계속 교육, 그리고 학술 능력 향상을 지원한다.[2]

석사 과정[1][2]
전공
초등윤리교육
초등국어교육
초등사회과교육
초등수학교육
초등과학교육
초등체육교육
초등영어교육
초등음악교육
초등미술교육
초등생활과학교육
초등컴퓨터교육
초등교육과정
초등교육행정
유아교육
초등교육심리
초등상담교육
초등특수교육
초등통일교육
초등환경교육
초등발명교육
교육연극
박물관미술관교육
초등영재교육
다문화교육
국제사회문화교육
초등 교육 방법론
초등 실과 교육
초등 통합 교육
글로벌 및 문화 연구 교육
한국어 초급 교육


3. 2. 2. 교육전문대학원 (박사 과정)

1996년 3월 5일 개원하였다. 박사과정은 6학기 주간제를 원칙으로 운영중이다.[1]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과정
석·박사과정박사과정석사과정


3. 3. TESOL 과정

TESOL영어 과정은 표준 출석 프로그램과 정규 과정을 수강할 수 없는 학생들을 위한 토요일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과정은 원어민과 비원어민 영어 교사 모두에게 교실에서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서울교육대학교의 TESOL 프로그램은 오스트레일리아의 그리피스 대학교(Griffith University)와 공동으로 진행되며, 두 대학은 서울과 브리즈번 간의 추가 교육을 위한 해외 연수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1]

4. 캠퍼스 및 부속 시설

서울교육대학교 기숙사는 지방 출신 학생들을 위한 시설로, 로비, 독서실, 욕실, 취사 시설, 세미나실, 체력 단련실, 정수기, 피아노 등 편리한 시설을 갖추고 있다. 신입생에게는 기숙사 입사 우선권이 주어지며, 이는 총 정원의 50%에 해당한다.[5]

서울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는 교육부 평가에 따라 효과적인 교육 방식과 성과 정책을 위한 실험 연구학교이다. 의무 초등 교육 외에도 수준 높은 학습과 다양한 활동을 제공하며, 예비 교사들을 위한 지도, 실험 교과서 분석 및 적용, 교육과정의 실험적 적용 및 일반화, 다양한 교육 정책에 대한 실험 연구, 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한 연수 등을 실시한다. 재외 한국 학생을 위한 학급 운영, 전통 예술 교육 활성화, 다양한 체험 활동과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통한 특기 적성 교육 등 특수 교육 지원 프로그램도 운영한다.[5]

4. 1. 캠퍼스

서울교육대학교(SNUE)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에 있다. 1977년 캠퍼스 설립 당시 이 지역은 인구 밀도가 낮고 토지 가격이 저렴한 신흥 개발 지역이었으나, 1970년대와 1980년대의 급속한 개발 이후 현재는 정반대의 모습을 띠고 있다.[4]

캠퍼스는 서울 지하철 2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이 교차하는 서울교대역에 인접해 있다. 서울고속버스터미널과 남부터미널이 캠퍼스에서 한 정거장 거리에 있어 수도권 외 지역 학생들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캠퍼스 내 시설은 다음과 같다.

건물명
서울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대학본부
전산교육관
인문관
서록 1관
서록 2관
음악관
제1미술관
제2미술관
사향융합체육관
학군단동
에듀웰센터
대학원동
학생회관
평생교육 1관
평생교육 2관
연구강의동
도서관



연구강의동

4. 2. 부설 기관

서울교육대학교 부설 기관


5. 국제 교류

2014.04.01영어 기준, 13개국 34개 대학과 자매결연을 맺고 학생 교환 등의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국가대학명체결일
미국웨스트체스터대학1993.12.11
미국미네소타대학 트윈시티 캠퍼스2010.10.29
미국위스콘신대학2011.05.25
미국노던콜로라도대학교2013.06.19
일본효고교육대학1991.03.29
일본동경학예대학2003.10.02
일본오사카교육대학2005.07.20
일본훗카이도교육대학교2009.06.29
일본류큐대학 교육학부2011.02.09
중국북경사범대학1994.02.22
중국천진사범대학1998.12.05
중국해남사범대학2007.01.16
중국동북사범대학2007.03.24
중국중난재경정법대학2012.06.12
중국무한이공대학2012.06.13
중국상해한국학교2013.01.14
중국선양한국국제학교2013.09.23
대만대북교육대학2004.02.06
대만대중교육대학2012.01.05
우즈베키스탄세계언어대학2006.11.06
우즈베키스탄국립나보이교육대학2009.09.24
우즈베키스탄타슈겐트 니자미 사범대학2012.02.23
러시아모스크바대학1994.07.11
러시아우수리스크 사범대학2006.12.04
러시아이르쿠츠크국립대학2012.06.13
필리핀쎄이비어 대학2006.08.22
필리핀마닐라대학2011.06.13
독일칼스루헤 대학1994.07.14
베트남하노이교육대학2005.06.14
헝가리외트뵈시 로란트 대학교2006.03.13
영국에섹스 대학2006.09.20
영국치체스터대학교2013.07.17
싱가포르싱가폴교육대학2010.11.01
몽골몽골국립교육대학교2008.07.04

6. 학교 상징

서울교대의 상징인 교화 수수꽃다리, 교목 느티나무, 교수 사슴은 1977년 10월 제12회 사향축제 때 제정되었다. 이는 대학이 성동구 행당동에서 현재의 서초동으로 이전하던 해였다. 당시 박재규 학장의 발의로 과학교육과 및 실업교육과 교수들이 추천한 30여 종의 동식물을 대상으로 교수와 학생들의 투표로 결정되었다.[1]


  • 교화: 수수꽃다리는 여러 개의 꽃이 어우러져 하나의 형체를 이루며 빛을 발하는데, 이는 사향인의 단결을 의미한다.
  • 교목: 느티나무는 한반도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잘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수명이 몇 백 년을 헤아리는 오래된 나무가 많다. 왕성한 생육은 서울교대와 사향인의 끊임없는 발전을 상징한다.
  • 교수: 사슴은 동양인의 의식 속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십장생의 하나로, 무리 지어 생활하며 수명이 길고 온화한 성품을 지녔다. 고귀하면서도 숭고해 보이는 자태는 교사상을 상징한다. 대학 본관 앞의 사슴 동상은 1978년 1월에 세워졌으며, 당시 미술교육과 엄태정 교수(전 서울대학교 미대 교수)가 조각하였다.

6. 1. 교훈

서울교육대학교의 교훈은 '내 힘으로 한 마음으로'이다.[1]

1977년 10월 제12회 사향축제 때 교화, 교목, 교수가 제정되었다. 당시 박재규 학장의 발의로 과학교육과 및 실업교육과 교수들이 추천한 30여 종의 동식물을 대상으로 교수와 학생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다.[1]

  • 교화: 수수꽃다리는 여러 개의 꽃이 어우러져 하나의 형체를 이루며 빛을 발하는데, 이는 사향인의 단결을 의미한다.[1]

수수꽃다리

  • 교목: 느티나무는 한반도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잘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수명이 몇 백 년을 헤아리는 오래된 나무가 많다. 왕성한 생육은 서울교대와 사향인의 끊임없는 발전을 상징한다.[1]

느티나무

  • 교수: 사슴은 동양인의 의식 속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십장생의 하나로, 무리 지어 생활하며 수명이 길고 온화한 성품을 지녔다. 고귀하면서도 숭고해 보이는 자태는 교사상을 상징한다. 대학 본관 앞의 사슴 동상은 1978년 1월에 세워졌으며, 당시 미술교육과 엄태정 교수(전 서울대학교 미대 교수)가 조각하였다.[1]

6. 2. 교화

서울교대를 상징하는 교화는 수수꽃다리이다. 수수꽃다리는 여러 개의 꽃이 어우러져 하나의 형체를 이루며 빛을 발하는데, 이는 사향인의 단결을 의미한다.[1]

6. 3. 교목

서울교대를 상징하는 교목인 느티나무는 1977년 10월 제12회 사향축제를 기하여 제정되었다. 당시 박재규 학장의 발의에 따라 과학교육과 및 실업교육과 교수들이 추천한 30여 종의 동식물들을 대상으로 교수와 학생들이 투표로 결정하였다.[1]

느티나무는 한반도 어디에서나 볼 수 있고 잘 자라는 낙엽교목으로 수령이 몇 백 년을 헤아리는 노령수목이 많다. 생육이 왕성하므로 서울교대와 사향인의 줄기찬 발전을 상징한다.[1]

6. 4. 교수

서울교대를 상징하는 교화인 수수꽃다리, 교목인 느티나무, 교수인 사슴은 1977년 10월 제12회 사향축제 때 제정되었다. 이는 대학이 성동구 행당동에서 현재의 서초동으로 이전하던 해에 이루어졌다. 당시 박재규 학장의 제안으로 과학교육과 및 실업교육과 교수들이 추천한 30여 종의 동식물을 대상으로 교수와 학생들의 투표를 통해 결정되었다.[1]

교수인 사슴은 동양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십장생 중 하나로, 무리 지어 생활하며 수명이 길고 온화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고귀하고 숭고해 보이는 모습이 교사의 상징과 어울린다고 한다. 1978년 1월 대학 본관 앞에 세워진 사슴 동상은 당시 미술교육과 교수였던 엄태정(전 서울대학교 미대 교수)이 조각했다.[1]

7. 논란

코리아 타임스에 따르면 2009년 10월 28일, 송광용 당시 총장은 서구 국가 출신 교수들이 "자격이 없고 성희롱과 마약에 연루되는 경우가 많다"고 주장했다.[7] 이후 송 총장은 해당 발언이 인터뷰 내용을 잘못 인용하거나 발언을 조작한 것으로 비판받은 강신후 기자에 의해 날조된 것이라고 해명했다.[8]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Timetable http://www.snue.ac.k[...] 2018-04-09
[2] 웹사이트 Supported Facilities http://www.snue.ac.k[...] 2018-04-09
[3] 웹사이트 Affiliate Institutions http://www.snue.ac.k[...] 2018-04-09
[4] 뉴스 Korea's Path from Poverty to Philanthropy https://www.brooking[...] Brookings 2010-06-14
[5] 웹사이트 The Attached School http://www.snue.ac.k[...] 2018-04-09
[6] 웹사이트 서울교육대학교 홈페이지 https://archive.toda[...] 2012-09-12
[7] 뉴스 SNUE Takes Lead in Quest for Multicultural Society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09-10-18
[8] 웹사이트 SNUE president Song was misquoted by the Korea Times http://populargusts.[...] 2009-11-02
[9] 웹인용 [단독]이재명, 서울교대 부지·탄천 등 강남권 대규모 주택 공급 검토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4-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