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석고 (일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석고(石高)는 에도 막부 시대에 토지 생산성을 나타내는 척도로, 다이묘와 무사의 수입, 농민의 연공 징수 등에 사용되었다. 태합검지(太閤検地)의 원칙을 계승하여 쌀 생산량뿐만 아니라 밭, 집터 등의 가치를 석고로 환산했으며, 17세기 후기 이후 개별 농민에 대한 연공 징수의 기준으로 활용되었다. 각 지역별 석고는 시대별로 변천을 겪었으며, 특히 덴포 연간에는 내고(실제 수확량) 보고에 각 번의 신중한 태도로 인해 실제 경제 상황과 괴리가 발생했다. 메이지 시대 초 지조개정(地租改正) 직전의 석고는 3237만 석이었지만, 실제 경제 규모는 이를 훨씬 상회했다. 막부 말기에는 가나자와 번, 사쓰마 번 등 10만 석 이상의 표고를 가진 번들이 존재했으나, 표고와 내고 간의 차이는 석고제가 실제 생산량을 정확히 반영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법제사 - 훤화양성패
    훤화양성패는 중세 일본에서 사회 불안정 해결을 위해 싸움에 연루된 양측 모두를 처벌하는 방식으로, 전국 시대 분국법에 도입되어 에도 시대 전기까지 관습법으로 이어졌다.
  • 인체 단위 - 피트
    피트는 다양한 정의와 기원을 가진 길이 단위로, 국제적으로는 0.3048 미터로 정의된 국제 피트가 표준이며, 역사적으로 여러 종류가 사용되었고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널리 쓰인다.
  • 인체 단위 - 야드
    야드는 길이를 측정하는 단위로, 3피트 또는 36인치에 해당하며, 토지 측량, 천 측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국제적으로 0.9144미터로 정의된다.
석고 (일본사)
개요
종류토지 제도
시대에도 시대
목적토지 생산력을 기준으로 다이묘의 봉록과 군역을 결정하고, 징세의 기준으로 사용
내용
정의에도 막부 시대의 토지 생산력 단위 및 그 가치를 나타내는 제도
측정 기준토지의 비옥도, 위치, 관개 시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쌀 생산량을 기준으로 평가
단위쌀 생산량 단위인 섬(石, koku)으로 표시
1섬 (고쿠)성인 남성 1명이 1년 동안 소비할 수 있는 쌀의 양으로 간주됨
활용다이묘의 봉록 결정
군역 부과
징세 기준
역사
배경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태합 검지를 계승하여 에도 막부에서 전국적인 토지 조사 실시
정착 시기에도 막부 초기에 확립되어 막부의 통치 기반 강화에 기여
변화시대 변화에 따라 토지 생산 기술 발전, 새로운 경작지 개발 등으로 인해 꾸준히 수정 및 보완
영향
사회신분제 사회 질서 유지에 기여 (사농공상)
경제쌀을 중심으로 한 경제 체제 확립 및 유지
정치다이묘 통제 및 막부 권력 강화
참고
같이 보기태합 검지
겐로쿠
다이묘
에도 막부

2. 석고제의 성립과 발전

태합검지 이후 에도 시대에는 밭, 집터 등 토지의 가치를 면적에 도다이라는 계수를 곱하여 쌀 생산량으로 환산, 석(石) 단위로 표시했다. 이를 '''석고제'''라 하며, 쌀 이외의 농작물, 해산물 생산량도 쌀 생산량으로 환산되었다. 다이묘무사의 수입과 봉록도 석고로 표시되었으며, 특히 영민은 "백성고소지(百性高所持)", 무사(특히 다이묘)는 "석고지행제(石高知行制)"라고 불렸다. 메이지 시대의 지조개정까지 이어졌다.[6]

한 석은 성인 1명이 1년간 먹는 쌀의 양으로, 석고 × 연공률은 양성 가능한 병사 수를 의미했다. 즉, 석고는 다이묘의 재력뿐 아니라 병력도 의미했다. 군역령에 따르면, 다이묘는 표고 1만 석 당 2백 명 정도의 군세(비전투원 포함) 동원 의무를 부여받았다. 다만, 석고는 현미 체적 기준이 일반적이며, 실제 성인 남성은 하루 현미 5홉(연간 약 1.8석)을 부식미로 지급받았다.[8]

2. 1. 태합검지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전국 통일을 이룬 후 1582년(덴쇼 10년)부터 1598년(게이초 3년)까지 전국적으로 실시한 토지 조사이다.[5] 토지의 면적과 수확량을 조사하여 석고를 산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세금과 군역을 부과했다. 태합검지는 농민의 토지 소유권을 인정하고 경작 의욕을 고취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농민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고 쌀 이외의 생산 활동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한계도 있었다.

2. 2. 에도 시대의 석고제

에도 막부태합검지의 원칙을 계승하여 석고제를 운영하였다. 쌀 생산량뿐만 아니라 밭, 집터 등의 가치도 석고로 환산하여 표시하였다. 다이묘를 비롯한 무사의 수입과 봉록도 석고로 표시하였다. 농민에 대한 연공 징수는 석고를 기준으로 하였다.[8] 촌청제 하에서 마을 단위의 석고(촌고)가 중시되었으나, 17세기 후기 이후에는 개별 농민에 대한 연공 징수 기준으로 석고가 사용되었다. 실제로 에도 시대의 토지 증서에 석고의 기재가 등장하는 것은 간분 · 엔포 연간이 상한으로, 그 이전의 농민 생활에서 석고는 친숙한 개념은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6]

3. 각 지역별 석고의 변천

에도 막부 초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까지 각 지역별 석고의 변천 과정을 살펴본다.


  • 게이초 연간 (1596년 ~ 1615년): 1604년 에도 막부는 여러 나라의 유력 다이묘에게 향장(鄕帳)과 국지도(國地圖) 제출을 명령했고, 1610년까지 상납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이 자료들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시마바라 마쓰다이라 문고의 『어당가 잡기(御当家雑記)』에 수록된 "일본국 지행고의 각(日本国知行高之覚)"[8]에 기재된 에도 시대 초기 석고를 '게이초 향장고'라고 부른다. 도쿠가와 소령을 중심으로 몇몇 나라에서 석고가 줄어들었는데, 이는 재검지 시에 이시모리가 개정되고, 표고 우선의 석고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 간에이 연간 (1624년 ~ 1645년): 1633년 순견사 국지도에 기재된 석고를 정리했다.[4] 무쓰국, 데와국에 관해서는 영지별 석고와 메이지 이후 신설된 옛 나라별 석고 집계도 기재한다.
  • 쇼호 연간 (1644년 ~ 1648년): 막부는 각 다이묘에게 향장과 국지도를 제출하도록 명령했으며, 이때 본전고(표고)와 신전고를 함께 기록했다.[8]
  • 겐로쿠 연간 (1688년 ~ 1704년): 막부는 각 다이묘에게 향장과 국지도를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이때 석고는 표고를 원칙으로 했다.[8]
  • 덴포 연간 (1831년 ~ 1845년): 막부의 명령에 따라 각 다이묘가 향장과 국지도를 제출하였다. 이때 내고(실제 수확량)를 기준으로 석고를 보고하였다.[4] 덴포 향장에 기재된 각 구니별 석고는 아래 표와 같다.


덴포 향장 석고 (1831~1834년)
구니덴포 향장 석고
야마시로 국230,131.760865
야마토 국501,361.691560
가와치 국293,786.634500
이즈미 국172,847.986000
셋쓰 국417,399.127000
이가 국110,096.536000
이세 국716,451.492700
시마 국21,470.398000
오와리 국545,875.793000
미카와 국466,080.746800
도토미 국369,552.575180
스가 국[4]250,538.753090
가이 국312,159.329490
이즈 국84,171.293620
사가미 국[4]286,719.756890
무사시 국1,281,431.068820
아와 국95,736.239070
가즈사 국425,080.453410
시모사 국[8]681,062.631660
히타치 국[4]1,005,707.489030
오미 국853,095.305590
미노 국699,764.321660
히다 국56,602.309000
시나노 국767,788.077600
고즈케 국637,331.633100
시모쓰케 국769,905.027038
무쓰 국2,874,239.059880
아이즈 영지[10]337,218.127500
시라카와·미하루·니혼마쓰 영지434,581.248070
이와키·다나쿠라·소마 영지300,419.556810
요네자와/후쿠시마 영지203,825.844500
센다이 영지992,057.260000
난부 영지288,874.793000
쓰가루 영지317,262.230000
이와키 국613,924.675660
이와시로 국755,703.961220
리쿠젠 국697,838.180000
리쿠추 국423,134.490000
무쓰 국383,637.753000
데와 국1,295,323.521440
요네자와 영지216,161.220230
야마가타 영지366,147.135970
신조 영지62,387.453800
쇼나이 영지234,302.356140
아키타 영지416,325.355300
우젠 국804,569.693740
우고 국490,753.827700
와카사 국91,018.822200


  • 메이지 시대 초기: 지조 개정 직전, 각 지역의 석고는 메이지 5년(1872년)의 석고를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1 石|이시|석일본어 = 10 斗|토|말일본어 = 100 升|쇼|되일본어 = 1,000 合|고|홉일본어 = 10,000 勺|샤쿠|작일본어 = 100,000 才|사이|재일본어 (匁|몬메|찰일본어) = 1,000,000 毛|모|모일본어 (分|푼|불일본어, 弗|후라|찰일본어)이며, 석보다 아래 자리수는 석을 단위로 하는 소수로 나타낸다.

3. 1. 게이초 연간 (1596년 ~ 1615년)

게이초 9년(1604년), 에도 막부는 여러 나라의 유력 다이묘에게 향장(鄕帳)과 국지도(國地圖) 제출을 명령했고, 게이초 15년(1610년)까지 상납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게이초 향장과 게이초 국지도의 정본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향장의 사본은 히다국, 이키국, 야마토국 3개 국 분, 국지도의 모사는 서국의 11개 국 1개 섬 분에 한정되어 있다. 향장과 국지도의 제출이 서일본에만 한정되었는지는 불분명하며, 게이초 향장 및 국지도 제작의 전체 내용은 불명확한 점이 많다.[8]

향장에는 전답 내역을 포함한 촌락의 석고와 물품세가 기록되어 있으며, 영지 관계와 필요에 따라 소물성고(小物成高), 사찰령고(寺社領高), 황무지, 손해 등이 추가로 기록되었다. 그러나 신전고(新田高)는 기재되지 않아, 사용역(使用役)이나 격식(格式) 등을 정하는 표고(表高)와 내고(內高)의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본 표에서는 시마바라 마쓰다이라 문고 『어당가 잡기(御当家雑記)』에 수록된 "일본국 지행고의 각(日本国知行高之覚)"[8]에 기재된 에도 시대 초기 석고를 가칭 '게이초 향장고'로 한다. "일본국 지행고의 각"에는 데와 국고에 대해 "내 십만석 우에스기 단정 분 입(内拾万石上杉弾正分入)"이라는 주석이 있는데, 이는 우에스기 가게카쓰가 게이초 14년(1609년)에 10만 석의 군역을 면제받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6]

또한, 도쿠가와 소령을 중심으로 몇몇 나라에서 석고가 줄어들었는데, 이는 재검지 시에 이시모리가 개정되고, 표고 우선의 석고를 설정했기 때문이다. ('''#석고에 있어서 전답, 신전고의 비율''' 참조).

국경도 빈번하게 변경되었다. 예를 들어 니시노미야 시립 향토 자료관 소장 『게이초 10년 셋쓰 국 지도』에 따르면 셋쓰국 석고는 29만 68석 6두이며, 히가시나리 6만 1080석이 가와치 국 어장입(御場入)이라고 되어 있다. 이를 통해 게이초 연간 중반부터 간에이 연간까지 일시적으로 요도가와 이동의 결군(스미요시군・히가시나리 군과 니시나리군의 일부)이 가와치국에 편입되었다가, 쇼호 연간 전에 다시 셋쓰 국 소속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7]

3. 2. 간에이 연간 (1624년 ~ 1645년)

寛永|간에이일본어 10년(1633년) 순견사 국지도에 기재된 석고를 정리했다.[4] 무쓰국, 데와국에 관해서는 영지별(향장·국지도를 작성하기 위한 지구 분담을 가리키며, 실제 번의 소령과는 다르다)과 메이지 이후에 신설된 옛 나라(이와키국, 이와시로국, 리쿠젠국, 리쿠추국, 무쓰국, 우젠국, 우고국)별 석고 집계도 기재한다.

3. 3. 쇼호 연간 (1644년 ~ 1648년)

쇼호 연간(1644년 ~ 1648년)에 막부는 각 다이묘에게 향장과 국지도를 제출하도록 명령했으며, 이때 본전고(표고)와 신전고를 함께 기록했다.[8]

3. 4. 겐로쿠 연간 (1688년 ~ 1704년)

겐로쿠 연간(1688년 ~ 1704년), 막부는 각 다이묘에게 향장과 국지도를 제출하도록 명령했다. 이때 석고는 표고를 원칙으로 했다.[8]

3. 5. 덴포 연간 (1831년 ~ 1845년)

덴포 연간(1831년 ~ 1845년)에는 막부의 명령에 따라 각 다이묘가 향장과 국지도를 제출하였다. 이때 내고(실제 수확량)를 기준으로 석고를 보고하였다.[4]

다음 표는 덴포 향장에 기재된 각 구니별 석고를 정리한 것이다.

덴포 향장 석고 (1831~1834년)
구니덴포(天保) 향장 석고
야마시로 국230,131.760865
야마토 국501,361.691560
가와치 국293,786.634500
이즈미 국172,847.986000
셋쓰 국417,399.127000
이가 국110,096.536000
이세 국716,451.492700
시마 국21,470.398000
오와리 국545,875.793000
미카와 국466,080.746800
도토미 국369,552.575180
스가 국[4]250,538.753090
가이 국312,159.329490
이즈 국84,171.293620
사가미 국[4]286,719.756890
무사시 국1,281,431.068820
아와 국95,736.239070
가즈사 국425,080.453410
시모사 국[8]681,062.631660
히타치 국[4]1,005,707.489030
오미 국853,095.305590
미노 국699,764.321660
히다 국56,602.309000
시나노 국767,788.077600
고즈케 국637,331.633100
시모쓰케 국769,905.027038
무쓰 국2,874,239.059880
아이즈 영지[10]337,218.127500
시라카와・미하루・니혼마쓰 영지434,581.248070
이와키・다나쿠라・소마 영지300,419.556810
요네자와/후쿠시마 영지203,825.844500
센다이 영지992,057.260000
난부 영지288,874.793000
쓰가루 영지317,262.230000
이와키 국613,924.675660
이와시로 국755,703.961220
리쿠젠 국697,838.180000
리쿠추 국423,134.490000
무쓰 국383,637.753000
데와 국1,295,323.521440
요네자와 영지216,161.220230
야마가타 영지366,147.135970
신조 영지62,387.453800
쇼나이 영지234,302.356140
아키타 영지416,325.355300
우젠 국804,569.693740
우고 국490,753.827700
와카사 국91,018.822200


3. 6. 메이지 시대 초기

지조 개정 직전, 각 지역의 석고는 메이지 5년(1872년)의 석고를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1 石|이시|석일본어 = 10 斗|토|말일본어 = 100 升|쇼|되일본어 = 1,000 合|고|홉일본어 = 10,000 勺|샤쿠|작일본어 = 100,000 才|사이|재일본어 (匁|몬메|찰일본어) = 1,000,000 毛|모|모일본어 (分|푼|불일본어, 弗|후라|찰일본어)이며, 석보다 아래 자리수는 석을 단위로 하는 소수로 나타낸다.

4. 석고와 실체 경제의 괴리

석고제는 에도 시대에 걸쳐 태합검지 이후 토지의 가치를 쌀 생산량으로 환산하여 표시하는 제도였지만, 근대적인 생산 통계와는 거리가 있었다. 석고는 과세를 위한 기준이 주된 목적이었기 때문에, 임업이나 수산업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16] 반면 제2차 산업에 속하는 제염이나 농산물 가공 등으로 생긴 가치를 일부 포함하고 있어, 단순하게 농업 생산량으로 환산하기는 어려웠다. 또한 중간 투입을 고려하지 않아 이중 계산의 위험도 있었다.[16]

메이지 시대 이후의 데이터를 보면 이러한 문제점이 더 명확해진다. 예를 들어, 메이지 7년(1874년)의 『메이지 7년 현물산표』에 따르면, 당시 일본 전국의 석고는 3237만 석이었지만, 실제 쌀 생산량은 2591만 석이었다.[16] 농림수산업·광공업 전체 생산액을 쌀값으로 환산하면 6756만 석에 해당하는데,[16] 이는 석고가 실제 경제 규모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메이지 7년 현물산표에 의한 물산액과 비율[16]
물산물산액 (엔)물산고 (환산 석고)비율개별 물산의 생산액(생산고)·비고
농업227,286,70141,246,15461.05%
       쌀142,799,02425,914,01338.36%(제외된 가고시마현의 메이지 12년 쌀 생산고 50만 4210석)
       보리25,073,4754,550,1326.73%보리·쌀보리 19902387JPY(812만 4891석)
밀 5171088JPY(173만 3440석)
       콩7,404,5451,343,7171.99%콩(생산고 181만 9138석)
       기타 잡곡류8,702,8381,579,3212.34%조 2342882JPY(98만 4594석)
피 965143JPY(93만 5262석)
메밀 1158907JPY(45만 8814석)
팥 1502777JPY(33만 7252석)
       고구마·채소류11,658,0462,115,6083.13%고구마 2755685JPY(1억 3500만 관)
(제외된 가고시마현의 메이지 12년 고구마 생산고 5989만 관)
무 2721907JPY
       과실류2,201,056399,4300.59%
       특수 농산물27,915,1675,065,8197.50%면류 7434509JPY(1185만 관)
유채 6036757JPY(92만 7829석)
쪽 4917261JPY
담배 2550262JPY(3783만 4777근)
       기타1,532,556278,1160.41%
임업14,565,4052,643,2123.91%목재류 2362085JPY
장작류 6041696JPY
숯류 2272728JPY
피엽류 3092482JPY
수산업7,276,3451,320,4521.95%어개류 6984375JPY
(제외된 홋카이도의 메이지 7년 수산물산액 3121353JPY)
축산업7,478,0001,357,0472.01%소류 2778446JPY
말류 2688721JPY
공업111,891,55920,305,17630.05%
       섬유 공업30,993,6575,624,4788.32%면직물 10856271JPY(2013만 8657필)
견직물 4581057JPY
염색류 3032564JPY
생사류 6164752JPY(37만 7천 관)
       식품 공업46,944,8698,519,17512.61%술 18605495JPY(343만 1364석)
간장 6338489JPY(94만 6천석)
된장 6133487JPY(5110만 관)
제차 3951163JPY(1760만 근)
소금 2393802JPY(385만 1천석)
설탕 2393802JPY(1087만 3423근)
(제외된 아마미·오키나와의 메이지 2년 흑설탕 생산고 2292만 3천 근)
       다다미·장지 제조업1,913,137347,1810.51%
       유·밀랍 제조업7,017,8561,273,5441.88%
       요업 등8,521,6901,546,4472.29%도기류 2092030JPY
       출판·인쇄업5,737,9861,041,2831.54%지류 5166881JPY
       기계·제약·기타10,762,3641,953,0672.89%제기계류 3060854JPY
비료류 3057391JPY
광업3,808,964691,2201.02%
총계372,306,97467,563,261100.00%



나카무라 사토시 등의 연구에 따르면, 메이지 시대 초기의 농업 생산량에 관한 실수 석고는 시대가 지날수록 실제 경제와의 괴리가 커졌다.[18] 막부 말기에는 석고 환산 GDP가 1억 석을 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석고가 실제 경제의 3할 정도밖에 반영하지 못했음을 의미한다.[19]

고대~메이지 초기의 일본의 실질 GDP·산업 구조의 변천의 추정[19]
서기전국 인구
(천 명)
경작지 면적
(천 정)
농업 생산량
(천 석)
실질 조부가 가치액(석고 기준)1인당 GDP
제1차 부문
(천 석)
제2차 부문
(천 석)
제3차 부문
(천 석)
계(실질 GDP)
(천 석)
(석/인)(1990년 국제 달러/인)
7306,1006406,3297,5024817118,6951.43388
9505,0001,0287,9909,47257588310,9302.19596
11505,9001,1099,03510,71167799812,3862.10572
12805,9501,2768,2789,8376681,09411,5991.95531
145010,0501,62113,93816,6161,3822,22120,2192.01548
160017,0002,49725,87930,6783,6527,30641,6352.45667
172131,2903,24941,17348,8088,43420,36177,6032.48676
180430,6913,89249,60458,80310,09124,40293,2963.04828
184632,2124,26556,57167,06211,69828,140106,9003.32904
187434,8404,59464,86177,10315,88836,551129,5413.721,013


5. 막부 말기의 번과 석고

幕末일본어에는 여러 다이묘의 영지(번)의 규모를 나타내는 석고(石高)가 10만 석 이상인 번들이 존재했다. 다음은 그 목록과 각 번의 표고(공칭 석고) 및 내고(실제 석고), 그리고 영지(구니)를 정리한 표이다.

막부 말기의 다이묘·중다이묘의 표고, 내고 일람
순위번명거성의 소재지가문명다이묘 종류표고
(게이오 3년)
내고
(메이지 2년)
영지
1가나자와 번 (가가 번)[25]마에다 가외양 다이묘1,025,0001,338,083.562100가가·엣추·노토·오미
2가고시마 번 (사쓰마 번)[26]시마즈 가외양 다이묘728,700869,593.576640사쓰마·오스미·휴가·류큐
3센다이 번[27]다테 가외양 다이묘620,0561,018,818.661160무쓰·히타치·시모사·오미·에조
4나고야 번 (오와리 번)[28]오와리 도쿠가와 가고산케619,500913,827.045900오와리·미카와·미노·오미·시나노·셋쓰
5와카야마 번 (기슈 번)[29]기슈 도쿠가와 가고산케555,000615,453.638590기이·이세·야마토·오미
6구마모토 번 (히고 번)[30]호소카와 가외양 다이묘540,000786,015.607170히고·분고
7후쿠오카 번 (지쿠젠 번)[31]구로다 가외양 다이묘473,100571,141.000000지쿠젠
8히로시마 번 (게이슈 번)[32]아사노 가외양 다이묘426,500483,580.779250아키·빈고
9하기 번 (조슈 번, 야마구치 번)[33]모리 가외양 다이묘369,411978,004.000000스오·나가토
10사가 번 (히젠 번)[34]나베시마 가외양 다이묘357,036886,525.420075히젠
11미토 번[35]미토 도쿠가와 가고산케350,000313,415.839000히타치·시모노
12쓰 번 (안노쓰 번)[36]도도 가외양 다이묘323,950358,020.847000이세·이가·야마시로·야마토·시모사
13돗토리 번 (인슈 번)[37]이케다 가외양 다이묘320,000428,169.702000인바·호키·무사시
13후쿠이 번 (에치젠 번)에치젠 마쓰다이라 가신판320,000336,194.039600에치젠
15오카야마 번 (비젠 번)[38]이케다 가외양 다이묘315,200494,956.969600비젠·빈추
16와카마쓰 번 (아이즈 번)[39]아이즈 마쓰다이라 가신판280,000403,563.665740무쓰·에치고·이즈미·오미·에조
17도쿠시마 번 (아와 번)하치스카 가외양 다이묘257,000442,735.000000아와·아와지
18구루메 번[40]아리마 가외양 다이묘210,000366,271.710000지쿠고
19구보타 번 (아키타 번)[41]사타케 가외양 다이묘205,800332,038.779000데와·시모노·에조
20고치 번 (도사 번)[42]야마우치 가외양 다이묘202,600495,486.000000도사
21모리오카 번 (난부 번)[43]난부 가외양 다이묘200,000316,697.439000무쓰·에조
21히코네 번[44]이이 가후다이 다이묘200,000203,887.990000오미·시모노·무사시
23마쓰에 번 (이즈모 번)[45]에치젠 마쓰다이라 가신판186,000288,029.180000이즈모
24요네자와 번[46]우에스기 가외양 다이묘180,000336,645.572940데와
25구라가노 번 (마에바시 번)에치젠 마쓰다이라 가신판170,000217,709.033840고즈케·시모노·무사시·아와·가즈사·히타치·오미
25쓰루오카 번 (쇼나이 번, 오이즈미 번) (영지 16만 7071석)[47]사카이 가후다이 다이묘170,000222,385.359110데와·에조
27고리야마 번야나기사와 가후다이 다이묘151,288152,912.299870야마토·가와치·오미
27가와라 번 (고쿠라 번, 도요쓰 번)[48]오가사와라 가후다이 다이묘150,000212,770.764600부젠
29히메지 번사카이 가후다이 다이묘150,000211,224.081000하리마
29이요 마쓰야마 번규마쓰 마쓰다이라 가신판150,000157,184.977000이요
29다카다 번사카키바라 가후다이 다이묘150,000154,104.158000에치고·무쓰
32다카마쓰 번[35]미토 마쓰다이라 가신판 가문 연지120,000201,714.982000사누키
33오다와라 번[49]오쿠보 가후다이 다이묘113,129124,853.480340사가미·이즈·스루가·가와치·셋쓰
34구와나 번[50]규마쓰 마쓰다이라 가신판110,000144,439.117390이세·에치고
34사쿠라 번홋타 가후다이 다이묘110,000132,941.206910시모사·히타치·시모노·무사시·사가미·데와
34빈고 후쿠야마 번아베 가후다이 다이묘110,000112,728.682000빈고·빈추
37야나가와 번다치바나 가외양 다이묘109,647155,394.060000지쿠고
38고하마 번사카이 가후다이 다이묘103,558106,599.348200와카사·에치젠·오미
39요도 번이나바 가후다이 다이묘102,000113,314.627890야마시로·셋쓰·가와치·이즈미·오미·시모사·히타치·고즈케
40니혼마쓰 번[51]니와 가외양 다이묘100,700133,487.127780무쓰
41히로사키 번 (쓰가루 번)[52]쓰가루 가외양 다이묘100,000287,733.885000무쓰·에조
41도야마 번[25]마에다 가외양 다이묘100,000159,297.871000엣추
41오시 번오쿠다이라 마쓰다이라 가후다이 다이묘100,000141,752.473870무사시·이세·하리마
41신바쓰다 번미조구치 가외양 다이묘100,000139,102.187350에치고·무쓰
41오가키 번도다 가후다이 다이묘100,000131,106.431580미노
41마쓰다이라 번사나다 가외양 다이묘100,000123,570.020000시나노
41나카쓰 번오쿠다이라 가후다이 다이묘100,000119,994.301580부젠·빈고·지쿠젠
41다나구라 번[53]아베 씨후다이 다이묘100,000112,997.053270무쓰·데와·하리마·시나노·도토미
41쓰야마 번에치젠 마쓰다이라 가신판100,000104,576.913000미마사카·사누키
41우와지마 번[54]다테 가외양 다이묘100,000100,402.120000이요
41아카시 번 (영지 8만 석)[55]에치젠 마쓰다이라 가신판100,00090,304.109000하리마·미마사카
41다이쇼지 번 (영지 8만 석)[25]마에다 가외양 다이묘100,00083,772.033000가가
41쓰시마 후추 번 (영지 3만 3402석)[56]소 가외양 다이묘100,00052,174.778300쓰시마·히젠·지쿠젠


고산쿄는 위 표에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기레가와 번은 10만 석으로 보는 문헌도 있지만, 막부 말기 자료 등에서 누락된 점 등으로 인해 표에서 제외되었다.

6. 석고제의 종말과 지조개정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은 근대적인 조세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1873년(메이지 6년) 지조개정을 실시하여, 석고제를 폐지하고 토지 가격을 기준으로 세금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였다. 이는 조선의 토지 제도에도 영향을 미쳐, 일제강점기 토지 조사 사업의 기반이 되었다.

7. 석고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의 관점)

석고제는 태합검지 이후 에도 시대를 거쳐 메이지 시대의 지조개정까지 이어진 일본의 제도였다. 밭, 집터 등 토지의 가치를 쌀 생산량으로 환산하여 '석(石)' 단위로 표시했고,[1] 쌀 이외의 농작물이나 해산물 생산량도 쌀 생산량으로 환산하여 표시했다.[1] 이는 다이묘를 비롯한 무사들의 수입과 봉록을 나타내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1] 특히 백성의 경우에는 "백성고소지(百性高所持)", 무사(특히 다이묘)의 경우에는 "석고지행제(石高知行制)"라고 불렸다.[1]

석고는 단순한 생산량 지표를 넘어, 병력 동원 능력과도 직결되었다. 한 석은 어른 한 명이 1년에 먹는 쌀의 양에 해당하며, 이를 기준으로 병사들에게 보상을 지급하고 병력을 양성할 수 있었다.[1] 에도 시대의 군역령에 따르면, 다이묘표고 1만 석 당 대략 2백 명 정도의 군세(비전투원 포함)를 동원할 의무를 부여받았다.[1]

하지만 석고제는 농민들에게 과도한 부담을 지우는 결과를 초래했다. 초기 검지는 영주의 영지 규모와 그에 따른 공의에 대한 제반 역 부담을 확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고, 촌청제 하에서 마을 단위의 석고(촌고)가 중시되었기 때문에, 개별 농민에 대한 연공 징수 기준으로 석고가 사용된 것은 17세기 후기 이후였다.[1] 실제로 에도 시대 토지 증서에 석고가 기재되기 시작한 것은 간분 · 엔포 연간 이후로, 그 이전 농민들에게 석고는 익숙한 개념이 아니었다.[1]

이러한 석고제는 일제강점기 조선에서 토지 조사 사업의 기반이 되어, 한국 농민들의 토지 소유권을 박탈하고 수탈하는 데 악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The Meiji Restor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2
[3] 서적 日本歴史大事典 小学館 2000
[4] 문서 正保郷帳の表高、元禄郷帳・天保郷帳において、石高以外の表記がされているのは以下の地域である。 * 遠江国 正保郷帳において永高は遠江郡内12村、周知郡内41村、豊田郡内46村で用いられており、但書に永1貫文高五石の換算が記されている。 * 駿河国 正保郷帳において永高は志太郡内15村で用いられており、寛永14年(1637年)に永1貫文高5石の換算が定められた。また金高は安倍郡内金納地9村で用いられており、延宝4年(1676年)に金1両高5石の換算が定められた。 * 相模国 永高840貫文の鶴岡八幡宮を中心とする鎌倉郡内の諸寺社領(村数は郷帳によって異なる)については朱印状が永高で発給され続け、明治時代まで永高公称が存続した。 * 常陸国 元禄郷帳・天保郷帳では、[[伊勢神宮]]・[[富士山本宮浅間大社|富士浅間神社]]の寺社領が置かれた真壁郡内3村について永高表記となっている。正保郷帳については写本が残っていないため、永高が用いられていたかは不明。 但し実際には他の地域以外でも石高以外の公称が村高に用いられており、例えば武蔵国の正保郷帳(東京大学史料編纂所蔵『武蔵国田園簿』)では、永高4678貫27文を高2万3390石1斗2升に、反別高4083町3反7畝20歩・永68貫319文草銭を高6万5289石9斗5升8石に換算した上で、総石高を算出している。
[5] 문서 太閤検地高(慶長3年高)と享保6年(1721年)の田畑の反別は以下の文献による。 * 野中準編, 「慶長三年地検目録」, 「町歩下組帳」『大日本租税志 中巻』, 1908年, {{NCID|BA36907243}}.
[6] 문서 '[[蒲生氏郷]]領91万9千石で実施された文禄検地により文禄3年(1594年)に作成された郷村帳(国立公文書館蔵『蒲生領高目録』)における郡高は以下の通りであるが、文禄3年の時点で既に置賜郡の石高は約18万石となっている. 寛永10年(1633年)以降に作成された寛永国絵図や慶長日本総図(川村博忠によると実際には慶長年間ではなく寛永年間に作成されたと考えられる)では何れも置賜郡が[[陸奥国]]所属となっており、戦国時代から寛永期まで置賜郡一帯が陸奥国扱いであった可能性が高い。その一方で慶長郷帳高を記載していると考えられる「日本国知行高之覚」は出羽国高について「内拾万石上杉弾正分入」との注釈を入れており、寛永国絵図が作成されるより前の時点で置賜郡の石高が出羽国の石高に含まれるようになったようにも読みとれる.'
[7] 논문 近世初期の石高と領知高 https://doi.org/10.1[...] 九州大学経済学会 1977-05
[8] 논문 国絵図・郷帳の国郡石高 https://dl.ndl.go.jp[...] 白山史学会 1987-04
[9] 서적 寛永十年巡見使国絵図日本六十余州図 柏書房 2002
[10] 서적 正保・元禄・天保・明治村高比較表
[11] 문서 明治5年石高は、東京大学史料編纂所蔵『郡村石高帳』の数字を基本史料としてまとめた。但し肥前の石高は7斗多い『日本地誌提要』の石高を採用し、薩摩・大隅の石高は『明治八年 共武政表』の郡高により石高を修正した.
[12] 문서 奄美群島は薩摩藩の事実上の直轄領([[蔵入地]])であったが、江戸時代を通じて対外的には琉球国の一部として集計されていた。明治維新後は明治12年(1879年)に大隅国[[大島郡 (鹿児島県)|大島郡]]が設置されるまで薩摩国の一部とされるなど、帰属が流動的である.
[13] 문서 新田高等の記載がある地域についてのみ、内高を算出する。また新田高の記載のある地域のみで、総計の内高/表高の比を算出している.
[14] 서적 尾張藩石高考 徳川林政史研究所 1959
[15] 논문 近世初期検地と物成高 [付] 寛永二年防長両国検地村別石高表 1979
[16] 논문 「明治七年 府縣物産表」の分析 https://hdl.handle.n[...] 北海道大學經濟學會 1951
[17] 논문 維新直後調査鹿兒島藩産物出入比較表に就て : 口繪解説 https://doi.org/10.2[...] 社会経済史学会 1935
[18] 서적 明治維新の基礎構造 : 日本資本主義形成の起点 https://ndlsearch.nd[...] 未来社
[19] 문서 (a) 深谷京司, 中村尚史, 中林真幸 編集『岩波講座 日本経済の歴史 1 中世 11世紀から16世紀後半』, 岩波書店, 2017年. (b) 深谷京司, 中村尚史, 中林真幸 編集『岩波講座 日本経済の歴史 2 近世 16世紀末から19世紀前半』, 岩波書店, 2017年. (c) Bassino, J.-P.; Broadberry, S.; Fukao, K.; Gupta, B.; Takashima, M. "Japan and the Great Divergence 730-1874", University of Oxford Discussion Papers i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2017, (156), 1-39 (2017).
[20] 문서 [[勝海舟]]編『吹塵録』所収「天保十三年全国石高内訳」による.
[21] 문서 (a) {{harvp|村上直|1973|p=1-17}}. (b) {{harvp|村上直|p=60–74|1982}}.
[22] 문서 以下の史料における慶応2年旧暦4月1日(1866年5月15日)の公称高を基礎とし、米沢藩などについては加増による修正を加えた。 * 勝海舟編, 『吹塵録』, 「万石以上分限帳」.
[23] 서적 江戸幕府領知判物・領知朱印状の基礎的研究 研究成果報告書 2005
[24] 문서 内高の数字は以下の文献による。 * 早稲田大学図書館, 『大隈重信関係資料』, A1838, 「各藩高並租税調帳」. * 大塚武松編, 『藩制一覧』, 日本史籍協会, 1928年.
[25] 문서 金沢藩の石高は、富山藩(公称高10万石)、大聖寺藩(公称高10万石)の石高を含まない。ただし大聖寺藩の石高の内2万石は本家からの蔵米支給であり、実際の領知高は8万石である。また金沢藩は能登に1万4368石9斗3升7合4勺5才の私領打込預所を有していたが、金沢藩の石高には含まない.
[26] 문서 鹿児島藩の石高は、[[琉球王国|琉球国]](公称高12万3700石、内高9万4230石0斗0升1合5勺7才)の石高を含むが、[[佐土原藩]](公称高2万7070石、内高3万3262石7斗9升3合2勺)の石高を含まない。奄美を含む鹿児島藩本土の石高は77万5363石5斗7升5合0勺7才である.
[27] 문서 仙台藩の石高は、[[一関藩]](公称高3万石)の石高を含む。また内高は『宮城縣史 本篇2 近世史』、『岩手県史 第6巻 近代篇 1』を参考にして、『旧高旧領取調帳』から算出した
[28] 문서 名古屋藩の石高は、明治立藩の[[御附家老]]の[[犬山藩]](公称高3万5千石、内高4万2704石8斗0升3合1勺)、[[今尾藩]](公称高3万石、内高1万7906石9斗1升3合)の石高を含むが、[[御連枝]]の[[高須藩]](公称高3万石、内高3万0154石5斗0升3合)の石高を含まない。名古屋藩のみの石高は85万3215石3斗2升9合8勺である.
[29] 문서 和歌山藩の石高は、明治立藩の御附家老の[[紀伊新宮藩]](公称高3万8800石、内高3万9359石4斗0升9合6勺4才)、[[紀伊田辺藩]](公称高3万5千石、内高3万6624石7斗5升8合2勺5才)の石高を含むが、御連枝の[[西条藩]](公称高3万石、内高4万0801石8斗)の石高を含まない。和歌山藩のみの石高は53万9469石4斗7升0合7勺である.
[30] 문서 熊本藩の石高は、熊本新田藩([[熊本藩#肥後新田藩、のち高瀬藩|高瀬藩]])(公称高3万5千石)、[[熊本藩#宇土藩|宇土藩]](公称高3万石)の石高を含む。熊本藩は本領の他に2万2千石の私領同様預所を有していた.
[31] 문서 福岡藩の石高は、[[福岡藩#秋月藩|秋月藩]](公称高5万石、内高5万1783石6斗2升5合3勺9才)の石高を含まない.
[32] 문서 広島藩の石高は、[[広島新田藩]](公称高3万石)の石高を含む.
[33] 문서 萩藩の石高は、[[長府藩]](豊浦藩)(公称高5万石、内高10万0972石)、[[徳山藩]](公称高4万0010石、内高6万9054石)、[[清末藩]](公称高1万石、内高1万3091石)、明治立藩の[[岩国藩]](公称高6万石、内高8万1221石)の石高を含む。萩藩のみの石高は71万3666石である。なお萩藩は慶応2年旧暦5月1日(1866年6月13日)に[[禁門の変]]の咎で10万石の減封処分を下されている.
[34] 문서 佐賀藩の石高は、[[佐賀藩#小城藩領|小城藩]](公称高7万3252石)、[[佐賀藩#蓮池藩領|蓮池藩]](公称高5万2625石)、[[佐賀藩#鹿島藩領|鹿島藩]](公称高2万石)の石高を含む。なお佐賀四藩の石高は『藩制一覧』(88万6525石4斗2升0合0勺7才5弗)と『旧高旧領取調帳』(34万2913石3斗8升6合2勺8才)で明白に異なるが、これは佐賀藩における過大な新田高の算出法に起因し(例えば佐賀本藩の石高72万4739石3斗1升5合2勺の内、本高21万1159石0斗9升9合、新田高51万3580石2斗1升6合2勺)、ここでは佐賀藩の報告した過大な石高を採用した.
[35] 문서 水戸藩の石高は、明治立藩の御附家老の[[常陸松岡藩]](公称高2万5千石、内高1万7300石4斗7升)の石高を含むが、御連枝の[[高松藩]](公称高12万石)、[[守山藩]](松川藩)(公称高2万石、内高2万9322石3斗1升9合3勺3才)、[[常陸府中藩]](石岡藩)(公称高2万石、内高2万9069石6斗8升3合0勺1才)。[[常陸宍戸藩|宍戸藩]](公称高1万石、内高1万0499石6斗6升6合)の石高を含まない。水戸藩のみの石高は29万6115石3斗6升9合である.
[36] 문서 津藩の石高
[37] 문서 鳥取藩の石高
[38] 문서 岡山藩の石高
[39] 문서 会津藩
[40] 문서 久留米藩
[41] 문서 久保田藩の石高
[42] 문서 高知藩の石高
[43] 문서 盛岡藩の石高
[44] 문서 彦根藩
[45] 문서 松江藩の石高
[46] 문서 米沢藩の石高
[47] 문서 幕末の鶴岡藩
[48] 문서 小倉藩の石高
[49] 문서 小田原藩の内高
[50] 문서 桑名藩の内高
[51] 문서 二本松藩の内高
[52] 문서 弘前藩の石高
[53] 문서 棚倉藩の内高
[54] 문서 宇和島藩の石高
[55] 문서 幕末の明石藩
[56] 문서 幕末の対馬府中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