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유도 (군산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유도는 전라북도 군산시의 섬으로, 경치가 아름다워 신선이 놀았다는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고려 시대에는 송나라와의 무역 기항지이자 진포해전의 기지였으며, 임진왜란 때는 이순신 장군이 머물며 전열을 재정비한 해상 요충지였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미도 유문암과 선유도 유문각력암이 주요 암석이다. 남섬과 북섬으로 나뉘며, 사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갯벌과 봉우리, 마을이 분포한다. 2017년 고군산로 개통으로 육지와 연결되었고, 선유팔경으로 불리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군산군도 - 말도항 (군산시)
말도항은 전라북도 군산시 옥도면 말도리에 위치하며, 1998년 서방파제와 동방파제 완공으로 개발되었고, 말도 등대를 기준으로 수역이 3개의 구역으로 나뉜다. - 군산시의 지리 - 고군산군도
고군산군도는 전라북도 군산시 앞바다에 위치한 산처럼 모인 섬들로, 고려 시대 무역로 기항지이자 진포해전 기지였으며, 조선 시대 군산진 이전 후 현재 이름을 얻었고, 화산암체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알려져 있다. - 군산시의 지리 - 새만금 방조제
대한민국 군산시와 부안군을 연결하는 총 길이 33km의 새만금 방조제는 농경지 및 담수호 조성을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나 환경 문제와 수질 오염 논란을 겪으며 습지 복원과 수질 개선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섬 - 고군산군도
고군산군도는 전라북도 군산시 앞바다에 위치한 산처럼 모인 섬들로, 고려 시대 무역로 기항지이자 진포해전 기지였으며, 조선 시대 군산진 이전 후 현재 이름을 얻었고, 화산암체로 이루어져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알려져 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섬 - 십이동파도1
십이동파도1은 육상곤충류, 해조류, 해안무척추동물이 서식하여 생태학적 가치를 인정받아 특정도서 제161호로 지정되었으며, 전북특별자치도 군산시 옥도면에 위치하고 건축물 신축 등 다양한 행위가 금지된다.
선유도 (군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한자 표기 | 仙遊島 |
로마자 표기 | Seonyudo |
"섬 정보" 템플릿 기준 면적 | 2.13 km2 |
"섬 정보" 템플릿 기준 최고점 | 남악산 |
"섬 정보" 템플릿 기준 높이 | 155.6 m |
위치 | 황해 |
나라 | 대한민국 |
도 | 전북특별자치도 |
시·면·리 | 군산시 옥도면 선유도리 |
"섬 정보" 템플릿 기준 인구 (2006년 말) | 506명 |
지리 | |
설명 | 고군산군도의 주봉이다. 장자도, 대장도, 무녀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다. |
명칭 유래 | |
유래 | "신선이 노닐던 곳"이라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
관광 | |
주요 관광지 | 선유팔경 망주봉 선유해수욕장 |
2. 역사
선유도는 섬의 경치가 아름다워 신선이 놀았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원래 이름은 '''군산도'''(群山島)였다.[3]
고려시대에는 고려-송 무역로의 기항지였으며, 최무선이 왜구와의 전투에서 승리한 진포해전(鎭浦海戰)의 기지였다. 고려 때 수군(水軍) 기지를 설치하고 군산진(群山鎭)이라 불렀는데, 조선 세종 때 수군 기지가 육지로 이전하면서 '군산'이라는 이름은 기지가 옮겨간 육지에 붙고, 이 지역은 '고'(古) 자를 붙여 고군산(古群山)이라 불렀다.
2. 1. 임진왜란과 이순신
이순신 장군은 명량해전에서 승리한 후 이곳에서 열하루 동안 머물며 전열을 재정비하였다. 임진왜란 당시 함선의 정박기지 기능을 수행했던 해상 요충지였다.[4] 선유도의 중심 마을인 진말(鎭里)은 군산진(群山鎭)이 있던 곳으로, 마을 이름에 수군 기지가 있었던 흔적이 남아 있다.3. 지질
선유도는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화산암으로 구성되어 있다.[5] 선유도에는 야미도 유문암과 선유도 유문각력암이 분포한다.
3. 1. 야미도 유문암
야미도 유문암(Kyrh; yami island rhyolite)은 야미도를 비롯하여 동에서 서로 신시도, 무녀도, '''선유도''', 곶리도, 그리고 조그마한 섬인 계도, 시투섬, 살막섬, 박섬, 백포섬 등에 분포하며, 선유도 내에서는 남악산 주변과 선유도리 남동부에 분포한다. 야미도 유문암은 유동 구조가 현저히 잘 발달되기도 하나 괴상(塊狀)인 경우도 적지 않다. 야미도 유문암은 신선한 노두(암석이나 지층이 지표에 드러나 있는 부분)에서 회색을 띠나 대개 백색을 띠는 경우가 많다. 야미도 지역 시료로부터 추출한 지르콘을 SHRIMP(고분해능 이차이온 질량분석기) 분석한 결과 야미도 유문암의 암석 연령이 93.6±2.1Ma (9300만 년 전)로 나타났으며, 부안 화산암체의 암석 연령이 8~9천만 년 전인 것을 감안할 때 선유도 일대 화산체의 형성이 부안 화산체보다 약간 이른 시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3]3. 2. 선유도 유문각력암
선유도 유문각력암(Ksrb; seonyu island rhyolite breccia)은 선유도를 중심으로 대장도, 장자도, 솔섬, 닭섬 등지에 분포하며 이 지역의 유문암은 파쇄되어 다른 유문암과는 구별된다. 선유도리 서부와 망주봉(109.5 m) 주변에 분포하는 이 암석은 하얀 암석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위성 사진으로도 그 분포 지역을 알 수 있다. 이 암석은 선유도 일대 화산체의 중서부에 위치하며 화산체 분출과 이에 따른 화도의 붕락 과정에서 형성되었거나 중첩되는 분출 과정에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하면 이 유문각력암의 존재는 '''이 분포지가 화산체의 중심부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유문각력암(rhyolite breccia)은 대개 유문암이 파쇄되어 기질과 입자 모두 유문암 기원의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력은 경우에 따라 원마도가 높은 경우도 있어 외견상 역암처럼 보이는 곳도 있다.[3]4. 지리
선유도는 남섬과 북섬으로 나뉘는데, 그 사이에 사주가 발달하여 하나의 섬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주의 동쪽에는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다. 남섬 북쪽에는 진말(鎭里)이, 남쪽에는 통개 마을(通里)이 있다. 북섬에는 새터(샛터), 밭너머(田越里), 남악(南岳里) 등 3개의 작은 마을이 있다.[1]
4. 1. 주요 지형
섬은 남섬과 북섬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남섬이 0.9km2, 북섬이 1.2km2이며, 그 사이에 긴 사주가 발달되어 하나의 섬으로 연결하고 있다. 사주의 동쪽에는 갯벌이 넓게 펼쳐져 있다. 북섬의 남쪽에는 망주봉(104.5m), 북쪽에는 남악산(155.6m), 남섬의 서쪽에는 선유봉(111m)이 있다.4. 2. 주민 생활
주민들은 대부분 어업과 관광 관련 산업에 종사한다. 연근해에서는 멸치, 조기, 바지락, 꼴뚜기, 주꾸미 등이 많이 잡히며, 김과 굴 양식이 이루어진다.[1] 농산물로는 쌀, 보리, 고구마, 마늘, 고추 등이 소량 생산된다.[1] 섬의 중심인 진말에 초·중학교, 보건지소, 우체국이 있다.[1]5. 선유8경
선유도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으로 유명하며, 다음과 같은 8가지 명소가 있다.
- '''망주폭포'''(望主瀑布): 귀양 간 선비가 임금을 그리며 흘리는 눈물 같다고 한다.
- '''명사십리'''(明沙十里): 10리 길이의 모래사장으로 유명하다.
- '''평사낙안'''(平沙落雁): 모래사장에서 자라난 팽나무가 마치 기러기 내려앉은 모습과 같다고 한다.
- '''삼도귀범'''(三島歸帆): 선유도 앞에 있는 3개의 섬의 모습이 마치 돛단배가 섬으로 들어오는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 '''장자어화'''(壯子漁火): 장자도 앞바다에서 밤에 조업하는 어선들의 불빛을 뜻한다.
- '''무산십이봉'''(無山十二峯): 방축도, 명도, 말도 3개 섬의 12개 봉우리가 마치 여러 무사들이 서 있는 것 같다고 한다.
- '''월영단풍'''(月影丹楓): 신시도의 고운 단풍이 달빛 그림자와 함께 바다에 비친다고 한다.
- '''선유낙조'''(仙遊落照): 석양이 지는 바다가 붉게 물들어 장관을 이룬다고 한다.
6. 교통
2017년 12월 28일 새만금방조제와 고군산군도의 주요 섬들(신시도, 무녀도, 장자도, 선유도)을 연결하는 왕복 2차선 고군산로가 개통되어 육지와 연결되었다.[6][7] 이 도로는 2007년 직도 사격장 허가의 보상 차원에서 2009년부터 건설되었는데, 국비 지원의 차질과 시공사의 부도 등으로 공사가 지연되어 당초 계획보다 4년 늦게 개통되었다.[8] 이 중 선유도와 무녀도를 잇는 다리는 선유교(仙遊橋)라고 한다.[9] 이 도로가 개통되기 전에는 주민과 관광객은 주로 군산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운항되는 정기 여객선을 이용해 육지와 교통하였다.
1986년 12월에는 선유구교(仙遊舊橋)와 장자구교가 건설되어 선유도는 동쪽의 무녀도, 서쪽의 장자도와 연결되었다. 두 다리는 길이 268m, 폭 3 m, 높이 30 m, 설계하중 0.5톤(500kg)으로 동일한 쌍둥이 다리이다. 좁은 폭과 설계하중 때문에 오토바이 정도만 이용할 수 있고, 장자구교는 2011년 8월 8일 해상 크레인이 충돌해 다리 상판이 절단되는 사고가 있어서 오토바이도 다닐 수 없다.[10]
7. 갤러리
참조
[1]
간행물
선유도 (仙遊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1
[2]
웹사이트
Seonyudo Island (선유도)
https://english.visi[...]
[3]
지도
대동여지도
http://mirror.puzzle[...]
1861
[4]
뉴스
정유년 9월 16일~10월 29일 : 명량(9월 16일)→선유도(9월 21일~10월 3일)→장산도(10월 11일~29일)
http://www.honam.co.[...]
무등일보
2014-11-11
[5]
웹인용
군산·부안·방축도·장자도도폭 지질조사보고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013
[6]
뉴스
군산 고군산 4개 섬 육지 됐다…8.77km 연결도로 전면개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12-28
[7]
뉴스
해양환경관리공단, 고군산군도 연결도로 사업 중 선유교 교량설치 완료
http://www.dtoday.co[...]
일간투데이
2016-03-09
[8]
뉴스
고군산군도 4개섬 육지된다… 총연장 8.76km 연륙교 공사 2013년 말 완공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9-11-10
[9]
뉴스
군산 고군산군도 연결 다리 명칭 확정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6-10-23
[10]
뉴스
떠내려가던 바지선 장자교와 충돌…통행 차단
https://news.v.daum.[...]
MBC
2011-08-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