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아트센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남아트센터는 2005년 10월 14일 개관한 복합 문화 공간으로, 오페라하우스, 콘서트홀, 앙상블시어터, 미술관, 큐브미술관, 미디어홀, 성남미디어센터, 책테마파크, 성남아트리움, 중앙공원 야외공연장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성남문화재단이 위탁 운영하며, 다양한 공연, 전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022년에는 성남시민회관을 대체하는 성남아트리움이 개관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5년 완공된 예술 시설 - 서울대학교 미술관
서울대학교 미술관은 렘 콜하스가 설계하고 삼성문화재단의 협찬으로 건립되어 2006년 개관한 관악캠퍼스 내 미술관으로, 현대 미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한국 현대 미술의 중심지 역할을 한다. - 성남시의 문화 - 에이틴 (드라마)
2018년 방영된 웹드라마 에이틴은 십 대들의 고민인 학업, 우정, 사랑을 현실적으로 그려내 큰 인기를 얻었으며 도하나, 김하나, 남시우, 하민, 여보람, 차기현 여섯 명의 고등학생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 성남시의 문화 -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
성남시에서 매년 개최되는 성남 박태현 전국 창작동요제는 어린이 정서 함양과 창작 동요 발전에 기여하는 창작 동요 경연 대회이다. - 경기도의 예술 시설 - 국립현대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은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국립 미술관으로, 서울, 과천, 덕수궁, 청주 4곳에서 다양한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방대한 소장품을 통해 한국 미술의 발전과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 경기도의 예술 시설 - 호암미술관
성남아트센터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808 |
개장 | 2005년 10월 14일 |
웹사이트 | 성남아트센터 |
시설 정보 | |
현재 사용 여부 | 운영 중 |
2. 연혁
1994년 기본 계획 수립과 공모를 시작으로, 2000년에 착공하여 2005년 10월 14일 개관하였다. 초기에는 성남시 직영으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개관과 함께 비영리 기구인 성남문화재단이 성남시민회관과 함께 위탁 운영을 맡았다. 성남문화재단은 공연 및 전시 기능을 갖춘 복합문화공간 운영과 공공성을 강조하는 문화재단 활동을 함께 수행하는 모델을 지향한다.
연도 | 주요 내용 |
---|---|
1994년 | 기본 계획 수립 및 공모 시작 |
2000년 | 착공 |
2005년 10월 14일 | 개관 (운영: 성남문화재단) |
2008년 | MBC 드라마 베토벤 바이러스 촬영지로 활용 |
2010년 | 개관 5주년, 큐브플라자(큐브미술관, 미디어홀 등) 개관 |
2012년 12월 | 성남미디어센터 개관 |
성남아트센터는 다양한 장르의 공연과 전시를 수용할 수 있는 복합 문화예술 공간으로, 여러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 공연 시설로는 오페라하우스, 콘서트홀, 앙상블시어터가 있으며, 이들 공연장에서는 오페라, 발레, 뮤지컬, 콘서트, 연극 등 다채로운 공연이 열린다.
개관 이후, 성남아트센터는 선도적인 공연 예술을 국내에 소개하는 동시에 지역 주민과 밀착된 문화 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자 노력해왔다. 말러 스페셜리스트 길버트 카플란, 바리톤 마티아스 괴르네, 메조 소프라노 안네 소피 폰 오터, 고음악의 거장 톤 쿠프만, 피아니스트 아르카디 볼로도스, 현대무용가 윌리엄 포사이스 등 세계적인 예술가들의 한국 초연 무대를 유치하였으며, 과감한 자체 제작 프로그램을 선보이는 등 신생 공연장으로서 주목할 만한 활동을 펼쳤다. 특히 지역 유적인 남한산성을 소재로 창작 뮤지컬을 제작하여 성남시의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키기도 했다.
성남문화재단은 성남아트센터 운영 외에도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넓히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문 문화예술교육을 제공하는 아카데미 사업, 성남형 엘 시스테마 사업인 '어울리오 오케스트라', 시민 문화예술 동호회를 발굴하고 지원하는 '사랑방문화클럽'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사랑방문화클럽' 사업은 시민 주도의 문화 활동을 장려하며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모델로 평가받아, 2010년 민관협력 우수사례 공모 대상(국무총리상),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예술 10대 트렌드 선정, 2012년 지역·전통문화 브랜드 공모 대상(문화체육관광부 주최) 등을 수상하며 그 성과를 인정받았다.
2013년 3월 말 기준으로 성남아트센터를 찾은 누적 관객 수는 420만 명이며, 성남시민회관, 책 테마파크 등 성남문화재단이 운영하는 모든 시설의 총 누적 관객 수는 715만 명에 달했다.
3. 시설
전시 공간으로는 미술관 본관과 큐브미술관이 있어 국내외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미디어홀, 성남미디어센터, 분당구 율동공원 내 책테마파크, 옛 성남시민회관 자리에 건립된 성남아트리움, 분당구 중앙공원 내 야외공연장 등 다양한 문화 공간과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관람객 편의를 위해 어린이집, 식당, 편의점, 아트숍, 플라워숍 등의 부대시설과 주차 공간을 제공하며,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 아카데미 강좌도 운영한다. 회의실 등의 시설도 갖추고 있다.
3. 1. 주요 시설
; 오페라하우스 (Opera House)
총 3층, 1808석 규모의 다목적 복합 공연장이다. 첨단 무대시설을 갖추어 오페라, 발레, 뮤지컬, 콘서트, 연극 등 모든 장르의 공연을 수용할 수 있다. 오케스트라 피트와 회전무대, 승강무대, 보조무대 등을 완비하고 있다.
; 콘서트홀 (Concert Hall)
총 2층, 1102석(합창석 포함) 규모의 음향 전문 공연장이다. 클래식 음악 공연에 최적화된 설계를 갖추었으며, 홀 잔향 시간은 1.8초이다. 위에서 보았을 때 그랜드 피아노 형태이며, 무대막이 없는 아레나형 무대로 어느 객석에서나 편안한 감상이 가능하다.
; 앙상블시어터 (Ensemble Theater)
378석 규모의 소극장이다. 연극과 리사이틀, 실험적인 공연 등 다양한 무대를 소화할 수 있다. 전면 무대 외에 객석으로 돌출하는 T자형 무대와 회전 무대 장치 등을 갖추어 무대와 관객이 가깝게 호흡하는 연출이 가능하다.
; 미술관 본관
오페라하우스 지하에 위치한 전시 공간이다. 회화, 조각, 사진, 공예, 서예 등 다양한 장르의 전시회가 열린다. 1, 2, 3 전시실로 나뉘어 있으며, 항온·항습 시설과 조명 설비를 갖추고 있다.
; 큐브미술관
큐브플라자 2층에 위치한 760m2 규모의 미술관이다. 개관 기념 특별전 <영국현대회화 - 존 무어 상 수상작가>전을 시작으로, 특색 있는 기획 전시를 통해 수준 높은 전시 문화를 제공하고 있다.
; 미디어홀
큐브플라자 3층에 위치한 100석 규모의 멀티미디어홀이다. 극장식 좌석과 고급 AV 음향 시스템, 블루레이 플레이어, 풀 HD 프로젝터, 돌비 & DTS 서라운드 시스템, 대형 스크린 등을 갖추고 있어 영화 상영 및 음악 감상에 적합하다. 소규모 공연이나 동호회 발표회 등 다목적 공간으로도 활용된다.
; 성남미디어센터
2012년 12월 개관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경기도, 성남시의 지원으로 건립되어 성남문화재단이 운영한다. 시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고 자신을 표현할 수 있도록 미디어 활용 교육, 제작 활동 등을 지원하는 공간이다. 스튜디오, 강의실, 미디어 도서관, 각종 촬영·음향·조명·편집 장비 등을 갖추고 있다.
; 책테마파크
분당구 율동공원 내에 위치한 책 주제의 테마 공간이다. 책의 역사를 그린 미로 벽화 산책로, 책 모양 연못이 있는 명상 공간, 북카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북카페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자료실, 이벤트 전시 공간 등을 갖추어 독서와 휴식을 위한 창조적인 공간으로 운영된다.
; 성남아트리움
수정구 태평동의 옛 성남시민회관 자리에 2022년 3월 4일 개관했다. 성남시민회관은 시설 노후화 및 인근 성남시의료원 공사로 인한 안전 문제로 2015년 6월 30일 운영을 중단하고 철거되었다. 성남아트리움은 건축면적 4943m2, 전체면적 23943m2 규모(지하 4층, 지상 2층)로 건립되었으며, 645석의 대극장과 약 200석의 소극장을 갖추고 있다. 성남예총, 성남민예총, 성남여성합창단 등 지역 예술 단체 사무실도 입주해 있다. '아트리움'이라는 명칭은 예술 단체와 시민을 대상으로 한 공모 및 선호도 조사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시민과 함께 소통하는 창의적인 문화예술공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 중앙공원 야외공연장
분당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한 야외 공연장이다. 480석의 고정 객석과 6600m2의 잔디 객석을 합쳐 최대 11,00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첨단 음향 및 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2012년부터 매년 여름 시민들을 위한 무료 공연인 <파크 콘서트>가 열리고 있다.
3. 2. 전시 시설
성남아트센터에는 다양한 전시를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주요 전시 시설로는 미술관 본관과 큐브미술관이 있다.3. 3. 부대 시설
'''미술관 본관'''
오페라하우스 지하에 위치한 전시문화공간이다. 회화, 조각품, 사진, 공예품, 서예 등의 전시회가 열린다. 1, 2, 3 전시실로 나뉘어 있으며, 항온 ․ 항습시설과 조명설비 등을 갖추고 있다.
'''큐브미술관'''
큐브플라자 2층에 위치한 760m2 (230평) 규모의 미술관이다. 개관 기념 특별전 <영국현대회화 - 존 무어 상 수상작가>전을 시작으로 성남아트센터만의 특색 있는 기획전시를 통해 전시문화를 제공한다.
'''미디어홀'''
큐브플라자 3층에 위치하며 100석의 극장식 좌석과 AV음향시스템을 갖춘 멀티미디어홀이다. 블루레이 플레이어, 풀HD 해상도의 프로젝터, 하이엔드급 앰프와 스피커, 돌비&DTS 서라운드 시스템, 대형 스크린 등을 갖추고 있다. 영화 상영, 소규모 공연, 사랑방문화클럽 발표회 등 다목적 공간으로 이용된다.
'''성남미디어센터'''
2012년 12월 개관하였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경기도, 성남시의 지원으로 건립되어 성남문화재단에서 운영한다. 시민들이 미디어를 통해 소통하고 활용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공간이다. 스튜디오, 강의실, 미디어 도서관, 촬영 ․ 음향 ․ 조명 ․ 편집 장비 등을 갖추고 있다.
'''책테마파크'''
분당구 율동공원 내에 위치한 책 테마의 공간이다. 책의 역사를 그린 미로 형상 벽화 산책로, 책 모양 연못이 있는 명상공간, 북카페 등으로 구성되어 독서 의욕과 상상력을 고취시킨다. 북카페는 멀티미디어 시청각실, 자료실, 이벤트 전시 공간 등을 포함한다.
'''성남시민회관 (철거)'''
성남시 수정구 태평동에 위치했던 시설로, 1,012석의 대극장과 288석의 소극장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2005년부터 성남문화재단이 위탁 운영하였으나, 시설 노후화 및 인근 성남시의료원 공사로 인한 안전 문제로 2015년 6월 30일 운영을 중단하고 철거되었다.
'''성남아트리움'''
2022년 3월 4일 옛 성남시민회관 자리에 개관하였다. 성남시의료원 옆에 위치하며, 건축면적 4943m2, 전체면적 23943m2, 지하 4층, 지상 2층 규모이다. 645석의 대극장, 약 200석의 소극장 및 성남예총, 성남민예총, 성남여성합창단 등 지역 예술단체 사무실이 입주해 있다. '아트리움' 명칭은 공모와 선호도 조사를 통해 결정되었으며, '시민과 소통하는 창의적인 문화예술공간'을 의미한다.
'''중앙공원 야외공연장'''
분당구 중앙공원 내에 위치한 야외 공연장이다. 480석의 고정 객석과 6600m2의 잔디 객석을 합쳐 최대 11,00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음향 및 조명 시설을 갖추고 있다. 2012년부터 매년 여름 무료 공연인 <파크 콘서트>가 열리고 있다.
'''기타 편의시설'''
4. 상주 단체
성남아트센터 콘서트홀에는 4개의 성남시 시립예술단이 상주하고 있다. 성남시 시립예술단은 1986년 시립합창단을 시작으로 현재 시립소년소녀합창단, 시립교향악단, 시립국악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예술단은 시민과 함께하는 수준 높은 문화 보급과 지방 문화예술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5. 주요 공연 및 행사
- 2009년: 김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뮤지컬 ''남한산성''이 공연되었다. 이 소설은 1636년 병자호란 당시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청나라 홍타이지에 맞서 싸우다 항복한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이는 1627년 정묘호란 이후의 일이다.[1] 그러나 뮤지컬은 이러한 역사적 비극 속에서도 꿋꿋하게 생존하려는 평범한 백성들의 삶과 강인한 정신력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를 풀어냈다. 아이돌 그룹 슈퍼주니어의 멤버 예성이 하인 출신 통역관 '정명수' 역을 맡아 출연했으며, 해당 공연은 10월 9일부터 11월 4일까지 오페라 하우스 무대에 올랐다.[2]
참조
[1]
뉴스
Musicals hope for seasonal bounce
http://www.koreahera[...]
Korea Herald
2010-03-30
[2]
뉴스
2 Super Junior members cast for musical
http://www.asiae.co.[...]
Asiae
2009-09-1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성라자로마을, ‘그대있음에’ 음악회 성남아트센터서 개최
세종대 만화애니메이션텍 박재우 교수성남아트센터에서 애니메이션 기획 개인전 개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