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전기사단 총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전기사단 총장은 성전기사단을 이끌었던 수장들을 의미한다. 1118년 위그 드 파앵이 초대 총장으로 임명된 이후, 1314년 자크 드 몰레까지 총 23명의 총장이 존재했다. 이들은 십자군 전쟁 시기 예루살렘 왕국을 지원하고, 잃어버린 성지를 되찾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1291년 아크레 함락 이후 세력이 약화되었고,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의 탄압으로 인해 1312년 교황 클레멘스 5세에 의해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전기사단 총장 - 에버라드 데 바레스
에버라드 데 바레스는 프랑스 출신의 기사로, 루이 7세의 신임을 받으며 1147년부터 1152년까지 템플 기사단의 제3대 총장을 지냈으나, 재정 문제와 내부 갈등으로 사임 후 수도원으로 은퇴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다. - 성전기사단 총장 - 로베르 드 크라온
로베르 드 크라온은 12세기 프랑스 귀족 출신으로 성전기사단의 제2대 그랜드 마스터였으며, 약혼을 파기하고 기사단에 입단하여 교황 직속 기사단으로 만들고 세력을 확장했으나, 제2차 십자군에 참여한 후 1147년에 사망했다.
성전기사단 총장 | |
---|---|
개요 | |
직책 | 성전기사단 총장 |
영어 명칭 | Grand Master of the Knights Templar |
지위 | 성전기사단의 최고 지도자 |
임명 방식 | 기사단 내부 선출 |
임기 | 종신 |
역할 및 권한 | |
군사적 지휘 | 기사단의 군사 작전 총괄 지휘 |
행정적 관리 | 기사단의 재산, 자원, 조직 관리 |
외교적 대표 | 기사단을 대표하여 교황, 국왕 등과 외교 관계 담당 |
사법적 권한 | 기사단 내부 분쟁 조정 및 재판 |
정신적 지도 | 기사단의 정신적 가치 수호 및 단원 교육 |
선출 과정 | |
후보 선출 | 기사단 내 고위 기사들에 의해 후보 추천 |
투표 | 전체 기사단의 투표를 통해 최종 선출 |
승인 | 교황의 승인을 받아 최종 임명 |
역대 총장 목록 | |
초대 총장 | 위그 드 파앵 (1118년 - 1136년) |
2대 총장 | 로베르 드 크라옹 (1136년 - 1149년) |
3대 총장 | 에브라르 데 바레스 (1149년 - 1151년) |
4대 총장 | 베르나르 드 트레믈레 (1151년 - 1153년) |
5대 총장 | 앙드레 드 몽바르 (1153년 - 1156년) |
6대 총장 | 베르트랑 드 블랑슈포르 (1156년 - 1169년) |
7대 총장 | 필리프 드 밀리 (1169년 - 1171년) |
8대 총장 | 외드 드 생아망 (1171년 - 1179년) |
9대 총장 | 아르노 드 토로주 (1180년 - 1184년) |
10대 총장 | 제라르 드 리드포르 (1185년 - 1189년) |
11대 총장 | 로베르 드 사블레 (1191년 - 1193년) |
12대 총장 | 질베르 에랄 (1193년 - 1200년) |
13대 총장 | 필리프 뒤 플레시 (1201년 - 1209년) |
14대 총장 | 기욤 드 샤르트르 (1210년 - 1219년) |
15대 총장 | 페드루 데 몬테이루 (1219년 - 1232년) |
16대 총장 | 아르망 드 페리고르 (1232년 - 1244년/1247년) |
17대 총장 | 리처드 드 뷔레 (1245년 - 1247년) |
18대 총장 | 기욤 드 소노 (1247년 - 1250년) |
19대 총장 | 르노 드 비에르 (1250년 - 1256년) |
20대 총장 | 토마 베로 (1256년 - 1273년) |
21대 총장 | 기욤 드 보졸레 (1273년 - 1291년) |
22대 총장 | 티보 고댕 (1291년 - 1292년) |
23대 총장 | 자크 드 몰레 (1292년 - 1314년) |
2. 성전기사단 총장 목록
(예루살렘 왕국)
성전산에 본부 설치.
1129년 트루아 공의회에서 정식 수도회로 공인.
성전기사단이 세속군주의 법률에 복종해야 할 의무 면제됨.
(예루살렘 왕국)
갈릴리 해 주변으로 무슬림에게 반격 시도했으나 무용.
1239년 다마스쿠스 술탄과 동맹.
1244년 이집트 술탄의 화레즘인 용병대와 전투(하르비야 전투), 패배. 전사 또는 포로.[1]
페리고르가 하르비야 전투에서 포로로 잡히거나 죽자 서리를 맡았을 가능성 있음.[1]
(키프로스 왕국)

성지 상실 후 기사수도회의 개혁을 꾀함.
1307년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에게 체포, 이단 누명을 쓰고 1314년 화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