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크 드 몰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크 드 몰레는 1240년에서 1250년 사이에 태어난 부르고뉴 출신의 템플 기사단으로, 1265년 템플 기사단에 입단하여 1292년 템플 기사단 총장이 되었다. 그는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여 성지 회복을 시도했으나 실패하고, 프랑스 왕 필리프 4세에게 체포되어 이단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1314년 화형에 처해졌으며, 그의 죽음과 관련된 저주 전설과 프리메이슨과의 연관성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트손주 출신 - 장 프랑수아 카르토
    장 프랑수아 카르토는 프랑스 혁명 시기 화가에서 군인으로 변신하여 툴롱 공방전을 지휘했으나 부적절한 전술로 해임되었고, 나폴레옹 집권 후 공직을 맡다가 1813년에 사망했다.
  • 오트손주 출신 - 쥘 리메
    쥘 리메는 국제 축구 연맹(FIFA)의 창립에 기여하고 FIFA 월드컵을 창설했으며, 프랑스 축구 연맹 회장과 FIFA 회장을 역임하며 축구 발전에 기여한 프랑스의 축구 행정가이다.
  • 프랑스의 기사 - 아그리파 도비녜
    아그리파 도비녜는 위그노 전쟁에 참여하여 앙리 4세를 섬긴 프랑스의 시인이자 군인, 역사가로, 종교적 신념과 사회 비판을 담은 《비극》, 《파네스트 남작의 모험》, 《세계사》 등의 작품을 남겼으며, 그의 손녀는 루이 14세의 두 번째 아내가 되었다.
  • 프랑스의 기사 - 샤를 데옹 드 보몽
    샤를 데옹 드 보몽은 18세기 프랑스의 외교관, 군인, 스파이, 펜싱 선수로서, 루이 15세의 비밀 외교 조직에서 활동하고 7년 전쟁에 참전했으며, 성별 논란 속에 여성으로 살아가 젠더 정체성에 대한 논의를 일으킨 인물이다.
  • 1234년 출생 - 아바카 칸
    아바카 칸은 훌라구의 아들이자 일 칸국의 제2대 칸으로, 킵차크 칸국, 차카타이 칸국과의 전쟁과 서방 기독교 세력과의 외교 관계 추진, 이란 지역 통치 정비, 몽골 제국 영향력 확장 등의 활동을 펼쳤다.
  • 1234년 출생 - 기시 내친왕 (1234년)
    기시 내친왕은 1234년에 태어나 츄쿄 천황의 유일한 자녀로, 1257년에 내친왕, 1261년에 준삼궁이 되었으며, 1287년에 출가하여 신뇨카쿠라는 법명을 받고 1290년에 사망했다.
자크 드 몰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직함제23대 성전기사단 총장
임기 시작1292년
임기 종료1312년
군주필리프 4세
이전 총장티보 고댕
이후 총장기사단 해산
출생일1240년경 - 1250년경
출생지몰레, 부르고뉴 백국
사망일1314년 3월 11일 또는 3월 18일 (약 70세)
사망지파리, 프랑스
국적프랑슈-콩테
소속성전기사단
복무 기간1265년 – 1314년
계급총장 (1292년–1314년)
참전루아드 공성전
자크 드 몰레
자크 드 몰레
이름
서명

2. 초기 생애

자크 드 몰레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1265년에 21세의 나이로 템플 기사단에 입단했으며, 1314년 처형 당시 약 70세였다고 알려져 있다. 1270년경 동방(아웃르메르)으로 갔으나, 이후 20년간 그의 활동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33] 그는 부르고뉴 지방 소귀족 가문 출신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생애는 밝혀지지 않았다.

2. 1. 출생 및 가문

자크 드 몰레는 부르고뉴 백국의 오트손에 있는 몰레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이 지역은 신성 로마 제국의 일부로서 오토 3세가 통치했으며, 현대에는 프랑스 북동부의 프랑슈콩테 지역에 속한다.[5] 그의 출생 연도는 확실하지 않지만, 후일의 재판에서 진술된 내용을 미루어 볼 때, 아마도 1240~1250년경으로 추정된다.[5]

돔형 예배당에서 흰색 옷을 입은 수십 명의 남자가 있는 그림. 짧은 검은 머리에 짙은 파란색 옷을 입은 젊은 남자가 중앙의 의자에 무릎을 꿇고 흰색 옷을 입은 남자 중 한 명이 들고 있는 큰 열린 책의 무언가를 가리키고 있다.
자크 드 몰레가 1265년 사령부에서 템플 기사로 서품받는 모습. 마리우스 그라네(1777–1849)의 그림.


그는 대부분의 템플 기사들과 마찬가지로, 중간 계급이나 하위 계급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1] 알랭 드뮈르제는 그가 1244/45~1248/49년, 또는 심지어 1240년에서 1250년 사이에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5]

본 사령부의 작은 예배당 사진.
자크 드 몰레가 서품을 받은 사령부의 예배당.


1265년, 젊은 시절 그는 프랑스잉글랜드방문자였던 움베르 드 페로에 의해 하우스의 예배당에서 템플 기사단에 입단했다. 참석한 또 다른 저명한 템플 기사는 프랑스 지역의 템플 기사단장이었던 아모리 드 라 로슈였다.[3][33]

2. 2. 템플 기사단 입단

1265년, 자크 드 몰레는 하우스의 예배당에서 프랑스잉글랜드방문자였던 움베르 드 페로에 의해 템플 기사단에 입단했다. 당시 프랑스 지역의 템플 기사단장이었던 아모리 드 라 로슈도 이 자리에 함께 했다.[3][33]

3. 총장 시절

1291년 이집트 맘루크 왕조에 아크가 함락된 후, 프랑크족(가톨릭 유럽인들을 지칭하는 레반트 지역의 명칭)은 키프로스 섬으로 후퇴했다. 키프로스는 쇠퇴해가는 예루살렘 왕국의 본부가 되었으며, 본토에 있는 마지막 십자군 거점을 체계적으로 정복해나가던 이집트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는 십자군의 미래 군사 작전 기지가 되었다. 키프로스에 있던 템플 기사단에는 자크 드 몰레와 22대 티보 고댕 총장이 있었다. 1291년 가을, 섬에서 열린 회의에서 몰레는 기사단의 개혁을 이야기하며 현 총장의 대안으로 자신을 내세웠다. 1292년경 고댕이 사망했고, 당시 이 역할을 맡을 만한 경쟁자가 없었기에 몰레는 곧 선출되었다.[6]

몰레는 총장으로서 성지 회복을 위한 노력과 십자군 원정을 이끌었으며, 기사단 통합에 반대하고 개혁을 시도했다. 또한 프랑스 왕과의 갈등 속에서도 템플 기사단의 독립성을 지키려 노력했다.

1293년 봄, 몰레는 성지 재정복을 위한 더 많은 지지를 얻기 위해 서방 세계를 순회하기 시작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아라곤의 하이메 1세, 나폴리의 샤를 2세와 같은 유럽 지도자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면서, 키프로스의 방어를 강화하고 템플 기사단 병력을 재건하는 것이 즉각적인 목표였다.[7] 그의 여행을 통해 그는 일부 군주로부터 키프로스로의 물자 수출을 승인받았지만, 새로운 십자군에 대한 확고한 약속은 얻지 못했다.[8]

이때 템플 기사단을 다른 군사 기사단 중 하나인 구호 기사단과 통합하자는 이야기가 나왔지만, 두 기사단의 총장들은 이러한 통합에 반대했고 교황청의 압력은 증가했다.[7] 몰레는 1293년 몽펠리에1296년 아를에서 기사단의 두 차례 총회를 열어 개혁을 시도했다.

1305년, 새로 선출된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새로운 십자군과 기사단의 통합에 대한 의견을 군사 기사단 지도자들에게 요청했다. 몰레는 각 문제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1306년 여름 동안 이 작업을 수행했다.[12] 몰레는 각 기사단의 임무가 다소 다르기 때문에 분리된 군사 기사단을 갖는 것이 더 강력한 위치라고 믿었기에 통합에 반대했다. 그는 또한 새로운 십자군이 있다면 작은 시도는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여야 한다고 믿었다.[11][13]

1306년 6월 6일, 템플 기사단과 병원 기사단의 지도자들은 1306년 만성절 (11월 1일)로 예정된 회의를 위해 푸아티에의 교황청으로 오라는 공식적인 요청을 받았다. 그러나 이 회의는 나중에 교황의 위장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몰레는 1306년 10월 15일 키프로스를 떠나 1306년 말 또는 1307년 초 프랑스에 도착했지만, 회의는 교황의 질병으로 인해 5월 말까지 다시 연기되었다.[13]

템플 기사단에게 깊은 빚을 지고 있던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는 자신의 지휘 아래 기사단을 통합하여 스스로를 '렉스 벨라토르(Rex Bellator)', 즉 전쟁의 왕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그러나 몰레는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다. 필리프는 이미 교황과 대립하고 있었고, 성직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려고 시도했으며, 자신의 권위를 교황보다 높게 주장하려 했다. 이 때문에 클레멘스의 전임자 중 한 명인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필리프를 파문하려 했지만, 필리프는 보니파시오를 납치하여 이단 혐의로 기소했다. 노령의 보니파시오는 구출되었지만, 곧 충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후임 교황 베네딕토 11세는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는데,[14] 아마도 필리프의 고문 기욤 드 노가레에 의해 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 교황을 선택하는 데 1년이 걸렸고, 프랑스인 클레멘스 5세가 선택되었는데, 그는 또한 필리프의 뜻에 굴복하라는 강한 압력을 받았다. 클레멘스는 교황청을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푸아티에로 옮겼고, 필리프는 교황청과 템플 기사단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했다.

병원 기사단의 총장인 풀크 드 빌라레 또한 로도스에서의 전투에 참여하면서 프랑스 여행이 지연되었다. 그는 늦여름에 도착했기 때문에,[13] 몰레는 그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교황을 만나 다른 문제들을 논의했는데, 그 중 하나는 템플 기사단의 입문식에서의 부적절함에 대한 비난을 한 명 이상의 축출된 템플 기사단원들이 제기한 혐의였다. 몰레는 이미 1307년 6월 24일 파리에서 왕과 그의 기사단에 대한 혐의에 대해 논의했고 부분적으로 안심했다. 푸아티에로 돌아온 몰레는 교황에게 기사단을 둘러싼 소문과 비난을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할 것을 요청했고, 교황은 1307년 8월 24일 조사를 소집했다.

분류:성전기사단

분류:프랑스의 십자군

분류:기독교의 군사 수도회

분류:13세기

분류:14세기

3. 1. 성지 회복 노력과 십자군 원정

1291년, 아크가 이집트 맘루크 왕조에게 함락된 후, 프랑크족은 키프로스 섬으로 후퇴했다. 키프로스는 쇠퇴해가는 예루살렘 왕국의 본부가 되었고, 맘루크 왕조에 대항하는 십자군의 군사 작전 기지가 되었다. 당시 템플 기사단에는 자크 드 몰레와 22대 그랜드 마스터 티보 고댕이 있었다. 몰레는 기사단의 개혁을 주장하며 자신을 그랜드 마스터의 대안으로 내세웠고, 1292년경 고댕이 사망하자 경쟁자 없이 그랜드 마스터로 선출되었다.[6]

1293년 봄, 몰레는 성지 재정복을 위한 지지를 얻기 위해 서방 세계를 순회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등 유럽 지도자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면서 키프로스 방어 강화와 템플 기사단 재건을 목표로 했다.[7] 그는 일부 군주로부터 키프로스 물자 수출 승인을 받았지만, 새로운 십자군에 대한 확고한 약속은 얻지 못했다.[8] 템플 기사단과 구호 기사단의 통합 논의가 있었지만, 양측 그랜드 마스터는 반대했다.

몰레는 1293년 몽펠리에와 1296년 아를에서 기사단 총회를 열어 개혁을 시도했다. 1296년 가을, 몰레는 키프로스의 앙리 2세와의 갈등에서 기사단을 방어하기 위해 키프로스로 돌아왔다.

1299년부터 1303년까지 몰레는 맘루크 왕조에 대한 새로운 공격을 계획하고 실행했다. 이 계획은 기독교 군사 기사단, 키프로스 왕과 귀족,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군대, 일 칸국 몽골의 세력을 연합하여 맘루크에 대항하고 시리아의 해안 도시 토르토사를 되찾는 것이었다.

가잔 칸일 칸국의 몽골 통치자로, 십자군과의 프랑코-몽골 동맹을 추구했지만 군사 작전을 성공적으로 조율하지 못했다.


프랑코-몽골 동맹을 맺으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몽골은 내전 등으로 인해 번번이 실패했다. 1299년, 일 칸국은 시리아 정복을 시도하여 와디 알-하자다르 전투에서 맘루크에게 승리하기도 했다.

1300년, 몰레와 키프로스 군대는 16척의 함대를 조직하여 이집트와 시리아 해안을 습격했다. 이 병력은 키프로스 왕 앙리 2세가 지휘했으며, 그의 형제 티레의 아말릭과 군사 기사단 수장, 몽골 지도자 가잔 칸의 대사도 동행했다. 함대는 1300년 7월 20일 파마구스타를 출발하여 로제타,[9] 알렉산드리아, 아크, 토르토사 등을 습격한 후 키프로스로 돌아갔다.[10]

키프로스인들은 1300년 말 토르토사 공격을 위해 루아드 섬에 연합군을 파견하여 교두보를 확보하려 했지만, 몽골의 지원은 오지 않았다. 1301년과 1302년에도 같은 일이 벌어졌고, 결국 1302년 9월 26일 루아드 포위전에서 섬이 함락되어 십자군의 본토 인근 마지막 거점이 사라졌다.

루아드 함락 이후, 몰레는 소규모 전술을 포기하고 새로운 십자군에 대한 지지를 얻고 키프로스에서 템플 기사단의 권위를 강화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앙리 2세와 그의 형제 아말릭 사이에 권력 투쟁이 벌어지자, 템플 기사단은 아말릭을 지지했고, 아말릭은 왕위를 차지하고 1306년 그의 형제를 추방했다. 한편, 유럽에서는 템플 기사단을 다른 군사 기사단과 통합하고, 하나의 왕 아래 두어야 한다는 압력이 증가했다.[11]

3. 2. 기사단 통합 반대와 개혁

1293년 봄, 몰레는 성지 재정복을 위한 더 많은 지지를 얻기 위해 서방 세계를 순회하기 시작했다. 교황 보니파시오 8세, 잉글랜드의 에드워드 1세, 아라곤의 하이메 1세, 나폴리의 샤를 2세와 같은 유럽 지도자들과 관계를 발전시키면서, 몰레의 즉각적인 목표는 키프로스의 방어를 강화하고 템플 기사단 병력을 재건하는 것이었다.[7] 그의 여행을 통해 그는 일부 군주로부터 키프로스로의 물자 수출을 승인받았지만, 새로운 십자군에 대한 확고한 약속은 얻지 못했다.[8]

이때 템플 기사단을 다른 군사 기사단 중 하나인 구호 기사단과 통합하자는 이야기가 나왔다. 두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들은 이러한 통합에 반대했지만, 교황청의 압력은 증가했다.[7] 몰레는 1293년 몽펠리에1296년 아를에서 기사단의 두 차례의 총회를 열어 개혁을 시도했다.

1305년, 새로 선출된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새로운 십자군과 기사단의 통합에 대한 의견을 군사 기사단 지도자들에게 요청했다. 몰레는 각 문제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1306년 여름 동안 이 작업을 수행했다.[12] 몰레는 각 기사단의 임무가 다소 다르기 때문에 분리된 군사 기사단을 갖는 것이 더 강력한 위치라고 믿었기에 통합에 반대했다. 그는 또한 새로운 십자군이 있다면 작은 시도는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여야 한다고 믿었다.[11][13]

1306년 6월 6일, 템플 기사단과 병원 기사단의 지도자들은 1306년 만성절 (11월 1일)로 예정된 회의를 위해 푸아티에의 교황청으로 오라는 공식적인 요청을 받았다. 그러나 이 회의는 나중에 교황의 위장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몰레는 1306년 10월 15일 키프로스를 떠나 1306년 말 또는 1307년 초 프랑스에 도착했지만, 회의는 교황의 질병으로 인해 5월 말까지 다시 연기되었다.[13]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는 자신의 지휘 아래 기사단을 통합하여 스스로를 '렉스 벨라토르(Rex Bellator)', 즉 전쟁의 왕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그러나 몰레는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다.

3. 3. 프랑스 왕과의 갈등

1305년, 새로 선출된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새로운 십자군과 기사단의 통합에 대한 의견을 군사 기사단 지도자들에게 요청했다. 몰레는 각 문제에 대한 메모를 작성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1306년 여름 동안 이 작업을 수행했다.[12] 몰레는 각 기사단의 임무가 다소 다르기 때문에 분리된 군사 기사단을 갖는 것이 더 강력한 위치라고 믿었기에 통합에 반대했다. 그는 또한 새로운 십자군이 있다면 작은 시도는 효과적이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여야 한다고 믿었다.[11][13]

1306년 6월 6일, 템플 기사단과 병원 기사단의 지도자들은 1306년 만성절 (11월 1일)로 예정된 회의를 위해 푸아티에의 교황청으로 오라는 공식적인 요청을 받았다. 그러나 이 회의는 나중에 교황의 위장염으로 인한 질병으로 인해 연기되었다. 몰레는 1306년 10월 15일 키프로스를 떠나 1306년 말 또는 1307년 초 프랑스에 도착했지만, 회의는 교황의 질병으로 인해 5월 말까지 다시 연기되었다.[13]

템플 기사단에게 깊은 빚을 지고 있던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는 자신의 지휘 아래 기사단을 통합하여 스스로를 '렉스 벨라토르(Rex Bellator)', 즉 전쟁의 왕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그러나 몰레는 이 아이디어를 거부했다. 필리프는 이미 교황과 대립하고 있었고, 성직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려고 시도했으며, 자신의 권위를 교황보다 높게 주장하려 했다. 이 때문에 클레멘스의 전임자 중 한 명인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필리프를 파문하려 했지만, 필리프는 보니파시오를 납치하여 이단 혐의로 기소했다. 노령의 보니파시오는 구출되었지만, 곧 충격으로 사망했다. 그의 후임 교황 베네딕토 11세는 1년도 채 되지 않아 사망했는데,[14] 아마도 필리프의 고문 기욤 드 노가레에 의해 독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음 교황을 선택하는 데 1년이 걸렸고, 프랑스인 클레멘스 5세가 선택되었는데, 그는 또한 필리프의 뜻에 굴복하라는 강한 압력을 받았다. 클레멘스는 교황청을 이탈리아에서 프랑스 푸아티에로 옮겼고, 필리프는 교황청과 템플 기사단에 대한 지배력을 더욱 강화했다.

병원 기사단의 총장인 풀크 드 빌라레 또한 로도스에서의 전투에 참여하면서 프랑스 여행이 지연되었다. 그는 늦여름에 도착했기 때문에,[13] 몰레는 그가 도착하기를 기다리는 동안 교황을 만나 다른 문제들을 논의했는데, 그 중 하나는 템플 기사단의 입문식에서의 부적절함에 대한 비난을 한 명 이상의 축출된 템플 기사단원들이 제기한 혐의였다. 몰레는 이미 1307년 6월 24일 파리에서 왕과 그의 기사단에 대한 혐의에 대해 논의했고 부분적으로 안심했다. 푸아티에로 돌아온 몰레는 교황에게 기사단을 둘러싼 소문과 비난을 신속하게 해소하기 위해 조사를 시작할 것을 요청했고, 교황은 1307년 8월 24일 조사를 소집했다.

4. 체포, 재판 및 처형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는 템플 기사단에 많은 빚을 지고 있었고, 템플 기사단의 재산을 몰수하여 빚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1307년 10월 13일, 필리프 4세는 프랑스 전역의 템플 기사단을 체포하라는 비밀 명령을 내렸고, 이로 인해 자크 드 몰레를 포함한 많은 템플 기사단원들이 체포되었다.[3]

필리프 4세는 템플 기사단을 이단 혐의 및 여러 날조된 혐의로 기소했고, 강압적인 심문을 통해 자백을 받아냈다. 몰레는 초기에는 혐의를 인정했으나, 이후 추기경들 앞에서 자백을 철회했다. 그러나 왕과 교황 사이의 권력 투쟁 속에서 몰레는 다시 자백을 번복해야 했다.

결국 몰레는 1314년 제프루아 드 샤르네[19]와 함께 사형 선고를 받고 센 강의 일 드 주이프에서 화형당했다.[19] 처형일은 1314년 3월 18일로 알려져 있지만,[20][21][18][22][23] 3월 11일이라는 주장도 있다.[20]

헨리 찰스 리에 따르면, 몰레와 샤르네는 자신들의 죄를 부인하고 기사단의 순수함을 주장하며 자백이 거짓이었다고 항변했다. 그러나 필리프 4세는 이들의 주장을 묵살하고 교회법에 따라 화형을 집행했다. 몰레와 샤르네는 죽음 앞에서도 의연함을 잃지 않아 백성들에게 순교자로 추앙받았고, 그들의 유해는 성유물로 여겨졌다.[4]

몰레는 죽기 전에 필리프 4세와 로마 교황 클레멘스 5세를 저주했다고 전해지며, 실제로 두 사람 모두 1314년에 사망했다. 또한 카페 왕조의 단절을 저주했다는 이야기도 있으며, 1328년 프랑스 왕위는 발루아 왕가로 넘어갔다.

4. 1. 체포와 심문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는 템플 기사단에게 깊은 빚을 지고 있었고, 템플 기사단의 재산을 몰수하고 빚에서 벗어나고자 했다.[3] 1307년 10월 13일 금요일 새벽, 필리프 4세는 비밀 명령을 내려 프랑스 전역의 템플 기사단을 대량 체포하도록 했다. 이 급습으로 자크 드 몰레와 파리 중앙 본부의 모든 템플 기사단이 체포되었다.[3] 몰레는 체포 전날인 10월 12일에 샤를 드 발루아 백작의 아내이자 필리프 4세의 매제인 코트네의 카트린의 장례식에서 상주였다.

자크 드 몰레 심문. 19세기 판화.


필리프 4세는 템플 기사단을 이단 혐의 및 여러 날조된 혐의로 기소했다. 이 혐의들 중 대부분은 이전에 필리프 4세의 요원들이 교황 보니파시오 8세에게 제기했던 것과 동일했다.

1307년 10월 24일과 25일, 파리 대학교에서 왕실 요원들의 강압적인 심문이 진행되었다.[3] 이 심문에서 몰레는 템플 기사단의 입회 의식에 "그리스도를 부인하고 십자가를 짓밟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고 자백했다. 그는 또한 모든 템플 기사단에게 이러한 행위를 인정하라고 요청하는 편지를 쓰도록 강요받았다. 필리프 4세의 압력으로 교황 클레멘스 5세는 전 기독교 세계의 모든 템플 기사단을 체포하라고 명령했다.

하지만 교황은 몰레의 입장을 직접 듣고 싶어 1307년 12월에 두 명의 추기경을 파리로 보냈다. 추기경들 앞에서 몰레는 앞선 자백을 철회했다. 이후 왕과 교황 사이에 권력 투쟁이 벌어졌고, 1308년 8월에 유죄 판결을 분할하는 데 동의하면서 해결되었다. 교황 칙서 ''자비로우신 분''을 통해 템플 기사단을 기소하는 절차가 이중적으로 설정되었다. 한 위원회는 기사단의 개인을 심판하고, 다른 위원회는 기사단 전체를 심판하도록 했다. 교황 클레멘스는 템플 기사단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해 1310년 비엔에서 공의회를 소집했고, 그동안 몰레를 포함한 기사단의 고위 관계자들은 교황에 의해 심판받게 되었다.[17]

시농에 있는 왕궁에서 몰레는 다시 추기경들에게 심문을 받았지만, 이번에는 왕실 요원이 참석한 가운데 1307년에 한 강압적인 자백으로 돌아갔다. 1309년 11월, 프랑스 왕국을 위한 교황 위원회는 자체 청문회를 시작했는데, 몰레는 다시 자신의 기사단에 제기된 혐의를 인정하지 않는다고 밝히며 철회했다.

필리프 4세가 이전에 강요된 자백을 사용하여 1310년 5월 10일부터 5월 12일 사이에 54명의 템플 기사단을 화형에 처하도록 선고하면서, 템플 기사단의 모든 반대는 효과적으로 꺾였다.

4. 2. 시농 양피지와 교황의 면죄부

2001년 9월, 바르바라 프라엘레는 바티칸 비밀 문서 보관소에서 시농 양피지의 사본을 발견했는데, 이 문서는 1308년 교황 클레멘스 5세가 자크 드 몰레와 제프루아 드 샤르니, 으그 드 페로를 포함한 다른 템플 기사단 지도자들의 죄를 사면했음을 명시적으로 확인해 준다. 그녀는 2004년 ''중세사 저널''에 이 발견 내용을 발표했다.[24] 역사가들에게 잘 알려진 또 다른 시농 양피지는 1308년 8월 20일 프랑스의 필리프 4세에게 보낸 것으로,[25][26][27] 이 양피지는 이단 행위를 자백한 모든 템플 기사단원에게 면죄가 주어졌고, "그들을 성사(聖事)와 교회의 일치로 복원했다"고 명시하고 있다.[28][29]

4. 3. 화형

자크 드 몰레의 처형 장소인 파리의 표지석. (번역: ''이곳은 1314년 3월 18일 템플 기사단의 마지막 그랜드 마스터인 자크 드 몰레가 화형당한 곳이다.''), 퐁뇌프 다리에서 계단으로 내려가는 곳에 위치해 있다.


몰레는 1314년 제프루아 드 샤르네[19]와 함께 추기경 사절단의 결정에 따라 필리프 4세 국왕의 명령이 아닌 상황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다.[18] 그는 센 강의 일 드 자비오에서 화형당했다.[19] 알랭 드뮈르제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처형일을 1314년 3월 11일로 추정하지만, 1314년 3월 18일로 인용되기도 한다.[20][21][18][22][23]

헨리 찰스 리는 몰레의 죽음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추기경들은 1314년 3월 18일까지 그들의 임무를 미루었고, 그날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서, 템플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 자크 드 몰레, 노르망디의 마스터 제프루아 드 샤르네, 프랑스 방문자 위그 드 페로, 아키텐의 마스터 고드프로이 드 곤느빌이 7년 가까이 갇혀 있던 감옥에서 끌려 나와, 상스 대주교와 그들이 소환한 다른 몇몇 고위 성직자들과 함께 추기경들이 합의한 형벌을 받았다. 죄인들이 자백하고 확인한 범죄를 고려할 때, 부과된 형벌은 규칙에 따라 영구적인 투옥이었다. 이 사건은 종료된 것으로 보였으나, 고위 성직자들의 당혹감과 모여든 군중들의 경이로움 속에서 자크 드 몰레와 제프루아 드 샤르네가 일어섰다. 그들은 자신들에게 씌워진 죄를 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기사단을 비겁하게 배신했다고 말했다. 기사단은 순수하고 신성했으며, 혐의는 허구였고 자백은 거짓이었다. 추기경들은 서둘러 그들을 파리 시장에게 넘기고, 이 예상치 못한 상황에 대해 숙고하기 위해 물러났지만, 그들은 모든 문제에서 벗어났다. 이 소식이 필리프에게 전해지자 그는 격노했다. 그의 의회와 짧은 상의만 필요했다. 교회법은 재발한 이단자는 심리 없이 화형에 처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사실은 명백했고 교황 위원회의 공식적인 판결을 기다릴 필요가 없었다. 그날 해질 무렵, 센 강의 작은 섬인 일 드 주이프(궁전 정원 근처)에 장작더미가 세워졌다. 그곳에서 몰레, 샤르네, 곤느빌, 페로는 모든 철회에 대한 사면 제안을 거부하고, 고통을 인내하며 평정을 유지하여 백성들 사이에서 순교자라는 평판을 얻었고, 그들의 유해를 성유물로 존경스럽게 수집했다.|추기경들은 1314년 3월 18일까지 임무를 미루었고, 그날 노트르담 대성당 앞에서 템플 기사단의 그랜드 마스터 자크 드 몰레, 노르망디의 마스터 제프루아 드 샤르네, 프랑스 방문자 위그 드 페로, 아키텐의 마스터 고드프로이 드 곤느빌이 7년 가까이 갇혀 있던 감옥에서 끌려 나왔다. 상스 대주교와 소환된 다른 고위 성직자들과 함께 추기경들이 합의한 형벌을 받았다. 죄인들이 자백하고 확인한 범죄를 고려할 때, 부과된 형벌은 영구 투옥이었다. 그러나 자크 드 몰레와 제프루아 드 샤르네는 자신들에게 씌워진 죄를 범하지 않았으며, 목숨을 구하기 위해 기사단을 배신했다고 말했다. 기사단은 순수하고 신성했으며, 혐의는 허구였고 자백은 거짓이었다고 주장했다. 추기경들은 그들을 파리 시장에게 넘겼다. 필리프 4세는 격노했고, 의회와 짧은 상의 후 재발한 이단자는 심리 없이 화형에 처해야 한다는 교회법에 따라 센 강의 작은 섬인 일 드 주이프(궁전 정원 근처)에 장작더미를 세웠다. 그곳에서 몰레, 샤르네, 곤느빌, 페로는 사면 제안을 거부하고, 고통을 인내하며 평정을 유지하여 백성들 사이에서 순교자라는 평판을 얻었고, 유해는 성유물로 존경스럽게 수집되었다.영어 (참고: 이 이야기는 하루의 차이가 있지만, 중세 연대기에서는 드문 일이 아니다)[4]

필리프 4세성지에서 쫓겨난 후, 왕국 이상의 자산을 소유한 기사단의 재정을 탐내 이단으로 몰아 재산을 몰수했다. 몰레는 다른 단원들과 함께 이단 심문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아 파리 시테 섬의 형장에서 화형에 처해졌다.[45]。죽기 전에 필리프 4세와 로마 교황 클레멘스 5세 등을 저주했다고 하며, 1314년에 필리프 4세와 클레멘스 5세는 급사했다. 또한 카페 왕조 직계의 단절 또한 저주했다고 전해지며, 1328년에 프랑스 왕위는 발루아 왕가에게 계승되었다.

4. 4. 저주 전설



몰레는 1314년 제프루아 드 샤르네[19]와 함께 필리프 4세 국왕의 명령이 아닌 추기경 사절단의 결정으로 사형 선고를 받았다.[18] 그는 센 강의 일 드 자비오에서 화형당했다.[19] 알랭 드뮈르제를 비롯한 많은 이들이 처형일을 1314년 3월 11일로 추정하지만, 1314년 3월 18일로 인용되기도 한다.[20][21][18][22][23]

자크 드 몰레는 처형대에서 프랑스 국왕 필리프 4세와 그의 후손들을 저주했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이 저주 이야기는 몰레가 아닌 다른 템플 기사단의 말과 몰레의 말을 조합한 것으로 보인다. 처형을 목격한 한 증인은 몰레가 두려운 기색을 전혀 보이지 않았으며, 그 자리에 있던 사람들에게 신이 그들의 죽음을 복수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진술했다.[35]

이 이야기에 대한 또 다른 변형은 당시의 연대기 저술가인 비첸차의 페레토에 의해 전해졌는데, 그는 이 이야기를 클레멘스 5세 앞에 소환된 나폴리 출신 템플 기사단에게 적용했으며, 클레멘스 5세의 부당함을 비난했다. 얼마 후, 그가 처형당하기 직전에 "이 당신의 끔찍한 판결로부터 하늘에 계신 살아있는 참된 신에게 호소한다"고 외치며 교황에게 1년하고 하루 안에 그와 필리프 4세가 신 앞에서 그들의 죄에 대해 답변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36]

필리프 4세와 클레멘스 5세는 몰레가 처형된 지 1년 안에 모두 사망했다. 클레멘스는 1314년 4월 20일 오랜 질병으로 사망했고, 필리프는 사냥 중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이후 1314년부터 1328년까지 필리프 4세의 세 아들과 손자를 포함한 프랑스 마지막 직계 카페 왕조 왕들의 급격한 잇따른 사망이 이어졌다. 몰레가 사망한 지 14년 만에 300년 역사의 카페 왕조가 붕괴되었다. 이 일련의 사건들은 모리스 드뤼옹이 1955년부터 1977년까지 집필한 역사 소설 시리즈인 ''저주받은 왕들''(''Les Rois maudits'')의 기초가 되었으며, 이는 1972년과 2005년에 두 편의 프랑스 텔레비전 미니시리즈로 각색되었다.

미국의 역사가 헨리 찰스 리는 "심지어 멀리 떨어진 독일에서도 필리프의 죽음은 템플 기사단을 파괴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여겨졌으며, 클레멘스는 그의 죽음의 침상에서 세 가지 큰 죄, 즉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7세의 독살, 템플 기사단의 몰락, 그리고 베긴회의 파멸에 대해 후회의 눈물을 흘렸다고 묘사되었다."라고 썼다.[37]

성지에서 쫓겨난 후, 프랑스 왕 필리프 4세는 기사단의 재산을 탐내 이단으로 몰아 재산을 몰수했다. 몰레는 다른 단원들과 함께 이단 심문을 받고 유죄 판결을 받은 후, 파리 시테 섬의 형장에서 화형에 처해졌다.[45] 죽기 전에 필리프 4세와 로마 교황 클레멘스 5세 등을 저주했다고 하며, 실제로 1314년에 필리프 4세와 클레멘스 5세는 급사했다. 또한 카페 왕조 직계의 단절 또한 저주했다고 전해지며, 실제로 1328년에 프랑스 왕위는 발루아 왕가에게 계승되었다.

4. 5. 프리메이슨과의 연관성

자크 드 몰레가 사망하고 템플 기사단이 해산된 지 약 400년 후, 프리메이슨이 북유럽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프리메이슨은 템플 기사단의 신비주의부터 솔로몬 성전 건축자에 이르기까지, 역사의 실체로부터 유산을 주장하며 단체에 대한 정교한 신화를 발전시켰다.[38] 템플 기사단의 비밀 입문 의식 이야기는 프리메이슨 작가들에게 매력적인 소재였다. 현대 역사가 말콤 바버는 ''새로운 기사도''에서 "1760년대에 독일 프리메이슨은 템플 기사단과의 연관성을 도입하여, 템플 기사단이 솔로몬 성전을 점령하면서 비밀 지혜와 마법의 힘을 보관했으며, 자크 드 몰레가 처형되기 전에 그의 후계자에게 전수했고, 18세기 프리메이슨이 그 직접적인 상속자라고 주장했다."라고 설명했다.[39]

현대 프리메이슨의 ''템플 기사단''은 자선기사단 단체로, 1780년경 아일랜드에서 시작되었다. 메이슨 롯지에서 수여되는 초기 단계와 달리, 템플 기사단은 기독교를 믿는다고 고백하는 프리메이슨에게만 가입이 허용된다. 이 단체의 전체 명칭은 ''성전과 예루살렘, 팔레스타인, 로데스, 몰타의 성 요한의 연합 종교, 군사, 메이슨 단체''이다.

드 몰레가 심문자들에게 용감하게 저항한 이야기는 프리메이슨의 전승에 포함되었는데, 특히 템플 기사단의 마지막 그랜드 마스터의 이름을 딴, 프리메이슨이 후원하는 12세에서 21세 사이의 젊은 남성들을 위한 청소년 단체인 드 몰레 국제회(DeMolay International)의 형태로 나타났다. "드 몰레이 기사단"으로도 알려진 이 단체는 1919년 프리메이슨 프랭크 S. 랜드에 의해 캔자스시티에서 설립되었다.[40][41]

새로운 회원들은 단체의 비밀 의식의 일부인 "등급"을 사용하여 의례적으로 입문하며, 드 몰레이 기사단의 의식은 1919년 창립자 랜드의 요청에 따라 프랭크 A. 마샬이 작성했다.[42] "입문 등급"에서는 입문자들이 단체의 교리와 ''일곱 가지 주요 덕목''에 대한 지침을 받는다.[43] "드 몰레이 등급"에서는 "자크 드 몰레와 그의 세 명의 지도자, 제프루아 드 샤르니, 고드프루아 드 고네빌, 위그 드 페랄드"의 재판을 극적으로 재현한다. 이 등급은 "우리 단체의 표본인 영웅이자 순교자인 자크 드 몰레이의 경력에서 비극적인 클라이맥스"를 묘사하며, "자크 드 몰레이를 영웅으로 묘사하고 충성심과 관용의 교훈을 강화할 드 몰레이 등급에 대한 해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된다. 이 드라마는 위원회가 네 사람에게 종신형을 선고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지만, 의식에 따르면 "국왕은 드 몰레이와 제프루아 드 샤르니의 고귀한 저항과 변호에 너무 분개하여 위원회의 평결을 무시하고 드 몰레이와 드 샤르니를 대성당 근처 섬의 화형대로 급히 데려가 야만적으로 불태웠다."[44]

몰레의 기사도 정신에서 유래한 프리메이슨 관련 단체인 "드 몰레이"는 12세부터 21세까지의 청소년을 위한 인격 형성을 목표로 하는 조직이다.

참조

[1] 문서
[2] 서적 The Trial of the Templ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3] 웹사이트 Jacques de Mola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4] 서적 A History of the Inquisition of the Middle Ages Vol. III Hamper & Bros, Franklin Sq. 1888
[5] 서적 Der letzte Templer. Leben und Sterben des Grossmeisters Jacques de Molly C.H.Beck
[6] 서적 The debate on the trial of the Templars (1307–1314) Routledge
[7] 문서
[8] 문서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웹사이트 Vol. III Chpt. 5 par 2. Not in Copyright https://archive.org/[...] 2011-12-19
[16] 문서 Les Templiers, une chevalerie chrétienne au moyen-âge
[17] 서적 The Templars: The secret history revealed Arcade Publishing 2009
[18] 간행물 Philip the Fair, Clement V, and the end of the Knights Templar: The execution of Jacques de Molay and Geoffroi de Charny in March
[19] 서적 The Trial of the Templar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20] 서적 The Persecution of the Templars. Scandal, Torture, Trial Profile Books
[21] 서적 Der letzte Templer. Leben und Sterben des Grossmeisters Jacques de Molly C.H. Beck
[22] 간행물 Die Templer: Geschichte und Geheimnis: Wolfgang Frommel zum Gedenken Brill 1989
[23] 간행물 En quête de Jacques de Molay, dernier grand-maître de l'ordre du Temple http://journals.open[...] 2020-01-01
[24] 간행물 The Chinon chart – Papal absolution to the last Templar, Master Jacques de Molay
[25] 서적 Histoire de la ville de Montpellier J. Martel 1737-1739
[26] 서적 Clement V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27] 서적 Oeuvres complettes de M. De Saint-Foix, Historiographe des Ordres du Roi Jean-Edme Dupour & Philippe Roux, Imprimeurs-Libraires, associés 1778
[28] 서적 Vitae Paparum Avenionensis 1693
[29] 서적 Histoire de l'Ordre Militaire des Templiers Foppens 1751
[30] 문서
[31] 웹사이트 Précis sur les Templiers http://www.mediterra[...]
[32] 문서 Jacques Molay Prend Jerusalem.1299
[33] 문서
[34] 문서
[35] 서적 The Trial of the Templars
[36] 서적 Historia rerum in Italia gestarum ab anno 1250 as annum usque 1318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28
[37] 서적 A History of The Inquisition of The Middle Ages, Volume 3 Cosimo, Inc. 2005
[38] 문서 Martin, p. 142.
[39] 서적 The New Knighthood
[40] 웹사이트 First DeMolay http://www.demolay.o[...] 2013-03-26
[41] 웹사이트 DeMolay International | History of DeMolay http://www.demolay.o[...] Demolay.org 2011-12-19
[42] 웹사이트 The Author of our Ritual: Frank A. Marshall http://www.demolay.o[...] The DeMolay International website 2013-03-09
[43] 웹사이트 The Order of DeMolay: Initiatory Degree http://www.phoenixma[...] The Phoenix Masonry Masonic Museum and Library website 2013-03-09
[44] 웹사이트 The Order of DeMolay: DeMolay Degree http://www.phoenixma[...] The Phoenix Masonry Masonic Museum and Library 2013-03-09
[45] 서적 剣と清貧のヨーロッパ 中世の騎士修道会と托鉢修道会 中央公論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