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기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호기사단은 1023년 예루살렘에 병원을 설립하며 시작된 기사 수도회이다. 1113년 교황 파스칼 2세에 의해 정식 기사 수도회로 승인받았으며, 십자군 국가 방어의 주력으로 활약했다. 예루살렘 함락 후 로도스, 몰타로 거점을 옮겨 군사적 역할을 수행하며 자선 활동을 지속했다. 1798년 나폴레옹에 의해 몰타를 상실한 후, 인도주의적, 종교적 조직으로 전환하여 현재까지 112개국과 외교 관계를 맺고 있다. 구호기사단은 자체 여권, 통화, 우표를 발행하며, 전 세계적으로 의료 지원 등 인도주의적 활동을 펼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9년 설립 - 예루살렘 왕국
예루살렘 왕국은 1099년 십자군 전쟁 이후 예루살렘에 세워진 십자군 국가로, 다양한 민족과 종교를 가진 주민들로 구성되었으나 1187년 예루살렘을 빼앗기고 아크레 함락 후 멸망하였다. - 로마 가톨릭 기사수도회 - 튜턴 기사단
튜턴 기사단은 1198년 팔레스타인에서 기독교 군사 수도회로 설립되어 동유럽으로 진출하여 기사단 국가를 건설했으나, 1410년 그룬발트 전투 패배 후 쇠퇴하여 프로이센 공국으로 세속화되었고, 현재는 자선, 의료, 교육 사업을 수행하는 종교 수도회이다. - 로마 가톨릭 기사수도회 - 성전기사단
성전기사단은 1119년 위그 드 파앵이 창설한 중세 기독교 군사 수도회로, 솔로몬 성전 폐허에 본부를 두어 템플 기사단이라고도 불렸으며, 십자군 전쟁 시기 성지 순례자 보호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나 권력과 부를 축적하고 금융업을 운영하다 13세기 말 쇠퇴하여 1312년 해산되었다. - 구호기사단 - 하틴 전투
하틴 전투는 1187년 7월 4일 하틴 언덕에서 십자군과 살라딘의 이슬람 군대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의 패배와 예루살렘 함락을 야기하여 제3차 십자군을 촉발했다. - 구호기사단 - 미하일 밀로라도비치
미하일 밀로라도비치는 세르비아 귀족 출신으로 러시아 제국 군인으로서 이탈리아 및 스위스 원정과 아우스터리츠 전투 등에 참전하고 1812년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당시 민병대를 모집했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 군정 총독으로 예술계와 관계를 맺었으나 1825년 12월 데카브리스트 반란 진압 중 암살당했다.
| 구호기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 |
| 존속 기간 | 1113년 2월 15일 – 현재 |
| 충성 | 교황 |
| 종류 | 가톨릭 군사 기사단 |
| 별칭 | 종교 |
| 색상 | 흑백 적백 |
| 수호 성인 | 필레르모의 성모 세례자 요한 |
| 본부 | |
| 본부 위치 | 예루살렘 로도스 비르구 발레타 |
| 전투 및 공성전 | |
| 주요 전투 | 십자군 다마스쿠스 공성전 (1148년) 아스칼론 공방전 (1153년) 이집트 십자군 침공 (1163년~1169년) 크레송 전투 (1187년) 하틴 전투 (1187년) 예루살렘 공방전 (1187년) 벨부아르성 공방전 (1187년~1189년) 사윤성 공방전 (1188년) 사페드 공방전 (1188년) 아크레 공방전 (1189년~1191년) 아르수프 전투 (1191년)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1212년) 알카세르 두 살 공방전 (1217년) 타보르산 공방전 (1217년) 파리스쿠르 전투 (1219년) 만수라 전투 (1221년) 마요르카 정복 (1228년) 부리아나 공방전 (1233년) 아스칼론 공방전 (1247년) 아르수프 함락 (1265년) 하이파 함락 (1265년) 사페드 공방전 (1266년) 크라크 데 슈발리에 함락 (1271년) 제2차 홈스 전투 (1281년) 마르가트 공방전 (1282년) 트리폴리 함락 (1289년) 아크레 공방전 (1291년) 구호기사단의 로도스 정복 아모르고스 전투 (1312년) 키오스 전투 (1319년) 로도스 전투 (1320년) 아드라미티온 전투 (1334년) 팔레네 전투 (1344년) 임브로스 전투 (1347년) 메가라 전투 (1359년) 코소보 전투 (1389년) 니코폴리스 전투 (1396년) 스미르나 공방전 (1402년) 로도스 공방전 (1444년) 레즈보스 오스만 제국 정복 (1462년) 오스만-베네치아 전쟁 (1463년~1479년) 로도스 공방전 (1480년) 로도스 공방전 (1522년) 프레베자 해전 (1538년) 알제 원정 (1541년) 고조 침공 (1551년) 트리폴리 공방전 (1551년) 제르바 해전 (1560년) 베르비아 전투 (1561년) 몰타 공방전 (1565년) 1570년 전투 레판토 해전 (1571년) 판텔레리아 전투 (1586년) 1595년 전투 함마메트 전투 (1605년) 키프로스 원정 (1609년) 제이툰 급습 (1614년) 1625년 6월 26일 전투 1644년 9월 28일 전투 다르다넬스 해전 (1656년) 다르다넬스 해전 (1657년) 1661년 8월 27일 전투 지지엘리 원정 (1664년) 칸디아 공방전 (1668년) 마타판 해전 (1717년) 알제 포격 (1784년) 프랑스의 몰타 침공 (1798년) 유럽 해군에서의 기타 복무 |
| 지휘관 | |
| 초대 총장 | 제라르 드 마르티그 |
| 현 총장 | 존 T. 던랩 |
| 주요 지휘관 | 장 파리소 드 발레트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당 가르니에 드 나블루스 |
2. 역사
1023년경 아말피 상인들이 예루살렘에 병원과 순례자 숙소를 설립하면서 구호기사단의 역사가 시작되었다.[61] 제1차 십자군 이후 1113년 교황 파스칼 2세가 교황 칙서 ''Pie postulatio voluntatis''를 통해 기사 수도회로 정식 승인하면서 종교적, 군사적 성격을 띤 단체로 발전했다.[3][4] 초기에는 예루살렘에서 순례자들을 돌보는 역할을 했지만, 점차 무장 호위를 제공하면서 군사력을 갖추게 되었다.[5] 1130년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붉은 바탕에 은색 십자가 문장을 수여했고, 이는 몰타 십자가로 발전했다.[6]
예루살렘 왕국의 주요 군사 세력으로 성장한 구호기사단은 1136년 베트지브린 성, 1142년 크라크 데 슈발리에를 획득했다.
1248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흰색 십자가가 새겨진 붉은 외투를 군복으로 승인했다.[9] 1187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 아크레를 사수했지만, 1291년 아크레 공방전 이후 키프로스 섬으로 이동했다.
thumb의 아크레 포위전에서 성벽 위에서 싸우는 기사단. 1840년경의 그림]]
1310년 로도스 공방전에서 승리하여 로도스를 새로운 영토로 삼았고, '로도스 기사단'으로 불리며[12] 군사적 성격이 강화되었다. 1312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템플 기사단을 해산하고 그 재산의 상당 부분을 구호기사단에게 넘겨주었다.[5]


1334년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의 침략을 격퇴했고,[13] 1374년 스미르나 방어를 맡았다. 할리카르나소스 반도에 보드룸 성을 건설했다.[14]
15세기에 바르바리 해적과 자주 싸웠고, 1444년 이집트 술탄, 1480년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2세의 공격을 격퇴했다. 그러나 1522년 술레이만 1세의 침공으로 로도스를 상실하고 시칠리아로 철수했다.
1530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는 몰타, 고조, 트리폴리를 구호기사단에 영구적인 봉토로 제공했다.[17][18] 이후 '몰타 기사단'으로 불리며 발레타를 건설하고, 병원, 요새, 망루, 교회를 건설했다. 사크라 인페르메리아는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으로 명성을 얻었다. 몰타 국립 도서관(1761년), 몰타 대학교(1768년) 등을 설립했다.

1565년 몰타 대포위전에서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막아냈고, 1571년 레판토 해전 승리에 기여했다. 지중해 중부로 이전하면서 바르바리 해적에 맞서 기독교 상선을 보호하는 "코르소" 작전에 집중했다.[29]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으로 유럽 내 기사단의 재정적 지원이 감소했고,[31] 일부 기사들은 프랑스 해군에 복무하기도 했다.[33] 몰타 당국은 해적 행위를 규제했지만, 1700년경까지 불만이 계속되었다.[36]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중 몰타 섬을 점령당했다.[26] 나폴레옹은 기사단장 페르디난트 폰 홈페슈 추 볼하임에게 항구 사용을 요청했으나, 기사단 측의 제한으로 몰타를 공격, 점령했다.[40] 홈페슈는 몰타를 떠났고,[41] 1799년 기사단장직에서 사임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프랑스 내 기사단은 해체되었고,[39] 1792년 프랑스 혁명 정부는 기사단의 프랑스 내 자산을 몰수했다.
몰타 상실 이후 기사단은 흩어졌지만, 러시아 황제 파벨 1세가 많은 기사에게 피난처를 제공했고, 파벨 1세를 기사단장으로 선출했다.[42] 그러나 이는 로마 가톨릭 교회법에 따라 비준되지 않아 논란이 있었다.
19세기 초, 기사단은 약화되었고, 1805년부터 1879년까지 기사단장이 아닌 중위의 통제를 받았다. 교황 레오 13세가 기사단장을 복원하면서 인도주의적, 종교적 조직으로 전환했다. 1834년 기사단은 본부를 로마로 이전하여 인도주의 활동에 주력했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의료 및 복지 활동을 강화했다. 현재는 몰타 기사단이 그 명맥을 잇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인도주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몰타 기사단은 UN 옵서버 지위를 가진다.[45]
종교 개혁 시기에 독일 사령부들은 개신교로 종교 개종했음에도 성 요한 기사단을 지속적으로 지지했다. 브란덴부르크 관구의 성 요한 기사단은 현재까지 이어져 독일 연방 공화국의 보호를 받는 기사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기사장은 거의 항상 호엔촐레른 가문의 후손이다.[56]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의 세 개신교 기사단은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 동맹을 결성하여 협력하고 있다.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8세가 수도원 해산을 통해 구호기사단의 재산을 몰수하여 영국 랭그의 활동이 종식되었다. 1831년 영국 기사단이 재창설되어 성 요한 최상위 기사단으로 알려졌고,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왕실 칙허장을 받았다. 이 기사단은 성 요한 구급대와 성 요한 안과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57]
2. 1. 설립과 초기 역사 (11세기-13세기)
1023년경, 아말피 상인들이 예루살렘에 병원과 순례자 숙소를 설립한 것이 구호기사단의 기원이다.[61] 제1차 십자군 이후, 1113년 교황 파스칼 2세가 교황 칙서 ''Pie postulatio voluntatis''를 통해 기사 수도회로 정식 승인하면서, 종교적, 군사적 성격을 띤 단체로 발전했다.[3][4] 이 문서를 통해 교황은 새로운 조직을 로마 가톨릭 교회의 활동적이고 호전적인 부분으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교황의 보호를 부여하고 유럽과 아시아의 재산을 확인했다.초기 구호기사단은 예루살렘에서 순례자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무슬림과 유대인 포함)을 돌보았지만, 곧 순례자들에게 무장 호위를 제공하는 것으로 확대되어 결국 상당한 군사력을 갖추게 되었다.[5] 1120년대에 서유럽의 기사들은 자신의 말과 무기를 유언으로 구호기사단에게 남겼다.
1130년, 교황 인노첸시오 2세는 기사단에게 문장인 붉은색 바탕에 은색 십자가를 주어 템플 기사단과 구별하도록 했다. 구호기사단의 또 다른 상징인 "팔각 십자가"는 비잔틴 제국에서 유래하여 이탈리아의 아말피 공국에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나중에 예루살렘에서 성 요한 병원을 설립한 수도승들에 의해 사용되었다. 구호기사단이 몰타로 이주한 후에는 몰타 십자가로 알려지게 되었다.[6]
예루살렘 왕국에서 주요 군사 세력으로 부상했으며, 병원 운영 등 자선 활동도 지속했다. 예루살렘의 풀크 왕은 아스칼론에 있는 파티마 수비대의 공격으로부터 왕국의 남쪽 국경을 방어하기 위해 여러 성을 건설했고, 1136년에 구호기사단이 그 중 하나인 베트지브린 성을 관리하도록 허가했다.
세기 후반에 구호기사단은 시리아에서 예루살렘 왕국보다 더 많은 성을 관리하게 되었다. 특히 1142년에 트리폴리 백작 레이몽 2세로부터 받은 크라크 데 슈발리에가 있었다.
로제 드 물랭의 규약(1187)은 병자의 봉사에만 관련된 반면, 군사적 봉사에 대한 첫 번째 언급은 아홉 번째 단장 포르투갈의 페르난도 아폰수의 규약(1200년경)에 나온다.[5]
1248년, 교황 인노첸시오 4세 (1243–1254)는 전투 중에 구호기사단이 착용할 표준 군복을 승인했다. 갑옷 위에 움직임을 제한하는 닫힌 망토 대신, 흰색 십자가가 새겨진 붉은 외투를 입었다.[9]
1187년 예루살렘 함락 이후에도, 트리폴리와 아크레를 사수했지만, 1291년, 결국 마지막 기독교도 요새 아크레가 함락된 후에는, 키프로스 섬으로 도망쳤다.
300px의 아크레 포위전에서 성벽 위에서 싸우는 기사단. 1840년경의 그림]]
2. 2. 로도스 기사단 시대 (14세기-16세기)
1291년 예루살렘 왕국이 멸망한 후, 구호기사단은 트리폴리 백국에 갇혔다. 1291년 아크레가 함락되자 키프로스 왕국으로 피난처를 찾았다. 키프로스 정치에 얽히게 된 기사단의 수장 기욤 드 빌라레는 로도스를 새로운 영토로 선택했다. 기욤의 후임자 풀크 드 빌라레는 이 계획을 실행하여, 1310년 8월 15일, 4년 넘게 이어진 전투 끝에 로도스 시는 기사단에게 항복했다. 그들은 또한 여러 이웃 섬과 아나톨리아 항구 할리카르나소스와 카스텔로리조 섬을 지배하게 되었다.
1312년 교황 클레멘스 5세는 교황 칙서를 통해 경쟁 단체였던 템플 기사단을 해산시키고, 그 재산의 상당 부분을 구호기사단에게 넘겨주었다.[5] 이로써 구호기사단은 더욱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했다. 당시 "로도스 기사단"이라고도 불린[12] 로도스의 구호기사단은 군사적인 성격을 강화했다.
1334년, 안드로니코스 3세 팔레올로고스와 그의 튀르크족 부대의 침략 시도를 격퇴했고,[13] 1374년에는 아나톨리아 해안의 인근 스미르나 방어를 맡았다. 스미르나는 1344년 십자군에 의해 정복되었고, 기사단은 1402년 티무르에 의해 포위되어 점령될 때까지 도시를 지켰다. 할리카르나소스 반도(현재의 보드룸)에서 기사단은 페트로니움 성을 건설하여 그들의 지위를 강화했다.[14]
15세기에 기사단은 바르바리 해적과 자주 싸웠다. 1444년 이집트 술탄, 1480년 오스만 제국 메흐메트 2세의 공격을 격퇴했으나, 1522년 술레이만 1세의 침공으로 6개월간의 포위전 끝에 로도스를 상실하고 시칠리아로 철수했다. 패배에도 불구하고, 필리프 빌리에 드 릴아담 대수도원장은 교황 하드리아노 6세에 의해 신앙의 수호자로 선포되었다.
1312년 템플 기사단의 자산 몰수와 중동의 이슬람교도와의 전투로 인해 서유럽으로부터 많은 기부를 받았다. 기사단은 모국어에 따라 8개의[62] 기사단 그룹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그룹마다 기사장이 있었고 전체는 기사단 총장이 통솔했다. 각 기사단의 구성원 숫자는 항상 균등했던 것은 아니며, 프랑스인 3기사단, 스페인 2기사단[63]의 인원이 두드러졌다. 기사단원은 기사 500명 정도였다.
1444년 맘루크 왕조의 술탄, 1480년 오스만 제국의 메흐메트 2세의 습격을 받았지만 기사단은 이를 격퇴했다. 1522년 오스만 제국의 술레이만 1세가 이끄는 400척의 함대와 20만 명의 병력의 침공에 맞서, 기사단 측은 7천 명 정도로 필사적인 방어전을 펼쳤지만 결국 로도스 섬을 넘겨주고 시칠리아 섬으로 철수했다.
2. 3. 몰타 기사단 시대 (16세기-18세기)
1530년, 카를 5세는 몰타, 고조, 트리폴리를 구호기사단에 영구적인 봉토로 제공했다.[17][18] 기사단은 매년 몰타 매 한 마리를 모든 성인의 날에 시칠리아 총독에게 바쳐야 했다.[19] 이후 268년 동안 몰타에 머물면서, 기사단은 발레타를 유럽 강대국들 사이에서 ''수페르비시마''(Superbissima), 즉 "가장 자랑스러운" 도시로 만들었다.
기사단은 몰타에서 병원, 요새, 망루, 교회를 건설했다. 프란체스코 라파렐리와 제로니모 카사르가 설계한 발레타는 지중해에서 가장 강력한 해군의 모항이 되었고, 사크라 인페르메리아는 세계 최고 수준의 병원으로 명성을 얻었다. 성 요한 교회에는 카라바조 등의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종교개혁 이후 유럽 내 기사단의 재산이 몰수되면서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몰타 국립 도서관(1761년), 몰타 대학교(1768년) 등이 설립되었다. 비르구와 발레타에는 랑그에 따라 구분된 오베르주(숙소)가 유지되었다.
기사단은 이아코브 헤라클리드를 지원하고, 바르바리 해적에 맞서 해상 활동을 계속했다. 1565년, 몰타 대포위전에서 장 파리조 드 라 발레트 대수도원장의 지휘 아래 오스만 제국의 침략을 막아냈다. 이 승리는 마테오 페레즈의 프레스코화에 묘사되어 있다. 1571년 레판토 해전에서 기독교 연합 함대의 승리에 기여했다.
지중해 중부로 이전하면서 기사단은 성지에서의 역할을 잃고, 오스만의 지원을 받는 바르바리 해적에 맞서 기독교 상선을 보호하고 노예를 해방하는 "코르소" 작전에 집중했다.[29] 그러나 수입 감소로 어려움을 겪었고, 많은 기사들이 무슬림 선박을 습격하며 유유자적한 생활을 했다.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의 영향으로 유럽 내 기사단의 재정적 지원이 감소했다.[31] 일부 기사들은 외국 해군, 특히 프랑스 해군에 복무하며 다른 로마 가톨릭 세력과 싸우기도 했다.[33] 이는 오스만 제국과 우호 관계였던 프랑스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역설적인 상황이었다.
몰타 당국은 해적 행위를 규제하기 위해 콘실리오 델 메르를 설립했지만, 1700년경까지 몰타 해적 행위에 대한 불만이 계속되었다.[36] 기사단은 이슬람교도와 유대인을 상대로 해적 행위를 하고, 노예 매매의 중심지가 되었다.
2. 4. 몰타 상실과 쇠퇴 (18세기-19세기)
1798년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중 몰타 기사단은 주요 거점인 몰타 섬을 점령당했다.[26] 나폴레옹은 기사단장 페르디난트 폰 홈페슈 추 볼하임에게 항구 사용 허가를 요청했으나, 기사단 측은 한 번에 두 척의 외국 선박만 허용한다는 규정을 들어 이를 제한했다. 이에 나폴레옹은 즉시 몰타에 포격을 명령했고, 프랑스 군은 6월 11일 몰타에 상륙하여 공격을 개시했다. 몇 시간의 전투 끝에 서부 몰타인들은 항복했고, 나폴레옹은 발레타와 협상을 시작하여 결국 기사단은 항복했다.[40] 홈페슈는 6월 18일 몰타를 떠났으며,[41] 1799년 7월 6일 기사단장직에서 사임했다.이에 앞서 1789년 프랑스 혁명으로 봉건주의가 폐지되면서 프랑스 내 기사단은 해체되었고,[39] 1792년 프랑스 혁명 정부는 기사단의 프랑스 내 자산과 재산을 몰수했다.
몰타 상실 이후 기사단은 흩어졌지만, 축소된 형태로 존속하며 유럽 정부와 권력 복귀를 위한 협상을 벌였다. 러시아 황제 파벨 1세는 많은 기사에게 상트페테르부르크에 피난처를 제공했고, 피난 기사들은 파벨 1세를 기사단장으로 선출했다.[42] 그러나 파벨 1세의 기사단장 선출은 로마 가톨릭 교회법에 따라 비준되지 않아 논란이 있었다.
19세기 초, 기사단은 유럽 전역의 수도원을 잃으면서 약화되었다. 기사단 수입의 대부분은 러시아 대수도원에서 발생했다. 1805년부터 1879년까지 기사단은 기사단장이 아닌 중위의 통제를 받다가, 교황 레오 13세가 기사단장을 복원하면서 인도주의적, 종교적 조직으로서의 전환기를 맞이했다.
1806년 스웨덴 정부가 고틀란드 섬의 주권을 제안했지만, 몰타에 대한 주장을 포기해야 했기에 거부되었다.[43] 1834년 기사단은 본부를 로마로 이전하여 인도주의 활동에 주력하게 되었다.
2. 5. 현대 (20세기-현재)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구호기사단은 병원 운영을 비롯한 의료 및 복지 활동을 강화했다. 현재는 몰타 기사단이 그 명맥을 잇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인도주의 활동을 펼치고 있다. 몰타 기사단은 UN 옵서버 지위를 가지는 등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주권 단체이다.[45]종교 개혁 시기에 독일 사령부들은 개신교로 종교 개종했음에도 성 요한 기사단을 지속적으로 지지했다. 브란덴부르크 관구의 성 요한 기사단은 현재까지 이어져 독일 연방 공화국의 보호를 받는 기사단을 형성하고 있으며, 기사장은 거의 항상 호엔촐레른 가문의 후손이다. 현재 기사장은 프로이센의 오스카르 왕자이다.[56] 독일에서 시작된 이 개신교 분파는 유럽, 북미,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호주 등지로 퍼져나갔다.[56]
네덜란드 국왕인 빌럼알렉산더르는 네덜란드의 성 요한 기사단의 명예 사령관이며, 스웨덴 성 요한 기사단은 스웨덴 국왕인 칼 16세 구스타프의 보호를 받는다.
독일, 네덜란드, 스웨덴의 세 개신교 기사단은 1961년 예루살렘 성 요한 기사단 동맹을 결성하여 공식적인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이들은 몰타 기사단과 협력하면서도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잉글랜드에서는 헨리 8세가 수도원 해산을 통해 구호기사단의 거의 모든 재산을 몰수하여 영국 랭그의 활동이 사실상 종식되었다. 1831년 영국 기사단이 재창설되어 성 요한 최상위 기사단으로 알려지게 되었고, 빅토리아 여왕으로부터 왕실 칙허장을 받았다. 이 기사단은 성 요한 구급대와 성 요한 안과 병원을 운영하고 있다.[57]
3. 계급 및 구성
구호기사단의 초기 명칭은 형제(라틴어: ''frater'')였으며, 이는 11세기 후반 성 요한 병원이 창설된 이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제1차 십자군 시대에는 구호기사단(''hospitalarii'')이라고도 불렸다. 1112년 예루살렘의 발두인 1세의 칙허장에는 병원의 "가난한 형제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후 기사단 구성원은 사제 형제와 평신도 형제로 나뉘었고, 평신도 형제는 청빈, 정결, 순종의 수도 서약을 한 사람들이었다. 무장 형제는 기사 형제와 부사관 형제의 두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1140년대 레몽 뒤 퓌의 규칙에는 무장 형제에 대한 언급이 없었지만, 1180년대 초 규약에는 있었다. 따라서 기사단은 사제 형제, 기사 형제, 부사관 형제의 세 가지 주요 계급으로 발전했다.[49]
기사 형제는 1140년대부터 성 요한 기사단의 일원이었지만, 부사관은 처음에는 형제가 아니었고, 순례자를 방어하기 위해 기사단에 고용된 용병이었다. 부사관은 1204년 규약에서 기사 형제와 부사관 형제를 모두 명시하면서 기사단의 형제로 공식화되었다.[49]
총장은 기사단의 최고 지도자였다.[60] 1304년 이후에는 대사령관이 총장 다음의 지위를 가졌다. 대사령관은 총장이 없거나 사망했을 때 총장의 역할을 대신했다.[60] 세 번째로 높은 직위는 원수였으며, 주요 임무는 전쟁 준비였다.[60] 원수는 갑옷, 무기, 말 장비, 군수품, 화약, 탄약 등 모든 부대 장비 조달을 담당했으며, 때로는 총장이나 대사령관의 지휘를 받기도 했다.[60]
구호기사단의 본부는 수도원으로 불렸으며, 주요 관리들은 다음과 같다.
| 직책 | 설명 |
|---|---|
| 집사 | 기사단의 부사령관, 총장과 함께 주요 관리 |
| 원수 | 군사 담당 |
| 감찰관 | 행정 및 물품 관리 |
| 병원장 | 기사단의 주요 병원 관리 |
| 수도원장 | 수도원의 교회 담당 |
| 의상 관리자 | 제복 담당 |
| 재무관 | 재정 담당 |
| 투르코폴리에 | 13세기부터 현지 보조 부대 담당 |
| 제독 | 해군 지휘 |
기사단은 출신 지역 및 언어에 따라 8개의 기사단 그룹(랑그)으로 나뉘었다.[62] 각 그룹은 기사장을 두었으며, 기사단 총장이 전체를 통솔했다. 각 기사단의 구성원 숫자는 항상 균등하지 않았으며, 프랑스인 3기사단, 스페인 2기사단[63]의 인원이 많았다.
3. 1. 계급
구호기사단의 초기 명칭은 형제(라틴어: ''frater'')였으며, 이는 11세기 후반 성 요한 병원이 창설된 이후부터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제1차 십자군 시대에는 구호기사단(''hospitalarii'')이라고도 불렸다. 1112년 예루살렘의 발두인 1세의 칙허장에는 병원의 "가난한 형제들"에 대한 언급이 있다. 이후 기사단 구성원은 사제 형제와 평신도 형제로 나뉘었고, 평신도 형제는 청빈, 정결, 순종의 수도 서약을 한 사람들이었다. 무장 형제는 기사 형제와 부사관 형제의 두 계급으로 구성되었다. 1140년대 레몽 뒤 퓌의 규칙에는 무장 형제에 대한 언급이 없었지만, 1180년대 초 규약에는 있었다. 따라서 기사단은 사제 형제, 기사 형제, 부사관 형제의 세 가지 주요 계급으로 발전했다.[49]기사 형제는 1140년대부터 성 요한 기사단의 일원이었지만, 부사관은 처음에는 형제가 아니었고, 순례자를 방어하기 위해 기사단에 고용된 용병이었다. 부사관은 1204년 규약에서 기사 형제와 부사관 형제를 모두 명시하면서 기사단의 형제로 공식화되었다. 이 규약은 이미 일어난 발전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49]
3. 2. 주요 직책
총장은 기사단의 최고 지도자였다.[60] 1304년 이후에는 대사령관이 총장 다음의 지위를 가졌다. 대사령관은 총장이 없거나 사망했을 때 총장의 역할을 대신했다.[60] 세 번째로 높은 직위는 원수였으며, 주요 임무는 전쟁 준비였다.[60] 원수는 갑옷, 무기, 말 장비, 군수품, 화약, 탄약 등 모든 부대 장비 조달을 담당했으며, 때로는 총장이나 대사령관의 지휘를 받기도 했다.[60]구호기사단의 본부는 수도원으로 불렸으며, 주요 관리들은 다음과 같았다.
| 직책 | 설명 |
|---|---|
| 집사 | 기사단의 부사령관, 총장과 함께 주요 관리 |
| 원수 | 군사 담당 |
| 감찰관 | 행정 및 물품 관리 |
| 병원장 | 기사단의 주요 병원 관리 |
| 수도원장 | 수도원의 교회 담당 |
| 의상 관리자 | 제복 담당 |
| 재무관 | 재정 담당 |
| 투르코폴리에 | 13세기부터 현지 보조 부대 담당 |
| 제독 | 해군 지휘 |
3. 3. 랑그 (Langue)
기사단은 출신 지역 및 언어에 따라 8개의 기사단 그룹(랑그)으로 나뉘었다.[62] 각 그룹은 기사장을 두었으며, 기사단 총장이 전체를 통솔했다. 각 기사단의 구성원 숫자는 항상 균등하지 않았으며, 프랑스인 3기사단, 스페인 2기사단[63]의 인원이 많았다.4. 유산 및 영향
성 요한 기사단은 중세 유럽의 종교, 군사, 의료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 유산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몰타 기사단은 국제 사회에서 인도주의 활동을 통해 그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 성 요한 기사단의 유적은 전 세계에 흩어져 있으며, 특히 몰타와 로도스에는 그들의 건축물과 요새가 잘 보존되어 있다.
4. 1. 주요 유적
참조
[1]
논문
A Snapshot of Malta
https://www.academia[...]
2013
[2]
서적
Jerusalem in the Time of the Crusades: Society, Landscape and Art in the Holy City under Frankish Rule
Routledge
2001
[3]
웹사이트
History of the Knights of Malta
http://www.knightsof[...]
[4]
웹사이트
Hospital, Order of the
https://erenow.org/p[...]
[5]
간행물
Hospitallers of St. John of Jerusalem
[6]
웹사이트
The eight-pointed cross
https://www.orderofm[...]
Sovereign Military Order of Malta
2024-06-14
[7]
서적
The Knights Hospitallers in the Holy Land
https://www.forgotte[...]
Methuen & Co. Ltd
2023-05-17
[8]
문서
Cartulaire – General, Vol. I, No. 27
[9]
서적
Cartulaire general de l'ordre des hospitaliers de St Jean de Jerusalem (1100–1310)
Imprimerie Durand
1894–1906
[10]
서적
Houses of the National Trust: Outstanding Buildings of Britain
National Trust Books
2008
[11]
서적
Nobility, Land and Service in Medieval Hungary
https://books.google[...]
Palgrave
2000
[12]
논문
Diasporic Communities in Rhodes 1350–1450
https://www.academia[...]
2011-01
[13]
서적
Elementary History of the Progress of the Art of War
https://books.google[...]
R. Bentley
[14]
웹사이트
Castle of St Peter
http://www.bodrum-bo[...]
2018-11-27
[15]
서적
The Ottoman Centuries: The Rise and Fall of the Turkish Empire
https://archive.org/[...]
Harper Collins
[16]
백과사전
Süleymān
[17]
웹사이트
Sovereign Order of Saint John of Jerusalem
http://www.kmfap.net[...]
2019-03-30
[18]
웹사이트
Malta History
http://www.jimdiamon[...]
2008-10-12
[19]
웹사이트
History: Knights of Malta to Present
http://www.carnaval.[...]
2008-10-12
[20]
서적
Historisches Lexikon der Deutschen Länder: die deutschen Territorien vom Mittelalter bis zur Gegenwart
C. H. Beck
[21]
서적
Nelson: The Sword of Albion
Random House
2014
[22]
서적
Angels in Iron
Arx
2004
[23]
웹사이트
L-Istorja tal-Ilsien Malti
http://www.akkademja[...]
2014-10-29
[24]
논문
Două portrete românești în Malta
2000
[25]
서적
Knights of Malta, 1523–1798
https://www.gutenber[...]
Project Gutenberg
2004-04-15
[26]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rder
http://www.knightsho[...]
2008-10-12
[27]
서적
The Siege of Malta, 1565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05
[28]
웹사이트
Ottoman Siege of Malta, 1565
http://www.zum.de/wh[...]
2007-09-14
[29]
서적
Corsairs of Malta and Barbary
Sidgwick & Jackson
1970
[30]
논문
The Finances of the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in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1973-04
[31]
서적
Early Modern European Society
Routledge
2000
[32]
논문
Charles II, Louis XIV and the Order of Malta
2016-04
[33]
논문
The Knights of Malta and the King of France, 1665–1700
1964-Autumn
[34]
서적
Military and Religious Life in the Middle Ages and the Renaissance
Frederick Ungar
1964
[35]
서적
The Monks of War
Penguin
1972
[36]
논문
Beyond the Northern Invasion: The Mediterranea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s://www.um.edu.m[...]
2002-02
[3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rder 1066–1999
http://www.orderofma[...]
2008-10-12
[38]
서적
Les grandes compagnies de commerce: étude pour servir à l'histoire de la colonisation
https://gallica.bnf.[...]
Plon
1892
[39]
논문
The Decree Abolishing the Feudal System
Ginn
1906
[40]
서적
Napoleon's Egypt: Invading the Middle East
Palgrave Macmillan
2007
[41]
서적
A History of the Knights of Malta
https://archive.org/[...]
Longman, Brown, Green
1858
[42]
웹사이트
The Knights of Malta
http://www.focusmm.c[...]
2008-10-12
[43]
웹사이트
From the loss of Malta to the modern era
http://www.chivalric[...]
2000
[44]
웹사이트
Mideast's Largest Crusader-Era Hospital Unveiled
https://news.nationa[...]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3-08-05
[45]
서적
The Maple Leaf and the White Cross: A History of St. John Ambulance and the Most Venerable Order of the Hospital of St. John of Jerusalem in Canada
Dundurn
2008
[46]
웹사이트
Sovereign Order of Malta – official site
https://www.orderofm[...]
Orderofmalta.int
2016-09-12
[47]
서적
World Orders of Knighthood and Merit
Burke's Peerage & Gentry
2006
[48]
웹사이트
Organisations granted Observer Status in the General Assembly
https://www.un.org/e[...]
United Nations
[49]
뉴스
Knights of Malta Catholic order celebrates 900 years
https://www.bbc.com/[...]
2013-02-09
[50]
웹사이트
Origins of the Order
http://www.allianceo[...]
[51]
웹사이트
Bilateral Relations
https://www.orderofm[...]
[52]
웹사이트
Multilateral Relations
https://www.orderofm[...]
[53]
웹사이트
The Order of Malta clarifies press reported figure on passports issued: currently 500 passports in circulation
https://www.orderofm[...]
2022-08-31
[54]
웹사이트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Malta and the Government of the Sovereign Hospitalier Order of Saint John
https://foreignaffai[...]
2014-11-13
[55]
웹사이트
Historical Legacy, Migration and Fort St. Angelo discussed during the Grand Master's State Visit to the Republic of Malta
https://www.orderofm[...]
[56]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orderofst[...]
[5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Order of St John
https://www.stjohney[...]
2008-10-12
[58]
서적
The Legitimacy of Orders of St. John: A Historical and Legal Analysis and Case Study of a Para-religious Phenomenon
https://openaccess.l[...]
Hoegen Dijkhof Advocaten
[59]
웹사이트
The Self-Styled Orders of Saint John (Part II)
http://www.chivalric[...]
2008-10-12
[60]
논문
Some External Insignia of Office for Dignitaries of the Order of St John of Jerusalem, Cyprus, Rhodes and Malta
https://www.theheral[...]
The Heraldry Society
2008-04
[61]
문서
1つは本拠地とした[[クラック・デ・シュヴァリエ]]、もう1つは海辺にある[[バニヤース]]の[[マルガット城]]。
[62]
문서
[[フランス]]、[[オーヴェルニュ]]、[[プロヴァンス]]、[[イタリア]]、[[イングランド]]、[[ドイツ]]、[[アラゴン王国|アラゴン]]、[[カスティーリャ王国|カスティーリャ]]。
[63]
문서
カスティーリャ人と[[ポルトガル]]人からなるカスティーリャ騎士館、[[ナバラ]]人と[[カタルーニャ]]人からなるアラゴン騎士館の2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