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세르비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의 국가는 "Bože pravde" (정의의 하느님)이다. 이 곡은 1872년 연극 "Markova sablja"에 삽입되었으며, 1882년 세르비아가 왕국이 되면서 공식 국가로 채택되었다. 이후 세르비아의 정치 체제 변화에 따라 가사가 수정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사용이 금지되었다가 2006년 세르비아 독립 이후 헌법적으로 승인되었다. 현재는 가사의 일부가 수정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세르비아의 국가로 널리 연주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왕국 - 흑수단
    흑수단은 범세르비아주의를 내세우며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 통합을 목표로 활동한 세르비아의 비밀 결사 조직으로, 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하여 제1차 세계 대전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1872년 노래 - 내 주의 보혈은
    "내 주의 보혈은"은 웨일스 찬송가 "Gwahoddiad"를 번역한 찬송가로, 한국 근현대사의 고난 속에서 민족에게 위로와 희망을 주며 한국 교회 예배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세르비아의 국가
정보
Bože pravde 악보
Bože pravde 악보
로마자 표기Bože pravde
영어 제목God of Justice (정의의 신)
다른 이름Srpska nacionalna molitva (세르비아 국가 기도)
개요
국가세르비아
작곡가다보린 옌코
작곡 연도1872년
작사가요반 조르제비치
작사 연도1872년
채택1882년
폐지1919년 (부분적으로)
재채택2004년

2. 역사

1865년 Jovan Jovanović Zmaj가 쓴 초기 국가 가사


Jovan Dordevic의 Markova sablja(마르코의 칼) 책의 시 텍스트. 1°와 4°~8° 라인이 유지되었다.
Jovan Đorđević의 연극 ''Markova sablja''에 포함된 시의 원문 (가사의 첫 번째 버전)


세르비아가 공식적인 국가를 갖기 전에는 여러 노래가 비공식적으로 사용되었다. 그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1844년 Vasa Živković가 Nikola Đurković의 곡에 가사를 붙인 Rado ide Srbin u vojnike|라도 이데 스르빈 우 보이니케sr ('세르비아인은 기꺼이 군인이 되네')이다. 이 노래는 Graničarska pesma|그라니차르스카 페스마sr ('국경 수비대 노래')라고도 불렸으며, 1848년 혁명 당시 세르비아 국가처럼 사용되었다.[9]

세르비아의 공식 국가를 만들려는 첫 시도는 1865년 미하일로 공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시인 Jovan Jovanović Zmaj에게 가사를, 작곡가 Kornelije Stanković에게 곡을 의뢰했다.[9] 국가는 만들어졌지만 채택되지 못하고 잊혔다.[10] 제목은 없었으나,[11] 이 노래의 첫 구절 역시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 ('정의의 하느님')였다.[12]

1868년 미하일로 공이 암살된 후 밀란 1세가 왕위에 올랐다. 1872년, 그의 성년을 기념하여 베오그라드 국립극장의 관리자였던 Jovan Đorđević는 연극 제작을 의뢰받았다. Đorđević는 세르비아 역사와 당시 집권 중이던 오브레노비치 가문을 찬양하는 내용의 연극 Markova sablja|마르코바 사블랴sr ('마르코의 칼')를 빠르게 써서 발표했다.[13][14] Davorin Jenko가 작곡한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는 이 연극의 일부였는데, 연극 자체보다 대중에게 훨씬 큰 인기를 얻었다. 1882년 밀란이 세르비아 왕으로 즉위하자 Đorđević는 가사를 수정했고, 이 수정된 버전이 세르비아의 첫 공식 국가가 되었다.[17][15][9]

1903년 5월 쿠데타로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몰락하고 카라조르제비치 가문이 집권하게 되었다. 새로운 국가를 정하기 위한 공모전이 열렸고, Aleksa Šantić가 작사, 작곡한 Bože, na polja zemlje ove|보제, 나 폴랴 제믈례 오베sr라는 노래가 우승했지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9] 결국 1909년, 페타르 1세 국왕은 가사를 약간 수정하여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를 다시 공식 국가로 지정했다.[9]

세르비아의 통치자들은 자신의 시대에 맞게 국가 가사를 변경했다. 밀란 1세 공 시절에는 가사가 knez Milana Bože spasi|크네즈 밀라나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밀란 공을 구원하소서')였고, 왕국이 된 후에는 kralj Milana Bože spasi|크랄 밀라나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밀란 왕을 구원하소서')로 바뀌었다. 이후 알렉산다르 1세 때는 kralja Aleksandra Bože spasi|크랄랴 알렉산드라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알렉산다르 왕을 구원하소서')로, 페타르 1세 때는 kralja Petra Bože spasi|크랄랴 페트라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페타르 왕을 구원하소서')로 가사가 맞춰졌다.[16]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불가리아 점령지에서는 국가 연주와 세르비아 왕국의 상징 사용이 금지되었다. 이후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 (나중에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개칭) 시대에는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가의 일부로 포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파리에서 열린 국제 음악 연맹 회의에서는 이 곡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국가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17]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는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금지되었다. 대신 1945년부터 1992년까지 47년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가였던 Hej, Sloveni|헤이, 슬로베니sr ('슬라브족이여')가 사용되었다. 1991-1992년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된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만 연방(세르비아 몬테네그로)에 남았으나 국가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해 Hej, Sloveni|헤이, 슬로베니sr가 계속 사용되었다.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이 시기 이 노래에 반감을 가졌고, 스포츠 행사 등에서 연주될 때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18] 1992년에는 Vostani Serbije|보스타니 세르비예sr ('일어나라 세르비아여')와 드리나강 행진곡이 Bо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와 함께 세르비아 국가 후보로 제안되었다.[19] 당시 집권당이었던 세르비아 사회당이 밀었던 드리나강 행진곡은 국민투표에서 다수표를 얻었지만 공식 채택되지는 않았다.[20]

2012년 유럽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 세르비아 대 독일 경기 전 베오그라드 아레나에서 를 부르는 팬들


2004년 세르비아 국회는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 사용 권고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2006년 세르비아가 독립을 회복하면서 헌법적으로 국가 지위를 승인받았고, 권고된 가사는 2009년 법으로 공포되었다.[24][8]

현재 국가는 세르비아가 더 이상 군주제 국가가 아님을 반영하여 원 가사를 약간 수정하여 사용한다. 군주제를 연상시키는 구절들은 변경되었다. 세 군데의 srpskog kralja|스릅스코그 크랄랴sr ('세르비아 왕')는 srpske zemlje|스릅스케 제믈례sr ('세르비아의 땅')로 바뀌었고, srpskog kralja Bože hrani|스릅스코그 크랄랴 보제 흐라니sr ('하느님, 세르비아 왕을 지켜주소서') 구절은 Bože spasi, Bože brani|보제 스파시, 보제 브라니sr ('하느님, 구원하시고, 하느님, 지켜주소서')로 변경되었다. 공개적인 제창 시에는 종종 Bože spasi, Bože hrani|보제 스파시, 보제 흐라니sr ('하느님, 구원하시고, 축복하소서')와 srpske zemlje, srpski rod|스릅스케 제믈례, 스릅스키 로드sr ('세르비아의 땅, 세르비아 민족') 구절 대신 Srbiju nam Bože brani|스르비유 남 보제 브라니sr ('우리 세르비아를, 하느님, 지켜주소서')와 moli ti se sаv naš rod|몰리 티 세 사브 나쉬 로드sr ('우리 모든 민족이 당신께 기도합니다')로 반복하여 부르기도 한다.

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는 2006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구성체인 스릅스카 공화국의 지역 국가로도 사용되었으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헌법재판소에 의해 위헌 판결을 받았다.[21][22]

3. 가사

세르비아국가인 보제 프라브데(Bože pravde|보제 프라브데sr, 정의의 하느님)는 공식적으로 8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공식 석상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첫 두 절만 연주되는 경우가 많다.[8] 때로는 세 번째 절이 전체 연주에서 생략되기도 한다.[23]

국가의 가사는 시대와 정치 상황에 따라 여러 차례 수정되었다. 특히 세르비아 왕국 시기에는 군주를 찬양하는 내용이 포함되었으나, 현재의 공화국 체제에 맞게 해당 구절들이 수정되었다.[24][8] 예를 들어, '세르비아의 왕'을 언급하는 부분은 '세르비아의 땅'으로 변경되었고, 왕을 보호해달라는 기도는 세르비아 자체를 보호하고 지켜달라는 내용으로 바뀌었다.

3. 1. 세르비아어 가사

세르비아국가는 공식적으로 8절로 구성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공적인 자리에서는 간결함을 위해 첫 두 절만 연주된다.[8] 세 번째 절은 전체 연주에서 생략되는 경우도 있다.[23]

부코비차 (키릴 문자)가이차 (로마자)한국어 발음



;세르비아 왕국 시대 및 스릅스카 공화국의 옛 가사

:(1) Српског Краља, српски род!|스릅스콕 크랄랴, 스릅스키 로드!sr / (세르비아의 왕, 세르비아 민족을!)

:(2) Српске Круне нови сјај|스릅스케 크루네 노비 샤이sr / (세르비아 왕관의 새로운 광채)

:(3) Српског краља, Боже храни|스릅스콕 크랄랴, 보제 흐라니sr / (세르비아의 왕을, 하느님, 보호하소서)

'''한국어 번역'''

'''1절'''

:정의로우신 하느님, 지금까지 우리를

:파멸에서 구해주신 당신,

:변함 없이 세르비아의 아이들의 목소리를 들어주시고,

:영원히 우리의 구세주가 되어 주소서.

:

:전능하신 손길로 이끌어 주시고,

:세르비아 민족의 앞날을 지켜주소서.

:하느님,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구원하고 지켜주소서!(1)

'''2절'''

:친애하는 형제들이 단결하여

:찬란하고 영광스러운 업적을 이루게 하소서.

:우리의 단결은 적에게는 패배가,

:세르비아인에게는 무적의 성채가 되리니.

:

:단결이라는 황금의 열매가

:세르비아의 나뭇가지에서 반짝이게 하소서,

:하느님,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구원하고 지켜주소서!(1)

'''3절'''

:하느님, 그대의 복수로부터 우리를 구해 주시고,

:성난 분노의 천둥으로부터 우리를 구해 주소서.

:세르비아의 도시와 마을에서,

:산, 초원, 심장, 첨탑에서 축복을 내려 주소서.

:

:우리에게 투쟁의 날이 온다면

:승리 또는 죽음을 받아 주소서.

:하느님,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구원하고 지켜주소서!(1)

'''4절'''

:어두운 무덤에서 세르비아의 영광이라는(2)

:부활의 아침이 떠올랐네.

:노예와 같은 기나긴 수렁에서 벗어난

:세르비아가 새롭게 등장했노라.

:

:우리는 500년 동안에 감옥에 갇히면서

:그대 앞에서 무릎을 꿇었노라.

:우리의 친척이신 하느님을 위해,(3)

:세르비아 민족은 기도하리라.

3. 2. 한국어 번역



정의로우신 하느님, 지금까지 우리를

파멸에서 구해주신 당신,

변함 없이 세르비아의 아이들의 목소리를 들어주시고,

영원히 우리의 구세주가 되어 주소서.

전능하신 손길로 이끌어 주시고,

세르비아 민족의 앞날을 지켜주소서.

하느님,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구원하고 지켜주소서!1

'''2절'''

친애하는 형제들이 단결하여

찬란하고 영광스러운 업적을 이루게 하소서.

우리의 단결은 적에게는 패배가,

세르비아인에게는 무적의 성채가 되리니.

단결이라는 황금의 열매가

세르비아의 나뭇가지에서 반짝이게 하소서,

하느님,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구원하고 지켜주소서!1

'''3절'''

하느님, 그대의 복수로부터 우리를 구해 주시고,

성난 분노의 천둥으로부터 우리를 구해 주소서.

세르비아의 도시와 마을에서,

산, 초원, 심장, 첨탑에서 축복을 내려 주소서.

우리에게 투쟁의 날이 온다면

승리 또는 죽음을 받아 주소서.

하느님,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구원하고 지켜주소서!1

'''4절'''

어두운 무덤에서 세르비아의 영광이라는2

부활의 아침이 떠올랐네.

노예와 같은 기나긴 수렁에서 벗어난

세르비아가 새롭게 등장했노라.

우리는 500년 동안에 감옥에 갇히면서

그대 앞에서 무릎을 꿇었노라.

우리의 친척이신 하느님을 위해,3

세르비아 민족은 기도하리라.

;세르비아 왕국 시대 및 스릅스카 공화국의 옛 가사

:1 Српског Краља, српски род!sr / Srpskog Kralja, srpski rod!sr (스릅스콕 크랄랴, 스릅스키 롣!, 세르비아의 왕과 세르비아 민족을!)

:2 Српске Круне нови сјајsr / Srpske Krune novi sjajsr (스릅스케 크루네 노비̌ 샤이, 세르비아 왕관의 새로운 광채)

:3 Српског краља, Боже храниsr / Srpskog kralja, Bože hranisr (스릅스콕 크랄랴, 보제̌ 흐라니, 세르비아의 왕을, 하느님, 지켜주소서)

3. 3. 과거 가사

보제 프라브데의 가사는 세르비아 왕국 시대와 통치자에 따라 일부 내용이 변경되어 사용되었다.

세르비아 왕국 시대에는 군주제를 반영하여 가사가 수정되었다. 대표적으로 후렴구의 српске земље, српски род!|스릅스케 젬레, 스릅스키 롣!sr (세르비아의 땅과 세르비아 민족을!) 부분은 Српског Краља, српски род!|스릅스콕 크랄랴, 스릅스키 롣!sr (세르비아의 국왕과 세르비아 민족을!)으로 변경되었다.[35] 또한, 4절의 српске славе нови сјај|스릅스케 슬라베 노비 샤이sr (세르비아 영광의 새로운 빛) 부분은 Српске Круне нови сјај|스릅스케 크루네 노비 샤이sr (세르비아 왕관의 새로운 빛)으로, 마지막 후렴구의 Боже спаси, Боже брани|보제 스파시, 보제 브라니sr (하느님, 구원하소서, 하느님, 지켜주소서) 부분은 Српског краља, Боже храни|스릅스콕 크랄랴, 보제 흐라니sr (하느님, 세르비아의 국왕을 지켜주소서)로 바뀌어 불렸다.[35]

특정 통치자의 재위 기간에는 해당 군주를 직접 언급하는 방식으로 가사가 변경되기도 했다. 밀란 1세 공의 통치 시기에는 knez Milana Bože spasi|크네즈 밀라나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밀란 공을 구원하소서)라는 구절이 사용되었고, 그가 왕으로 즉위한 후에는 kralj Milana Bože spasi|크랄 밀라나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밀란 왕을 구원하소서)로 변경되었다. 이후 알렉산드르 1세 통치기에는 kralja Aleksandra Bože spasi|크랄랴 알렉산드라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알렉산드르 왕을 구원하소서)로, 페타르 1세 통치기에는 kralja Petra Bože spasi|크랄랴 페트라 보제 스파시sr (하느님, 페타르 왕을 구원하소서)로 가사가 맞춰졌다.[16]

현재 세르비아 공화국의 국가는 이러한 왕정 시대의 표현들을 수정하여 사용하고 있다.[24][8]

4. 평가

"정의의 하느님"(Боже правдеsrp)은 세르비아 민족의 단결과 애국심, 그리고 신앙심을 고취하는 노래로 평가받는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인 1940년, 파리에서 열린 국제 음악 연맹의 회의에서는 이 곡을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국가 세 곡 중 하나로 선정하기도 했다.[17] 이 곡은 요반 조르제비치가 쓴 연극 "Markova sabljasrp"(''마르코의 칼'')의 일부로 처음 만들어졌으나, 연극 자체보다 더 큰 대중적 인기를 얻었다.[13][14] 이후 여러 차례 세르비아의 공식 국가로 채택되고 통치자에 따라 가사가 일부 변경되는 등[16], 세르비아의 중요한 상징으로 자리매김하였다.[17][15][9]

5. 기타



세르비아가 공식적인 국가를 갖기 전에는 비공식적으로 사용된 여러 노래가 있었다. 이 중 가장 인기 있었던 곡은 1844년 바사 지브코비치가 니콜라 주르코비치의 멜로디에 맞춰 작사한 "Rado ide Srbin u vojnikesrp"였다. 이 곡은 "Graničarska pesmasrp"(''국경 수비대 노래'')라고도 알려졌으며, 1848년 혁명 당시 세르비아 국가로 사용되었다.[9]

세르비아의 공식 국가를 만들려는 첫 시도는 1865년 미하일로 공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시인 요반 요바노비치 즈마이에게 가사를, 작곡가 코르넬리예 스탄코비치에게 멜로디 작곡을 의뢰했다.[9] 이 국가는 만들어졌지만 채택되지 않았고 곧 잊혔다.[10] 제목은 없었지만,[11] 이 국가의 첫 구절 역시 "Bože pravdesrp"였다.[12]

1868년 미하일로 공 암살 후 밀란 1세가 왕위에 올랐다. 1872년, 그의 성년을 축하하며 베오그라드 국립극장 관리자 요반 조르제비치에게 연극 제작을 의뢰했다. 조르제비치는 세르비아 역사와 오브레노비치 왕가를 찬양하는 연극 "Markova sabljasrp"(''마르코의 칼'')를 빠르게 쓰고 발표했다.[13][14] 다보린 옌코가 작곡한 "Bože pravdesrp"는 이 연극의 일부였다. 이 노래는 연극 자체보다 더 큰 인기를 얻었고, 1882년 밀란이 세르비아 왕으로 즉위했을 때 조르제비치가 가사를 수정하여 세르비아의 첫 공식 국가가 되었다.[17][15][9]

1903년 5월 쿠데타로 오브레노비치 왕조가 몰락하고 카라조르제비치 왕조가 집권했다. 새로운 국가 공모전이 열렸고, 알렉사 샨티치가 작사, 작곡한 "Bože, na polja zemlje ovesrp"가 우승했지만 공식 채택되지는 않았다.[9] 결국 1909년, 페타르 1세 국왕은 가사를 약간 수정하여 "Bože pravdesrp"를 다시 공식 국가로 지정했다.[9]

세르비아의 여러 통치자들은 자신에게 맞게 국가 가사를 변경했다. 밀란 1세 공 시절에는 knez Milana Bože spasisrp ('하느님, 밀란 공을 구원하소서')였고, 왕정 수립 후에는 kralj Milana Bože spasisrp ('하느님, 밀란 왕을 구원하소서')로 바뀌었다. 이후 알렉산다르 1세 때는 kralja Aleksandra Bože spasisrp ('하느님, 알렉산드르 왕을 구원하소서'), 페타르 1세 때는 kralja Petra Bože spasisrp ('하느님, 페타르 왕을 구원하소서')로 변경되었다.[16]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불가리아가 점령한 세르비아 영토에서는 국가의 연주와 세르비아 왕국의 상징 전시가 금지되었다. 세르브인 크로아트인 슬로벤인 왕국(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대에는 "Bože pravdesrp"가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국가의 일부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직전 파리에서 열린 국제 음악 연맹 회의에서는 이 국가가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세 곡 중 하나로 선정되기도 했다.[17]

"Bože pravdesrp"는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공식적으로 폐지되고 금지되었으며, 1945년부터 1992년까지 47년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국가였던 "Hej, Slovenisrp"('슬라브족이여')가 사용되었다. 유고슬라비아가 1991-1992년 해체된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만 연방에 남았지만(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가에 대한 합의를 이루지 못해 "Hej, Slovenisrp"가 계속 사용되었다. 많은 세르비아인들은 이 기간 동안 이 노래를 싫어했고, 스포츠 행사 등에서 연주될 때 야유를 보내기도 했다.[18] 1992년에는 "Vostani Serbijesrp"와 "March on the Drina|드리나 행진곡srp"이 "Bоže pravdesrp"와 함께 세르비아 국가로 제안되었다.[19] 당시 집권당인 세르비아 사회당이 지지했던 "March on the Drina|드리나 행진곡srp"은 국민투표에서 다수 표를 얻었지만 공식적으로 채택되지는 않았다.[20]

"Bože pravdesrp" 사용에 대한 권고안은 2004년 세르비아 국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되었고, 세르비아가 독립을 회복한 후 2006년에 헌법적으로 승인되었으며, 권고된 텍스트는 2009년에 법으로 공포되었다.[24][8] 현재 국가는 세르비아가 더 이상 군주제가 아님을 반영하여 원래 가사를 약간 수정했다. 군주제를 연상시키는 구절들이 변경되었는데, 세 개의 구절에서 srpskog kraljasrp ('세르비아 왕')는 srpske zemljesrp ('세르비아의 땅')로, srpskog kralja Bože hranisrp ('하느님, 세르비아 왕을 구원하소서') 구절은 Bože spasi, Bože branisrp ('하느님, 보호하시고, 하느님, 방어하소서')로 바뀌었다. 공개 공연에서는 Bože spasi, Bože hranisrp ('하느님, 보호하시고, 축복하소서')와 srpske zemlje, srpski rodsrp ('세르비아의 땅, 세르비아 민족') 구절 대신 Srbiju nam Bože branisrp ('우리 세르비아, 하느님, 방어하소서')와 moli ti se sаv naš rod|italic=yessrp ('우리 모든 민족이 당신께 기도합니다')로 반복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다.

"Bože pravdesrp"는 2006년까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구성 지역스릅스카 공화국지역 국가로도 사용되었으나, 이후 위헌 판결을 받았다.[21][22]

참조

[1] 웹사이트 Serbia - Bože pravde https://web.archive.[...] NationalAnthems.me 2011-11-18
[2] 웹사이트 https://www.alo.rs/v[...]
[3] 웹사이트 https://lat.rtrs.tv/[...]
[4] 웹사이트 https://www.alo.rs/v[...]
[5] 웹사이트 https://lat.rtrs.tv/[...]
[6] webarchive Constitution of Serbia http://www.srbija.go[...] 2013-06-16
[7] 웹사이트 Pojavila se retka verzija himne "Bože pravde" koja će vas oduševiti, a evo kako je nastala https://www.telegraf[...] 2018-12-27
[8] 웹사이트 Zakon o izgledu i upotrebi grba, zastave i himne Republike Srbije https://web.archive.[...] Narodna skupština Republike Srbije – JP "Službeni glasnik" 2009-05-11
[9] 간행물 ХИМНА И КАКО ЈЕ СТЕЋИ? https://istorijskeno[...] 1971-01-17
[10] 웹사이트 Kako je izgubljena prva srpska himna? https://www.011info.[...] 2020-06-09
[11] 간행물 Народна имна 1865-07-20
[12] 간행물 Прва српска химна https://www.eparhija[...] 1990
[13] 간행물 Листићи https://istorijskeno[...] 1872-08-15
[14] 서적 Позориште код Срба https://istorijskeno[...] Luča
[15] 웹사이트 SVE SRPSKE HIMNE: Svečene pesme koje su izraz patriotskih, nacionalnih i religijskih emocija https://www.opanak.r[...] 2021-03-24
[16] 뉴스 Hej, Bože pravde! https://web.archive.[...] 2006-08-01
[17] 서적 Grbovi, zastave i himne u istoriji Srbije
[18] 웹사이트 Serbia-Montenegro a World Cup team without a country http://www.espn.com/[...] Associated Press 2006-06-15
[19] 웹사이트 Zašto Srbija još nema himnu https://web.archive.[...] Vreme 2000-11-02
[20] 웹사이트 Svi naši referendumi http://www.rtv.rs/sr[...] Radio-televizija Vojvodine 2008-03-06
[21] 웹사이트 Press Release https://web.archive.[...] Constitutional Court of Bosnia and Herzegovina 2007-01-27
[22] 웹사이트 Republika Srpska court upholds complaint about anthem http://www.hri.org/n[...] RFE/RL
[23] 웹사이트 Аmbasada Republike Srbije u Velikoj Britaniji http://www.london.mf[...] 2022-03-04
[24]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and anthem 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Serbia 2011-07-20
[25] 서적 Serbia, Her People, History and Aspirations https://books.google[...] Cosimo, Inc. 2017-10-14
[26] 웹사이트 Pojavila se retka verzija himne "Bože pravde" koja će vas oduševiti, a evo kako je nastala (VIDEO) https://www.telegraf[...] 2018-12-27
[27] 웹사이트 Zakon o izgledu i upotrebi grba, zastave i himne Republike Srbije: 36/2009-3 http://www.pravno-in[...] 2022-03-04
[28] 웹사이트 Zakon o izgledu i upotrebi grba, zastave i himne {{!}} RS http://www.paragraf.[...] 2022-03-04
[29] 문서 srpskog Краља, српски род!
[30] 문서 Српског краља, Боже храни
[31] 문서 srpskog Kralja, srpski rod!
[32] 웹사이트 Coat of arms, flag and national anthem https://web.archive.[...]
[33] 웹사이트 National symbols and anthem of the Republic of Serbia https://web.archive.[...] Government of Serbia
[34] 서적 Serbia, Her People, History and Aspirations https://books.google[...] Cosimo, Inc.
[35] 웹사이트 Zakon o izgledu i upotrebi grba, zastave i himne Republike Srbije https://web.archive.[...] Narodna skupština Republike Srbije – JP "Službeni glasnik" 200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