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르비아 급진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르비아 급진당(SRS)은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대세르비아 건설을 핵심 이념으로 하는 정당이다. 과거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해체 과정에서 인종 청소를 자행하며 논란을 빚었고, 유럽 통합과 세계화에 반대하며 러시아와 긴밀한 관계를 추구한다. 보이슬라브 셰셸이 당 대표를 맡고 있으며, 과거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 기소된 바 있다. 2008년에는 토미슬라브 니콜리치가 탈당하여 세르비아 진보당을 창당했다. 역대 선거에서 국회 의석을 확보했으나, 최근에는 의석 진입에 실패하는 등 부침을 겪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유럽회의주의 정당 - 드베리
드베리는 1999년 기독교 우익 청년 단체로 시작하여 2011년 정당으로 발전한 세르비아의 극우 정당으로, 기독교 근본주의, 극우 민족주의 성향을 보였으나 2016년 총선에서 의회 진출 후 여러 선거에서 실패, 대표 사퇴 및 선출을 겪었으며, 현재 세르비아 민족주의, 보수주의, 반이민 및 유럽 회의주의적 입장을 취하며 여러 극우 정당들과 협력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극우 정치 - 체트니크
체트니크는 18세기 중반부터 군대와 경찰 부대 구성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세르비아 민족주의적 목표를 추구하는 군사 또는 준군사 조직, 발칸 게릴라 부대, 그리고 대세르비아 이념을 따르는 그룹을 지칭하는 의미로 확장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활동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관련된 용어로 사용된다. - 세르비아의 극우 정치 - 드베리
드베리는 1999년 기독교 우익 청년 단체로 시작하여 2011년 정당으로 발전한 세르비아의 극우 정당으로, 기독교 근본주의, 극우 민족주의 성향을 보였으나 2016년 총선에서 의회 진출 후 여러 선거에서 실패, 대표 사퇴 및 선출을 겪었으며, 현재 세르비아 민족주의, 보수주의, 반이민 및 유럽 회의주의적 입장을 취하며 여러 극우 정당들과 협력하고 있다. - 세르비아의 보수주의 정당 - 세르비아 민주당
세르비아 민주당은 1992년 민주당에서 분리되어 창당된 국가 보수주의 정당으로, 보이슬라브 코슈투니차를 초대 대표로 하여 2000년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 교체에 기여했으나 이후 민족주의적 성향을 강화했고 2022년 당명을 신 세르비아 민주당으로 변경했다. - 세르비아의 보수주의 정당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은 2008년 창당되어 알렉산다르 부치치를 중심으로 세르비아 정치의 주요 세력으로 부상,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지향하며 유럽 연합 가입을 추구하는 친유럽적 성향과 더불어 러시아, 중국과도 협력하는 포괄정당이다.
세르비아 급진당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세르비아 급진당 |
로마자 표기 | Srpska radikalna stranka |
약칭 | SRS |
창당 | 1991년 2월 23일 |
본부 | 베오그라드 마기스트라트스키 광장 3 |
설립자 | 보이슬라브 셰셸 토미슬라브 니콜리치 |
분리 정당 | 세르비아 갱신 운동 인민 급진당 (1990년) |
신문 | '벨리카 스르비야' |
슬로건 | 세르비아는 그 아이들이 충실한 한 영원하다 |
당가 | 스프렘테 세 스프렘테 |
색상 | 파랑 |
웹사이트 | 세르비아 급진당 공식 웹사이트 |
지도부 | |
당수 | 보이슬라브 셰셸 |
부당수 | 알렉산다르 셰셸 |
부대표 | 비예리차 라데타 밀로라드 미르치치 밀리얀 다미야노비치 |
사무총장 | 나타샤 요바노비치 |
이념 및 정치 성향 | |
이념 | 극단적 민족주의 세르비아 민족 통일주의 우익 포퓰리즘 친러시아 사회 보수주의 유럽회의주의 |
정치 성향 | 극우 |
준군사 조직 | 백색 독수리대 (1991–1995) |
의회 의석 | |
세르비아 국민의회 | 0석 / 250석 |
보이보디나 자치주 의회 | 0석 / 120석 |
베오그라드 시의회 | 2석 / 110석 |
몬테네그로 의회 | 0석 / 81석 |
2. 이념 및 정책
세르비아 급진당은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대세르비아 건설을 추구하는 정당이다. 한때 세르비아 국회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었으며, 현재 세르비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몬테네그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스르프스카 공화국, 마케도니아에 이 정당에서 파생된 정당이 존재한다. 이 세 공화국들은 과거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을 구성했었다.
2008년, 토미슬라브 니콜리치는 당의 강경 노선과 달리 세르비아의 유럽 연합 가입을 지지하여 당에서 제명되었다. 이후 니콜리치는 지지자들과 함께 세르비아 진보당을 창당하여 세르비아의 주요 정당으로 부상하였다.[3]
2. 1. 주요 이념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대세르비아 건설을 목표로 한다.[17][9] 유럽 통합(유럽회의주의[18])과 세계화에 반대하며,[19][40][20] 러시아와의 긴밀한 관계를 추구한다.[19][20]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를 비판하며, 라트코 믈라디치와 라도반 카라지치를 "세르비아 영웅"으로 간주한다.[22][23] 2007년에는 코소보 독립을 막기 위해 군사력 사용을 옹호하기도 했다.[19]2. 2. 구체적인 정책
세르비아 급진당은 스르프스카 공화국에서 활성화되었으며, 세르비아 민족주의 게릴라 조직 체트니크의 계승을 주장하였다.[1] 보이슬라브 셰셸리가 대표로서 당을 이끄는 동안, 이 정당은 보스니아 전쟁과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민병대를 조직해 인종 청소를 자행하였다.[1] 이러한 범죄 행위로 인해 셰셸리는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에서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이 붕괴된 이후, 2003년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 전쟁 범죄 및 인도에 대한 범죄 혐의로 신병이 이송되었다.[1]3. 역사
세르비아 급진당은 1991년 창당되어 세르비아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한때 세르비아 국회에서 두 번째로 큰 정당이었으며, 현재 세르비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몬테네그로, 스르프스카 공화국, 마케도니아에 이 정당에서 파생된 정당들이 존재한다. 이 세 공화국은 과거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을 구성했었다.
초기 세르비아 급진당은 세르비아 민족주의 게릴라 조직 체트니크의 계승을 주장했다. 보이슬라브 셰셸리 대표 하에 보스니아 전쟁과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민병대를 조직, 인종 청소를 자행하여 2003년 셰셸리는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 전쟁 범죄 혐의로 기소되었다.
셰셸리 투옥 이후 토미슬라브 니콜리치가 당을 이끌며 2008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민주당의 보리스 타디치에게 패배했다. 같은 해 니콜리치는 셰셸리와의 갈등으로 탈당, 세르비아 진보당을 창당했다.
2014년 셰셸리가 세르비아로 돌아온 후, 세르비아 급진당은 2016년 총선에서 22석을 획득하며 재기했으나, 2020년 총선에서는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최근에는 세르비아 진보당과 연합하여 지방 선거에 참여하고 있다.
3. 1. 창당 초기 (1991-1992)
세르비아 급진당(SRS)은 1991년 2월 23일 보이슬라브 셰셸의 세르비아 체트니크 운동(SČP)과 국가 급진당(NRS)이 합쳐져 만들어졌다.[25] SČP는 1990년에 만들어졌지만, 역사 속 체트니크와의 연관성 때문에 공식 등록이 거부되었다. 셰셸은 세르비아 갱신 운동(SPO)에서 내분으로 인해 부크 드라슈코비치와 갈라선 후 새로운 정당을 결성했다. SPO는 셰셸의 전 세르비아 자유 운동과 드라슈코비치의 세르비아 민족 갱신 세력이 합쳐져 설립된 정당이었다.[25] 셰셸은 SRS의 초대 대표, NRS 회원인 토미슬라브 니콜리치는 부대표로 선출되었다.[25]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이끄는 사회당(SPS)은 언론을 통해 급진당(SRS)이 성장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 급진당이 국영 방송을 통해 극우 민족주의적 생각을 퍼뜨릴 수 있었기 때문에, 사회당은 상대적으로 온건하지만 애국적인 정당으로 보일 수 있었다. 셰셸은 "세르비아에 대한 국제적 음모"가 있다는 인식을 조장했는데, 여기에는 독일, 바티칸, CIA, 이탈리아, 터키, 그리고 온건한 세르비아 정당들이 포함되었다. 이러한 음모론은 밀로셰비치가 통제하는 언론에서도 퍼져나갔다. 1991년, 셰셸은 무소속 후보로 국회의원이 되었고, 정부 반대파와 몸싸움을 벌여 호전적인 이미지를 만들었다.
1992년 의회 선거에서 급진당은 22.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급부상하여 제2당이 되었다. 셰셸은 선거에서 코소보의 알바니아인을 알바니아로 추방하고, 산자크에서 무슬림을 추방하며, 보이보디나에서 크로아티아인을 강제로 내쫓는 등의 공약을 내걸었다. 사회당은 급진당의 의회 진출을 도왔고, 급진당과 비공식적인 연합을 맺어 온건파 정치인들을 공직에서 몰아내는 데 협력했다.[26]
3. 2. 밀로셰비치와의 갈등과 결별 (1993-1997)
1992년 세르비아 의회 선거에서 급진당은 22.6%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제2당으로 급부상하였다.[26] 보이슬라브 셰셸리는 코소보의 알바니아인을 알바니아로 추방하고, 산자크에서 무슬림을 추방하며, 보이보디나에서 크로아티아인을 강제로 내쫓는 등의 공약을 내걸었다.[26] 사회당은 급진당의 의회 진출을 도왔고, 급진당과 비공식적인 연합을 구성하여 온건파 정치인들을 공직에서 축출하는 데 협력했다.[26]1993년 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는 서방으로부터 그의 새로운 평화 중재 노력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도록, 그리고 유엔의 국가 제재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정책을 바꾸고 세르비아 급진당과 거리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26] 많은 사회주의자들은 세르비아 급진당의 강력한 성장세에 기반한 경쟁을 우려했다.[26] 세르비아 급진당을 포함한 야당 내에서 불화가 발생하자 밀로셰비치는 1993년 총선을 실시했다. 이 선거에서 세르비아 급진당의 지지율은 거의 절반으로 줄었고, 사회주의자당은 득표율을 28%에서 38%로 늘렸다.[27] 1995년 보스니아 평화를 위해 데이턴 협정에 동의한 후 밀로셰비치는 셰셸에 의해 "세르비아 역사상 최악의 배신자"로 규탄되었고, 1389년 오스만 제국과 싸운 코소보 전투 이후 세르비아의 최대 패배에 비유되었다.[26]
1995년, 셰셸과 세르비아 급진당은 중도 성향의 민주당과 보수 성향의 세르비아 민주당과 기술적 연정을 구성했다.[26] 이는 셰셸에게 어느 정도의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했지만, 이 연정은 같은 해 말까지 와해되었다.[26]
3. 3. 코소보 전쟁과 밀로셰비치 정권 붕괴 (1998-2000)
1998년 세르비아 급진당(SRS)과 세르비아 갱신 운동(SPO)은 이른바 "전시" 정부에 참여했고, 보이슬라브 셰셸리는 부총리로서 새로운 정보 법안을 통과시키고 코소보 알바니아인에 대한 선전 공세를 벌이는 데 기여했다.[28] 미국 관리들은 그를 "파시스트"로 규정했고, 미국 국무부는 그와는 결코 거래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26] 1999년 NATO의 코소보 점령 이후, 셰셸리는 그의 당이 SPS에 의해 다시 행정부에 들어오도록 유인될 때까지 정부에서 사퇴했다.[28] 그의 당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 하에서 직책을 맡았던 만큼, 세르비아 민주 야당(DOS)에서 제외되었고, 밀로셰비치가 축출된 2000년 의회 선거에서 큰 패배를 당했다.[28][31]3. 4. 셰셸의 투옥과 니콜리치의 부상 (2003-2008)
보이슬라브 셰셸리는 보스니아 전쟁과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에서 민병대를 조직해 인종 청소를 자행한 범죄 행위로 인해,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정권이 붕괴된 이후 2003년 구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 전쟁 범죄 및 인도에 대한 범죄 혐의로 신병이 이송되었다.[29] 셰셸리가 투옥된 이후, 당의 부대표였던 토미슬라브 니콜리치가 당의 실권자가 되었다.[30] 니콜리치는 국제 협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과 서구와 동구를 연결하는 세르비아의 비전을 제시하며 보다 온건한 모습을 보였다.[30]2003년 세르비아 의회 선거에서 세르비아 급진당은 전쟁범죄 재판소와의 협력, 정부의 부패 스캔들, 열악한 생활 수준을 비난했으며, 이전의 공격적인 수사를 다소 완화했다.[31] 28%의 득표율과 82석으로 득표율 다수를 얻었지만, 민주적 경쟁자들로부터 여전히 고립된 존재로 여겨져 야당에 머물렀다.[31]
2007년 세르비아 의회 선거에서는 29%의 득표율과 81석을 얻었다. 의회 내 세르비아 급진당 의원들은 니콜리치를 의장으로, 알렉산다르 부치치를 부의장으로 선출했다. 니콜리치는 연립 협상 교착 상태 속에서 민주당의 지지를 받아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나, 5일 만에 사임했다.[32]
2007년 2월 14일 국회 첫 회의에서 의원들은 마르티 아티사리 UN 특사의 코소보 지위 예비 결의안 제안을 압도적으로 거부했다.[34]

EU가 2008년 코소보 독립 선언을 인정하면서 연정이 붕괴되어 2008년에 새로운 선거가 치러졌다.[35][36] 2008년 세르비아 의회 선거에서 세르비아 급진당은 다시 29%의 득표율과 78석을 얻었으며, 코소보 독립 선언을 거부한 코소보 세르비아인 자치체들로 구성된 코소보 메토히야 공동체 의회에서 17석을 얻었다.[39]
3. 5. 니콜리치의 탈당과 세르비아 진보당 창당 (2008)
토미슬라브 니콜리치는 2008년 대통령 선거에서 중도 좌파 정당 민주당의 보리스 타디치 후보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배하였다. (1차 선거에서는 보리스 타디치에게 앞섰지만, 2차 선거에서 패배함.)[40] 세르비아 급진당은 대통령 선거 이후 열린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78석을 획득해 제2정당으로 부상하였다. 하지만, 선거 이후 니콜리치는 전 대표 보이슬라브 셰셸리와 대립했으며, 세르비아 급진당을 탈당하고 우익 성향의 세르비아 진보당을 설립하였다.2008년 9월 8일, 셰셸과의 의견 충돌 이후, 니콜리치는 다른 여러 SRS 당원들과 함께 새로운 의회 그룹인 "나프레드 스르비요!" ("세르비아를 향하여!")를 결성했다.[40] 9월 11일, 셰셸은 SRS 당원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니콜리치 그룹을 "반역자"이자 "서구의 꼭두각시"라고 비난하며, SRS 당원들에게 "세르비아 민족주의, 반세계화, 그리고 러시아 친화" 이념에 충실할 것을 촉구했다.[40] 다음 날, 니콜리치와 그의 그룹은 공식적으로 SRS에서 제명되었고,[40][41] 이에 대한 대응으로 니콜리치는 자신의 정당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42] 9월 14일에는 SRS 사무총장 알렉산다르 부치치도 SRS에서 사퇴했다.[40][43] 같은 해 10월 21일, 니콜리치와 부치치는 세르비아 진보당(SNS)을 창당했다.[44][45]
3. 6. 셰셸의 귀환과 현재 (2014-현재)
보이슬라브 셰셸리가 세르비아로 돌아온 2014년 이후, 세르비아 급진당(SRS)은 2008년 이전의 입지를 회복하기 위해 2016년 총선에 참여하여 8.34%의 득표율로 22석을 획득했다. 그러나 2020년 총선에서는 2.22%의 득표율을 기록, 새로운 3% 의석 진입 문턱을 넘지 못하고 모든 의석을 잃었다.[52] 이후 선거에서도 의석 진입 문턱을 넘을 만큼의 득표를 얻지 못했다.[53]세르비아 급진당은 집권당인 세르비아 진보당과 연합하여 2023년 베오그라드 시의회 선거에 참여했으며,[54] 이 발표는 전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55][56][57] 2024년 베오그라드 시의회 선거에서 집권 세르비아 진보당(SNS) 연합과 함께 2석을 얻었고,[58][59] 2024년 지방 선거에서도 SRS는 SNS 연합과 협력했다.
4. 국제 관계
세르비아 급진당은 러시아 자유민주당과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며, 1990년대에는 프랑스의 국민전선과도 관계를 맺었다.[19] 그리스의 극우 정당인 황금여명당과 종교적 유사성에 초점을 맞춰 최소한의 관계를 맺고 있으며, 이탈리아의 포르차 누오바 당과도 관계를 맺고 있다.[60]
2003년 이라크 침공 전까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과 아랍 사회주의 바트당을 정치적, 재정적 후원자로 여겼는데, 이는 미국에 대한 반항이라는 공통된 목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19] NATO의 2011년 리비아 군사 개입 이후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를 지지했는데, 세르비아와 리비아는 카다피가 1990년대 세르비아에 대한 NATO 개입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낸 이후로 좋은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코소보 독립에 대한 세르비아의 반대를 지지하기도 했다.[61] 시리아 내전 이후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를 지지한다는 입장을 표명했다.[62] 보이슬라브 셰셸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 대해 중립적인 입장을 옹호하며, 세르비아의 양국과의 강력한 관계를 균형 있게 유지하고 있다.[63]
2016년 3월 9일 셰셸과 즈마고 옐린치치 플레메니티(슬로베니아 국민당 대표)는 양당의 파트너십과 정치적 동맹을 강화하기 위한 협정에 서명했다.[64]
5. 역대 지도자
번호 | 대통령 | 출생–사망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
1 | 보이슬라브 셰셸[65] | ![]() | 1954– | 1991년 2월 23일 | 현직 |
셰셸리는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전 유고슬라비아 국제형사재판소에 수감되었다.[66]
번호 | 이름 | 출생-사망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
1 | 토미슬라브 니콜리치[67] | ![]() | 1952– | 2003년 2월 24일 | 2008년 9월 5일 | |
2 | 드라간 토도로비치[68] | ![]() | 1953– | 2008년 9월 5일 | 2012년 5월 26일 | |
3 | 네마냐 샤로비치[67] | ![]() | 1974– | 2012년 5월 26일 | 2014년 11월 12일 |
6.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세르비아 급진당은 여러 차례 선거에 참여하여 다양한 결과를 얻었다. 다음은 세르비아 급진당의 역대 주요 선거 결과이다.
연도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수 | 의석 수 변동 | 집권 여부 |
---|---|---|---|---|---|
1992년 | 1,066,765 | 22.58% | 73석 | ||
1993년 | 595,467 | 13.85% | 39석 | ||
1997년 | 1,162,216 | 28.08% | 82석 | ||
2000년 | 322,333 | 8.60% | 23석 | ||
2003년 | 1,069,212 | 27.62% | 82석 | ||
2007년 | 1,153,453 | 28.60% | 81석 | ||
2008년 | 1,219,436 | 29.46% | 78석 | ||
2012년 | 180,558 | 4.63% | 0석 | 원외 정당 | |
2014년 | 72,303 | 2.01% | 0석 | 원외 정당 | |
2016년 | 306,052 | 8.10% | 22석 | ||
2020년 | 65,954 | 2.05% | 0석 | 원외 정당 |
세르비아 급진당은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후반까지 세르비아 의회에서 상당한 의석을 차지하며 주요 정당으로 활동했다. 그러나 2012년 이후로는 의회 의석을 확보하지 못하고 원외 정당으로 남아있다.
6. 1. 세르비아 국회의원 선거
연도 | 대표 | 득표수 | 득표율 (%) | 의석 수 | 의석 변동 | 지위 |
---|---|---|---|---|---|---|
1992년 | 보이슬라브 셰셸 | 1,066,765 | 24.04 | 73석 | 신규 | 지지 |
1993년 | 595,467 | 14.43 | 39석 | 야당 | ||
1997년 | 1,162,216 | 29.26 | 82석 | 여당 | ||
2000년 | 322,333 | 8.81 | 23석 | 59 | 야당 | |
2003년 | 1,069,212 | 27.98 | 82석 | 59 | 야당 | |
2007년 | 1,153,453 | 29.07 | 81석 | 1 | 야당 | |
2008년 | 1,219,436 | 30.10 | 78석 | 3 | 야당 | |
2012년 | 180,558 | 4.83 | 0석 | 78 | 원외 정당 | |
2014년 | 72,303 | 2.08 | 0석 | 원외 정당 | ||
2016년 | 306,052 | 8.34 | 22석 | 22 | 야당 | |
2020년 | 65,954 | 2.13 | 0석 | 22 | 원외 정당 | |
2022년 | 82,066 | 2.22 | 0석 | 0 | 원외 정당 | |
2023년 | 55,782 | 1.50 | 0석 | 0 | 원외 정당 |
6. 2. 대통령 선거
선거 연도 | 후보 | 1차 투표 | 2차 투표 | 결과 | ||
---|---|---|---|---|---|---|
득표수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
1990 | 보이슬라브 셰셸 | 96,277 | 1.98% | colspan=2 rowspan=1| | 낙선 | |
1992 |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 2,515,047 | 57.46% | colspan=2 rowspan=1| | 당선 | |
1997년 9월 | 보이슬라브 셰셸 | 1,126,940 | 28.36% | 1,733,859 | 50.62% | 당선 |
1997년 12월 | 1,227,076 | 32.87% | 1,383,868 | 38.81% | 낙선 | |
2002년 9월 | 845,308 | 23.74% | colspan=2 rowspan=2| | 낙선 | ||
2002년 12월 | 1,063,296 | 37.10% | 낙선 | |||
2003 | 토미슬라브 니콜리치 | 1,166,896 | 47.87% | colspan=2 rowspan=1| | 당선 | |
2004 | 954,339 | 30.97% | 1,434,068 | 46.03% | 낙선 | |
2008 | 1,646,172 | 40.76% | 2,197,155 | 48.81% | 낙선 | |
2012 | 야드랑카 셰셸 | 147,793 | 3.96% | colspan=2 rowspan=1| | 낙선 | |
2017 | 보이슬라브 셰셸 | 163,802 | 4.56% | colspan=2 rowspan=1| | 낙선 | |
2022 | 알렉산다르 부치치 | 2,224,914 | 60.01% | colspan=2 rowspan=1| | 당선 |
참조
[1]
bulleted list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Hybrid Regimes after the Cold Wa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2]
bulleted list
Understanding Tahrir Square: What Transitions Elsewhere Can Teach Us about the Prospects for Arab Democracy
https://rs.n1info.co[...]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14
[3]
뉴스
Serb opposition leader resigns
http://news.bbc.co.u[...]
2011-04-20
[4]
서적
Between Justice and Stability: The Politics of War Crimes Prosecutions in Post-Miloševic Serbia
Routledge
[5]
뉴스
Serbia elections: Radical Seselj back in parliament
https://www.bbc.com/[...]
BBC
2016-04-25
[6]
서적
Right-Wing Populism in Europe: Politics and Discourse
A&C Black
[7]
웹사이트
Populism in the Balkans. The Case of Serbia
http://www.cepsr.com[...]
2017-01-24
[8]
서적
Nations in Transit 2010: Democratization from Central Europe to Eurasia
Rowman & Littlefield
[9]
뉴스
Seselj, Greater Serbia and Hoolbroke's shoes
http://www.sense-age[...]
2011-04-25
[10]
뉴스
СРС: Србија да буде у ОДКБ - војном савезу који предводи Русија
https://www.rtv.rs/s[...]
РТВ
2020-12-20
[11]
서적
Party Responses to the EU in the Western Balkans: Transformation, Opposition or Defiance?
Springer
[12]
뉴스
PRESIDENT OF SERBIA DISSOLVES PARLIAMENT
https://www.washingt[...]
2018-12-20
[13]
웹사이트
Hardliner looks set to win poll in Serbia
https://www.theguard[...]
2018-12-21
[14]
웹사이트
YUGOSLAVIA: Fascism Knocking On Serbia's Door
http://www.ipsnews.n[...]
2018-12-21
[15]
웹사이트
Call this monster by its name
https://www.theguard[...]
2018-12-21
[16]
서적
The Politics of Social Ties: Immigrants in an Ethnic Homeland
Routledge
[17]
뉴스
Europe diary: Serbian Radicals
http://news.bbc.co.u[...]
2010-05-23
[18]
웹사이트
The changing nature of Serbian political parties' attitudes towards Serbian EU membership
https://www.sussex.a[...]
2016-04-18
[19]
뉴스
Serbian Radical Party Riding High
https://www.washingt[...]
2007-01-24
[20]
뉴스
Extreme nationalist elected speaker of Serbian parliament
https://www.theguard[...]
2010-03-25
[21]
뉴스
Serbia: rising nationalism imperils Mladic, Karadzic hunt
http://www.cafebabel[...]
2008-05-08
[22]
뉴스
Karadzic arrest: Reaction in quotes
http://news.bbc.co.u[...]
2011-05-27
[23]
뉴스
Court finds Ratko Mladic fit for extradition
http://english.aljaz[...]
2011-05-27
[24]
웹사이트
Mr Aleksandar ŠEŠELJ (Serbia, NR)
https://pace.coe.int[...]
2023-07-29
[25]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2012-06-15
[26]
뉴스
Vojislav Seselj: Milosevic's hard-line ally
http://news.bbc.co.u[...]
2011-04-20
[27]
간행물
[28]
서적
[29]
뉴스
Profile: Vojislav Seselj
http://news.bbc.co.u[...]
2010-03-25
[30]
뉴스
Serbia vote: Parties and players
http://news.bbc.co.u[...]
2011-04-21
[31]
서적
Focus on politics and economics of Russia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Nova
2012-07-26
[32]
뉴스
Hardliner elected Serbia speaker
http://news.bbc.co.u[...]
2011-04-20
[33]
뉴스
Radical Serbia speaker steps down
http://news.bbc.co.u[...]
2011-04-20
[34]
뉴스
Serbian Parliament Rejects UN Plan for Kosovo's Autonomy
http://www.voanews.c[...]
2011-04-22
[35]
뉴스
Serbia ruling coalition collapses
http://news.bbc.co.u[...]
2011-04-20
[36]
뉴스
Kosovo sparks early Serb election
http://news.bbc.co.u[...]
2008-03-08
[37]
뉴스
New Serbian cabinet focuses on EU
http://news.bbc.co.u[...]
2008-07-07
[38]
뉴스
Unlikely Serb allies put to the test
http://news.bbc.co.u[...]
2008-07-08
[39]
뉴스
Kosovo Serbs convene parliament; Pristina, international authorities object
http://www.setimes.c[...]
Southeast European Times
2008-06-30
[40]
논문
Resurrecting The Past: Democracy, National Identity and Historical Memory in Modern Serbia
Rutgers University
2009-10-01
[41]
뉴스
Nikolić i klub isključeni, Vučić odsutan
http://www.mtsmondo.[...]
2008-09-12
[42]
뉴스
Former SRS deputy leader Nikolic to form own party in Serbia
http://www.setimes.c[...]
2008-09-12
[43]
뉴스
Nikolić: I Vučić napustio radikale
http://www.mtsmondo.[...]
2008-09-14
[44]
뉴스
Nikolic's new party to hold founding session next month in Belgrade
http://www.setimes.c[...]
2008-09-17
[45]
뉴스
Nikolic Is President of Serbian Progressive Party
http://dalje.com/en-[...]
2008-10-21
[46]
뉴스
Tomislav Nikolic resigns as deputy leader of Serbian Radical Party, SAA ratified
http://www.europeanf[...]
2008-09-08
[47]
뉴스
Nikolić quits Radicals
http://b92.net/eng/n[...]
2008-09-12
[48]
뉴스
SRS ringing personnel changes
http://www.b92.net/e[...]
2008-12-03
[49]
뉴스
New poll gives opposition parties lead
http://www.b92.net/e[...]
2011-04-06
[50]
뉴스
West would like to see Nikolić in power
http://www.b92.net/e[...]
2011-04-11
[51]
뉴스
Debakl šokirao Šešelja
http://www.novosti.r[...]
Vecernije novosti
2012-05-07
[52]
웹사이트
Parliament agrees to 3% electoral threshold
https://www.serbianm[...]
2020-02-10
[53]
뉴스
Dobitnici i gubitnici izbora u Srbiji
https://www.slobodna[...]
2022-04-05
[54]
뉴스
With Vucic Allies Poised to Dominate Serbian Elections, the Battle for Belgrade Takes on Extra Significance
https://www.rferl.or[...]
2023-12-17
[55]
웹사이트
Ponovo zajedno: Šešelj najavio koaliciju SNS i SRS
https://www.vreme.co[...]
2023-11-01
[56]
웹사이트
Profesorka emerita: Saradnja SNS i SRS na lokalnim izborima radikalni oblik pokazivanja moći
https://insajder.net[...]
2023-11-01
[57]
웹사이트
Kumovi ponovo na okupu: U borbi za Beograd, bivšim radikalima se priključuju originalni
https://n1info.rs/ve[...]
2023-11-01
[58]
웹사이트
Извештај о укупним резултатима избора за одборнике Скупштине града Београда
https://www.beograd.[...]
[59]
웹사이트
Izborne LISTE
https://www.beograd.[...]
[60]
뉴스
Massive Serbian protest against NATO & in favor of wartime leader Radovan Karadzic
https://yespasaran.w[...]
[61]
뉴스
'Why Right-Wing Serbs Love Qaddafi' – Kirchick in 'The New Republic'
http://www.rferl.org[...]
2011-04-08
[62]
웹사이트
http://www.srpskarad[...]
Српска радикална странка
[63]
웹사이트
Проф. др Војислав Шешељ: Апсолутно неприхватљиво да Србија уведе мораторијум на кампању повлачења признања "Косова"!
http://www.vseselj.r[...]
2020-09-07
[64]
뉴스
Повеља о сарадњи СРС-а и Словеначке националне странке
http://www.rts.rs/pa[...]
RTS
[65]
기타
[66]
웹사이트
Serbian ministries, etc.
http://rulers.org/se[...]
B. Schemmel
[67]
기타
[68]
기타
[69]
기타
[70]
웹사이트
Wolfram Nordsieck, Parties and Elections in Europe
http://www.parties-a[...]
[71]
웹사이트
Serbs 'desperate for change'
https://www.aljazeer[...]
2018-12-23
[72]
서적
Right-Wing Populism in Europe: Politics and Discourse
A&C Black
[73]
웹사이트
Populism in the Balkans. The Case of Serbia
http://www.cepsr.com[...]
2017-01-24
[74]
웹인용
Serbian Elections: In Extraordinary Circumstances, Ruling Party Looks to Solidify its Grip on Power
https://europeelects[...]
2020-06-18
[75]
서적
Between Justice and Stability: The Politics of War Crimes Prosecutions in Post-Miloševic Serb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76]
서적
The People and the Nation: Populism and Ethno-Territorial Politics i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
[77]
웹인용
Homophobia and Hate Speech in Serbian Public Discourse: How Nationalist Myths and Stereotypes Influence Prejudices against the LGBT Minority
https://www.equalrig[...]
2020-07-12
[78]
웹사이트
Serbia
http://www.parties-a[...]
2018-08-28
[79]
서적
Media Discourse and the Yugoslav Conflicts : Representations of Self and Other
https://archive.org/[...]
Ashgate
[80]
서적
Serbia since 1989 : politics and society under Milošević and after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81]
서적
Historical Legacies and the Radical Right in Post-Cold War Central and Eastern Europe
https://books.googl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4-04-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