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1854년 세인트 마틴 예술 학교와 1896년 센트럴 예술 & 디자인 학교의 합병으로 설립된 런던 예술대학교 소속의 예술 대학이다. 순수미술, 패션 및 섬유 디자인, 제품 디자인 등 8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킹스크로스, 아치웨이, 홀본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패션 및 섬유 디자인 분야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으며, 존 갈리아노, 스텔라 매카트니, 알렉산더 맥퀸 등 저명한 디자이너와 예술가, 배우, 영화감독 등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 예술대학교 - 첼시 칼리지 오브 아츠
첼시 칼리지 오브 아츠는 런던 예술대학교 소속 칼리지로 미술, 디자인, 미디어 분야 교육 및 연구를 제공하며, 1895년 사우스웨스턴 폴리테크닉에서 시작하여 첼시 미술 학교를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고, 다양한 전시 공간 운영 및 연구 활동을 수행한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 |
---|---|
기본 정보 | |
![]() | |
설립 | 1854년 - 세인트 마틴스 예술 학교 1896년 - 센트럴 예술 및 디자인 학교 1910년 - 바이엄 쇼 예술 학교 1963년 - 드라마 센터 런던 1989년 -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
종류 | 공립 |
총장 | 라트나 라마나탄 |
위치 | 영국 런던 |
캠퍼스 | 도시 |
주소 | 그라너리 빌딩, 1 그라너리 스퀘어, 킹스 크로스, 런던, N1C 4AA |
모기관 | 런던 예술 대학교 |
웹사이트 | arts.ac.uk/csm |
2. 역사
센트럴 세인트 마틴은 1989년 세인트 마틴 예술 학교와 센트럴 예술 & 디자인 학교가 합병하여 설립되었다.
- 세인트 마틴 예술 학교는 1854년 세인트 마틴 인 더 필즈 교회의 헨리 맥켄지 교구 목사에 의해 설립되었고, 1859년 교회로부터 독립했다.
- 센트럴 예술 & 디자인 학교는 1896년 런던 카운티 의회에 의해 센트럴 스쿨 오브 아트 앤 크래프츠(Central School of Arts and Crafts)로 설립되었으며, 윌리엄 모리스와 존 러스킨의 예술 공예 운동에서 영향을 받았다. 초대 교장은 윌리엄 리처드 레서비였다.
1999년에는 드라마 센터 런던, 2003년에는 비암 쇼 예술 학교가 센트럴 세인트 마틴에 합병되었다.
1986년 센트럴 세인트 마틴은 내부 런던 교육청이 설립한 런던 인스티튜트의 소속이 되었다. 2004년 런던 인스티튜트가 런던 예술대학교(UAL)로 이름을 변경한 후, 센트럴 세인트 마틴은 UAL에 소속된 6개의 컬리지 중 하나가 되었다.
2. 1. 설립 배경
세인트 마틴 예술 학교는 1854년 세인트 마틴 인 더 필즈 교회의 교구 목사였던 헨리 맥켄지에 의해 설립되었다. 1859년 교회로부터 독립했다. 1952년 프랭크 마틴이 조각과의 학과장이 되었고, 그는 젊은 조각가들과 최근 졸업생들을 교사로 데려왔다. 이들 중 앤서니 카로가 특히 영향력이 컸다. 그를 중심으로 한 그룹은 영국의 신세대 조각가로 알려지게 되었고, 세인트 마틴의 조각과는 팀 스콧의 말에 따르면 "예술계에서 가장 유명한 곳"이 되었다.센트럴 예술 & 디자인 학교(Central School of Art and Design)는 1896년 런던 카운티 의회에 의해 센트럴 스쿨 오브 아트 앤 크래프츠(Central School of Arts and Crafts)로 설립되었다. 이 학교는 윌리엄 모리스와 존 러스킨의 예술 공예 운동에서 직접적으로 발전했다. 1896년부터 1911년까지 초대 교장은 윌리엄 리처드 레서비였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청색 표지석이 1957년에 세워졌다. 학교는 처음에는 리젠트 스트리트 폴리테크닉에서 임대된 몰리 홀에 위치해 있었다. 1908년에는 런던 자치구 캠던의 사우스햄튼 로에 맞춤형 건물을 지어 이전했다. 같은 해에 1842년에 설립된 로열 여성 미술 학교가 학교에 통합되었다.
2. 2. 합병과 발전
센트럴 세인트 마틴은 1854년에 세워진 세인트 마틴 예술 학교와 1896년에 세워진 센트럴 예술 & 디자인 학교가 1989년에 합병하면서 현재의 이름이 되었다. 1963년에 설립된 드라마 센터 런던은 1999년에, 1910년에 설립된 비암 쇼 예술 학교는 2003년에 센트럴 세인트 마틴에 합병되었다.
1986년부터 세인트 마틴 예술 학교와 센트럴 예술 & 디자인 학교는 모두 내부 런던 교육청이 설립한 런던 인스티튜트의 소속이었다. 2004년에 런던 인스티튜트가 런던 예술대학교(UAL)로 이름을 바꾼 뒤 현재까지 UAL에 소속된 6개의 컬리지 중 하나이다.
2. 3. 런던 예술대학교와의 관계
1986년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이너 런던 에듀케이션 어소리티(Inner London Education Authority)가 설립한 런던 인스티튜트(London Institute)의 소속이 되었다.[1] 2004년에 런던 인스티튜트가 런던 예술대학교(University of the Arts London, UAL)로 이름을 바꾸면서, UAL에 소속된 6개의 컬리지 중 하나가 되었다.[1] 런던 예술 대학교는 런던의 7개 예술, 디자인, 패션 및 미디어 학교를 통합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캠버웰 예술대학교, 첼시 예술대학교, 런던 커뮤니케이션 대학교, 런던 패션 대학교, 윔블던 예술대학교도 포함한다.[2]3. 구성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연기, 미술, 디자인, 패션, 그래픽, 보석, 텍스타일, 그리고 기초 과정 등 9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수미술대학, 패션 및 섬유 디자인대학, 제품 및 산업디자인대학, 문화 및 상업대학,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대학, 공간 디자인대학, 3D 및 주얼리 디자인대학, 드라마 센터 런던 등 8개 프로그램과 각 학부별 다양한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2011년 킹스 크로스의 그레너리 광장에 있는 개조된 창고 단지로 이전했다. 대부분의 대학은 그곳에 있지만, 아치웨이의 Elthorne Road에 있는 이전 Byam Shaw 건물과 홀본의 Richbell Place에 있는 건물도 사용한다. 순수 미술, 패션, 섬유, 영화, 비디오 및 사진, 그래픽 및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3차원 디자인, 연극 및 퍼포먼스 분야 등 다양한 예술 및 디자인 과목을 제공하며, 영국의 예술 & 디자인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패션, 예술, 디자인 각 분야에서 활약하는 저명 인사를 배출하고 있으며, 5일에서 3개월의 단기 코스 및 파운데이션 코스부터 석사 과정까지 다양한 레벨의 코스가 있다. 매년 6월에 열리는 졸업 컬렉션과 전람회에는 각국에서 패션 관계자 및 저널리스트들이 방문하여 주목도가 높다.[1]
3. 1. 프로그램 목록
- 순수미술
- 패션 및 섬유 디자인
- 제품 및 산업 디자인
- 문화 및 상업
- 그래픽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 공간 디자인
- 3D 및 주얼리 디자인
- 드라마 센터 런던: 1963년 센트럴 스쿨 오브 스피치 앤 드라마에서 분리된 교사와 학생 그룹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존 블래칠리, 야트 말름그렌, 크리스토퍼 페테스가 이끌었다. 드라마 UK의 회원이었다. 학부 연기 과정은 Drama UK의 인증을 받았다. 1999년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에 합병되었다. 2020년 런던 예술 대학교는 이 학교를 폐쇄하기로 결정했다.[1]
3. 2. 교육 철학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학생들에게 예술과 디자인의 경계에 도전할 것을 끊임없이 요구한다. 패션 분야의 인상이 강한 학교이지만, 기본은 순수 미술이다.[1]4. 캠퍼스 및 위치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런던 중심부에 캠퍼스를 두고 있다. 메인 캠퍼스는 킹스크로스에 있으며, 캠던구의 그래너리 빌딩에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은 킹스 크로스 역에서 북쪽으로 도보 10분 거리에 있으며, 루이스 큐비트가 설계한 원래 밀 창고였다. 그래너리 빌딩 양쪽에 있는 화물 창고 사이에 새로운 건물을 세우고, 중앙에는 4층 높이의 트인 공간인 "스트리트"를 만들었다. 길이 110m의 "스트리트"는 사람들이 교류하고 전시 및 쇼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홀이다.
학교 주변에는 킹스 크로스 센트럴(King's Cross Central) 개발 지역, 그래너리 스퀘어(Granary Square), 대영 도서관, 리젠트 운하 등이 있다.
4. 1. 캠퍼스 위치
이 대학은 영국 런던에 있으며 캠퍼스는 킹스 크로스, 아치웨이 그리고 홀본에 위치하고 있다.도서관, 레서비 갤러리(Lethaby Gallery)와 드라마 센터 런던의 플랫폼 시어터(Platform Theatre)는 메인 캠퍼스인 킹스크로스에 위치한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2011년 킹스 크로스의 그레너리 광장에 있는 개조된 창고 단지로 이전했다. 대부분의 대학은 그곳에 있지만, 아치웨이의 Elthorne Road에 있는 이전 Byam Shaw 건물과 홀본의 Richbell Place에 있는 건물도 사용한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3개의 캠퍼스가 런던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2011년부터 메인 캠퍼스는 캠던구의 그래너리 빌딩에 있으며, 킹스 크로스 역에서 북쪽으로 도보 10분 거리에 위치해 있다. 역 건물과 마찬가지로 루이스 큐비트(Lewis Cubitt)가 설계한 원래 밀 창고였다. 그래너리 빌딩 양쪽에 있는 화물 창고 사이에 새로운 건물을 삽입하고, 그 중앙에는 4층 높이의 트인 공간으로, 길이 110m에 달하는 "스트리트"를 설치했다. 이곳은 사람들이 교류하고 전시, 쇼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홀이다.
CSM 주변 지역에는 광대한 킹스 크로스 센트럴(King's Cross Central) 개발 지역, 그래너리 스퀘어(Granary Square), 대영 도서관, 그리고 리젠트 운하 등이 있다.
4. 2. 주요 시설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의 메인 캠퍼스는 킹스크로스에 있으며, 도서관, 레서비 갤러리(Lethaby Gallery), 드라마 센터 런던의 플랫폼 시어터(Platform Theatre) 등이 있다.
2011년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킹스 크로스의 그레너리 광장에 있는 개조된 창고 단지로 이전했다. 대부분의 시설은 킹스크로스 캠퍼스에 있지만, 아치웨이의 Elthorne Road에 있는 이전 Byam Shaw 건물과 홀본의 Richbell Place에 있는 건물도 사용한다. 메인 캠퍼스인 킹스크로스 캠퍼스는 캠던구 그래너리 빌딩에 있으며, 킹스 크로스 역에서 북쪽으로 도보 10분 거리에 있다. 루이스 큐비트(Lewis Cubitt)가 설계한 원래 밀 창고였던 그래너리 빌딩 양쪽에 화물 창고를 두고, 그 사이에 새로운 건물을 삽입하여 중앙에 4층 높이의 트인 공간을 만들었다. 이 공간은 길이 110m에 달하는 "스트리트"로, 사람들이 교류하고 전시 및 쇼 등에 활용할 수 있는 다목적 홀이다.
CSM 주변에는 킹스 크로스 센트럴(King's Cross Central) 개발 지역, 그래너리 스퀘어(Granary Square), 대영 도서관, 리젠트 운하 등이 있다.
5. 수상 및 평가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패션 및 섬유 디자인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학교로 평가받고 있다. Business of Fashion|비즈니스 오브 패션영어(BOF)과 영국의 더 가디언은 2015년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를 학사 세계 1위, 석사 세계 2위로 평가했다. QS World University는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가 소속된 런던 예술대학교를 예술 대학 분야 영국 2위, 전 세계 8위로 랭크했다.
5. 1. 주요 수상
1998년 영국의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왕 기념상을 수상하였고,[1] 2013년에는 센트럴 세인트 마틴의 산업 및 제품 디자인 졸업생들의 공헌을 인정받아 런던 예술대학교가 여왕 기념상을 수상하였다.[2]5. 2. 외부 평가
Business of Fashion|비즈니스 오브 패션영어(BOF)은 2015년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를 학사 세계 1위, 석사 세계 2위로 선정했다. 영국의 정론지 더 가디언 또한 2015년 랭킹에서 학사 세계 1위, 석사 세계 2위로 평가했다. QS World University는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가 소속된 런던 예술대학교를 예술 대학 분야 영국 2위, 전 세계 8위로 랭크했다.1998년에는 영국의 패션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여왕 기념상(Queen's Anniversary Prize)을 수상했고, 2013년에는 런던 예술대학교가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산업 및 제품 디자인 졸업생들의 공헌을 인정받아 여왕 기념상을 수상했다.
''컴플리트 유니버시티 가이드'' 대학 순위에서는 런던 예술대학교의 일부로 평가받는다. 2014년에는 124개 기관 중 전체 67위, 졸업생 전망 102위, 학생 수업 만족도 123위를 기록했다. 2018년에는 129개 대학 중 83위, 학생 만족도 125위를 기록했다.
6. 저명한 동문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수많은 동문들을 배출했다. 터너상 수상자 로르 프루보스트, 음악가 자비스 코커, 패션 디자이너 존 갈리아노, 스텔라 매카트니, 알렉산더 맥퀸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1]
아래는 분야별 주요 동문 목록이다.
분야 | 주요 동문 |
---|---|
패션 디자이너 | 존 갈리아노, 스텔라 매카트니, 알렉산더 맥퀸, 후세인 샬라얀, 폴 스미스, 리카르도 티시, 닐 바렛, 캐서린 햄넷, 매튜 윌리엄슨, Sarah Burton|세라 버튼영어, Mary Katrantzou|메리 카트란주영어, Phoebe Philo|피비 파일로영어, Zac Posen|자크 포젠영어, Michael van der Ham|마이클 반 더 햄영어, Gareth Pugh|가레스 퓨영어, Masato Jones|마사토 존스영어, Han Chong|한 총영어, Roni Ilan|로니 일란영어, 카츠이 호쿠토, 야기 나오, 요시다 마미, 노부쿠니 타이시, 에즈미 타이슌, 쿠리하라 타오, 노다 겐타로, 오하라 유리카, 야마가타 요시카즈, 다나카 타카노리, 아카사카 코자부로, 카와니시 료헤이, 구시켄 코타, 계한희, 정혁서 |
디자이너 (패션 외) | 제임스 다이슨 (산업 디자이너), 테렌스 콘란 (가구 디자이너), 숀 오마라 (그래픽 디자이너), 데이비드 E. 카터 (그래픽 디자이너) |
예술가 | 길버트 & 조지, 안토니 곰리, 루시안 프로이트, 리처드 롱, 미하우 마르티호비에츠, 모나 하툼, 앤서니 제임스, 후안 무뇨스, 조지 고르디엔코, MICO MAI, 테라치 요코, 와타나베 카오리 |
음악가 | PJ 하비, M.I.A., 샤데이 아두, 자비스 코커, 폴 시머넌, Rie fu, 팔로마 페이스 |
영화 감독 | 조 라이트, 마이크 리, 조슈아 오펜하이머, 해리스 잠바를로코스, 최은영 |
배우 | 콜린 퍼스, 피어스 브로스넌, 톰 하디, 에밀리아 클라크, 마이클 패스벤더, 러셀 브랜드, 존 허트, 폴 베터니, 그웬돌린 크리스티, 제시카 브라운 핀들리, 마리암 다보, 숀 해리스, 앤마리 더프, 사이먼 캐로우, 타라 피츠제럴드, 헬렌 맥크로리, 존 심, 페넬로페 윌튼 |
6. 1. 패션 디자이너
존 갈리아노, 스텔라 매카트니, 알렉산더 맥퀸, 후세인 샬라얀, 폴 스미스 등 세계적인 패션 디자이너들을 배출했다.[1][2][3][4][5][6][7][8][9] 이 외에도 리카르도 티시, 닐 바렛, 캐서린 햄넷, 매튜 윌리엄슨, 소피아 코코사라키, Sarah Burton|세라 버튼영어, Mary Katrantzou|메리 카트란주영어, Phoebe Philo|피비 파일로영어, Zac Posen|자크 포젠영어, Michael van der Ham|마이클 반 더 햄영어, Gareth Pugh|가레스 퓨영어, Masato Jones|마사토 존스영어, Han Chong|한 총영어, Roni Ilan|로니 일란영어과 카츠이 호쿠토, 야기 나오, 요시다 마미, 노부쿠니 타이시, 에즈미 타이슌, 쿠리하라 타오, 노다 겐타로, 오하라 유리카, 야마가타 요시카즈, 다나카 타카노리, 아카사카 코자부로, 카와니시 료헤이, 구시켄 코타 등이 있다. 한국인 동문으로는 계한희, 정혁서 등이 있다.6. 2. 디자이너 (패션 외)
- 제임스 다이슨 (산업 디자이너, 다이슨 설립자)[1]
- 테렌스 콘란 (가구 디자이너, 인테리어 디자이너, 레스토랑 경영자)[2]
- 숀 오마라 (그래픽 디자이너)[3]
- 데이비드 E. 카터 (그래픽 디자이너)[4]
6. 3. 예술가
- 길버트 & 조지 (아티스트)
- 안토니 곰리 (조각가)
- 루시안 프로이트 (화가)
- 리처드 롱 (조각가)
- 미하우 마르티호비에츠 (아티스트)
- 모나 하툼 (아티스트)
- 앤서니 제임스 (아티스트)
- 후안 무뇨스 (아티스트)
- 조지 고르디엔코 (화가, 전 프로레슬러)
- MICO MAI (아티스트)
- 테라치 요코 (미술 작가)
- 와타나베 카오리 (일러스트레이터)
6. 4. 음악가
6. 5. 영화 감독
6. 6. 배우
참조
[1]
웹사이트
連載「ふくびと」mintdesigns デザイナー勝井北斗&八木奈央
https://www.fashions[...]
2022-04-10
[2]
웹사이트
PATRICK RYAN/吉田真実 インタビュー
https://www.web-acro[...]
2022-04-10
[3]
웹사이트
アイデアの連想を図書館で 「ヤストシ エズミ」江角泰俊
https://www.asahi.co[...]
2022-04-10
[4]
웹사이트
とっておきのクリスマスギフト 野田源太郎さん
http://www.asahi.com[...]
2022-04-10
[5]
웹사이트
イン-プロセスがDHL デザイナーアワード受賞
https://www.fashions[...]
2022-04-10
[6]
웹사이트
山縣良和 プロフィール|六本木未来会議 -デザインとアートと人をつなぐ街に-
https://6mirai.tokyo[...]
2022-04-10
[7]
웹사이트
武蔵小山の街とモードの距離感 「ディウカ」田中崇順・松本志行
https://www.asahi.co[...]
2022-04-10
[8]
웹사이트
【対談】「コウザブロウ」×「ランドロード」2人のデザイナーが語る東京とファッションの今
https://www.fashions[...]
2022-04-10
[9]
웹사이트
セントマ出身の「コウタグシケン」が本格デビュー、"生活音の心地よいズレ"をニットウェアで表現
https://www.fashions[...]
2022-04-10
[10]
웹사이트
寺内曜子展(ふじ・紙のアートミュージアム)|美術手帖
https://bijutsutecho[...]
2022-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