셈여림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셈여림표는 음악에서 음의 세기를 나타내는 기호로, 이탈리아어를 기반으로 다양한 기호와 약어를 사용한다. 기본적인 표기에는 p(피아노, 약하게), f(포르테, 강하게) 등이 있으며, mp(메조피아노, 조금 약하게), mf(메조포르테, 조금 강하게)와 같은 중간 음량도 존재한다. 이러한 표기는 pp(피아니시모, 매우 약하게)에서 fff(포르티시시모, 아주 강하게)와 같이 겹쳐서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음이나 악구에만 적용되는 다양한 셈여림표도 있다. 셈여림의 점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크레셴도(점점 세게)와 데크레셴도/디미누엔도(점점 약하게)와 같은 표기도 사용된다. 셈여림표는 르네상스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낭만주의 시대를 거치며 더욱 다양해졌다. 현대 음악에서는 pppp에서 fffffff와 같이 극단적인 셈여림표도 사용되며, MIDI를 통해 0부터 127까지의 숫자로 표현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클래식 음악 - 바로크 음악
바로크 음악은 1600년부터 1750년경 유럽에서 번성한 양식으로, 과도한 장식을 뜻하는 용어에서 유래, 이탈리아에서 시작하여 유럽 전역으로 확산, 바흐, 헨델, 비발디 등의 작곡가와 오페라, 협주곡 등의 새로운 형식 발전, 통주저음 사용이 특징이며 현대 음악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 클래식 음악 - 낭만주의 음악
낭만주의 음악은 18세기 후반 유럽에서 시작되어 자연, 선율, 웅장한 오케스트라를 특징으로 하며, 베토벤, 쇼팽 등이 주요 작곡가이고, 민족주의 음악 발전에 영향을 주어 20세기 근대주의 음악으로 이어진다. - 음악에 관한 - 리듬
리듬은 음악, 무용, 언어 등에서 나타나는 시간적 패턴으로, 음악에서는 펄스, 비트, 마디 등의 시간 단위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언어학에서는 강세, 음절 등을 기준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악보
악보는 음의 높낮이와 길이, 악기, 연주법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기호 체계로, 오선, 음표, 쉼표 등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음악을 기록하고 전달하는 매체이다.
| 셈여림표 | |
|---|---|
| 개요 | |
| 정의 | 음악에서 소리의 크기 또는 음표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 |
| 특징 | 음악적 표현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감정 전달 및 음악적 구조 형성에 기여함 |
| 기호 | 다양한 기호와 용어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작곡가나 편곡가가 의도하는 음량 변화를 지시함 |
| 표기법 | |
| 기본 표기 | (피아니시모): 매우 여리게 (피아노): 여리게 (메조피아노): 중간 정도로 여리게 (메조포르테): 중간 정도로 세게 (포르테): 세게 (포르티시모): 매우 세게 |
| 추가 표기 | (피아니시시모): 극도로 여리게 (포르티시시모): 극도로 세게 (스포르찬도): 갑자기 세게 (스포르찬도 피아노): 갑자기 세게 연주한 후 바로 여리게 |
| 변화 표기 | (크레셴도): 점점 세게 또는 (디미누엔도 또는 데크레셴도): 점점 여리게 |
| 헤어핀 | 크레셴도나 디미누엔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기호 |
| 상세 설명 | |
| 피아니시모 (pp) | 피아니시모(pianissimo)는 '매우 조용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피아노(piano)보다 더 조용하며, ppp(피아니시시모)는 더욱 더 조용하게 연주하라는 의미이다. |
| 피아노 (p) | 피아노(piano)는 '조용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피아니시모보다는 덜 조용하지만, 메조피아노보다는 더 조용하다. |
| 메조피아노 (mp) | 메조피아노(mezzo piano)는 '절반은 조용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피아노보다는 크지만, 메조포르테보다는 작다. |
| 메조포르테 (mf) | 메조포르테(mezzo forte)는 '절반은 크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메조피아노보다는 크지만, 포르테보다는 작다. |
| 포르테 (f) | 포르테(forte)는 '크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메조포르테보다는 크지만, 포르티시모보다는 작다. |
| 포르티시모 (ff) | 포르티시모(fortissimo)는 '매우 크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포르테보다 더 크며, fff(포르티시시모)는 더욱 더 크게 연주하라는 의미이다. |
| 스포르찬도 (sfz 또는 sf) | 스포르찬도(sforzando, sfz, sf)는 음표나 화음을 갑작스럽고 강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
| 린포르찬도 (rf 또는 rfz) | 린포르찬도(rinforzando, rf, rfz)는 스포르찬도와 유사하지만, 보다 짧고 강조된 방식으로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
| 포르테피아노 (fp) | 포르테피아노(forte piano, fp)는 음표를 세게 연주한 다음 즉시 조용하게 연주하라는 지시어이다. |
| 기타 | |
| 주의사항 | 셈여림은 절대적인 음량 수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음량 변화를 나타낸다. |
2. 셈여림표
다이내믹은 음악의 표현 요소 중 하나이다. 다이내믹은 효과적으로 사용될 경우, 음악가들이 연주에서 다양성과 흥미를 유지하고, 특정한 감정 상태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1] 셈여림표는 기본적으로 이탈리아어를 사용하며, 다양한 기호와 약어로 표시된다.
셈여림표는 항상 상대적이다.[1] pianoit (피아노 - "부드럽게")는 결코 정확한 크기를 나타내지 않으며, 단순히 이 마킹이 된 구절의 음악이 forteit (포르테 - "강하게")보다 상당히 작게 연주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다이내믹 마킹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많다. 예를 들어, 음악 구절의 중간 부분은 구절의 시작이나 끝보다 일반적으로 더 크게 연주될 것이며, 이는 구절 전체가 pit로 표시되어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마찬가지로, 다성 음악에서는 일부 성부가 다른 성부보다 자연스럽게 더 크게 연주될 것이며, 예를 들어, 전체 구절이 하나의 다이내믹 레벨로 표시되어 있더라도 멜로디와 베이스 라인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일부 악기는 다른 악기보다 자연스럽게 더 크다. 예를 들어, 튜바가 mezzo pianoit (메조 피아노)로 연주하는 소리는 기타가 forteit로 연주하는 소리보다 더 클 것이고, 피콜로와 같은 고음 악기가 상부 음역에서 연주하는 소리는 실제 데시벨 레벨이 다른 악기보다 낮더라도 크게 들릴 수 있다.
음악에는 음고, 길이, 음색, 세기와 같은 요소가 있다. 이 중에서 음색이나 소리의 세기는 악보상의 규정이 그리 엄밀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큰 변화를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연주자에게는 자유로운 표현을 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강약 표현은 작품의 의도라는 관점에서 원래 작곡가에게 책임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치밀한 구성이 연주자에게 엄밀하게 부과되기도 하고, 연주 시에는 작곡가가 지시한 강약 기호에 따른 표현을 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최종적으로는 연주자의 재량에 맡겨지는 면이 강하다. 따라서, 연주자가 독자적인 음악 해석이나 연주 스타일로서 자신의 독창성을 발휘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강약 표현이 위치한다.
작곡 연대나 출판사에 따라서는, 몇 마디에 걸쳐 긴 범위, 또는 악곡 전체에 걸쳐, 아예 강약 기호가 거의 쓰여 있지 않은 악보도 많이 존재한다. 또한, 같은 포르테라도, 악곡이나 프레이즈에 따라 실제로 필요한 세기는 다양하며, 어떤 곡의 어떤 부분에 지정된 포르테가, 그 유효한 범위 내에서 모두 같은 세기로 연주된다고는 할 수 없다.
| 이름 | 기호 | 음량 |
|---|---|---|
| fortississimoit | fffit | 매우 매우 크게 |
| fortissimoit | ffit | 매우 크게 |
| forteit | fit | 크게 |
| mezzo-forteit | mfit | 적당히 크게 |
| mezzo-pianoit | mpit | 적당히 작게 |
| pianoit | pit | 작게 |
| pianissimoit | ppit | 매우 작게 |
| pianississimoit | pppit | 매우 매우 작게 |
음악에서 기본적인 셈여림 표시는 다음과 같다.
더 미묘한 음량의 정도는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 mpit는 mezzo-pianoit의 약자로, "적당히 조용하게"를 의미한다.
- mfit는 mezzo-forteit의 약자로, "적당히 크게"를 의미한다.[6]
- più pit는 più pianoit의 약자로, "더 조용하게"를 의미한다.
- più fit는 più forteit의 약자로, "더 크게"를 의미한다.
연속된 세 개의 fit 또는 pit를 사용하는 것도 일반적이다.
- ppit는 pianissimoit의 약자로, "매우 조용하게"를 의미한다.
- ffit는 fortissimoit의 약자로, "매우 크게"를 의미한다.
- pppit (triple pianoit)는 pianississimoit 또는 piano pianissimoit의 약자로, "매우 매우 조용하게"를 의미한다.
- fffit (triple forteit)는 fortississimoit 또는 forte fortissimoit의 약자로, "매우 매우 크게"를 의미한다.[6]
일반적이지 않은 추가적인 특별 표기들이 있다.
- sfzit 또는 sfit는 sforzandoit의 약자로, "갑자기 매우 크게"를 의미하며, 특정 박자에만 적용된다.
- rfzit 또는 rfit는 rinforzandoit의 약자로, "강하게"를 의미하며, 특정 구절에만 적용되는 갑작스러운 음량 증가를 나타낸다.
- nit 또는 øit는 nienteit의 약자로, "무(無)"를 의미하며, 침묵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특별한 효과를 위해 다른 표시와 함께 사용된다.
2. 1. 기본 셈여림표
| 표기 | 이탈리아어 | 뜻 |
|---|---|---|
| 피아니시시모 | 아주 약하게 | |
| 피아니시모 | 매우 약하게 | |
| 피아노 | 약하게 | |
| 메조피아노 | 조금 약하게 | |
| 메조포르테 | 조금 강하게 | |
| 포르테 | 강하게 | |
| 포르티시모 | 매우 강하게 | |
| 포르티시시모 | 아주 강하게 |
2. 2. 특정 음에 대한 셈여림표
| 표기 | 이탈리아어 | 뜻 |
|---|---|---|
| 포르테 피아노 | 강하게 그리고 이어서 약하게 | |
| 스포르찬도 | 그 음만을 강하게 | |
| 포르찬도 | ||
![]() | 린포르찬도 | |
| 'rfz.' | ||
| 'rinf.' | ||
![]() | 악센트 | 그 음만을 특히 강하게 |
![]() |
2. 3. 셈여림의 변화를 나타내는 표

'di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