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리아는 스페인 카스티야이레온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두에로 강 상류에 자리 잡고 있다. 켈트 이베리아족이 최초로 거주했으며, 이후 수에비족, 아랍 정복 시대를 거쳐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등 여러 왕국의 경계에 위치하며 중세 시대 분쟁의 중심지가 되었다. 소리아는 로마네스크 양식의 건축물과 누만티아 유적, 안토니오 마차도와 같은 문화적 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프로 축구 클럽 CD 누만시아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리아도의 자치체 - 바르카 (소리아주)
  • 소리아도의 자치체 - 아르코스데할론
    아르코스데할론은 스페인 소리아 지방의 지방 자치체로, 아길라르 데 몬투엥가, 차오르나 등 여러 정착지를 포함한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마드리드
    마드리드는 스페인의 수도이자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메세타 고원에 위치하여 풍부한 역사와 문화, 밤문화, 미술관, 스포츠 클럽으로 유명하며 국제기구 본부가 위치한 국제적인 도시이다.
  • 스페인의 도청 소재지 - 카디스
    카디스는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들이 건설한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의 오랜 역사를 지닌 항구 도시로, 대항해시대 주요 기항지, 자유주의 운동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해상 무역과 관광, 역사적 건축물, 해변, 카니발 축제, 해산물 요리로 유명하다.
  • 스페인의 도시 - 비야레알
    비야레알은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세라믹 타일 제조업이 발달하고 프리메라리가 축구팀 비야레알 CF의 연고지이며, 산 파스콸 바실리카 등 다양한 명소가 있다.
  • 스페인의 도시 - 알리칸테
    알리칸테는 스페인 발렌시아 지방의 지중해 연안 도시로, 7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니고 지중해성 기후를 띠며 관광 및 서비스업 기반 경제를 갖춘 33만 명 이상 거주하는 도시이며, 산타 바르바라 성, 알리칸테 항구 등의 관광 명소와 축구 클럽, 볼보 오션 레이스 본부 도시로서의 특징을 가진다.
소리아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소리아
위치스페인
Plaza Mayor
Plaza Mayor
San Saturio shrine
San Saturio shrine
Monastery of San Juan de Duero
Monastery of San Juan de Duero
로마자 표기Soria
행정 구역
국가스페인
자치 지방카스티야이레온
소리아
정치
시장카를로스 마르티네스 밍게스(PSOE)
면적
총 면적271.77km²
고도
해발 고도1065m
인구
총 인구''
인구 밀도자동 계산
시간대
시간대CET
협정 세계시 오프셋+1
하계 시간대CEST
협정 세계시 오프셋 (하계)+2
기타
좌표''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脚注''
守護聖人'
'
住民の呼称soriano/-a
選挙年2015

2. 지명

'소리아'라는 이름은 두에로 강(Durius)에서 유래한 '다우리아'에서 비롯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2. 1. 어원

로마 시대에 그리스 기사 도리쿠스에서 유래된 오리아라는 성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러한 민간 어원을 바탕으로 일부 역사가들은 이 도시의 첫 번째 거주자가 도리아인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고고학은 이 이야기를 뒷받침하지 못했다. 대신 최초의 거주자는 수에비족이었으며, 그들의 왕(투토르와 말로가 저서 ''두 누만시아의 역사 개요''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이 그곳에 궁정을 세웠다고 한다. 이러한 두 가지 가설은 증거 부족으로 폐기되었다. '소리아'라는 이름은 두에로 강(Durius)에서 유래된 단어 '다우리아'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더 높다.

3. 문장

소리아의 방패는 다음과 같은 문장학적 설명을 가지고 있다.[3]

guleses(적색) 바탕에 세 개의 성가퀴가 있는 argent영어(은색) 이 있고, 검은색으로 윤곽을 그리고 대리석처럼 표현했으며, azurees(청색)으로 씻어냈고, 금관을 쓴 왕의 흉상이 그의 헌사에서 나오고, 그 색상 그대로 묘사되어 있다. 은색 자수는 "Soria Pura Cabeza de Estremadura"라는 글귀가 검은색 글자로 새겨져 있다.

문장에 등장하는 왕은 소리아에서 태어난 알폰소 8세이며, 붉은 바탕은 소리아 사람들이 흘린 피, 특히 알라르코스 전투, 라스 나바스 데 톨로사 전투, 알주바로타 전투에서 흘린 피를 나타낸다.[4]

가장 오래 보존된 문장의 예시는 오늘날 소리아의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마요르 교회인 산 힐 고중세 종에서 발견되며, 이미 도시의 모토를 반영하고 있다.[5] 현재 공식 문장과는 달리, 이제 성의 망루에 흉상으로 나타나는 왕은 산 힐 종에서는 성의 문을 통해 나오는 모습으로, 성 아래에 전체 몸으로 묘사되어 있다.

4. 역사

소리아는 켈트 이베리아족이 기원전 4세기경 처음으로 거주했던 곳이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수에비족이 도시를 점령했고, 8세기 스페인 아랍 정복 이후에는 두에로 강을 경계로 기독교 영토와 인접해 중요성이 커졌다. 869년에는 코르도바 아미르에 대항한 반란이 일어나기도 했다.

1109년부터 1134년까지 알폰소 1세가 소리아를 통치했고, 1120년에는 짧은 ''푸에로''를 받았다. 알폰소 1세 사후 알폰소 7세가 통치권을 확보했으며, 1143년 ''푸에로''를 재확인했다.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르 왕국, 레온 왕국 사이에 위치한 소리아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분쟁의 중심지였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는 도시에 특권을 부여했고, 1195년 나바르의 산초 7세의 공격을 받았지만 번영을 지속했다.

1479년 아라곤과 카스티야 통일, 1492년 유대인 추방령으로 소리아는 중요성을 잃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서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를 지지했고, 1808년 프랑스군에 점령되어 파괴되었다.

골마요 강 위의 철교


20세기 초 스페인 내전프란시스코 프랑코 독재는 소리아 지역에 큰 타격을 주어 인구가 감소했다. 현재는 관광 산업을 중심으로 경제를 회복하고 인근 마을 재건을 추진하고 있다.

4. 1. 고대

thumb에 의해 건설이 시작된 마돈나 델 미론 은둔처]]

소리아 지역에 처음으로 거주한 사람들은 기원전 4세기경의 켈트 이베리아족이었다.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재건된 도시는 수에비족에게 점령되었다. 이후 스페인 아랍 정복 이후 8세기에는 두에로 강을 따라 기독교 영토와 경계에 인접해 있어 그 중요성이 커졌다.

869년 소리아는 코르도바 아미르에 대항한 술레이만 이븐 아부스의 반란의 중심지였으며, 코르도바 아미르는 아들 하칸을 파견하여 이를 진압했다.

알폰소 1세는 레온 왕국의 영향력에서 영토를 빼앗아 1109년부터 1134년까지 영토를 통제했으며,[4] 1119년에 이미 소리아의 첫 번째 테넌트 역할을 이니고 로페스에게 맡겼다. 이는 실질적인 재정착이 시작되어야 할 때였지만, 이보다 다소 앞선 시점부터 시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5] 소리아는 1120년 3월에 짧은 ''푸에로''를 받았으며, 이는 중세 시대 ''concejo''의 경계를 정하기도 했다.[6] 1134년 알폰소 1세가 사망한 후, 알폰소 7세가 이 영토를 장악했다.[7] 짧은 ''푸에로''는 1143년 알폰소 7세에 의해 확인되었다.[8]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르 왕국, 레온 왕국의 경계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소리아는 이들 간의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는 그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도시에 여러 특권을 부여했으며, 이는 현대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1195년에는 나바르의 산초 7세가 도시를 공격했지만, 나중에 회복되어 번영과 무역을 계속 발전시켰다.

4. 2. 중세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재건된 도시는 수에비족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스페인 아랍 정복 이후 8세기에는 두에로 강을 따라 기독교 영토의 경계와 인접해 있어 중요성이 커졌다.

869년 소리아는 코르도바 아미르에 대항한 술레이만 이븐 아부스의 반란의 중심지였으며, 코르도바 아미르는 아들 하칸을 파견하여 이를 진압했다.

알폰소 1세는 레온 왕국의 영향력에서 영토를 빼앗아 1109년부터 1134년까지 영토를 통제했으며,[1] 1119년에 소리아의 첫 번째 테넌트 역할을 이니고 로페스에게 맡겼다. 이는 실질적인 재정착이 시작되어야 할 때였지만, 이보다 다소 앞선 시점부터 시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2] 소리아는 1120년 3월에 짧은 ''푸에로''를 받았으며, 이는 중세 시대 ''concejo''의 경계를 정하기도 했다.[3] 1134년 알폰소 1세가 사망한 후, 알폰소 7세가 이 영토를 장악했다.[4] 짧은 ''푸에로''는 1143년 알폰소 7세에 의해 확인되었다.[5]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르 왕국과 레온 왕국의 경계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소리아는 이들 간의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는 그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도시에 여러 특권을 부여했으며, 이는 현대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1195년에는 나바르의 산초 7세가 도시를 공격했지만, 나중에 회복되어 번영과 무역을 계속 발전시켰다.

소리아는 1479년 아라곤과 카스티야의 통일 이후, 특히 1492년 유대인 추방령 이후 중요성을 잃었다.

4. 3. 근세

서로마 제국 멸망 후 재건된 도시는 수에비족에 의해 점령되었다. 이후 스페인 아랍 정복 이후 8세기에는 두에로 강을 따라 기독교 영토의 경계와 인접해 있어 중요성이 커졌다.

869년 소리아는 코르도바 아미르에 대항한 술레이만 이븐 아부스의 반란의 중심지였으며, 코르도바 아미르는 아들 하칸을 파견하여 이를 진압했다.

알폰소 1세 (아라곤과 나바르의 왕, 전투왕)은 레온 왕국의 영향력에서 영토를 빼앗아 1109년부터 1134년까지 영토를 통제했으며, 1119년에 소리아의 첫 번째 테넌트 역할을 이니고 로페스에게 맡겼다. 이는 실질적인 재정착이 시작되어야 할 때였지만, 이보다 다소 앞선 시점부터 시작되었다는 주장도 있다.[1] 소리아는 1120년 3월에 짧은 ''푸에로''를 받았으며, 이는 중세 시대 ''concejo''의 경계를 정하기도 했다.[2] 1134년 알폰소 1세가 사망한 후, 알폰소 7세 (레온의 황제)가 이 영토를 장악했다.[3] 짧은 ''푸에로''는 1143년 알폰소 7세에 의해 확인되었다.[4]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르 왕국과 레온 왕국의 경계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소리아는 이들 간의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는 그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도시에 여러 특권을 부여했으며, 이는 현대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1195년에는 나바르의 산초 7세가 도시를 공격했지만, 나중에 회복되어 번영과 무역을 계속 발전시켰다.

소리아는 1479년 아라곤과 카스티야의 통일 이후, 특히 1492년 유대인 추방령 이후 중요성을 잃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8세기 초)에서 소리아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 편에 섰다. 1808년에는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어 불탔다.

4. 4. 근대

869년 소리아는 코르도바 아미르에 대항한 술레이만 이븐 아부스의 반란의 중심지였으며, 코르도바 아미르는 아들 하칸을 파견하여 이를 진압했다.[1]

알폰소 1세는 레온 왕국의 영향력에서 영토를 빼앗아 1109년부터 1134년까지 영토를 통제했으며, 1119년에 이니고 로페스에게 소리아의 첫 번째 테넌트 역할을 맡겼다.[2] 소리아는 1120년 3월에 짧은 ''푸에로''를 받았으며, 이는 중세 시대의 ''concejo''의 경계를 정하기도 했다.[3] 1134년 알폰소 1세가 사망한 후, 알폰소 7세가 이 영토를 장악했다.[4] 짧은 ''푸에로''는 1143년 알폰소 7세에 의해 확인되었다.[5]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르 왕국과 레온 왕국의 경계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소리아는 이들 간의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는 그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도시에 여러 특권을 부여했으며, 이는 현대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1195년에는 나바르의 산초 7세가 도시를 공격했지만, 나중에 회복되어 번영과 무역을 계속 발전시켰다.[6]

소리아는 1479년 아라곤과 카스티야의 통일 이후, 특히 1492년 유대인 추방령 이후 중요성을 잃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8세기 초)에서 소리아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 편에 섰다. 1808년에는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어 불탔다.[7]

4. 5. 현대

카스티야 왕국, 아라곤 왕국, 나바르 왕국, 레온 왕국의 경계에 전략적으로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소리아는 중세 시대 이들 간의 여러 분쟁의 중심지였다. 카스티야의 알폰소 8세는 그 지원에 대한 보상으로 도시에 여러 특권을 부여했으며, 이는 현대 시대까지 유지되었다. 1195년에는 나바르의 산초 7세가 도시를 공격했지만, 나중에 회복되어 번영과 무역을 계속 발전시켰다.

소리아는 1479년 아라곤과 카스티야의 통일 이후, 특히 1492년 유대인 추방령 이후 중요성을 잃었다.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18세기 초)에서 소리아는 스페인의 펠리페 5세 편에 섰다. 1808년에는 프랑스군에 의해 점령되어 불탔다.

20세기 초 스페인의 경제 및 사회 위기와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독재로 이어진 스페인 내전은 소리아와 그 주변 지역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강력한 이민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했다.

현재 당국의 정책은 소리아의 관광 잠재력에 기반하여 지역 경제를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인근 마을의 재건 프로그램도 시작했다.

5. 문화

소리아의 산 후안 축제.


안토니오 마차도마드리드 근처 세고비아로 이주하기 전, 소리아에서 5년간 중등학교 프랑스어 교사로 재직했다. 소리아에서의 시간은 그의 문학적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는 소리아에서 결혼하고 아내를 잃었으며, 98세대 작가들이 주목했던 카스티야 사람들의 본질에 대해 많은 것을 발견했다. 그의 시집 ''Campos de Castilla''에 수록된 ''Campos de Soria''는 이른 나이에 세상을 떠난 아내를 애도하는 연작시이다.

매년 6월 소리아 산 페드로 만리케 마을에서는 산 후안 축제의 일환으로 불 위 걷기 의식이 열린다. 이 의식은 국가 관광 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민족지학 및 과학 연구와 언론 보도를 통해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6][7]

5. 1. 종교

소리아는 한 번도 주교 관할 지역이었던 적은 없지만, 1959년 3월 9일 오스마 교구가 로마 가톨릭교구 오스마-소리아로 개칭되면서, 소리아의 성 베드로 성당은 공동 대성당이 되었다. 소리아도에는 아그레다에 마리아 바실리카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로스 밀라그로스라는 작은 바실리카가 있다.

6. 주요 명소

소리아에는 종교 건축물과 기타 건축물을 포함한 다양한 명소가 있다.

종교 건축물로는 플라테레스코 양식의 산 페드로 공의회 성당,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인 산 후안 데 라바네라 교회, 템플 기사단의 옛 수도원인 ''산 폴로'', 산토 도밍고의 로마네스크 양식 수도원 교회, 산 후안 데 두에로 수도원 등이 있다.

산 후안 데 두에로 수도원


기타 건축물로는 플라자 마요르에 있는 르네상스 양식의 ''아유타미엔토''(시청), ''팔라시오 데 라 아우디엔시아''(극장), ''팔라시오 데 로스 콘데스 데 고마라''(사법 궁전), 도시를 내려다보는 언덕에 있는 중세 성 유적과 성벽 흔적, 산 니콜라스 데 소리아 교회(스페인어: ''Iglesia de San Nicolás'')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의 폐허), 아두아나 비에하 거리에 있는 르네상스 시대 귀족 저택(팔라시오 데 로스 카스테조네스, 팔라시오 데 돈 디에고 솔리에르, 팔라시오 데 로스 비스콘데스 데 에사)이 있다. 도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누만티아 유적이 있는데, 이곳 주민들은 스키피오에게 함락되기보다는 스스로 파괴했다. 소리아에는 이 지역과 다른 유적지에서 출토된 고고학적 유물을 전시하는 ''누만티노 박물관''이 있다.

6. 1. 종교 건축물


  • 플라테레스코 양식으로 12~13세기에 건축되고 16세기에 재건된 산 페드로 공의회 성당과 그 회랑.
  • 산 후안 데 라바네라 교회: 12세기 로마네스크 양식 교회
  • 템플 기사단의 옛 수도원인 ''산 폴로''. ''산 니콜라스'' 교회와 ''산 히네스'' 교회도 같은 시대에 지어졌다.
  • 산토 도밍고의 로마네스크 양식 수도원 교회 (12세기)
  • 로마네스크 양식의 입구가 있는 ''누에스트라 세뇨라 데 라 마요르'' (16세기)
  • ''이글레시아 델 에스피노'' (16세기)
  • 오래된 시가지 반대편 강가에 위치한 12세기 폐허가 된 회랑이 있는 산 후안 데 두에로 수도원.
  • ''에르미타 데 산 사투리오'' (18세기)와 ''에르미타 데 라 소레다드'' (17세기) 성지.
  • 바로크/로코코 양식의 내부를 가진 에르미타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미론(미론의 성모 은둔소). 전설에 따르면 6세기에 테오데마르에 의해 설립되었다. 2009년 9월부터 이 건물은 루마니아 정교회 교구에서 사용하고 있다.
  • 산토 도밍고 교회: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 산 페드로 교회: 고딕 양식
  • 산 후안 데 두에로 수도원: 아랍 건축의 영향이 남아있다.


6. 2. 기타 건축물


  • 플라자 마요르(중앙 광장)에는 르네상스 양식의 ''아유타미엔토''(시청, 16세기)가 있다.
  • 1739년에 건축된 ''팔라시오 데 라 아우디엔시아''(극장)가 있다.
  • ''팔라시오 데 로스 콘데스 데 고마라''(사법 궁전, 1592)가 있다.
  • 도시를 내려다보는 언덕에 중세 성의 유적과 성벽 흔적이 있다.
  • 산 니콜라스 데 소리아 교회(스페인어: ''Iglesia de San Nicolás'')는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 교회의 폐허로, 1962년에 ''비엔 데 인터레스 문화''로 지정되었다.
  • 아두아나 비에하 거리에는 르네상스 시대 귀족 저택인 팔라시오 데 로스 카스테조네스, 팔라시오 데 돈 디에고 솔리에르, 팔라시오 데 로스 비스콘데스 데 에사가 있다.
  • 도시 북쪽으로 몇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는 누만티아 유적이 있는데, 이곳 주민들은 스키피오에게 함락되기보다는 스스로 파괴했다. 소리아에는 이 지역과 다른 유적지에서 출토된 고고학적 유물을 전시하는 ''누만티노 박물관''이 있다.

7. 교통

소리아는 소리아 기차역을 통해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과달라하라를 경유하여 마드리드로 매일 운행한다. 인접 도시로 가는 많은 버스 노선도 있다. 새로운 고속도로가 건설되어 마드리드까지 자동차로 이동하는 시간이 2시간으로 단축되었다.[11]

8. 지리

소리아는 두에로 강 상류의 강둑에 위치해 있다. 이 시는 도시와 4개의 농촌 마을인 라스 카사스, 오테루엘로스, 페드라하스, 톨레딜로로 구성되어 있다. 오테루엘로스와 페드라하스는 1970년대에 소리아에 흡수된 작은 도시였다.[12] 시의 형태는 매우 불규칙하며, 세 개의 분리된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어 연속적이지도 않다.[12]

소리아 시는 매우 불규칙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9. 기후

소리아는 해양성 기후(쾨펜: ''Cfb'')를 나타낸다. 고도 때문에 소리아의 겨울은 스페인 기준으로는 매우 추워 1월 평균 기온이 3.2°C이며, 연간 서리 일수가 거의 84일에 달한다. 여름은 건조하고 따뜻하며(7월 평균 20.5°C), 낮 기온은 보통 29°C 정도이다. 여름에는 35°C를 넘는 기온도 드물지 않게 나타나며, 밤에는 기온이 10°C 이하로 떨어지기도 한다. 강수량은 적은 편이며(연간 512 mm) 봄이 가장 습한 계절이다. 해양성 대서양 저기압 시스템이 해안에 가까운 산맥에 의해 자주 막히기 때문에, 높은 고도에도 불구하고 강수량이 적다. 소리아는 스페인에서 가장 추운 도청 소재지이다.[13]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20.5°C)20°C21.2°C24.4°C28°C32.7°C37°C38°C37.4°C36.4°C30.6°C25°C19.8°C
평균 기온 (3.2°C)7.7°C9.6°C13.2°C14.6°C18.7°C24.6°C28.7°C28.3°C23.6°C17.4°C11.5°C8.4°C
평균 최저 기온 (-1.3°C)-1.3°C-1°C1°C2.8°C6.2°C9.9°C12.4°C12.2°C9.3°C5.8°C1.9°C-0.4°C
평균 강수량 (mm)37mm36mm30mm55mm67mm40mm30mm30mm33mm55mm50mm50mm
평균 강수일수7669106445888
평균 적설일수553300000024
평균 일조시간138158202208244293339313233180143126

[26]

10. 스포츠

소리아의 프로 축구 클럽은 CD 누만시아이다.

20세기 후반 페르민 카초아벨 안톤은 소리아에서 거주하며 훈련한 스페인의 뛰어난 육상 선수들이다. 페르민 카초는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며, 아벨 안톤마라톤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에서 두 번 우승했다. 그들이 훈련했던 몬테 발론사데로에서는 현재 매년 소리아 국제 크로스 대회가 열리는데, 이는 스페인에서 가장 권위 있는 크로스컨트리 달리기 대회 중 하나이다.[18][19]

2010년 7월에는 유럽 청소년 오리엔티어링 선수권 대회가 소리아에서 열렸다.

11. 경제


12. 자매 도시

13. 인물

성 소리아의 사투리우스, 하비에르 모드레고, 유대교 탈무드 학자이자 카발라 학자인 셈 토브 벤 아브라함 이븐 가온, 시인 안토니오 마차도 등이 소리아 출신이다.

13. 1. 저명한 출신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Soria, Spain https://web.archive.[...] 2008-05-09
[2] 웹사이트 Deci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5.COM 6.41 https://ich.unesco.o[...]
[3] 웹사이트 spaincapcastillaleon https://web.archive.[...]
[4] 서적 En torno a Castilla https://books.google[...] 2009-02-06
[5] 웹사이트 Church of Our Lady of the Elderly http://www.turismoso[...]
[6] 논문 "Synchronized arousal between performers and related spectators in a fire-walking ritual”" 2011
[7] 논문 "Quantifying collective effervescence: Heart-rate dynamics at a fire-walking ritual" http://www.landesbio[...] 2011
[8] 웹사이트 Hermitage of the Virgen del Miron http://www.turismoca[...] Junta de Castilla y León 2018-01-26
[9] 웹사이트 "1" http://caminofeortod[...]
[10] 웹사이트 Palacios Nobiliarios de la calle Aduana Vieja https://www.turismos[...] 2023-05-07
[11] 웹사이트 De Madrid a Soria: Autobús, tren y coche compartido https://www.travelin[...]
[12] 웹사이트 Revisión y adaptación del Plan General de Ordenación Urbana de Soria https://www.soria.es[...] Ayuntamiento de Soria
[13]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Soria http://www.aemet.es/[...] 2021-07-12
[14] 웹사이트 Météo climat stats Moyennes 1991/2020 Espagne (page 4) http://meteo-climat-[...] 2022-06-07
[15] 웹사이트 "08148: Soria (Spain)" https://ogimet.com/c[...] OGIMET 2022-07-13
[16]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Soria http://www.aemet.es/[...] AEMET 2011-03-12
[17] 웹사이트 "08148: Soria (Spain)" https://ogimet.com/c[...] OGIMET 2021-12-15
[18] 뉴스 Spotlight on Ebuya and Melkamu - Soria Cross Country preview http://www.iaaf.org/[...] IAAF 2009-11-29
[19] 웹사이트 Historia del Cross Internacional de Soria http://www.anoc.es/h[...] ANOC 2009-11-29
[20] 웹사이트 Copiso Soria y sus empresas aumentan el volumen de negocio un 9% y superan los 264 millones de facturación en 2018 https://www.europapr[...] Europa Press 2019-05-31
[21] 웹사이트 How do you bake bread in the circular economy? https://www.eib.org/[...] 2020-10-13
[22] 웹사이트 RED DE CALOR DE SORIA https://reddecalorde[...] 2020-10-13
[23] 웹사이트 La memoria de Antonio Machado hermanó a Soria y Collioure, donde reposan los restos del poeta http://hemeroteca.ab[...] 1994-02-21
[24]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2023-05-01
[25] 웹사이트 UNESCO - Deci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5.COM 6.41 https://ich.unesco.o[...] 2023-05-01
[26] 웹사이트 Valores climatológicos normales: Soria http://www.aemet.es/[...] AEMET 2011-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