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옹(邵雍, 1011년 ~ 1077년)은 자가 요부(堯夫)이고 시호는 강절(康節)이며, 북송 시대의 유학자이자 철학자이다. 그는 《주역》을 연구하여 상수학(象數學)적 접근 방식을 취했으며, 매화역수로 알려진 주역 점에 대한 접근 방식을 발전시켰다. 소옹은 뤄양의 사상가 집단에 속해 정이, 장재, 정호, 주돈이 등과 교류했으며, 사마광의 《태현경》 편집에 영향을 받아 이진법 순서로 《주역》의 괘를 정렬하여 라이프니츠와 현대 컴퓨터 언어에 영향을 미쳤다. 저서로는 《황극경세서》와 《이천격양집》 등이 있다.
범양 출신이다. 소옹의 집안은 대대로 벼슬을 하지 않았다. 그도 몇 번이나 임명될 뻔 했지만, 결국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1]
소옹의 학문은 학조(學祖)인 진박(陳搏)이 송나라 초기의 도가였기 때문에 도가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그러나 〈관물편〉(觀物篇)을 비롯한 그의 저서를 보면 도가적 논리보다는 《역경》의 논리에 기초를 둔 선천심학(先天心學)이라고 할 수 있다.[1]
2. 생애
소옹의 조상은 범양군 출신이었다. 그는 1011년, 현재 안양(허난성)으로 알려진 형장현(衡漳)에서 아버지 소고(邵古, 986–1064)와 어머니 이씨(李氏, 사망 1032년 또는 1033년) 사이에서 태어났다. 소옹의 어머니 이씨는 매우 독실한 불교 신자였다. 이러한 불교와의 인연은 소옹의 생애 전반에 걸쳐 그의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1]
소옹의 첫 번째 스승은 그의 아버지 소고였다. 소고는 어학 학자였으며, 그의 영향은 소옹의 문학 작품에서도 엿볼 수 있다. 아버지를 따라 그는 어린 나이에 육경을 집중적으로 공부했다. 소옹은 또한 승려들이 운영하고 불교의 영향을 많이 받은 사립 학교들의 학문도 공부했다.
1020년경, 소씨 가족은 공성현(현재 신샹(허난성))으로 이주했다. 1032년 또는 1033년, 어머니가 돌아가신 직후 소옹은 그의 가장 중요한 스승인 이지재(李之才)를 만났다. 이지재는 고문(古文) 전문가인 목수 (穆修, 979–1032)의 제자였다. 목수 아래에서 이지재는 ''주역''을 깊이 있게 공부했다.
소옹은 11세기 마지막 30년 동안 뤄양에 모인 사상가 집단의 일원이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사상과 맹자가 이해한 유교(儒教중국어)의 사상 사이에 유사점을 찾고, 4세기 유교와 불교, 도교 사이의 모든 연관성을 약화시키려 했다. 이 사상가 집단에는 정이, 장재, 정호(程顥, 1032–1085), 주돈이 등이 있었다. 이들에게 중심적인 것은 고대 텍스트인 《주역》이었으며, 각자 이를 면밀히 연구했다. 그러나 소옹은 다른 구성원들과 달리 상징적이고 우주론적인 개념에 기반한 《상수학》(象數學, "상수 연구") 접근 방식을 취했다. 매화역수로 알려진 주역 점에 대한 접근 방식이 그에게서 비롯되었다.
사마광 (소옹의 절친한 친구)은 양웅의 《태현경》을 편집했다(서기 10년 저술). 《태현경》에서 발견된 3진법의 영향을 받아, 소옹은 《주역》의 괘를 이진법 순서 (복희 순서)로 정렬했다. 이것은 라이프니츠와 이진 산술에 대한 그의 사고에 영향을 미쳤고, 결과적으로 현대 컴퓨터의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소옹의 후손들은 오경박사(五经博士; 五經博士) 칭호를 받았다.[2][3][4]
1452년, 오경박사 칭호는 맹자의 후손인 맹희문(孟希文) 56대손, 안회의 후손인 안희혜(顔希惠) 59대손, 주돈이의 후손인 주면(週冕) 12대손, 정이 형제(정호와 정이 - 정극인(程克仁) 17대손), 주희의 후손인 주찬(朱梴) 9대손에게 수여되었고, 1456-1457년에는 증자의 후손인 증질수(曾質粹) 60대손, 1622년에는 장재의 후손, 그리고 1630년에는 소옹의 후손에게도 수여되었다.[5][6]
소옹은 그의 시와 바둑에 대한 관심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가장 오래 살아남은 고전 중국 시 중 하나인 '관기대음'(觀棋大吟중국어)과 '관기장음'(觀棋長吟중국어)을 썼다.
'관기장음'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관기장음 소옹
탁주범양현 출신인 소옹은 어릴 때 아버지의 뜻을 따라 위주 공성현 소문산(현재의 허난성신샹시후이현)으로 이주했다. 젊어서부터 자부심이 강하여 자신의 재능으로 선왕의 사업도 실현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고향과 가까운 소문산 기슭에 암자를 짓고 열심히 노력했다. 이 기간 동안 송나라 초기의 은자 진단의 계통을 잇는 이지재 (자는 팅즈)로부터 『주역』의 하도낙서와 선천상수의 학문을 전수받았다. 이윽고 자신의 학문의 좁음을 깨닫고, 각지를 돌아다니며 지방 학자들에게 가르침을 청하여 견문을 넓혔지만, 도는 밖에서 구하여 얻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닫고, 귀향하여 역학에 대해 깊이 생각했다. 39세 무렵에 뤄양으로 이주하여, 이후 사망할 때까지 이 곳에서 유학을 가르쳤다.
소옹은 가난했지만 부필, 사마광, 정씨 형제(정호, 정이), 장재 등 정계의 거물들을 친구로 삼았고, 소탈한 인품으로 "풍류의 호걸"이라고 불리며 뤄양 사람들에게 존경받았다. 만년에 천진교 위에서 두견(뻐꾸기) 소리를 듣고, 왕안석의 출현과 정계의 혼란을 예언한 일화[7]는, 소옹의 역학의 일면을 보여준다.
3. 사상
소옹에 따르면 현상계(現象界)의 구조는 음양(陰陽)의 대대(對待)이며, 그 궁극적인 원인은 1기(一氣)이며, 천지의 ‘중(中)’이며 1동1정(一動一靜)의 ‘간(間)’이다. 이 ‘간’이나 ‘중’은 사람 마음의 작용이므로, 천지인(天地人) 3자는 세계 구조 전체를 나타내는 상응체계(相應體系)이다. 현상에 상즉(相卽)하는 현상 자체의 자기 원인은 나(我) 속에 있으며, 내 마음의 작용은 세계를 존재하게 하는 작용이라는 것이다.
소옹은 11세기 뤄양(낙양)에 모인 사상가 집단의 일원이었다. 이들은 맹자가 이해한 유교(儒教중국어)의 사상과의 유사점을 찾고, 불교와 도교와의 연관성을 약화시키려 했다. 이 집단에는 정이, 장재, 정호(1032–1085), 주돈이 등이 있었으며, 이들은 모두 고대 텍스트인 《주역》을 연구했다.
소옹의 저서로는 皇極經世중국어와 시집 『이천격양집(伊川撃壌集)』이 있다. 그는 "1→2→4→8→16→32→64"로 진전하는 "가일배의 법(加一倍の法)"이나, 사계의 4, 십간의 10, 십이지의 12, 일세 30년의 30 등, 중국인에게 친숙한 수를 곱하는 수리 계산을 통해 만물 생성 과정이나 우주 변천 주기를 산출하려 했다.[8] 수를 통해 이치를 생각하려 했던 점은 주희의 역학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3. 1. 매화역수(梅花易數)
송나라 시대에는 《주역》 연구에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이 있었다. 다른 뤄양의 사상가들은 대다수의 학자들과 함께, 문자적이고 도덕적인 개념에 기반한 《의리학》(義理學, "원리 연구") 접근 방식을 취했다. 소옹 혼자 취한 또 다른 접근 방식은 상징적이고 우주론적인 개념에 훨씬 더 기반한 《상수학》(象數學, "상수 연구") 접근 방식이었다. 매화역수로 알려진 주역 점에 대한 접근 방식이 그에게 기인한다.[1]
사마광 (소옹의 절친한 친구)은 양웅의 《태현경》을 편집했다(서기 10년 저술). 소옹은 《태현경》에서 발견된 3진법의 영향을 받아, 아마도 이 연관성을 활용하고 《태현경》에 사용된 3진법 시스템을 인식하여 《주역》의 괘를 이진법 순서 (복희 순서)로 정렬했다. 이것은 차례로 라이프니츠와 이진 산술에 대한 그의 사고에 영향을 미쳤고, 결과적으로 현대 컴퓨터의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1]
3. 2. 이진법과의 관계
송나라 시대에는 《주역》 연구에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이 있었다. 다른 학자들은 대다수와 함께 문자적이고 도덕적인 개념에 기반한 '의리학'(義理學, "원리 연구") 접근 방식을 취했다. 소옹은 이와 달리 상징적이고 우주론적인 개념에 훨씬 더 기반한 '상수학'(象數學, "상수 연구") 접근 방식을 취했다. 매화역수로 알려진 주역 점에 대한 접근 방식이 그에게서 기인한다.[8]
소옹의 절친한 친구였던 사마광은 양웅의 《태현경》을 편집했다(서기 10년 저술). 소옹은 《태현경》에서 발견된 3진법의 영향을 받아 《주역》의 괘를 이진법 순서(복희 순서)로 정렬했다. 이것은 라이프니츠의 이진 산술에 대한 사고에 영향을 미쳤고, 결과적으로 현대 컴퓨터의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다.
4. 저서
소옹은 시와 바둑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전 중국 시 중 하나인 '觀棋大吟|관기대음중국어'과 아래 번역된 '觀棋長吟|관기장음중국어'을 썼다.
:::''觀棋長吟|관기장음중국어''
Image:Cquote1.png | Image:Cquote2.png |
참조
[1]
문서
Wyatt
[2]
서적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15
[3]
웹사이트
p.494-5.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www.forgotten[...]
[4]
웹사이트
Present day political organization of China
https://archive.org/[...]
[5]
웹사이트
The_Ritual_Formation_of_Confucian_Orthodoxy_and_the_Descendants_of_the_Sage
https://www.research[...]
[6]
간행물
The Ritual Formation of Confucian Orthodoxy and the Descendants of the Sage
https://www.jstor.or[...]
1996
[7]
서적
邵氏聞見録
[8]
서적
縮刷 東洋歴史大辞典 中巻
臨川書店
[9]
서적
중국유학사
신원문화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