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종 (후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종은 후량의 마지막 황제이다. 그는 명제의 장남으로 동양왕에 봉해졌으며, 585년 명제의 사망으로 황위에 올랐다. 수 문제는 소종의 행동을 감시하고, 587년 소종을 수나라 조정으로 소환하여 후량을 멸망시킨 후 거국공으로 봉했다. 이후 수 양제에게 중용되어 양공과 내사령을 지냈으나, 수 양제의 의심을 받아 면직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 사후에는 조카 소선에 의해 효정황제로 추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나라의 내사령 - 양소 (처도)
    양소는 북주 평정, 수나라 개국에 기여하고 황태자 책봉을 도왔으나, 수 양제의 시샘으로 파직되어 사사된 수나라의 1등 공신이다.
  • 수나라의 내사령 - 양소 (원덕태자)
    양소(원덕태자)는 수 문제의 손자이자 수 양제의 아들로, 황태손에 책봉되었다가 황태자가 되었으나 양광의 사주를 받은 양소에게 독살당해 원덕태자로 추존되었고, 아들 양유가 황제에 즉위한 뒤 효성황제로 다시 추존되었다.
  • 양 (남조)의 황제 - 소기
    소기는 양 무제의 아들로, 익주자사 재임 중 쓰촨성 지역을 발전시키고 후경의 난 이후 황제를 칭했으나, 이복형 양 원제 소역과의 갈등과 서위의 침공으로 인해 살해당했다.
  • 양 (남조)의 황제 - 양 원제
    양 원제는 남조 양나라의 황족으로, 형주 자사를 거쳐 후경의 난 이후 황위에 올랐으나, 서위의 침공으로 피살되었으며, 그의 치세는 외교적 실책과 미신 의존으로 국가를 쇠퇴하게 했다고 평가받는다.
  • 6세기 중국 사람 - 당 태종
    당 태종은 당나라의 제2대 황제로서,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정관의 치로 불리는 치세를 통해 당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균전제 등 제도를 정비하고 영토를 확장하는 등 긍정적, 부정적 평가를 함께 받는 인물이다.
  • 6세기 중국 사람 - 심약
    심약은 남조 시대 송, 제, 양나라를 섬긴 문인이자 관료로서, 강남 호족 출신으로 경릉팔우의 일원이었으며, 궁체시의 선구자이자 사성팔병설을 주창하여 영명체와 근체시 발전에 기여했고, 양나라 건국 공신이자 역사서 편찬자이다.
소종 (후량)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공(公), 국공(國公)
종(琮)
온문(溫文)
시호효정황제(孝靖皇帝), 후주(後主)
생몰558년 ~ 607년
재위 기간585년 ~ 587년
가계
아버지소규
어머니장황후(張皇后)
배우자채황후(蔡皇后)
자녀소현
기타
추존 시호효정황제(孝靖皇帝)

2. 생애

소종은 명제 소규의 장남으로 태어나 동양왕(東陽王)에 봉해졌다가 황태자가 되었다. 그는 박학다식하고 활과 말을 잘 다루었으며, 호방한 성격이었다.

585년 명제가 사망하자 황제로 즉위하여 이듬해인 586년 연호를 광운(廣運)으로 고쳤다. 즉위 후 수 문제는 강릉총관을 설치하여 소종을 감시하였다. 587년 수 문제는 소종을 불러들여 조정에 들어오게 한 뒤 후량을 멸망시키고 소종을 거국공(莒國公)으로 강등시켰다. 소종의 숙부 소암 등은 일부 백성을 이끌고 진나라로 망명하였다.

소종은 수나라에서도 신임을 받아 수 양제 즉위 후 양공(梁公)으로 봉해지고 내사령(內史令)에 임명되었다. 소종의 친족들 또한 조정에 발탁되었다. 그러나 "zh씨가 다시 일어날 것"이라는 노래 때문에 양제의 시기를 받아 면직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집에서 생을 마감했다.

소종은 사후 좌광록대부(左光祿大夫)로 추증되었다. 수나라 말기 할거 세력인 소선은 소종의 당질로, 황제 즉위 후 소종을 효정황제(孝靖皇帝)로 추시하였다.

2. 1. 출생과 황태자 시절

소종은 명제 소규의 장남으로 태어났고, 일찍이 동양왕(東陽王)으로 봉해졌다. 이후 황태자로 세워졌다. 소종은 박학하고 재능이 있었으며, 활과 말을 다루는데 소질이 있었고, 개성은 호방하고 구속됨이 없었다. 소총이 언제 태어났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그의 어머니의 이름 또한 역사에서 사라졌다.[2] 출생에 대해 알려진 것은 그가 아버지 명제의 장남 또는 차남이었다는 것이다.[2] 태자가 아닌 동양왕으로 처음 책봉된 사실은 그가 장남이 아닌 차남이었음을 시사한다.[2] (만약 그렇다면, 그의 형의 이름은 역사에서 사라졌다.) 젊은 시절, 그는 지식이 풍부하고 자유로운 영혼으로 여겨졌다.[2]

소총이 언제 태자로 책봉되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583년 이전임에 틀림없다. 당시 명제가 서량의 태자 신분인 그를 수 문제에게 보내 수도를 옛 도시 장안에서 인근 신도 대흥(大興)으로 옮긴 것을 축하하게 했다.

2. 2. 즉위와 통치

585년 명제가 사망하자 소종이 황제로 즉위하였고, 이듬해인 586년 연호를 광운(廣運)으로 고쳤다. 소종 즉위 후, 수 문제는 강릉총관을 설치하여 소종의 행동을 감시하였다.[3]

587년 수 문제는 소종을 징소하여 수나라 조정에 입조하게 하였는데, 이후 후량을 멸망시키고 소종을 폐위한 뒤 거국공(莒國公)으로 봉했다. 소종의 숙부 소암 등은 일부 백성을 이끌고 진나라로 달아났다.[3]

천보 24년(585년) 아버지 명제가 붕어하자 즉위하였다. 후량은 북조의 사실상 괴뢰 국가였지만 그 위에 세워진 왕조 또한 변천을 거쳐 후주의 대에는 가 되었다. 수의 문제는 명제 때 한 번 사라졌던 강릉총관을 부활시켜 다시 감시 체제를 구축했다. 그리고 황제의 숙부를 장안으로 불러들여 그대로 돌려보내지 않은 데 이어 이번에는 후주 자신을 장안으로 불러들였다. 주군이 없어진 후량에 문제는 대신 최홍도를 파견했지만, 이를 후량에 대한 침략으로 여긴 숙부 소엄과 동생 소환 등 황족 일부는 남조 진으로 달아났다. 진나라 정벌을 앞두고 후량을 걸림돌로 생각한 문제는 이를 이유로 마침내 후량을 병합했다.

2. 3. 수나라의 압력과 후량 멸망

소종585년 명제가 죽자 황제로 즉위하였고, 이듬해인 586년에 연호를 광운(廣運)으로 고쳤다. 소종이 즉위한 이후, 수 문제는 강릉총관(江陵總管)을 설치하여 소종의 동태를 감시하였다.[3]

587년, 수 문제는 소종을 불러들여 수나라 조정에 들어오게 하였는데, 이후 후량을 멸망시키고 소종을 폐위한 뒤 거국공(莒國公)으로 봉했다. 소종의 숙부 소암 등은 일부 백성을 이끌고 진나라로 달아났다.[3]

소종은 수나라에서도 변함없는 신임을 얻었고, 수 양제는 즉위 후 소종을 양공(梁公)에 봉하고 내사령(內史令)에 임명했다. 소종의 친족들은 조정에 발탁되어 관리가 된 이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자 당시 아이들이 "zh씨여 zh씨여 또 다시 일어나는구나!"라고 노래했는데, 이는 수 양제가 소종을 시기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결국 소종은 면직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자택에서 여생을 보내게 되었다.[4][5]

2. 4. 수나라에서의 삶

587년 수 문제는 소종을 징소하여 수나라 조정에 입조하게 하였는데, 이후 후량을 멸망시키고 소종을 폐위한 뒤 거국공(莒國公)으로 봉했다. 소종의 숙부인 소암 등은 일부 백성을 이끌고 진나라로 달아났다.[2]

소종은 수나라에서도 신임을 얻었고, 수 양제는 즉위 후 소종을 양공(梁公)에 봉하고 내사령(內史令)에 임명했다. 소종의 친족들은 조정에 발탁되어 관리가 된 사람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자 당시 아이들이 "소씨여 소씨여 또 다시 일어나는구나!"라고 노래했는데, 이는 수 양제가 소종을 시기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결국 소종은 면직되고 오래지 않아 집에서 여생을 보내게 되었다.[2]

604년, 문제가 사망하고 그의 아들 양광(양제)이 뒤를 이었다. 소황후가 소종의 여동생이었기 때문에 양제는 소종을 더욱 존경하고 그의 작위를 거현공에서 양공(梁公)으로 변경했다. 그는 또한 소종의 친척들을 관료로 임명했다. 소종 자신은 고위 관리가 되었지만, 직무는 거의 수행하지 않았다. 양제가 재상 양소의 동생인 관리 양약(楊約)을 보내 소종에게 태도를 바꾸도록 권유하자, 소종은 양약에게 자신은 주목받고 싶지 않다고 에둘러 설명했다. 소종은 자존심을 지키는 것으로도 유명했으며, 조상의 땅에서 멀리 떨어져 살면서 북부 명문가에 굴복하지 않아 많은 북부 귀족들의 반감을 샀다.[5]

607년 8월 27일,[4] 양제는 복종하는 돌궐의 계민 가한에게 지나친 포상을 한 것을 비판한 고경(高熲), 하약필(賀若弼), 우문필(宇文弼) 등 여러 고위 관료들을 죽였다. 소종은 하약필과 깊은 우정을 나누었기에 양제의 의심을 샀고, 당시 유행하던 노래 가사에는 "소소(蕭蕭)가 다시 일어설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었다. (가사의 의미는 "불황이 끝날 것이다"일 수도 있다.) 이는 미신적인 양제로 하여금 소종을 더욱 의심하게 했고, 소종은 직위에서 물러났다. 결국 그는 어떤 관직도 없이 자택에서 사망했다. 사망 연도는 알려져 있지 않다. 아들이 없었을 수도 있는데, 조카 소거(蕭鉅)가 양공(梁公)의 작위를 상속받았기 때문이다.[5]

3. 사후

소종은 살해되지 않고 거국공에 봉해졌으며, 진나라를 멸망시킨 수나라에서 중용되었다. 문제 시대에는 양공이 되어 일족도 많이 임명되었다. 그러나 후에 문제에게 의심을 받아 가계가 폐지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5]

이후 종질 소선이 양의 황제를 칭했을 때 '''효정황제'''('''정제''')로 시호되었다.

4. 평가

소총은 자존심이 강했고, 조상의 땅에서 멀리 떨어져 살면서 북부 명문가에 굴복하지 않아 많은 북부 귀족들의 반감을 샀다.[4] 양제가 하약필 등 여러 고위 관료들을 죽이자, 하약필과 깊은 우정을 나누었던 소총은 양제의 의심을 샀다. 당시 유행하던 노래 가사에 "소소(蕭蕭)가 다시 일어설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었는데, 이는 미신적인 양제로 하여금 소총을 더욱 의심하게 했다.[5] 결국 소총은 직위에서 물러나 자택에서 사망했다.

5. 가족 관계


  • 황후: 蔡氏|채씨중국어 (639년 6월 10일(음력 5월 4일) 사망)
  • 아들: 소현(蕭鉉) - 양성통수(襄城通守) 역임
  • 손자: 소의(蕭儀) - 태자복(太子僕) 역임

6. 연호

연호기간사용 년수간지비고
광운586년 ~ 587년2년병오 ~ 정미


참조

[1] 서적 Book of Sui
[2] 서적 Bei Shi
[3] 서적 Buddhist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4] 서적 Book of Sui
[5] 웹사이트 唐書 表 第十一 http://ef.cdpa.nsysu[...] 2008-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