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석하 (1915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석하는 일제강점기에 만주군에서 복무하고 친일 행위로 비판받았으며, 대한민국 국군 장성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인물이다. 1915년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태어나 만주 봉천군관학교를 졸업하고 간도특설대에서 활동했다. 해방 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여순 사건 진압에 참여했으며, 한국 전쟁에서 제20사단장 등을 역임하고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한국국방연구원 원장을 지냈으며, 이후 국가안전보장이사회 상임위원 등을 역임했다. 그는 친일반민족행위자 및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으며, 박정희의 비밀 광복군설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구 (대전광역시) 출신 - 곽동연
곽동연은 문래중학교와 서울공연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하고 FNC엔터테인먼트에서 가수 연습생으로 시작하여 드라마 《넝쿨째 굴러온 당신》으로 데뷔한 배우이다. - 서구 (대전광역시) 출신 - 찬희
찬희는 2016년 SF9의 멤버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배우이자 가수로, 드라마, 영화, 예능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쇼! 음악중심》 MC를 맡기도 했다. - 만주국의 군인 - 윤태일 (1918년)
윤태일은 만주군 장교 출신으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기업인이며, 박정희 정권에서 서울특별시장과 대한주택공사 총재, 제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나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만주국의 군인 - 정일권
정일권은 러시아 출생으로 만주군 장교, 육군 참모총장, 국무총리, 국회의장 등을 역임하며 군인, 외교관, 정치인으로 활동했고 친일 행적과 정인숙 사건 관련 의혹을 받았다. - 은진 송씨 - 송건호
송건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민주화 운동가로, 동아일보 편집국장 해직 후 민주언론운동협의회 결성, 월간 《말》지를 통한 보도지침 폭로, 한겨레신문 창간 및 초대 사장 역임 등 언론 자유와 민주화에 기여했으며, 그의 언론 정신을 기리는 송건호 언론상이 제정되었다. - 은진 송씨 - 송재호
송재호는 1959년 데뷔하여 60년 이상 활동한 대한민국의 배우로,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다양한 작품에서 활약했고, 특히 영화 《영자의 전성시대》에서 아버지 역할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연기력과 공로를 인정받아 다수의 연기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송석하 (1915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족 | 은진 송씨 |
호 | 와주(窩主) |
출생일 | 1915년 4월 6일 |
사망일 | 1999년 1월 14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대덕군 서구 |
사망지 | 대한민국 경기도 성남시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장군 제1묘역 93호 |
군 경력 | |
소속 | 만주국군 대한민국 육군 |
복무 기간 | 1937년-1945년 (만주국군) 1946년-1963년 (한국 육군) |
최종 계급 | 상위 (만주국군) 소장 (한국 육군) |
근무 | 육군본부 |
지휘 | 육군본부 작전참모부 부장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
기타 이력 | |
기타 이력 | 한국수출산업공단 이사장 |
2. 생애
송석하는 충청남도 대덕군 서구 출신으로, 만주국과 대한민국의 군인이자 정무직 공무원이었다.
1937년 펑톈에 있는 1년 과정의 만주국 군관 양성기관인 봉천군관학교를 제5기로 졸업했으며, 신현준과 동기생이다. 임관 후 간도특설대에서 활동[11] 하였는데, 방원철은 송석하가 이 특설 부대의 창설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라고 증언했다.[12] 간도특설대는 만주국 북부에 있던 사회주의 계열 민족 해방세력인 팔로군,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대와 만주 북서부에 잔존해 있던 대한독립군단을 토벌하기 위한 특수 목적을 띈 독립군 토벌 부대였다.
종전 후 미군정 지역으로 내려와 1946년 육군사관학교를 제2기로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했다. 박정희와는 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이었다. 1948년 육군 소령으로 여순 14연대 반란사건 진압에 참여하여 공을 세워 제12연대장에 보임되었다.
1949년 수도방위사령부의 전신인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으로 임명되었고,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제20사단장 등으로 전과를 올렸다. 1955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 제3관구사령관, 육군본부 기획통제실장, 작전참모부장을 지냈다.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작전참모부장 재임 중이었으나, 정변 주도 세력은 아니었고 정변 성공 후 한국국방연구원 원장에 임명되었다. 1963년 전역 후에는 국가안전보장이사회 상임위원 겸 사무국장, 1965년 민방위개선위원회 위원장, 1969년 한국수출산업공단 이사장, 1972년 재향군인회 안보위원장 등을 지냈다. 유해는 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어 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1915년 충청남도 대덕군에서 태어났다. 청주고등보통학교를 중퇴하고,[2] 1934년 창춘 외국어전문학교를 졸업하였다.[2] 이후 만주로 건너가 1936년 6월 중앙육군훈련처 제5기에 입학하였다.[2] 치치하얼의 제3교도대에서 3개월간 기초 군사 교육을 받은 후 중앙훈련처에서 교육을 받았다.[2] 1937년 9월 중앙육군훈련처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황제 푸이로부터 금시계를 하사받았다.[2]광복 후, 군사 교육 과정은 다음과 같다.
군사 교육 외에, 1958년 단국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여 정치학 학사 학위를 받았으며, 1960년에는 국방대학교에서 행정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2. 2. 만주국군 복무 및 친일 논란
송석하는 충청남도 대덕군 서구 출신으로, 1937년 펑톈에 있는 만주국 군관 양성기관인 봉천군관학교를 제5기로 졸업했으며, 신현준과 동기생이다.[11]임관 후 간도특설대에서 활동하였는데,[11] 방원철은 송석하가 이 특설 부대의 창설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라고 증언했다.[12] 간도특설대는 만주국 북부에 있던 사회주의 계열 민족 해방세력인 팔로군, 동북항일연군, 조선의용대와 만주 북서부에 잔존해 있던 대한독립군단을 토벌하기 위한 특수 목적의 독립군 토벌 부대였다. 간도특설대가 살해한 항일무장세력과 민간인은 172명에 달하며, 강간·약탈·고문을 당한 이들도 적지 않다.[13]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송석하는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자에 포함되었고, 친일인명사전에도 이름이 올라가 있다.[10] 친일반민족행위 진상규명 위원회는 보고서에서 "1937년 11월, 만주국군 소위로 임관한 이래, 일본의 패전까지 일본의 괴뢰국인 만주국의 군인으로 복무했다", "간도특설대의 주요 간부로서 항일 무장대를 공격하고 죄 없는 민중을 탄압하는 등 일본의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했다"라고 기록하고, 일제강점 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10호와 19호에 규정하는 친일반민족행위를 했다고 평가했다.[3]
2. 3. 해방 이후 대한민국 국군 복무
1946년 육군사관학교 제2기로 졸업하고 대한민국 국군에 참여했으며, 이때 만주군 장교 출신인 박정희와 육군사관학교 동기생이 되었다.[11] 1948년 육군 소령으로 제2연대 부연대장을 맡았다가 여순 14연대 반란사건 진압 작전에 참여하여 공을 세웠고, 제12연대장에 보임되었다.[12]1949년 수도방위사령부의 전신인 수도경비사령부 창설과 함께 참모장으로 임명되었고,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전쟁 기간 동안 제20사단장 등으로 전과를 올렸으며, 1955년 육군 소장으로 진급했다. 제3관구사령관, 육군본부 기획통제실장, 작전참모부장을 지냈으며, 작전참모부장 재임 중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났다. 1960년부터 송석하로부터 박정희가 제일이라는 말을 듣고 박정희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증언이 있다.[14] 정변 주도 세력은 아니었으나, 정변 성공 후 한국국방연구원 원장에 임명되었다가 1963년 전역했다.
이후 1963년부터 국가안전보장이사회 상임위원 겸 사무국장, 1965년 민방위개선위원회 위원장, 1969년 한국수출산업공단 이사장, 1972년 재향군인회 안보위원장 등을 지냈다. 유해는 대전현충원 장군묘역에 안장되어 있다.(장군1-093)
송석하의 대한민국 국군 복무 경력은 다음과 같다.
시기 | 직책/사건 |
---|---|
1946년 12월 | 경비사관학교 제2기 졸업, 소위 임관(군번 10184번)[4] |
1947년 2월 | 38선 경비 중대(중대장: 김점곤 중위) 제1경비대장 |
1948년 | 제3연대 부연대장(연대장은 함준호) 때 여수·순천 사건 진압에 참여 |
1948년 11월 26일 | 제12연대장 |
1949년 7월 30일 | 수도경비사령부 참모장 |
1950년 10월 | 제6사단 (사단장: 김종오 준장) 부사단장, 김종오 부상으로 사단장 대리[5] |
1951년 12월 | 수도사단 부사단장 |
1952년 10월 | 16인의 포병 장성 중 한 명으로 선발, 광주 포병학교 입교 후 미국 유학[6][7] |
1953년 5월 27일 | 제20사단장 (2대)[8] |
1955년 1월 | 소장 진급 |
1956년 11월 | 제3관구사령관 |
1957년 8월 2일 | 제5군단 부군단장[9] |
이후 | 육군본부 군사발전국장,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 역임 |
1961년 7월 | 국방대학원 원장 |
1963년 2월 | 예비역 편입, 민주공화당 창당 준비 위원 및 중앙상임위원 |
1963년 6월 | 오월동지회 창립 위원 및 중앙위원 |
1964년 12월 |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 겸 사무국장 |
1965년 2월 | 민간방위 개선위원회 위원장 겸임 |
1966년 5월 | 국가동원체제 연구위원회 위원장 |
1966년 12월 | 국회의원 입후보를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 사무국장 사임 |
1968년 2월 | 향토방위자문위원회 전문위원 |
1969년 6월 | 한국수출산업공단 이사장 |
1970년 | 한중·일한 경제회담 대표 |
1972년 | 재향군인회 안전보장위원장 |
1975년 | 국가안전보장회의 연구위원 |
1976년 3월 | 중앙 민간 방위 협의회 위원 |
2. 4. 5.16 군사정변 이후 활동
1961년 5·16 군사정변 당시 육군본부 작전참모부장으로 재임 중이었다. 1960년부터 송석하로부터 박정희가 제일이라는 말을 듣고 박정희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증언이 있다.[14] 정변 주도 세력은 아니었으나, 정변이 성공한 뒤 한국국방연구원 원장에 임명되었다가 1963년 전역했다.전역 후에는 국가안전보장이사회 상임위원 겸 사무국장(1963년), 민방위개선위원회 위원장(1965년), 한국수출산업공단 이사장(1969년), 재향군인회 안보위원장(1972년) 등을 지냈다.
3. 박정희 비밀광복군설 논란
박정희가 만주군 복무 시절 비밀 광복군으로 활동했다는 주장은 여러 증언과 자료에 의해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박정희와 함께 근무했던 신현준은 광복 후 베이징으로 이동하기 전까지 광복군의 존재를 알지 못했다고 증언했는데,[15] 이는 박정희 비밀광복군설을 반박하는 중요한 근거이다.
해방 직후, 북경에는 광복군과 학도병 출신 등 약 400여 명의 조선 청년들이 모였으며, 만주군 대위 출신 신현준과 중위 출신 박정희도 여기에 포함되었다. 임시정부는 이들을 김학규 광복군 3지대장 휘하로 임시 편입시켰고, 신현준과 박정희는 만주군 장교 경력을 인정받아 각각 1대대장과 2중대장을 맡았다. 그러나 이들은 '해방 후 광복군'으로, 일제강점기 광복군 활동과는 무관하다.[16]
한국독립당은 일본군 출신 조선인들을 광복군에 적극 편입시키는 정책을 폈으며, 박정희도 이에 따라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염인호 서울시립대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해방 후 박정희처럼 확군된 병사는 베이징 1,300여 명, 난징 800여 명, 상하이 1,300여 명에 달했다.[17]
박정희가 소속된 광복군 부대는 북평잠편지대 또는 제3지대 주평진대대(駐平津大隊)로 추정된다. 이 부대의 대대장은 박정희와 함께 근무한 신현준이었고, 신현준은 해방 이전에는 광복군 존재를 알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이 부대는 사실상 포로수용부대와 유사했으며, 광복군이 세를 불리기 위해 명칭을 부여한 것으로 보인다.[18]
박정희가 일제 패망 전 광복군 비밀요원이었다는 주장은 박영만의 소설 <광복군>에서 비롯되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소설 속 증언자 이용(이집용)은 간도특설대에 대해 증언한 유일한 인물이지만, 박정희·신현준이 비밀광복군이었다는 이야기는 거짓이라고 밝혔다.[19] 육군본부 발간 '창군전사', 장창국 출간 '육사 졸업생' 등에서도 박정희를 비밀 광복군으로 묘사하지만, 이는 모두 날조된 것이다. 철석부대 출신 인사들은 박정희가 철석부대 근처에도 간 적 없다고 증언했고, '신태양 악극단' 관계자들 역시 이용기라는 인물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증언했다.[20]
광복군 출신 장준하는 1967년 대선 당시 소설 <광복군> 내용에 격분, 친일파 박정희가 비밀광복군으로 둔갑했다며 공개 비판했다. 당시 중앙정보부는 장준하 발언을 일일이 기록할 정도로 민감하게 반응했다.[21] 김승곤 전 광복회장은 박영만이 청와대에서 돈을 받을 목적으로 소설을 썼지만, 박정희는 오히려 화를 냈다고 증언했다.[22] 이종찬 전 국회의원 역시 중앙정보부 근무 당시 <광복군> 책을 수거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박정희는 자신이 해방 후 광복군 활동을 한 적은 있으나, 일제강점기 독립군은 아니었다고 밝혔다고 증언했다.[23]
광복군 출신 이재현은 박정희가 만주군 8단 해체 후 베이징에서 배회하던 중 체포되어 국내로 송환되었다고 주장했다. 당시 북평 판사처 임무는 재중 동포와 한국 국적 일본군들을 본국으로 송환하는 것이었고, 박정희는 일본군 출신이 많아 군 편제가 필요하여 신현준, 이주일과 함께 통솔 임무를 맡았던 것뿐이라고 한다.[24]
4. 상훈
참조
[1]
웹사이트
(40)은진 송씨(恩津宋氏)-208,816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2]
뉴스
"목표 위해 죽음 불사할만큼 성실" - 우등 성적으로 4년 만에 '황군' 소위
http://www.ohmynews.[...]
2015-11-10
[3]
뉴스
해방 후 신분 바꾼 친일파, 죽어서도 대접 받다
http://www.ohmynews.[...]
2020-07-26
[4]
뉴스
(3596) 제79화 제79화 육사졸업생들(49) 장창국
http://news.joins.co[...]
2016-06-28
[5]
뉴스
(203)제4야전군의 출현(상) 중공군 개입(2) 3천 여의 증인, 내외 자료로 엮은 다큐멘터리 한국전쟁 3년
http://news.joins.co[...]
2018-07-21
[6]
뉴스
<865>老兵이 걸어온 길-115-포병장교 무더기 진급
http://kookbang.dema[...]
2018-02-13
[7]
뉴스
<866>老兵이 걸어온 길-116-미군의 반대를 뚫다
http://kookbang.dema[...]
2018-02-13
[8]
간행물
韓國戰爭史第9巻 對陣末期(1953.1.1~1953.7.27)
http://www.imhc.mil.[...]
한국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2020-02-03
[9]
뉴스
陸軍 少將級 補職 發令
http://www.busan.com[...]
2019-11-15
[10]
뉴스
[명단] 친일인명사전 수록 대상자 4776명
http://www.ohmynews.[...]
2018-10-01
[11]
서적
청산하지 못한 역사 1
청년사
1994-03-01
[12]
서적
내가 겪은 한국전쟁과 박정희정부
선인
2004-05-20
[13]
저널
일본군 장교 되어 독립군 토벌했는데, 독립유공자 묘역 옆에 잠들다니…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2019-07-30
[14]
저널
육사 12기 장교출신이 쓴 회한의 육필수기 - 내가 겪은 전두환 노태우와 박태준
http://www.donga.com[...]
[15]
뉴스
한홍구의 역사이야기/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 만주군관학교-광복군-남로당-숙군 협조, 양지만을 좇은 그의 끝없는 변신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7-10-18
[16]
저널
[정정당담]잘못된 독립유공 포상 사례 셋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18-10-22
[17]
저널
‘ 짝퉁 광복군 ’ 수두룩하다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5-06-24
[18]
저널
기회주의 청년 박정희!
https://news.naver.c[...]
한겨레21
2002-10-23
[19]
저널
"조선인부대 말만 믿고 입대…민간인 학살說은 사실무근"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8-08
[20]
저널
중위 진급 한달 뒤 일제패망에 낙담 해방 이듬해 패잔병 몰골 귀국선 타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04-08-24
[21]
저널
"박정희 비밀광복군?…허무맹랑한 소설 이야기"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5-10-23
[22]
저널
만주군 중위 박정희, '비밀광복군' 둔갑
https://news.naver.c[...]
세계일보
2006-08-10
[23]
저널
[원희복의 인물탐구]임정기념관건립위원장 이종찬 “이승만부터 김원봉까지 다 아우르겠다”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8-03-18
[24]
저널
박정희 광복군편입은 허위날조
https://web.archive.[...]
김홍신 홈페이지
2019-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