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 (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로(水路)는 물이 흐르는 좁고 긴 통로를 의미하며, 자연적으로 형성되거나 인공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자연 수로는 하천 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하천, 해협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인공 수로는 선박 운송, 관개, 배수 등을 위해 건설되며, 항해 수로는 선박의 통행을 위해 준설 및 표지 설치를 통해 관리된다. 수로의 형태는 물의 방류량과 퇴적물 공급에 영향을 받으며, 레인의 원리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수도'와 '해협' 용어가 사용되며, 해양수산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수로 관리 업무를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역 - 피오르
    피오르는 빙하 침식으로 만들어진 U자형 계곡에 바닷물이 들어찬 지형으로, 입구의 문턱, 깊은 수심, 급경사 절벽이 특징이며 고위도 지역에 분포, 독특한 생태계와 경관, 수산 자원으로 활용된다.
  • 수역 - 홍수
    홍수는 과도한 강수량, 눈 녹음, 폭풍 해일, 쓰나미 등으로 발생하는 범람 현상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 환경 파괴를 일으키며, 기후변화로 심각성이 커짐에 따라 제방 건설,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등 예방 대책과 취약 계층 지원이 필요하지만, 토양 비옥도 증가와 같은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한다.
수도 (지리)
지리적 특징
정의지리학에서 해협은 두 육지 사이의 좁은 수로를 말함
추가 설명해협은 일반적으로 두 개의 더 큰 수역을 연결함
운하와 달리 해협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수로임
예시
주요 해협지브롤터 해협
도버 해협
대한해협 (쓰시마 해협, 대마 해협)
마젤란 해협
지리적 중요성해상 교통의 요충지
국제 무역과 해군 전략에 중요한 역할
기타 정보
관련 용어갑문 (수로)
운하
피오르
협만
항구

2. 형성

수로는 자연적인 요인과 인공적인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

자연적으로 형성되는 하도는 하천 작용에 의해 지구 전역에서 발견된다. 이들은 주로 수문 순환으로부터 흐르는 에 의해 형성되지만, 흐르는 용암에 의한 용암 하도와 같이 다른 유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하도는 산호초, 모래톱, 만 또는 얕은 수역을 통과하는 더 깊은 경로를 설명하기도 한다. 컬럼비아 강의 입구인 컬럼비아 바는 모래톱을 통과하는 강의 예시이다.

하천 하도는 하천 ()의 물리적 경계로, 하상하안으로 구성된다. 하천 하도는 퇴적물의 이동에 의해 제어되며,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로 존재한다. 경사가 낮은 하천과 경사가 높은 하천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사행천, 배회 하천, 단일 통로 사행 하천 등 다양한 하천 하도 유형이 있다. 홍수 기간 동안 물의 흐름이 하도의 용량을 초과하면, 홍수는 하도 밖으로 흘러넘쳐 계곡 바닥, 범람원 또는 유역을 덮는다. 그랜드 캐니언과 거니슨 국립공원의 블랙 캐니언은 하도에 갇힌 강의 예시이다.

항해 맥락에서 "하도"는 해협의 또 다른 단어이며, 두 개의 더 큰 수역을 연결하는 비교적 좁은 수역으로 정의된다. "해협", "하도", "수로"는 항해 맥락에서 동의어이며 상호 교환 가능하다. 영국 해협은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해협이며, 군도에서 사이의 물은 일반적으로 "하도" 또는 "수로"라고 불린다. thumb의 세인트존스강에서 조지 호수로 들어가는 선박의 항행 가능한 수로를 표시한다.]]

"'''항해 수로'''"는 해상 용어로 선박의 통행로를 의미하며, 부표 등으로 표시되고 준설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전 문헌에 나오는 배가 드나들 수 있는 가항 수로에 "세토"와 "미오"라는 고유의 해역 호칭을 사용했다.

영어에는 Channel, Strait, Passage, Pass 등이 있다. Channel의 어원은 라틴어 canalis (water-pipe)로, 본래 가정 등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을 의미하며, 깊은 물의 가항로라는 의미도 있다. Passage 또는 Pass의 어원은 이탈리아어 paseggio (= a walk)로 좁은 항행 수면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대지형에는 Channel, 중지형에는 Passage, 소지형에는 Pas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하와이 제도 사이는 모두 Channel, 알류샨 열도 사이는 모두 Pass가 되는 등 엄밀하게 규모로 나눠져 있는 것은 아니다.

일본어의 "수도"와 "해협"은 영어의 Channel이나 Strait 등의 번역어로서 사용되었다. "수도", "해협", "세토"의 관계는 명확한 기준에 따라 구분되지 않으며, 같은 해역에 대해 여러 명칭을 가진 경우도 있다. (기탄 해협과 도모가시마 수도, 호요 해협과 분고 수도와 하야스이 세토, 조선 해협과 쓰시마 해협 서수도 등). 나루토 해협은 메이지 초기에 나루토 수도라고 불리다가 역사적으로 호칭이 변화한 예시이다.

행정상으로는 하천이지만, 관습적으로 수도라고 불리는 수역도 존재한다 (사카이 수도).

2. 1. 자연적 형성

채널 개시는 산비탈에서 물이 식별 가능한 제방 사이로 흐르기 시작하는 지점을 말한다.[1] 이 지점을 채널 헤드라고 하며, 산사면 과정과 하천 과정 사이의 중요한 경계를 나타낸다.[1] 채널 헤드는 채널 네트워크의 가장 상류 부분이며, 식별 가능한 제방 사이로 물이 흐르는 곳으로 정의된다.[1] 지표 흐름 및/또는 지하 흐름이 쌓여 전단 응력이 지표면의 침식 저항을 극복할 수 있는 지점에서 채널 헤드가 형성된다.[1] 채널 헤드는 종종 붕적토, 할로우 및 산사태와 관련이 있다.[1]

지표수 흐름은 채널 개시의 주요 요인으로, 포화 지표수 흐름이 심화되어 전단 응력을 증가시키고 채널 절개를 시작한다.[1] 지표수 흐름은 채널 개시가 시작되는 지형적 함몰부로 수렴된다. 토양 구성, 식생, 강수량 및 지형은 지표수 흐름의 양과 속도를 결정한다. 토양의 구성은 포화가 얼마나 빨리 발생하는지, 응집력이 지표수 흐름으로부터 물질의 포획을 얼마나 지연시키는지 결정한다.[1] 식생은 강수량 발생 시 침투율을 늦추고 식물 뿌리는 산비탈의 토양을 고정한다.[1]

지하 흐름은 토양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채널 헤드가 종종 형성되는 산비탈에서 다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종종 급격한 채널 헤드와 산사태가 발생한다. 할로우는 붕적토가 지속적으로 유동하는 곳에서 집중된 지하 흐름으로 인해 형성된다.[1] 가파른 지형의 할로우와 관련된 채널 헤드는 퇴적물 공급 및 강수량에 따라 산비탈 위아래로 자주 이동한다.

2. 2. 인공적 형성

인공 수로는 인간의 필요에 의해 건설된다. 운하는 완전히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수로의 예시이며, 파나마 운하가 대표적이다. 항만 수로는 항만 시설로 이어지는 하구 또는 강의 준설된 항해 가능 구역이나, 마리나와 같은 보트 항만 시설에 접근하는 더 작은 수로를 포함한다.[4] 항해 가능한 수심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해 준설이 시행된다. 준설 수로가 만 또는 모래 바닥을 통과할 때는 불안정한 저서 토양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반복적인 준설이 필요할 수 있다.[4]

3. 종류

수로는 형태, 기능, 위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생성된 수로는 하천 작용에 의해 형성되며, 지구 전역에서 발견된다. 주로 수문 순환으로부터 흐르는 에 의해 형성되지만, 흐르는 용암과 같이 다른 유체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산호초, 모래톱, 만 또는 얕은 수역을 통과하는 더 깊은 경로를 설명하기도 한다.[1]

영국과 프랑스 사이를 지나는 영국 해협처럼, 지리적 지명으로서 "하도"는 해협의 또 다른 단어로, 두 개의 더 큰 수역을 연결하는 비교적 좁은 수역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전부터 배가 다닐 수 있는 물길을 瀬戸|세토일본어나 澪|미오일본어라고 불렀다. 영어에는 Channel, Strait, Passage, Pass 등이 있는데, Channel은 라틴어 canalis(수도관)에서 유래했으며 깊은 물의 가항로를 의미한다. Passage나 Pass는 이탈리아어 paseggio(산책)에서 유래했으며 좁은 항행 수면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큰 지형에는 Channel, 중간 지형에는 Passage, 작은 지형에는 Pas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격한 기준은 없다. 하와이 제도 사이는 모두 Channel, 알류샨 열도 사이는 모두 Pass를 사용한다. 일본어 "수도"와 "해협"은 영어 Channel이나 Strait 등의 번역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수도", "해협", "세토"는 명확한 기준 없이 사용되며, 같은 해역에 여러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3. 1. 자연 수로

하천 하도는 하천()의 물리적 경계로, 하상하안으로 구성된다. 하천 하도는 다양한 기하학적 형태로 존재하며, 퇴적물의 이동에 의해 발달이 제어된다. 경사가 낮은 하천과 경사가 높은 하천 사이에는 차이가 있으며, 사행천, 배회 하천, 단일 통로 사행 하천 등 다양한 하천 하도 유형을 구별할 수 있다. 홍수 기간 동안 물의 흐름은 하도의 용량을 초과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홍수는 하도 밖으로 흘러넘쳐 계곡 바닥, 범람원 또는 유역을 덮을 수 있다.[1]

더 넓은 항해 맥락에서 "하도"는 해협의 또 다른 단어이며, 두 개의 더 큰 수역을 연결하는 비교적 좁은 수역을 의미한다. 항해 맥락에서 "해협", "하도", "수로"는 동의어이며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군도에서 사이의 물은 일반적으로 "하도" 또는 "수로"라고 불린다. 영국 해협은 영국과 프랑스 사이의 해협이다.

3. 2. 항해 수로

항해 수로는 선박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만들어진 물길이다. 부표와 같은 항해 보조 시설을 설치하거나, 배가 다니기 쉽도록 바닥을 파내는 준설 작업을 하기도 한다. 항해 수로는 깊이와 폭, 항해 보조 시설 등에 따라 등급이 나뉜다.[4]

토레센은 수로를 A등급(주야간 항해 가능, 수심 보장)부터 D등급(항해 보조 시설 없음, 선장에게 추정 수심만 제공)까지 여러 범주로 구분한다. 준설과 관련해서는 수로를 '무제한'(가장 큰 선박 폭의 10~15배), 얕은 수역에서 제한적인 준설이 이루어지는 '세미 제한', 수로 전체가 준설되는 '완전 제한'으로 나눌 수 있다. 파나마 운하는 완전 제한 수로의 예시이며, 이러한 인공 수로는 '운하'라고 불린다.

미국 육군 공병대(USACE)는 미국의 항해 수로를 관리하며, 준설은 민간 계약자가 수행한다. 미국 해안 경비대는 수로 순찰 및 비상 유출 대응을 담당한다. 주 또는 지방 정부는 이리 운하와 같은 더 작은 수로를 관리한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전부터 배가 다닐 수 있는 물길을 瀬戸|세토일본어나 澪|미오일본어라고 불렀다. 영어에는 Channel, Strait, Passage, Pass 등이 있는데, Channel은 라틴어 canalis(수도관)에서 유래했으며 깊은 물의 가항로를 의미한다. Passage나 Pass는 이탈리아어 paseggio(산책)에서 유래했으며 좁은 항행 수면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 큰 지형에는 Channel, 중간 지형에는 Passage, 작은 지형에는 Pass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엄격한 기준은 없다. 하와이 제도 사이는 모두 Channel, 알류샨 열도 사이는 모두 Pass를 사용한다. 일본어 "수도"와 "해협"은 영어 Channel이나 Strait 등의 번역어로 사용되게 되었다.

"수도", "해협", "세토"의 관계는 명확한 기준이 없으며, 같은 해역에 여러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기탄 해협과 도모가시마 수도), (호요 해협과 분고 수도와 하야스이 세토) 등). 역사적으로 호칭이 변화한 예로는 나루토 해협(메이지 초기에는 나루토 수도)이 있다. 사카이 수도처럼 행정상 하천이지만 관습적으로 수도라고 불리는 곳도 있다.

일본에서 "수도"라고 불리는 곳은 다음과 같다. (가나다순)

  • 이키 수도
  • 이라코 수도
  • 우라가 수도
  • 오노미치 수도
  • 기이 수도
  • 쓰시마 해협 서수도 (대한 해협)
  • 쓰시마 해협 동수도
  • 도모가시마 수도(기탄 해협)
  • 노츠케 수도
  • 분고 수도
  • 요나라 수도
  • 레분 수도

3. 3. 인공 수로

운하는 대표적인 인공 수로로, 선박 운송, 관개, 배수 등 다양한 목적으로 건설된다.[4] 파나마 운하가 그 예시이다.[4] 항만 수로는 항만 시설로 이어지는 준설된 구역을 의미하며,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준설 수로가 만 또는 모래 바닥을 통과할 때는 불안정한 저서 토양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반복적인 준설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4]

4. 한국의 수로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수도'와 '세토'라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수도'와 '해협'이 주로 사용된다. '수도'와 '해협'은 명확한 기준으로 구분되지 않으며, 같은 해역에 대해 여러 명칭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기탄 해협은 도모가시마 수도로도 불린다.[1]

4. 1. 주요 수로

한국의 주요 수로
이름비고
이키 수도
이라코 수도
우라가 수도
오노미치 수도
기이 수도
대한 해협 (쓰시마 해협 서수도)
쓰시마 해협 동수도
도모가시마 수도 (기탄 해협)
노츠케 수도
분고 수도
요나라 수도
레분 수도


5. 수로 관리



"'''항해 수로'''"는 선박의 통행로를 의미하는 해상 용어이다. 수로는 때때로 부표와 같은 것으로 표시되며, 준설되기도 한다. 준설과 관련하여 수로는 ''무제한'', ''세미 제한'', ''완전 제한''으로 나눌 수 있다.[4] 준설 수로가 만(bay mud) 또는 모래 바닥을 통과할 때는 불안정한 저서 토양의 지속적인 이동으로 인해 반복적인 준설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항해 수로의 항해 가능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책임은 다양하며, 실제 유지 보수 작업은 종종 제3자에 의해 수행된다. 폭풍, 해상 상태, 홍수 및 계절적 퇴적 작용은 항해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미국에서는 미국 육군 공병대 (USACE)가 항해 수로를 모니터링 및 유지 관리하지만, 준설 작업은 종종 민간 계약자(USACE의 감독하에)가 수행한다. USACE는 또한 수질 및 일부 복원 작업을 모니터링한다.

6. 사회/문화적 의의

고대부터 수도는 해상 교통과 어업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전에 배가 드나들 수 있는 가항 수로를 瀬戸일본어나 澪일본어로 불렀다.[4] 이러한 지리적 특성은 지역 문화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 들어서 수도는 해운, 관광, 생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항해 수로"는 선박의 통행로를 의미하는 해상 용어로, 부표 등으로 표시되거나 준설 작업을 통해 관리된다. 미국 육군 공병대(USACE)는 항해 수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미국 해안 경비대는 수로 순찰 및 비상 유출 대응을 담당한다. 주 또는 지방 정부는 이리 운하와 같은 소규모 수로를 관리한다.

6. 1. 지리적 의의

Channel영어의 어원은 라틴어 canalisla(water-pipe)로, 본래 의미는 가정 등에 물을 공급하는 수도관 그 자체였다. Channel영어에는 깊은 물의 가항로라는 의미가 있다. 섬과 섬 사이, 육지와 섬 사이를 연결하는 교통로 역할을 하며, 하천의 흐름이나 해류의 이동 등에 영향을 준다.

일본 고유의 해역 호칭으로 메이지 시대 이전의 문헌에 나오는 것 중 배가 드나들 수 있는 가항 수로에 사용되는 것으로는 "세토"와 "미오"가 있었다.

한편, 영어에는 Channel영어, Strait영어, Passage영어, Pass영어 등이 있다. 이 중 Passage영어 또는 Pass영어의 어원은 이탈리아어 paseggioit(a walk)로 좁은 항행 수면을 의미한다.

세계적으로는 대지형에 Channel영어, 중지형에 Passage영어, 소지형에 Pass영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엄밀하게 규모로 나눠져 있는 것은 아니며, 하와이 제도 사이는 모두 Channel영어, 알류샨 열도 사이는 모두 Pass영어가 되어 있다.

일본어의 "수도"와 "해협"은 영어의 호칭법인 Channel영어이나 Strait영어 등의 번역어로서 사용되게 되었다.

"수도"와 "해협"이나 "세토"의 관계에 대해 어떠한 명확한 기준에 따라 구분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같은 해역에 대해 해협·수도·세토의 복수의 명칭을 가진 것도 있다 (기탄 해협과 도모가시마 수도, 호요 해협과 분고 수도와 하야스이 세토 (다만, 분고 수도는 호요 해협 남쪽의 해역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조선 해협과 쓰시마 해협 서수도 등). 또한, 역사적으로 호칭이 변화한 것으로 메이지 시대 초기에 나루토 수도라고 불리고 있던 나루토 해협이 있다.

또한, 행정상으로는 하천이지만, 관습적으로 수도라고 불리고 있는 수역도 존재한다 (사카이 수도).

6. 2. 역사/문화적 의의

고대부터 수도는 해상 교통과 어업 활동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 이전에 배가 드나들 수 있는 가항 수로를 瀬戸일본어나 澪일본어로 불렀다.[4] 이러한 지리적 특성은 지역 문화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현대에 들어서 수도는 해운, 관광, 생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항해 수로"는 선박의 통행로를 의미하는 해상 용어로, 부표 등으로 표시되거나 준설 작업을 통해 관리된다. 미국 육군 공병대(USACE)는 항해 수로를 모니터링하고 유지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미국 해안 경비대는 수로 순찰 및 비상 유출 대응을 담당한다. 주 또는 지방 정부는 이리 운하와 같은 소규모 수로를 관리한다.

참조

[1] 서적 Key Concepts in Geomorphology W. H. Freeman and Company Publishers 2014
[2] 간행물 The importance of fluvial morphology in hydraulic engineering http://ponce.sdsu.ed[...] 1955
[3] 서적 World Environmental and Water Resources Congress 2011 https://books.googl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15-11-26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aterways of the Atlantic Coast of the United States http://www.usace.arm[...] USACE 1983-01
[5] 학술지 海峡地形の呼称について その呼称起源と妥当性の問題 https://doi.org/10.1[...] 日本地図学会 2020-02-25
[6] 웹사이트 瀬戸内海の環境 > エリアでみる > 豊後水道 http://seto-eicweb.p[...] 瀬戸内海環境情報センター
[7] 웹사이트 History of the Waterways of the Atlantic Coast of the United States http://www.usace.arm[...] USACE 198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