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폴리카르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폴리카르포스는 1~2세기 초대교회 인물로, 사도 요한의 제자이자 스미르나의 주교였다. 그는 이단에 맞서 정통 기독교 신앙을 옹호했으며, 부활절 날짜 논쟁에서 로마 교회와 의견 차이를 보였지만, 교회의 화합을 유지했다. 폴리카르포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치하에서 순교했으며, 그의 순교는 초기 기독교 순교 기록 중 하나로 꼽힌다. 그의 저술로는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이 있으며, 그는 기독교 교회의 창립에 크게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폴리카르포스는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고 있으며, 그의 축일은 2월 23일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69년 출생 - 수에토니우스
    수에토니우스는 1세기 후반에서 2세기 초반 로마의 역사가이자 작가로, 《황제전》을 통해 12명의 로마 황제의 생애를 상세히 기록했으며, 《명사 열전》 외 다양한 저작을 남겼으나 대부분 소실되거나 단편만 전해진다.
  • 155년 사망 - 교황 비오 1세
    교황 비오 1세는 2세기 중엽에 재임한 제10대 교황으로, 부활절 날짜 문제와 영지주의 이단자들의 활동에 대처했으며, 축일은 7월 11일이다.
  • 고대 스미르나인 - 호메로스
    호메로스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인으로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의 저자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실존 여부와 작품 저술 등에 대한 "호메로스 문제"는 논쟁 중이며, 생애와 출생지는 불확실하고, 그의 서사시는 구전 전승을 거쳐 기록되어 그리스 문학과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고대 스미르나인 - 비온
    비온은 기원전 2세기 말 또는 1세기 초에 활동한 고대 그리스 전원 시인으로, "아도니스 애가"와 같은 시를 통해 후대 시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그의 작품은 중세 필사본으로 보존되어 전해진다.
폴리카르포스
기본 정보
호시오스 루카스 수도원의 성 폴리카르포스 모자이크
호시오스 루카스 수도원 내부의 성 폴리카르포스 모자이크
존칭 접두사성인
이름폴리카르포스
로마자 표기Pollikareupeoseu
그리스어Πολύκαρπος
라틴어Polycarpus
다른 호칭교부, 스미르나의 주교, 순교자
출생69년
사망155년 (85-86세) 스미르나, 로마 제국
기념일2월 23일 (과거 1월 26일)
숭배하는 교파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아시리아 동방교회
루터교
성공회
주요 저서폴리카르포스의 빌립보서
상징물팔리움 착용, "빌립보서"를 나타내는 책 소지
수호 대상귀앓이 환자
영향을 준 인물로마의 클레멘스, 사도 요한
영향을 받은 인물이레네오
직함
직함교회 교부
스미르나의 주교
히에로순교자
주요 성지
위치산탐브로조 델라 마시마, 로마

2. 생애

폴리카르포스의 생애에 대해서는 《폴리카르포스 순교록》, 《이단 반박》, 《플로리누스에게 보내는 서신》, 이그나티우스의 서신, 《필립보에 보내는 서신》을 참고할 수 있다.[47] 사도 요한을 위시하여 예수를 직접 본 제자들과 많은 접촉을 통해서 정통 초대교회의 신앙 가르침을 받은 인물로, 사도 시대와 그 이후를 잇는 뛰어난 저술가이며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에 중요한 인물이다. 1999년에는 폴리카르포스를 언급하는 3세기에서 6세기의 콥트어 텍스트 모음인 해리스 단편이 출판되었다.[8]

2. 1. 사도 요한과의 관계

폴리카르포스는 사도 요한을 비롯하여 예수님을 직접 본 제자들과 많은 교류를 통해 초대 교회의 신앙 가르침을 받았다.[47] 그는 사도 시대와 그 이후 시대를 잇는 뛰어난 저술가로, 초기 그리스도교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다.

이레네우스에 따르면, 폴리카르포스는 파피아스와 동료였으며,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와 서신을 주고받았다.[9] 이그나티우스는 폴리카르포스에게 편지를 보냈고, 에베소서와 마그네시아인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그를 언급했다.[9] 폴리카르포스가 빌립보인에게 보낸 편지는 편지 내 인용된 구절들을 통해 신약성경의 초기 사용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10]

이레네우스는 폴리카르포스의 기억을 사도 시대의 과거와 연결하는 고리로 여겼다. 그는 로마 사제가 되었다가 나중에 이단에 빠진 폴리카르포스의 동료 학생 플로리누스에게 보낸 편지에서, 폴리카르포스가 어떻게 그리고 언제 기독교로 개종했는지 다음과 같이 언급한다.[11]

> 나는 복된 폴리카르포스가 하나님의 말씀을 설교하기 위해 앉았던 장소를 당신에게 말할 수 있습니다. 그는 어디에서나 얼마나 진지하게 드나들었고, 그의 행동은 얼마나 성스러웠으며, 그의 얼굴은 얼마나 위엄 있었고, 백성들에게 얼마나 거룩한 권고를 했는지, 아직도 내 마음에 생생하게 남아 있습니다. 나는 지금 그가 요한과 예수 그리스도를 직접 본 많은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대화를 나누었으며, 그들의 입에서 어떤 말을 들었는지 말하는 것을 듣는 것 같습니다.[12]

이레네우스는 폴리카르포스가 사도들에게 기독교로 개종했고, 사제가 되었으며, 예수를 본 많은 사람들과 교류했다고 보고한다. 특히, 그는 요한과 예수를 본 다른 사람들과 폴리카르포스의 대화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젊었을 때, 당시 나이가 많이 들었던 폴리카르포스를 아는 행운을 누렸다고 적고 있다.[13]

2. 2. 직책과 성향

폴리카르포스는 로마의 교황 클레멘스 1세,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오스와 함께 1~2세기 3명의 위대한 주교로 불린다.[48] 이레네오는 폴리카르포스의 설교를 들으면서 자라났는데, 그는 폴리카르포스가 발렌티누스주의, 마르키온주의를 포함한 다른 이단에 격렬히 반대하였고, 초대교회 진리에 대하여 열성적으로 증거했다고 한다.[49] 폴리카르포스는 대부분의 사도들이 죽고난 이후에 활동했으며, 그의 주된 역할은 사도 요한과 연락을 주고 받으며 참된 진리를 전파하는 것이었다.[50]

2. 3. 로마 방문과 부활절 논쟁

A.D. 155년 폴리카르포스는 로마 교회를 방문하여 교황 아니체토와 아시아 교회와 로마를 위시한 서방 교회의 차이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두 주교는 특정 부분은 빠른 의견 일치를 보았다. 하지만, 부활절 날짜와 관련해서는 의견 일치를 보지 못하였다. 아시아의 교회들은 동방 교회의 가르침대로 니산월 14일에 유월절 이후에 부활절을 지키고 있었고, 서방 교회들은 유월절을 계산하는 유대교에게 종속되는 것을 막고 당시 달력 계산이 부정확하였으므로 당시 기준 가장 정확한 로마의 달력으로 춘분 후 만월 뒤에 오는 일요일부활절을 지키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 사안에 대하여 의견을 좁히지 못하였으나 서로의 가르침을 존중하여 함께 일요일에 성찬례를 거행하였다.[51]

이레네오는 나중에 이 일을 서신에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이레네오에 따르면, 그의 동료 시리아인 아니케토가 로마 주교로 있던 시절, 폴리카르포스는 로마를 방문하여 소아시아와 로마 교회의 관행의 차이점에 대해 논의했다. 이레네우스는 몇 가지 문제에 대해 두 사람이 신속하게 합의에 도달했지만, 새 언약의 파스카 준수에 관해서는 서로의 관습을 고수하면서도 서로 간의 완전한 친교를 깨뜨리지는 않았다고 언급했다.[14] 폴리카르포스는 유대교 과월절 날짜인 14일에, 그 날이 요일에 관계없이 축제를 지키는 동방의 관습을 따랐고, 아니케토는 춘분 이후 첫 번째 보름달 다음 첫 번째 일요일에 축제를 지키는 서방의 관습을 따랐다. 아니케토는 폴리카르포스가 자신의 교회에서 성찬례를 거행하도록 허락했는데, 이는 로마인들에게 큰 영예로 여겨졌다.[14]

2. 4. 폴리카르포스의 순교

교황 아니체토와의 만남 이후 스미르나로 돌아온 폴리카르포스는,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의 그리스도교 박해로 인해 체포되었다. 그는 이교도의 신에게 제사 드리기를 거부하여 화형을 당하였다.[52]

《폴리카르포스 순교록》에 따르면, 폴리카르포스는 죽음의 날에 "나는 86년 동안 그분을 섬겼고, 그분은 나에게 아무런 잘못도 하지 않으셨습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그가 당시 86세였거나[15] 개종 후 86년을 살았음을 나타낼 수 있다.[25] 그는 이어서 "어찌 내가 나의 왕이자 구세주를 모독하겠습니까? 당신은 잠시 타오르다 꺼질 불로 나를 위협하지만, 당신은 악인을 위해 준비된 영원한 형벌의 불에 대해 알지 못합니다."라고 말하며 로마 황제에게 향을 바치기를 거부했고, 결국 화형과 창에 찔리는 형벌을 받았다.[12][16] 그는 작별 인사를 하면서 "나는 아버지, 이 순간에 나를 합당하게 여기셔서, 순교자들과 함께 그리스도의 잔을 나눌 수 있게 해 주신 것에 감사합니다."라고 말했다.[12]

폴리카르포스가 스미르나를 태우는 불을 기적적으로 끄는 모습


폴리카르포스의 사망 날짜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유세비우스는 그의 죽음을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의 통치 기간인 서기 166~167년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폴리카르포스의 순교록》에 유세비우스 이후 추가된 내용에 따르면 그의 죽음은 루키우스 스타티우스 콰드라투스의 총독 재임 중 토요일인 2월 23일(서기 155년 또는 156년 경)로 기록되어 있다.

《폴리카르포스의 순교록》은 폴리카르포스가 안식일에 붙잡혀 "대 안식일"에 처형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영국의 교부학자 윌리엄 케이브 (1637–1713)는 이것이 폴리카르포스 치하의 스미르나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 즉 토요일에 모였다는 증거라고 믿었다.[17] J. B. 라이트풋은 "대 안식일"이라는 표현이 페사흐 또는 다른 유대 축제를 가리키는 일반적인 해석으로 기록했다.[18] 이는 표준 유대력과 모순되는데, 페사흐 날짜인 니산 14일은 3월 말보다 앞설 수 없으므로 폴리카르포스의 전통적인 사망 날짜인 2월 23일보다 최소 한 달 늦다. 따라서 라이트풋은 이 표현을 부림절 축제, 즉 페사흐 한 달 전에 기념되는 것으로 이해했으며,[19] 다른 학자들은 당시 유대력이 아직 표준화되지 않았고, 이 날 유대인과 기독교인 모두 각각 페사흐와 14일주의 그리스도교 유월절 준수를 기념했다고 주장한다.[20]

3. 저술

폴리카르포스에게 귀속되는 유일하게 현존하는 작품은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으로, 이는 그리스어 성경에 대한 언급들의 모자이크이며, ''폴리카르포스의 순교''에 대한 기록과 함께 ''사도 교부''라고 불리는 저술 모음의 일부를 이룬다. 사도행전이 스테파노의 죽음을 묘사한 이후, ''순교''는 기독교 순교자의 가장 초기의 진정한 기록 중 하나로 여겨진다. 찰스 E. 힐은 이레네우스가 그의 저술 전체에 걸쳐 어떤 사도적 "장로"에게 귀속시키는 가르침이 그의 스승인 폴리카르포스의 잃어버린 가르침을 나타낸다고 광범위하게 주장한다.[6]

일부 학자들은 목회 서신(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를 폴리카르포스의 저작으로 본다. 해당 서신들의 내용이 바울에게 귀속되므로, 폴리카르포스의 저작이라는 이 이론은 해당 서신들을 위경의 범주에 포함시킨다. 한스 폰 캄펜하우젠은 폴리카르포스가 실제 저자라는 견해를 가진 학자 중 한 명이다.[7]

4. 신학

폴리카르포스는 마태오 복음서, 사도행전, 요한 1서, 빌립보서, 유다서, 베드로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로마서 등 신약성경의 여러 책을 성경으로 언급했다.[38] 또한 외경인 토비트기를 인용했지만, 그가 이 책에 어느 정도의 권위를 부여했는지는 알 수 없다.[39]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은 장로와 집사만을 언급하는데, 이는 필리피 교회가 복수의 "장로-감독"에 의해 인도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서신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른 교회 정치 형태를 암시한다. 스테인하우저는 이 서신이 필리피 교회가 장로와 감독을 동의어로 간주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초대 교회의 정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음을 인정하며, 필리피 교회에 일시적인 공석이 있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40]

폴리카르포스는 14일파였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폴리카르포스는 사도 요한과 함께 니산월 14일에 부활절을 기념했다고 주장했다.[41][42] 그는 부도덕보다 이단을 더 심각한 문제로 여겼다. 부도덕한 사람들에게는 회개하라고 외쳤지만, 거짓 교사들을 "사탄의 맏아들"이라고 불렀다.[43]

폴리카르포스는 "나는 그분[그리스도]을 86년 동안 섬겼고, 그분은 결코 나에게 불공정하게 대하지 않으셨다"라고 말했다. 유아 세례 옹호자들은 이 인용구가 폴리카르포스가 유아로 세례를 받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86년 동안 그리스도를 섬겼다면 유아 시절부터 섬겼을 것이고, 이는 유아 세례를 시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윌리엄 쇼델과 같은 재세례파는 이 인용구가 세례에 관해 모호하며, "나는 항상 예수를 섬겼고 86세에도 멈추지 않을 것이다"라는 의미로 이해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44]

4. 1. 구원론

폴리카르포스의 구원론은 명확하지 않다. 그는 에베소서 2장 8절을 인용하여 구원이 행위가 아닌 은총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지만, 나중에 독자들에게 선행을 하도록 권고한다. 그의 논평이 너무 적어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으므로, 그가 구원과 관련하여 행위를 어떻게 보는지 텍스트에서 명확하지 않다. 그는 행위가 구원하시는 은총의 단순한 결과라고 믿었을 수도 있고, 구원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고 가치있는 것이라고 믿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가 일원론자였는지 공동론자였는지는 알 수 없다.[32]

폴리카르포스는 그의 서신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과 "영원한 대제사장"이라고 부르며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이 그에게 복종했고, 모든 호흡이 그를 숭배하며,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신다"라고 썼다. 그는 또한 예수의 무죄함을 강조했고,[33] 성육신 교리와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을 옹호했으며, 명백히 가현설에 반대했다.[33] 폴리카르포스는 마르키온의 가르침을 단호히 부인하며 그를 사탄의 맏아들이라고 주장했다.[34] 폴리카르포스의 ''폴리카르포스의 순교''에 대한 진술은 또한 삼위일체 신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5]

폴리카르포스의 종말론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주로 죽은 자의 부활과 심판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긍정으로 제한된다.[33] 폴리카르포스는 아마도 전천년설 지지자였을 것이다. 폴리카르포스의 제자인 이레니우스는 그의 동료 파피아스와 함께 전천년설 지지자였는데, 이는 폴리카르포스도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36][37]

4. 2. 기독론

성 폴리카르포스


폴리카르포스의 구원론은 명확하지 않다. 그는 에베소서 2:8을 인용하여 구원이 행위가 아닌 은총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지만, 나중에 독자들에게 선행을 하도록 권고한다.[32] 그는 구원과 관련하여 행위를 어떻게 보는지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결론을 내릴 수 없다. 행위가 구원하시는 은총의 결과인지, 아니면 구원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그가 일원론자였는지 공동론자였는지는 알 수 없다.[32]

폴리카르포스는 그의 서신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과 "영원한 대제사장"이라고 부르며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이 그에게 복종했고, 모든 호흡이 그를 숭배하며,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신다"라고 썼다. 그는 또한 예수의 무죄함을 강조했고,[33] 성육신 교리와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을 옹호했으며, 가현설에 반대했다.[33] 폴리카르포스는 마르키온사탄의 맏아들이라고 주장했다.[34] ''폴리카르포스의 순교''는 삼위일체 신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5]

폴리카르포스의 종말론죽은 자의 부활과 심판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긍정으로 제한된다.[33] 폴리카르포스는 전천년설 지지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폴리카르포스의 제자인 이레네우스는 그의 동료 파피아스와 함께 전천년설 지지자였는데, 이는 폴리카르포스도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36][37]

4. 3. 종말론

폴리카르포스의 종말론에 대해 알려진 것은 주로 죽은 자의 부활과 심판자로서 그리스도의 재림을 긍정했다는 점이다.[33] 폴리카르포스는 전천년설을 지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의 제자인 이레니우스와 파피아스가 전천년설 지지자였던 점은 폴리카르포스 역시 비슷한 견해를 가졌을 가능성을 보여준다.[36][37]

4. 4. 성경관

폴리카르포스는 그의 서신에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과 "영원한 대제사장"이라고 부르며, "하늘과 땅의 모든 것이 그에게 복종했고, 모든 호흡이 그를 숭배하며, 산 자와 죽은 자를 심판하러 오신다"라고 썼다.[33] 그는 또한 예수의 무죄함을 강조했고,[33] 성육신 교리와 십자가에서의 그리스도의 죽음을 옹호했으며, 명백히 가현설에 반대했다.[33] 폴리카르포스는 마르키온의 가르침을 단호히 부인하며 그를 사탄의 맏아들이라고 주장했다.[34] ''폴리카르포스의 순교''의 진술은 삼위일체 신학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35]

폴리카르포스의 구원론은 명확하지 않다. 그는 에베소서 2:8을 인용하여 구원이 행위가 아닌 은총에 의한 것이라고 말하지만, 나중에 독자들에게 선행을 하도록 권고한다. 그의 논평이 너무 적어 명확한 결론을 내릴 수 없으므로, 그가 구원과 관련하여 행위를 어떻게 보는지 텍스트에서 명확하지 않다. 그는 행위가 구원하시는 은총의 단순한 결과라고 믿었을 수도 있고, 구원을 유지하는 데 필요하고 가치있는 것이라고 믿었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가 일원론자였는지 공동론자였는지는 알 수 없다.[32]

폴리카르포스의 종말론에 대해 우리가 아는 것은 주로 죽은 자의 부활과 심판자로서의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긍정으로 제한된다.[33] 폴리카르포스는 아마도 전천년설 지지자였을 것이다. 폴리카르포스의 제자인 이레네우스는 그의 동료 파피아스와 함께 전천년설 지지자였는데, 이는 폴리카르포스도 비슷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36][37]

폴리카르포스는 마태오 복음서, 사도행전, 요한 1서, 빌립보서, 유다서, 베드로전서,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로마서 등 신약성경의 여러 책을 성경으로 언급했다.[38] 폴리카르포스는 또한 외경인 토비트기를 인용하지만, 그가 인용한 방식을 통해 그가 이 책에 어느 정도의 권위를 부여했는지는 알 수 없다.[39]

빌립보인들에게 보낸 폴리카르포스의 서신은 장로와 집사만을 언급하는데, 이는 필리피 교회가 복수의 "장로-감독"에 의해 인도되었음을 나타내며, 이는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서신에서 발견되는 것과는 다른 교회 정치 형태를 암시한다. 스테인하우저에 따르면, 그 서신은 필리피 교회가 장로와 감독을 동의어로 간주했다는 구체적인 증거를 제공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그 서신이 초대 교회의 정치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있다. 스테인하우저는 필리피 교회에 일시적인 공석이 있었을 가능성을 가설로 제시했다.[40]

폴리카르포스는 14일파였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폴리카르포스는 사도 요한과 함께 니산월 14일에 부활절을 기념했다고 주장했다.[41][42] 폴리카르포스는 부도덕보다 이단을 더 심각한 문제로 여기는 것으로 보인다. 폴리카르포스는 부도덕한 사람들에게 회개하라고 외쳤지만, 거짓 교사들을 "사탄의 맏아들"이라고 불렀다.[43]

5. 유산과 영향

마이클 버거스 판화, 약 1685년


폴리카르포스는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이며, 그의 저작이 남아있는 가장 초기 기독교인 중 한 명이다. 제롬은 그를 "사도 요한의 제자이며 그에 의해 스미르나의 장로로 임명되었다"고 썼다.[22]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에페소스의 폴리크라테스는 14일 논쟁 동안 지역 관습을 옹호하기 위해 폴리카르포스의 예를 인용했다.[23]

이레네우스는 어린 시절 폴리카르포스의 설교를 듣고 그를 "발렌티누스, 마르키온 및 나머지 이단자보다 훨씬 더 무게 있고 진실의 더욱 확고한 증인이었던 사람"이라고 묘사했다. 폴리카르포스는 사도들의 죽음 이후 예수의 말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던 시대에 사도 요한과의 연결을 통해 정통 가르침을 인증하는 역할을 했다. "폴리카르포스가 옛 사도 교리의 진정한 전통에 대해 증언할 수 있다는 것에 높은 가치가 부여되었다"[25]

5. 1. 초기 기독교에 대한 영향

폴리카르포스는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8] 동시대 사람들은 그를 "우리 시대에 사도적이고 예언적인 교사이자 스미르나 가톨릭 교회의 주교로서 자신을 보여준 이들 [선택받은 자] 중 가장 훌륭한 폴리카르포스"라고 불렀다.[21] 그는 그의 저작이 살아남은 가장 초기의 기독교인 중 한 명이다. 제롬은 폴리카르포스를 "사도 요한의 제자이며 그에 의해 스미르나의 장로로 임명되었다"고 썼다.[22] 그는 기독교 교회의 창립에 크게 기여한 중요한 교회의 장로였다. 그는 고대 동방 정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그리고 주류 개신교, 하나님의 교회 단체, 안식일 준수자에 의해 가톨릭과 함께 정통으로 받아들여지는 시대의 인물이다.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에페소스의 폴리크라테스는 14일 논쟁 동안 지역 관습을 옹호하기 위해 폴리카르포스의 예를 인용했다.[23]

어린 시절 폴리카르포스의 설교를 들었던 이레네우스는 그를 "발렌티누스, 마르키온 및 나머지 이단자보다 훨씬 더 무게 있고 진실의 더욱 확고한 증인이었던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4] 폴리카르포스는 사도들의 죽음 이후 시대로, 예수의 말씀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설교되고 있었다. 그의 역할은 사도 요한과의 연결을 통해 정통 가르침을 인증하는 것이었다. "폴리카르포스가 옛 사도 교리의 진정한 전통에 대해 증언할 수 있다는 것에 높은 가치가 부여되었다"[25] "그의 증언은 이단 교사들의 허구에 불쾌한 참신함으로 비난했다". 이레네우스는 폴리카르포스가 로마를 방문했을 때 그의 증언이 마르키온과 발렌티누스의 많은 제자들을 개종시켰다고 말한다.

5. 2. 현대 교회의 기념

폴리카르포스는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로, 동시대 사람들에게 "우리 시대에 사도적이고 예언적인 교사이자 스미르나 가톨릭 교회의 주교"라고 불렸다.[21] 그는 저작이 남아있는 가장 초기 기독교인 중 한 명이며, 제롬은 그를 "사도 요한의 제자이며 그에 의해 스미르나의 장로로 임명되었다"고 기록했다.[22]

유세비우스에 따르면, 에페소스의 폴리크라테스는 14일 논쟁에서 지역 관습을 옹호하기 위해 폴리카르포스의 예를 들었다.[23] 이레네우스는 폴리카르포스를 "발렌티누스, 마르키온 및 나머지 이단자보다 훨씬 더 무게 있고 진실의 더욱 확고한 증인이었던 사람"이라고 묘사했다.[24]

'''폴리카르포스의 순교'''는 성인의 유해 숭배와 성인의 사망일에 연례적으로 기념하는 가장 초기의 기록 중 하나이다.

> "그래서 우리는 나중에 그의 뼈를 가져갔는데, 이는 값비싼 보석보다 더 가치 있고 정제된 금보다 더 고왔으며, 적절한 장소에 놓았습니다. 주님께서 기쁨과 환희 속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대로 함께 모이도록 허락하시고, 이미 싸운 자들을 기념하고 앞으로 그렇게 할 자들을 훈련하고 준비하기 위해 그의 순교일을 기념할 것입니다."[26]

폴리카르포스의 유해는 산탐브로지오 델라 마시마 성당의 주 제단 아래에 있다.[27][28] 성 폴리카르포의 오른팔은 그리스 나프팍토스 근처 암펠라키오티사에 있는 테오토코스-성 폴리카르포 수녀원에 500년 이상 보관되어 있었으나, 2013년 3월 14일에 도난당했고 회수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전에 팔에서 떼어낸 조각이 발견되어 2019년 7월 14일에 수녀원으로 반환되었다.[29]

로마 가톨릭, 동방 정교회, 그리스 가톨릭 교회에서 성 폴리카르포 축일은 2월 23일이다. 로마 가톨릭 전례력에서 축일은 의무 기념일의 전례적 지위를 가지지만, 그 해 사순절 안에 기념일이 있으면 기념으로 지위가 강등된다. 콥트 정교회에서는 그의 축일이 암쉬르 29일(그레고리력으로 3월 8일)이다. 폴리카르포는 성공회에서 2월 23일에 소 축일로 잉글랜드 교회 성인 달력에 기념된다.[30] 그는 또한 2월 23일에 루터교회에서도 존경받는다.[31]

참조

[1] 서적 Early Christian Fathers
[2] Britannica
[3] 웹사이트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Adversus Haereses http://www.newadvent[...]
[4] 웹사이트 De praescriptione hereticorum http://www.newadvent[...]
[5] 웹사이트 Kirby, Peter. "St. Polycarp of Smyrna." Early Christian Writings. 2020 http://www.earlychri[...] 2020-01-10
[6] 서적 From the Lost Teaching of Polycarp: Identifying Irenaeus' Apostolic Presbyter and the Author of Ad Diognetum Mohr Siebeck
[7] 서적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https://www.religion[...] Harper and Row
[8] 서적 Polycarp and the New Testament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9] 웹사이트 V.xxxiii http://www.newadvent[...]
[10] 웹사이트 How Polycarp (And Others) Show The Early Use Of The New Testament https://www.thatanci[...]
[11] CE1913
[12] 서적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13] 웹사이트 Liguori, Alphonsus. "St. Polycarp, Bishop of Smyrna", Victories of the Martyrs https://archive.org/[...]
[14] EB1911
[15] 서적 Early Christian Writings Penguin Books
[16] 웹사이트 Polycarp - Martyrdom http://www.polycarp.[...] Polycarp.net
[17] 서적 Primitive Christianity: or the Religion of the Ancient Christians in the First Ages of the Gospel Oxford, London
[18] 서적 Apostolic Fathers. Part II. S. Ignatius. S. Polycarp.
[19] 서적 Apostolic Fathers. Part II. S. Ignatius. S. Polycarp.
[20] 서적 Ursprung und Geschichte der frühchristlichen Osterkalenders Akademie-Verlag
[21] 문서 MartPol 16:2 and Smyr 8:2
[22] 간행물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http://www.ccel.org/[...]
[23] 웹사이트 Eusebius, Church History, Book V, Chapter 24 http://www.ccel.org/[...]
[24] 웹사이트 On the Detection and Overthrow of the So-Called Gnosis|Adversus Haereses http://www.newadvent[...]
[25] 웹사이트 Henry Wace,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http://www.ccel.org/[...]
[26]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The Martyrdom of Polycarp trans. J.B. Lightfoot https://sourcebooks.[...] 2024-02-23
[27] 웹사이트 Polycarp, bishop and martyr - February 23rd http://www.saintsinr[...] 2024-02-23
[28] 서적 Heilige und Namenspatrone im Jahreslauf Pattloch Verlag
[29] 웹사이트 A Relic of Saint Polycarp Returns to Nafpaktos (Update on the 2013 Theft) https://www.johnsani[...] 2024-02-23
[30] 웹사이트 The Calendar https://www.churchof[...] 2021-03-27
[31] 서적 Lutheran Service Book Concordia Publishing House
[32] 서적 The Righteousness of One: An Evaluation of Early Patristic Soteriology in Light of the New Perspective on Paul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3-06-27
[33] 서적 Polycarp's Epistle to the Philippians and the Martyrdom of Polycarp: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University Press 2013-07-25
[34] 서적 From the Lost Teaching of Polycarp: Identifying Irenaeus' Apostolic Presbyter and the Author of Ad Diognetum https://books.google[...] Mohr Siebeck 2006
[35]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the Trinity https://books.google[...] OUP Oxford 2011-10-27
[36] 간행물 A Brief History of Early Premillennialism https://digitalcommo[...]
[37] 서적 Models of Premillennialism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8-08-27
[38] 웹사이트 How Polycarp (And Others) Show The Early Use Of The New Testament https://www.thatanci[...] 2021-11-21
[39] 서적 Polycarp and Paul: An Analysis of Their Literary and Theological Relationship in Light of Polycarp's Use of Biblical and Extra-Biblical Literature https://books.google[...] BRILL 2015-12-22
[40] 서적 Polycarp's Epistle to the Philippians and the Martyrdom of Polycarp: Introduction, Text, and Commentar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2013-07-25
[4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Easter Controversy https://www.newadven[...] 2022-05-06
[42] 웹사이트 The Passover-Easter-Quartodeciman Controversy https://www.gci.org/[...] 2022-05-06
[43] 서적 Introducing Major Theologians: From The Apostolic Fathers To The Twentieth Century https://books.google[...] Inter-Varsity Press 2015-03-20
[44] 서적 The Apostolic Fathers, A New Translation and Commentary, Volume V: Polycarp, Martyrdom of Polycarp, Fragments of Papia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0-06-03
[45] 문서 The Ante-Nicene Fathers, Volume I, page 35.
[46] URL http://mobile.cathol[...]
[47] 저널 Polycarp https://en.wikipedia[...] 2020-03-02
[48] 저널 Polycarp https://en.wikipedia[...] 2020-03-02
[49] 서적 이단 반박 III.3.4
[50] 웹인용 Henry Wace: Dictionary of Christian Biography and Literature to the End of the Sixth Century A.D., with an Account of the Principal Sects and Heresie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0-03-07
[51] 서적 1911 Encyclopædia Britannica/Polycarp https://en.wikisourc[...]
[52] 서적 St. Polycarp My First Book of Saints. Sons of Holy Mary Immaculate - Quality Catholic Publication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