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순우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우경은 후한 말 원소 휘하의 장수로, 188년 서원군 우교위로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동탁 토벌전에 참여했다. 190년대 말 원소의 주요 지휘관으로 활약했으며, 195년 저수의 헌제 옹립 제안을 반대하여 조조에게 기회를 제공했다. 200년 관도대전에서 오소를 지키다 조조의 기습으로 패배하여 참수되었다. 《조만전》에는 순우경이 조조에게 항복했으나 처형당하는 내용이 묘사되어 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무능하고 난폭한 인물로 그려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년 사망 - 저수
    저수는 후한 말 원소 휘하의 모사로, 감군 등의 요직을 역임하며 군사 전략을 담당했으나, 그의 뛰어난 식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아 관도 전투 패배 후 조조에게 항복을 거부하고 처형당했다.
  • 200년 사망 - 문추
    원소 휘하의 용장 문추는 안량과 함께 원소군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관도 대전에서 전사했으며, 삼국지연의에서는 관우에게 죽임을 당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 후한의 장군 - 동탁
    동탁은 후한 말 군벌로, 폭정과 권력 찬탈을 시도했으며, 소제를 폐위하고 헌제를 옹립하여 상국에 올랐으나 여포에게 암살당했으며, 독재와 폭정의 상징으로 평가받는다.
  • 후한의 장군 - 손견
    손견은 후한 말의 군벌이자 오나라의 시조이며 손책과 손권의 아버지로, 황건적의 난 진압 등 공을 세웠고 반동탁 연합군에 참여하여 낙양 함락에 기여했으나, 향양 전투 중 전사했으며, 뛰어난 무력과 리더십으로 인정받는 동시에 과감한 성격으로 비판받기도 하는 인물이다.
  • 원소와 주변 인물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원소와 주변 인물 - 원성
    원성은 후한 시대의 인물로, 4대 삼공을 배출한 명문가 출신이며, 좌중랑장을 지냈고, 강직한 성품과 뛰어난 언변으로 명성이 높았다.
순우경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순우경
본명춘우경
로마자 표기Chunyu Qiong
중간 (仲簡)
생몰년? ~ 200년
관직 정보
관직우교위 (右校尉)
임기 시작?
임기 종료189년
섬긴 군주영제
생애
주요 활동원소 휘하의 장수
사망200년

2. 생애

순우경은 후한 말의 인물로, 영제 때 서원팔교위(西園八校尉) 중 한 명으로 우교위(右校尉)를 지냈다.[13] 영제가 죽은 후 소제를 섬겼으나, 동탁(董卓)의 전횡이 시작되자 원소를 따라 그를 섬겼다.

195년, 저수가 헌제를 영접할 것을 원소에게 제안했으나, 순우경은 곽도와 함께 이에 반대했다.[14] 원소는 순우경의 의견을 따랐고, 이는 조조에게 기회를 주게 되었다.

199년, 곽도는 감군의 권한이 지나치게 크다고 주장했고, 원소는 이를 받아들여 감군을 폐지하고 순우경, 저수, 곽도를 도독(都督)에 임명하여 권한을 나누었다.

200년, 조조는 원소의 중국 북부 지배를 위한 주요 경쟁자가 되었다. 순우경은 곽도와 함께 원소 군대의 3분의 1을 지휘하게 되었고, 같은 해 봄 곽도 및 안량과 함께 백마 전투에 참여했다.

관도 대전의 후반 단계에서 순우경은 1만 명이 넘는 군대를 이끌고 오소(烏巢)에서 곡물 보급을 담당했다. 그러나 조조가 이끄는 기습 공격을 받아 오소는 함락되었고, 순우경은 전투 후 참수되었다.[8] 《조만전》에 따르면, 순우경은 전투 중에 코가 잘렸고, 조조에게 끌려갔다. 조조는 그의 대답에 감명받아 살려주려 했지만, 허유의 촉구로 결국 순우경을 처형했다. 오소의 함락으로 원소의 입지는 무너졌고, 많은 지휘관들이 조조에게 투항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영제 때 서원팔교위(西園八校尉) 중 한 명으로 우교위(右校尉)였다.[13] 영제가 죽은 후에는 소제를 섬겼으나, 동탁(董卓)의 전횡이 시작되자 원소를 따라가 그를 섬겼다.

중평 5년(188년) 8월,[2] 영제가 서원팔교위를 설치했을 때 그 일원으로 임명되었다.[3]

순우경에 관해서는 188년에 그가 원소조조와 함께 새롭게 창설된 서원군의 우교위였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원소와 거의 같은 시기에 수도를 떠나 190년에 동탁 토벌전에 참여했을 수 있다. 190년대 말에 이르러 순우경은 원소의 주요 지휘관이자 가장 신뢰받는 군사 장교 중 한 명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2. 2. 원소 휘하에서의 활동

영제 대에 서원팔교위의 한 사람으로 우교위(右校尉)였다.[13] 영제가 죽은 후에는 소제를 섬겼으나, 동탁의 전횡이 시작되자 원소를 따라가 그를 섬겼다.

195년, 감군(監軍) 저수가 헌제를 영접할 것을 원소에게 주장하였으나 순우경은 곽도와 함께 이에 반대하였으며,[14] 원소 또한 듣지 않았다.

199년, 곽도는 감군의 권한이 지나치게 크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를 옳게 여긴 원소는 감군을 폐지하고 순우경, 저수, 곽도를 도독(都督)에 임명하여 권한을 나누었다. 순우경에 관해서는 188년에 그가 원소조조와 함께 새롭게 창설된 서원군의 우교위였다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는 원소와 거의 같은 시기에 수도를 떠나 190년 동탁 토벌전에 참여했을 수 있다. 190년대 말에 이르러 순우경은 원소의 주요 지휘관이자 가장 신뢰받는 군사 장교 중 한 명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조조가 나중에 제출한 상소문에서 그는 "원소 휘하의 훌륭한 장교"로 언급된다.

저수는 헌제를 자신의 영지로 맞아들여 황실 정부를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제안했다. 그러나 순우경은 그렇게 하면 주요 결정에서 헌제에게 굴복해야 한다는 잘못된 논리를 근거로 이 제안에 반대했다. 원소는 순우경의 말을 따랐고, 이로 인해 조조에게 기회가 주어졌다.

200년, 조조는 원소의 중국 북부 지배를 위한 주요 경쟁자가 되었다. 충돌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순우경은 저수에 반대하여 곽도의 편을 들었고, 조조에 대한 더 공격적인 전략을 요구했다. 그 결과 그는 곽도와 함께 원소 군대의 3분의 1을 지휘하게 되었다. 같은 해 봄, 그는 곽도 및 안량과 함께 조조의 장수 유연이 지키고 있던 백마 전투에 참여했다.

中平五年중국어 8월[2], 영제가 서원팔교위를 설치했을 때, 그 일원으로 임명되었다[3]

興平二年중국어까지는 원소의 부하가 된다. 이 해, 저수가 원소에게 헌제를 맞이하여 그를 받들 것을 진언했지만, 순우경과 곽도가 이에 반대했기 때문에 헌제를 받드는 것은 보류되었다[4]

建安四年중국어, 원소의 막하에서는 조조와의 결전을 권하는 곽도·심배 등과, 이에 반대하는 저수·전풍 등 사이에서 의견이 대립한다. 곽도 등은 또한 저수가 군권을 독점하고 있는 것을 지적하며, 주군의 권한을 침범할 수 있다고 참언했다. 원소는 곽도 등의 의견을 채택하여, 저수가 맡고 있던 감군의 권한을 세 도독으로 분할하여, 저수·곽도와 순우경이 그 직무를 맡았다[5]

2. 3. 관도대전과 오소 전투

건안 5년, 관도대전이 시작되자 순우경은 곽도, 안량과 함께 백마(白馬)에 주둔한 동군태수 유연을 공격하였다. 그러나 조조에 의해 안량과 문추가 전사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였다.[6]

같은 해 10월, 순우경은 군량 수송 임무를 맡아 독장(督將) 수원진, 기독(騎督) 한거자, 여위황, 조예 등과 함께 오소(烏巢)에 주둔하였다. 그러나 방비는 허술하였고, 원소의 모사 허유가 조조에게 이 사실을 밀고하였다.[7] 조조는 조홍에게 주둔을 맡기고, 스스로 5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오소를 야습했다. 당시 잠을 자고 있던 순우경은 기습을 받아 오소를 잃었다. 원소 측에서도 구원을 파견했지만, 조조는 공격을 집중하여 이를 격파하고 식량과 재물을 불태웠으며, 순우경, 수원진, 한거자, 여위황, 조예 등을 살해했다.[8]

삼국지연의》에 따르면, 전투 중에 그의 코가 잘렸고, 조조에게 끌려갔는데, 조조가 그에게 "할 말이 있느냐?"라고 묻자, 순우경은 "하늘이 승자를 결정하니, 당신이 묻는 게 무슨 소용이 있겠소?"라고 대답했다. 조조는 그의 대답에 감명받아 살려주려 했지만, 허유는 조조에게 순우경을 죽이라고 촉구하며, 순우경이 나중에 코를 자른 것에 대해 복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조는 결국 순우경을 처형했다.

오소의 함락으로 원소의 입장은 무너졌고, 고람장합과 같은 많은 지휘관들이 조조에게 투항했다. 순우경이 오소에서 패배한 것은 중국 민간 설화에서 그를 무능한 지휘관으로 만드는 결과를 낳았다. 조조는 조정에 전과를 보고했는데, 그 상언에는 "원소의 대장 순우경 등 8명의 수급을 베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순우경은 전사한 장수들 중에서 유일하게 이름이 언급되었다.

2. 4. 최후

200년, 관도 대전 후반, 순우경은 1만여 명의 군사를 이끌고 원소의 본진에서 북쪽으로 약 40 리 떨어진 오소(烏巢)에서 새로운 곡물 보급품을 받았다. 그러나 이른 새벽, 조조가 직접 이끄는 기습 공격을 받았다. 원소의 기병은 궤멸되었고, 오소는 함락되었으며, 순우경은 전투 후 참수되었다.[8]

《조만전》에 따르면, 순우경은 전투 중 코가 잘렸고, 조조에게 끌려갔다. 조조가 "할 말이 있느냐?"라고 묻자, 순우경은 "하늘이 승자를 결정하니, 당신이 묻는 게 무슨 소용이 있겠소?"라고 대답했다. 조조는 그의 대답에 감명받아 살려주려 했지만, 허유는 조조에게 순우경을 죽이라고 촉구하며, 나중에 코를 자른 것에 대해 복수할 것이라고 말했다. 결국 조조는 순우경을 처형했다.

오소의 함락으로 원소의 입지는 무너졌고, 고람장합 등 많은 지휘관들이 조조에게 투항했다. 순우경의 오소 패배는 중국 민간 설화에서 그를 무능한 지휘관으로 묘사하는 결과를 낳았다.

같은 해 10월, 순우경은 1만여 명의 병사를 이끌고 곡물 수송 임무를 맡아 원소의 본대에서 떨어져 오소에 주둔했다. 이때 저수는 "별동대로 장기를 파견하여 조조의 약탈을 막아야 한다"고 진언했지만, 원소는 따르지 않았다.[6] 한편 원소 휘하의 허유는 조조에게 귀순[7]하여, 원소군의 군량이 고시·오소에 있으며 방비가 허술하다는 것을 밀고하고 기습을 제안했다. 조조는 그 제안을 받아들여 조홍에게 주둔을 맡기고, 스스로 5천 명의 병사를 이끌고 오소를 야습했다. 원소 측에서도 구원을 파견했지만, 조조는 병사들을 독려하여 후방의 적군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순우경에게 공격을 집중했다. 결국 순우경을 격파하고 식량과 재물을 불태웠으며, 순우경을 포함하여 독장의 수원진, 기독의 한거자·여위황·조예 등을 살해했다.[8]

장합·고람의 항복과 함께 원소의 본대도 패주하여 관도 전투는 조조의 대승으로 끝났다. 이후 조조는 조정에 전과를 보고했는데, "원소의 대장 순우경 등 8명의 수급을 베었다"는 내용이 있었으며, 순우경은 전사한 장수 중 유일하게 이름이 언급되었다.

3.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삼국지연의에서 순우경은 무능하고 난폭하며 술을 좋아하는 인물로 묘사된다. 매일 연회를 열어 술을 마시며 임무를 소홀히 했다.[10][11] 항상 술병을 옆에 두고 있는 것으로 그려진다.

관도 전투에서 원소는 순우경에게 중요한 보급 기지인 오소의 감독을 맡겼다. 그러나 허유의 조언을 듣고 조조가 보급 기지를 급습했을 때, 순우경은 술에 취해 제대로 방어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조조는 보급 기지를 불태우는 데 성공했다.

조조는 순우경의 귀, 코, 손가락을 잘라[10] 말에 실어 원소에게 보냈고, 살아남은 병사로부터 상황을 전해 들은 원소는 격노하여 순우경을 참수했다.[11]

나관중의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제3회에서 하진 암살 후, 민공에 의해 보호받은 소제와 진류왕(후의 헌제)을 왕윤 등과 함께 맞이하는 장면에서 처음 이름이 등장한다.[9]

참조

[1] 서적 後漢書 s:zh:後漢書/卷74上
[2] 서적 後漢書 s:zh:後漢書/卷8
[3] 서적 後漢書 s:zh:後漢書/卷69#何進
[4] 서적 資治通鑑 s:zh:資治通鑑/卷061#興平二年([...]
[5] 서적 資治通鑑 s:zh:資治通鑑/卷063
[6] 서적 三国志
[7] 서적 三国志 s:zh:三國志/卷12#孔融
[8] 서적 曹瞞伝
[9] 서적 三國演義 s:zh:三國演義/第003回
[10] 문서
[11] 서적 三國演義 s:zh:三國演義/第030回
[12] 서적 조만전(曹瞞傳)
[13] 서적 산양공재기(山陽公載記)
[14] 서적 삼국지(三國志
[15] 서적 조만전(曹瞞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