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램제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크램제트는 공기를 흡입하여 연료와 함께 연소시켜 추력을 얻는 제트 엔진의 일종으로, 극초음속 비행에 사용된다. 램제트 엔진과 유사하게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압축하며, 로켓보다 산화제 탑재가 필요 없어 유리하다. 스크램제트는 마하 5~7에서 궤도 속도의 절반과 궤도 속도 사이의 속도에서 작동하며, 이론적으로는 마하 12에서 24 사이의 속도까지 가능하다. 하지만, 초음속 연소의 기술적 어려움, 고온을 견디는 재료 및 냉각 기술의 필요성, 지상 테스트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아직 실용화되지 못했다. 최근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러시아의 극초음속 미사일인 3M22 치르콘에 사용되었으나, 실제 엔진은 램제트 엔진으로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트 엔진 - 펄스제트
펄스제트는 스웨덴에서 고안된 엔진으로, 셔터를 사용해 연소 가스를 분사하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V-1 미사일에 사용되었고, 최근에는 드론용 엔진으로 개발되기도 한다. - 제트 엔진 - 터보팬
터보팬은 바이패스비를 활용해 연료 효율을 높인 항공기 엔진으로, 바이패스비에 따라 민간 여객기에 쓰이는 고바이패스 터보팬과 전투기에 쓰이는 저바이패스 터보팬으로 나뉘며, 터보제트 엔진의 단점을 개선하여 제트 엔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항공기 엔진 - 성형 엔진
성형 엔진은 실린더가 크랭크축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된 내연 기관으로, 4행정 사이클 기반 작동, 짧은 크랭크축, 공랭식 냉각, 다기통화 등의 특징을 가지며, 과거 항공기 및 전차 엔진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 항공기 엔진 - 터보팬
터보팬은 바이패스비를 활용해 연료 효율을 높인 항공기 엔진으로, 바이패스비에 따라 민간 여객기에 쓰이는 고바이패스 터보팬과 전투기에 쓰이는 저바이패스 터보팬으로 나뉘며, 터보제트 엔진의 단점을 개선하여 제트 엔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 신기술 - 탄소 나노튜브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나노미터 크기의 튜브로, 뛰어난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며, 단일벽과 다중벽으로 구분되고, 아크 방전 등의 방법으로 합성된다. - 신기술 - 라이다
라이다는 레이저를 사용하여 물체의 거리와 3차원 형상 정보를 측정하는 기술로, 코라이더 시스템에서 유래되어 자율주행차, 지형 측량, 대기 관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레이저 빔을 발사하고 반사된 빛의 비행시간을 측정하여 거리를 계산하는 원리를 사용한다.
| 스크램제트 | |
|---|---|
| 개요 | |
![]() | |
| 종류 | 제트 엔진 |
| 개발 | 1950년대 후반 |
| 사용 분야 | 극초음속 항공기, 미사일, 우주 발사체 |
| 작동 원리 | |
| 특징 | 흡입된 공기가 초음속으로 연소실을 통과 |
| 연소 | 초음속 연소 |
| 효율 | 높은 속도에서 효율적 |
| 역사 | |
| 최초 개념 | 1950년대 후반 |
| 초기 연구 | NASA와 미국 공군 |
| 실용화 시도 | X-43A 실험기 |
| 기술적 특징 | |
| 공기 흡입구 | 초음속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는 설계 필요 |
| 연소실 | 초음속 흐름에서의 안정적인 연소 유지 |
| 노즐 | 추력 극대화를 위한 최적화 |
| 장점 및 단점 | |
| 장점 | 높은 속도에서 효율적인 추진 구조적 단순성 |
| 단점 | 낮은 속도에서 작동 불가 기술적 복잡성 높은 개발 비용 |
| 적용 사례 | |
| 항공기 | X-43A HTV-2 |
| 미사일 | 극초음속 미사일 개발에 활용 |
| 우주 발사체 | 2단계 궤도 진입 시스템 |
| 관련 기술 | |
| 극초음속 비행 | 스크램제트 엔진은 극초음속 비행의 핵심 기술 |
| 공기역학 | 초음속 공기역학적 설계 필수 |
| 재료 과학 | 고온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재료 필요 |
2. 구성
스크램제트 엔진은 램젯 엔진과 유사하게 공기 흡입구, 연소실, 노즐로 구성된다. 그러나 스크램제트 엔진은 하나의 긴 관과 같은 단순한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따라 단면적만 달라질 뿐이다.
스크램제트는 추력 발생을 위해 연료와 산화제의 연소에 의존한다. 기존 제트 엔진과 마찬가지로, 스크램제트 추진 항공기는 연료를 탑재하고 대기 중의 산소를 흡입하여 산화제를 얻는다. (로켓은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탑재한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스크램제트는 대기 중 산소 함량이 연소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아음속 대기 추진에 국한된다.
스크램제트는 세 가지 기본 구성 요소로 구성된다.
터보제트나 터보팬 엔진과 달리, 스크램제트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회전하는 팬과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대기 중을 이동하는 항공기의 속도가 입구 내에서 공기를 압축시킨다.[34] 따라서 스크램제트에는 가동 부품이 필요하지 않다. 반면, 일반적인 터보제트 엔진은 여러 단계의 회전하는 축류 압축기 회전날개와 여러 회전하는 터빈 단계를 필요로 하며, 이는 엔진에 무게, 복잡성 및 더 많은 고장 지점을 추가한다.
스크램제트는 극초음속 속도에 가깝게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기계식 압축기가 없기 때문에, 스크램제트는 작동 조건으로 들어오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극초음속 흐름의 높은 운동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스크램제트 동력 차량은 터보제트 또는 로켓 엔진과 같은 다른 추진 수단에 의해 필요한 속도(일반적으로 마하 4 정도)로 가속되어야 한다.
스크램제트는 터보제트 엔진의 범위를 넘어 극초음속 비행 영역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램제트와 함께 터보제트의 높은 효율성과 로켓 엔진의 고속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터보 기계 기반 엔진은 아음속 속도에서 매우 효율적이지만, 터보제트 엔진에서 발견되는 압축기 회전날개는 작동하기 위해 아음속 속도를 필요로 하므로 천음속 속도에서 점차 비효율적이 된다.
램제트는 공기의 고속 특성을 이용하여 입구 디퓨저를 통해 연소기로 공기를 '램'한다. 천음속 및 초음속 비행 속도에서 입구 상류의 공기는 디퓨저 내에서 압축된 후 연소기로 확산된다. 램제트의 연소는 터보제트와 유사하게 아음속 속도에서 발생하지만, 연소 생성물은 초음속 속도로 수렴-발산 노즐을 통해 가속된다. 기계적인 압축 수단이 없기 때문에 램제트는 정지 상태에서 시작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초음속 비행까지 충분한 압축을 달성하지 못한다.
초음속연소를 수행하는 램제트 엔진은 동압으로 압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광의의 램제트 엔진에 포함된다. 램제트 엔진에서는 흡입 공기를 아음속까지 감속시킨 후에 연소시켜 출력을 얻는다. 그러나 마하 5를 넘는 속도로 비행할 때, 흡입한 공기를 아음속까지 감속시키면 전압 손실이 너무 커지므로, 초음속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인테이크에서 흡입된 초음속의 공기를 초음속 상태로 연소시키는 것이 스크램제트 엔진이다. 흡입에서 연소, 배기까지 작동 유체가 음속 이하로 감속되는 일이 없으므로, 마하 5부터 이론상의 상한인 마하 15까지의 넓은 마하 수 영역에서 높은 엔진 효율이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료에는 수소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연소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 더해, 등유 등의 탄화수소계 연료는 온도가 높아지면 점성이 변화하므로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데 반해, 액체 수소라면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소 전의 저온 액체 수소를 벽면 내에 순환시킴으로써 고온 벽면의 냉각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액체 수소의 유지를 위해서는 고비용의 냉각 시스템을 기체에 탑재해야 한다.
버지니아 대학교의 초음속 풍동은 1980년대 말에 항공우주연구소(ARL) 내에 건설되었다. 1989년에 ARL은 순수한 연구 기관으로 승인되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마하 25로 비행하는 X-30으로 알려진 내셔널 에어로 스페이스 플레인(NASP)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풍동이 건설되었다.
이 풍동은 공기를 연소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풍동 내에서의 연소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풍동은 무기한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어, 장시간에 걸친 스크램제트의 시험이 가능하다.
실험기는 풍동 내의 DMSJ 연소기의 상태를 재현하도록 설계되며, 공기와 수소의 유량은 다음과 같다.
| 구분 | 전압 | 온도 | 정압 | 마하 수 |
|---|---|---|---|---|
| 공기 유량 | 330 kPa | 1200 K | 40 kPa | 2 |
| 수소 유량 | 1 MPa | 300 K | 200 kPa | 1.7 |
스크램제트 엔진은 초음속 연소를 통해 높은 추력을 얻는 엔진이다. 공기가 흡입구에서 충격파를 형성할 때 압력 손실이 발생하는데, 이는 엔진 추력 감소로 이어진다. 램젯 엔진은 공기를 아음속으로 감속시켜 연소시키기 때문에 속도에 제한이 있지만, 스크램제트 엔진은 공기를 초음속으로 유지하여 연소시키므로 더 빠른 속도에서도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이론적으로 마하 15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45]
3. 특징
스크램제트는 산소를 외부에서 흡입하여 사용하고, 회전 부품이 없어 터보제트보다 제조가 용이하다. 또한, 로켓 엔진보다 높은 비추력(추진제 단위당 운동량 변화)을 가지며, 더 빠른 속도는 미래 우주 접근 비용을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5]
하지만 스크램제트는 극초음속으로 대기 중을 비행하므로 열 제어가 어렵고,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여 복잡성과 무게가 증가한다. 또한, 테스트 및 개발이 어렵고 비싸며, 매우 높은 초기 추진 속도가 필요하다는 단점도 있다.
발사 시스템의 성능은 무게에 크게 의존하며, 엔진 효율성, 복잡성, 탑재량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스크램제트는 엔진 무게를 증가시키고 연료 무게를 감소시키지만, 탑재량 증가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새로운 구성의 항력, 엔진 설치 항력 등도 고려해야 한다.
엔진 효율은 비추력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스크램제트의 비추력은 속도에 따라 변한다. 로켓 엔진의 비추력은 속도와 무관하며 200~600초 사이인 반면, 스크램제트의 비추력은 더 빠른 속도에서 감소하며 약 1200초에서 시작한다.
스크램제트는 마하 5 정도의 고속에서 효율적인 추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저속에서는 램제트 역할을 할 수 있다. 수평 이륙을 위해서는 터보팬, 터보제트, 로켓 엔진 등 추가적인 추진 시스템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연료, 구조, 제어 시스템도 필요하다. 많은 제안에서는 고체 로켓 부스터를 사용하여 설계를 단순화하기도 한다.
스크램제트 설계를 테스트하려면 극초음속 테스트 챔버나 발사 차량이 필요하며, 이는 높은 비용으로 이어진다. 지상 테스트 시설과 달리 스크램제트 테스트는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스크램제트는 초음속연소를 수행하는 램제트 엔진의 일종으로, 흡입, 연소, 배기 과정에서 작동 유체가 음속 이하로 감속되지 않아 넓은 마하 수 영역에서 높은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압축기나 터빈 없이 압축 공정을 실현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56]
스크램제트는 작동 시작 속도까지 로켓 엔진 등 다른 동력으로 가속해야 하며, 대기 중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므로 로켓보다 효율이 우수하다.[56]
초음속 기류 내 연소 유지, 고온 문제, 실험의 어려움 등 기술적 난제가 많다. 연료로는 수소가 주로 사용되며, 고온 벽면 냉각을 위해 연소 전 저온 액체 수소를 순환시키기도 한다. 하지만 액체 수소 유지를 위해 고비용 냉각 시스템이 필요하며, 특수 점화기도 연구되고 있다.[56]
엔진 내부는 2,600K(2,326.85℃)에 달할 수 있어[56], 새로운 내열 소재 및 효율적인 냉각법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실용화되더라도 당분간 군용 미사일에 채용될 가능성은 낮다.
3. 1. 터보젯 및 터보팬과의 비교
스크램젯은 터보젯 및 터보팬과 비교하면, 공기를 압축시키는 데 압축기와 같은 회전하는 구성품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으며, 이러한 점은 램젯과 동일하다. 램젯과 스크램젯은 모두 공기를 압축시키는 데 충격파를 사용한다.
3. 2. 로켓과의 비교
로켓은 비행체 내부에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저장하고 있어 공기가 희박하거나 없는 우주 공간에서도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면 스크램제트, 램젯, 가스터빈 엔진은 산화제를 따로 저장하지 않고 대기 중의 산소를 사용하므로 공기가 없는 곳에서는 작동할 수 없다.
3. 3. 램젯과의 비교
스크램젯은 램젯과 마찬가지로 터보젯, 터보팬과 달리 압축기 같은 회전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충격파를 이용해 공기를 압축한다.[56]
램젯은 흡입구 내에서 경사충격파와 수직충격파를 통해 공기를 아음속으로 감속시켜 연소실로 유입시킨다. 반면 스크램젯은 경사충격파만을 이용해 공기를 초음속으로 유지한 채 연소실로 보낸다. 즉, 스크램젯은 초음속연소(Supersonic combustion)를 하는 램젯 엔진의 일종으로, 동압을 이용해 압축한다는 점에서 광의의 램젯에 포함된다.[56]
램젯 엔진은 흡입된 공기를 아음속으로 감속 후 연소시켜 출력을 얻는데, 마하 5 이상의 속도에서는 아음속 감속 시 전압 손실이 커져 초음속 유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크램젯 엔진은 인테이크에서 흡입한 초음속 공기를 초음속 상태로 연소시킨다. 흡입, 연소, 배기 과정에서 작동 유체가 음속 이하로 느려지지 않아 마하 5에서 이론상 마하 15까지 넓은 범위에서 높은 엔진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56]
3. 4. 장점
초음속 연소(Supersonic combustion)를 수행하는 램제트 엔진은 흡입되는 공기를 엔진 내부에서 음속 이하로 감속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램젯 엔진보다 더 빠른 비행 속도에서도 흡입구의 압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초음속 연료 엔진을 장착한 비행체는 이론적으로 최대 마하 15 이상의 속도를 낼 수 있다.[56]
스크램제트 엔진은 작동 유체가 음속 이하로 감속되는 일이 없으므로, 마하 5부터 이론상 상한인 마하 15까지 넓은 마하 수 영역에서 높은 엔진 효율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압축기나 터빈 같은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 공정을 실현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진다.[56]
스크램제트는 흡입한 대기 중의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므로,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탑재해야 하는 로켓보다 비추력이 높아 효율이 우수하다.[56]
3. 5. 기술적 어려움
스크램제트 엔진의 핵심 기술은 연소실에서 유동이 초음속으로 유지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일반적인 연료는 아음속 이상에서 연소를 유지하지 못하므로, 초음속 유동에서 연료를 점화하고 연소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45]
스크램제트 엔진은 매우 빠른 비행 속도를 목표로 하기 때문에, 엔진 표면은 공기와의 마찰에 의한 공력가열로 인해 온도가 매우 높아진다. 엔진 내부에서도 흡입구 내에서 공기가 충격파를 형성하여 온도가 상승하고, 연료 연소로 인해 연소실 내부 및 하류 온도는 더욱 상승한다. 따라서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재료를 사용하고, 재료를 냉각하는 문제가 중요한 기술적 과제이다.
새로운 재료는 고온에서 우수한 단열을 제공하지만, 그 과정에서 자기 소멸되기도 한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차량 스킨 전체를 순환하는 냉각수가 붕괴를 방지하는 "능동 냉각"을 계획하는 경우가 많다. 냉각수는 연료 자체를 사용하기도 하며, 이는 현대 로켓이 엔진 냉각에 연료와 산화제를 사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냉각 시스템은 발사 시스템에 무게와 복잡성을 더하지만, 엔진에 들어가기 전에 연료에 열을 추가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복잡성과 무게 증가로 이어져 성능 향상을 상쇄할 수 있다.
스크램제트 설계를 테스트하려면 극도로 비싼 극초음속 테스트 챔버나 비싼 발사 차량이 필요하며, 이는 높은 계측 비용으로 이어진다. 발사된 테스트 차량을 사용한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테스트 항목과 계측 장치의 파괴로 끝난다. 지상에서 테스트할 수 있는 제트 또는 로켓 추진 시스템 시설과 달리, 스크램제트 테스트는 매우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든다.
초음속 기류 내에서 연소를 유지해야 하므로 기술적 난이도가 높다. 엔진 내에서 연소가 완료되지 않거나, 통상적인 연소와는 다른 의도하지 않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등 기술적 요구가 높다. 스크램제트 엔진 연구에는 고온 충격 풍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이 설비에서 얻을 수 있는 시험 시간은 수십 밀리초에 불과하다. 진공조를 사용한 극초음속 풍동은 수십 초 정도의 연소 실험이 가능하지만, 대규모 시설이며 실험 비용이 매우 높다.
실제로는 고 엔탈피 유동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가스 가열로 인해 시험 유동의 조성이 공기로부터 크게 변화하여, 연소 반응이나 유체의 거동이 실제와 크게 달라진다. 따라서 실험을 통해 비행 상황을 재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연료로는 수소가 주로 사용되는데, 연소 속도가 빠르고, 등유 등 탄화수소계 연료와 달리 고온에서 점성이 변하지 않아 공급이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소 전 저온 액체 수소를 벽면 내에 순환시켜 고온 벽면을 냉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액체 수소 유지를 위해서는 고비용의 냉각 시스템을 기체에 탑재해야 한다.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특수한 플라즈마 토치를 점화기로 사용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엔진 내부는 2,600K (2,326.85℃)에 달할 가능성이 있어[56], 새로운 내열 소재 및 효율적인 냉각법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운용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실용화되더라도 당분간 군용 미사일에 채용될 가능성은 낮다.
버지니아 대학교의 초음속 풍동은 1980년대 말 미국 항공우주연구소(ARL) 내에 건설되었다. 이 풍동은 공기를 전기적으로 가열하여 풍동 내 연소가 불필요하며, 무기한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어 장시간 스크램제트 시험이 가능하다.
4. 역사
재사용 유인 우주 왕복선의 대기권 내 항행용 엔진으로 스크램제트 엔진의 이용이 고려되고 있다. NASA의 X-15 시대부터 이미 스크램제트 엔진용 소재 연구 실험이 시작되었다.
X-43A 실험기는 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 NB-52B에서 투하된 후 페가수스 로켓에 의해 마하 4.5까지 가속된 다음, 로켓과 분리되어 X-43A에 탑재된 스크램제트 엔진을 10초 동안 작동시켰다. 2004년 11월 16일에는 마하 10에 육박하는 마하 9.68이라는 제트 엔진 비행 속도 기록을 세웠다.[57]
2013년 9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의 퀸즐랜드 대학교는 2단 로켓에 스크램제트를 장착한 Scramspace영어를 발사했지만, 로켓이 실험 시작에 필요한 고도인 340km에 도달하지 못해 실패했다. 스크램제트에 점화하면 마하 8까지 가속할 계획이었다.[57]
일본에서도 스크램제트 엔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58][59] Hy-V 계획은 관측 로켓에 스크램제트를 탑재하여 마하 5로 비행 실험을 하는 것이 목표이다.
4. 1. 2000년대 이전
1947년 벨 X-1이 초음속 비행을 달성했고, 1960년대 초에는 더 빠른 항공기에 대한 발전이 빠르게 이루어져 몇 년 안에 "극초음속" 속도로 비행하는 항공기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다. 노스 아메리칸 X-15와 다른 로켓 추진 우주선과 같은 특수 로켓 연구 차량을 제외하고, 항공기의 최고 속도는 대개 마하 1에서 마하 3 범위에서 유지되었다.1950년대부터 1960년대 중반까지 미국의 항공우주기 프로그램 동안 알렉산더 카르트벨리와 안토니오 페리는 스크램제트 접근 방식을 지지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는 미국과 영국에서 다양한 실험용 스크램제트 엔진이 제작되어 지상 테스트를 거쳤다. 안토니오 페리는 1964년 11월에 순 추력을 생산하는 스크램제트를 성공적으로 시연했으며, 결국 약 234.51kg ()을 생산하여 목표의 약 80%에 도달했다. 1958년에는 초음속 연소 램제트의 장단점에 대한 분석 논문이 발표되었다.[4] 1964년, 프레데릭 S. 빌리와 고든 L. 더거는 빌리의 박사 학위 논문을 기반으로 한 초음속 연소 램제트에 대한 특허를 신청했다. 이 특허는 기밀 유지 명령이 해제된 후 1981년에 발급되었다.[5]
1981년, 호주에서 ANU의 T3 지상 시험 시설에서 레이 스토커 교수의 지도로 시험이 이루어졌다.[6]
스크램제트의 첫 번째 성공적인 비행 시험은 1991년 소련 상공에서 NASA와의 공동 노력으로 수행되었다. 이는 1970년대 후반 모스크바의 중앙 항공기 엔진 연구소(CIAM)에서 개발한 축대칭 수소 연료 이중 모드 스크램제트였으며, 마하 6.8의 초기 비행 매개변수를 달성하기 위해 개조된 SM-6 미사일에 FeCrAl 합금을 사용하여 현대화되었고, 이후 스크램제트는 마하 5.5에서 비행했다. 스크램제트 비행은 "극초음속 비행 실험실"(HFL), "콜로드"라고 알려진 실험적인 비행 지원 장치를 포함하는 SA-5 지대공 미사일 위에 캡티브 캐리로 비행했다.[7]
이후 1992년부터 1998년까지 CIAM은 프랑스 및 NASA와 함께 축대칭 고속 스크램제트 데몬스트레이터의 추가 비행 시험 6회를 수행했다.[8][9] 마하 6.4보다 큰 최대 비행 속도가 달성되었고 77초 동안의 스크램제트 작동이 시연되었다. 이 비행 시험 시리즈는 자율적인 극초음속 비행 제어에 대한 통찰력도 제공했다.
4. 2. 2000년대
2000년대에는 극초음속 기술, 특히 스크램제트 엔진 개발이 크게 발전했다.
- 2002년 7월 30일, 하이샷(HyShot) 프로젝트는 스크램제트 연소를 성공적으로 시연했다. 그러나 이 엔진은 실제로 기체를 추진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었고, 기술 시연을 위한 것이었다.[10]
- 영국의 방위 산업체인 큐네틱(Qinetiq)과 퀸즐랜드 대학교의 영국-호주 공동 연구팀은 대기 중에서 스크램제트 작동을 시연한 최초의 그룹이었다.[11]
- 2004년, NASA의 하이퍼-X(Hyper-X) 프로젝트는 X-43A를 이용하여 공기역학적 조종면을 갖춘, 추력을 생성하는 스크램제트 동력 비행체의 첫 비행을 성공시켰다.[12][13] 세 번의 X-43A 스크램제트 시험 비행 중 마지막에는 잠시 동안 마하 9.6을 달성했다.[14]
- 2007년 6월 15일, 미국 국방 고등 연구 계획국(DARPA)은 호주 국방 과학 기술 기구(DSTO)와 협력하여 로켓 엔진으로 시험 비행체를 극초음속으로 가속, 마하 10에서 스크램제트 비행을 성공시켰다고 발표했다.[15][16]
- NASA 랭글리 연구 센터의 랭글리 아크 가열 스크램제트 시험 시설(AHSTF)에서는 시뮬레이션된 마하 8 비행 조건에서 일련의 스크램제트 지상 시험이 완료되었다. 이 실험은 HIFiRE 비행 2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7]
- 2009년 5월 22일, 우메라(Woomera)에서는 HIFiRE(Hypersonic International Flight Research Experimentation, 극초음속 국제 비행 연구 실험)의 일환으로 극초음속 항공기의 첫 시험 비행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다. 이것은 계획된 10번의 시험 비행 중 하나였다. 이 비행은 국방 과학 기술 기구와 미 공군 간의 공동 연구 프로그램의 일부였다.[18] HIFiRE는 극초음속 기술과 스크램제트 동력 우주 발사체에의 적용을 연구하고 있으며, 보잉 X-51 스크램제트 시연을 지원하는 동시에 빠른 우주 발사 개발 및 극초음속 "신속 타격" 무기를 위한 비행 시험 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8]
- X-43A 실험기는 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 NB-52B에서 투하된 후 페가수스 로켓에 의해 마하 4.5까지 가속된 다음, 로켓과 분리되어 X-43A에 탑재된 스크램제트 엔진을 10초 동안 작동시킨다. 2004년 11월 16일에는 마하 9.68이라는 제트 엔진 비행 속도 기록을 세웠다.
- 2013년 9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 퀸즐랜드 대학교는 2단 로켓에 스크램제트를 장착한 Scramspace영어를 발사했지만, 로켓이 실험 시작에 필요한 고도인 340km에 도달하지 못해 실패했다. 스크램제트에 점화하면 마하 8까지 가속할 계획이었다.[57]
- Hy-V 계획은 관측 로켓에 스크램제트를 탑재하여 마하 5로 비행 실험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9년에 발사될 예정이었으며, 듀얼 모드 스크램제트(DMSJ)의 첫 번째 천이 비행이 될 예정이었다. 또한, 처음으로 스크램제트 실험기를 계획적으로 회수할 예정이었다. 듀얼 모드 스크램제트는 아음속 또는 초음속 중 하나 또는 두 모드 모두에서 연소하며, 실험기는 모드가 천이하면서 마하 5까지 도달한다.
- 이 계획에는 버지니아 대학교,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Old Dominion University|올드 도미니언 대학교영어, Hampton University|햄프턴 대학교영어, 윌리엄 앤 메리 대학교의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http://www.vsgc.odu.edu/ 버지니아 우주 보조금 컨소시엄]의 멤버도 참여한다. 항공 우주 산업, NASA, 미국 국방부가 이 계획을 주도한다.
4. 3. 2010년대
2010년 3월 22일과 23일, 호주와 미국의 국방 과학자들은 극초음속 로켓(HIFiRE) 시험에 성공했다. 이 로켓은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우메라 시험장에서 발사되어 마하 4 이상의 속도에 도달했다.[19][20]2010년 5월 27일,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미국 공군은 X-51A 웨이버라이더를 약 200초 동안 마하 5로 비행시켜 극초음속 비행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21] X-51A는 B-52에서 발사되어 로켓 부스터로 마하 4.5까지 가속된 후, 프랫 & 휘트니 로켓다인 스크램제트 엔진을 점화하여 약 21336.00m 고도에서 마하 5에 도달했다.[22] 그러나 2011년 6월 13일 두 번째 비행에서는 엔진이 JP-7 연료로 전환하지 못해 조기 종료되었다.[23]
2010년 11월 16일, 호주 국방사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과학자들은 레이저를 이용해 스크램제트 엔진을 점화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24]
2012년 8월 15일, X-51A 웨이버라이더 추가 시험이 실패했다. 비행 시작 15초 만에 기체가 제어력을 잃고 파괴되었으며, 원인은 제어 핀 결함으로 밝혀졌다.[25]
2013년 5월, X-51A 웨이버라이더는 스크램제트 엔진으로 3분간 비행하며 4828km/h (마하 3.9)에 도달했다. B-52 폭격기에서 약 15240.00m 고도에서 투하된 후 로켓 부스터로 마하 4.8까지 가속된 후 스크램제트 엔진이 작동했다.[26]
2016년 8월 28일, 인도 우주 연구 기구(ISRO)는 스크램제트 엔진 시험에 성공했다. 첨단 기술 차량(ATV) 로켓의 두 번째 단에 쌍둥이 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 고도 20km에서 마하 6의 속도에서 약 5초 동안 엔진을 점화했다.[27][28]
2019년 6월 12일, 인도는 극초음속 기술 시연 차량의 첫 비행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 시험은 국방 연구 개발 기구에서 수행했으며, 극초음속 순항 미사일 시스템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29][30]
4. 4. 2020년대
2021년 9월 27일,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극초음속 공기흡입 무기 개념(Hypersonic Air-breathing Weapon Concept) 스크램제트 순항 미사일의 성공적인 비행을 발표했다.[3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인 2022년 3월 중순에 또 다른 성공적인 시험이 실시되었다. 러시아와의 긴장 고조를 피하기 위해 세부 사항은 비밀에 부쳐졌으며, 4월 초에 익명의 국방부(The Pentagon) 관계자에 의해 공개되었다.[32][33]재사용 유인 우주 왕복선의 대기권 내 항행용 엔진으로 스크램제트 엔진의 이용이 고려되고 있다. NASA의 X-15 시대부터 이미 스크램제트 엔진용 소재 연구 실험이 시작되었다.
X-43A 실험기는 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있다. NB-52B에서 투하된 후, 공중 발사 로켓인 페가수스에 의해 마하 4.5까지 가속된 다음, 로켓과 분리 후 X-43A에 탑재된 스크램제트 엔진을 10초 동안 작동시킨다. 2004년 11월 16일에는 마하 10에 육박하는 마하 9.68이라는 제트 엔진에 의한 비행 속도 기록을 세웠다.
2013년 9월 19일, 오스트레일리아의 퀸즐랜드 대학교는 2단 로켓 위에 스크램제트를 장착한 Scramspace영어를 탑재하여 발사했지만, 로켓이 실험 시작에 필요한 고도 340km에 도달하지 못해 실험에 실패했다. 스크램제트에 점화하면 마하 8까지 가속할 계획이었다.[57]
일본에서도 스크램제트 엔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58][59]
5. 설계 원리
스크램제트 엔진은 추력을 얻기 위해 연료와 산화제의 연소 반응을 이용하는 제트 엔진의 한 종류이다. 일반적인 제트 엔진과 달리, 스크램제트는 대기 중의 산소를 흡입하여 산화제로 사용한다.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싣는 로켓과는 다르다.) 이러한 방식 때문에 스크램제트는 대기 중 산소 함량이 연소를 유지하기에 충분한 환경, 즉 아음속 대기 추진에 국한된다.
스크램제트는 세 가지 주요 부분으로 구성된다.
터보제트나 터보팬 엔진과 같은 일반적인 제트 엔진은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회전하는 팬과 같은 부품을 사용하지만, 스크램제트는 대기 중을 이동하는 항공기의 속도를 이용하여 입구 내에서 공기를 압축한다.[34] 따라서 스크램제트에는 가동 부품이 필요 없다. 반면, 일반적인 터보제트 엔진은 여러 단계의 회전하는 축류 압축기 회전날개와 터빈을 필요로 하며, 이는 엔진의 무게와 복잡성을 증가시키고 고장 가능성을 높인다.
설계 특성상 스크램제트 작동은 극초음속 속도에 가깝게 제한된다. 스크램제트는 기계식 압축기가 없기 때문에, 작동 조건으로 들어오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해 극초음속 흐름의 높은 운동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스크램제트 엔진을 사용하는 비행체는 터보제트나 로켓 엔진과 같은 다른 추진 수단에 의해 필요한 속도 (일반적으로 마하 4 정도)까지 가속되어야 한다. 실험용 스크램제트 동력 보잉 X-51A의 비행에서, 시험기는 분리 가능한 로켓에 의해 마하 4.5 근처까지 가속되기 전에 보잉 B-52 Stratofortress에 의해 비행 고도로 들어 올려졌다.[35] 2013년 5월에는 마하 5.1의 속도를 달성했다.[36]
스크램제트는 개념적으로는 단순하지만, 실제로 구현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기술적 문제들이 많다. 대기 중에서의 극초음속 비행은 엄청난 항력을 발생시키며, 항공기 및 엔진 내부 온도는 주변 공기보다 훨씬 높을 수 있다. 초음속 흐름에서 연소를 유지하는 것은 연료가 밀리초 이내에 주입, 혼합, 점화 및 연소되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렵다. 스크램제트 기술은 1950년대부터 개발되어 왔지만, 최근에야 성공적으로 동력 비행을 달성했다.
스크램제트는 터보제트 엔진의 범위를 넘어 극초음속 비행 영역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램제트와 함께 터보제트의 높은 효율성과 로켓 엔진의 고속 사이의 간극을 메운다. 터보 기계 기반 엔진은 아음속 속도에서 매우 효율적이지만, 터보제트 엔진에서 발견되는 압축기 회전날개는 작동하기 위해 아음속 속도를 필요로 하므로 천음속 속도에서 점차 비효율적이 된다. 천음속에서 낮은 초음속 속도로의 흐름은 이러한 조건으로 감속될 수 있지만, 초음속 속도에서 그렇게 하면 엄청난 온도 증가와 흐름의 총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마하 3–4 정도에서 터보 기계는 더 이상 유용하지 않으며, 램 방식 압축이 선호되는 방법이 된다.
램제트는 공기의 고속 특성을 이용하여 입구 디퓨저를 통해 연소기로 공기를 '램'한다. 천음속 및 초음속 비행 속도에서 입구 상류의 공기는 충분히 빨리 이동할 수 없어 디퓨저 내에서 압축된 후 연소기로 확산된다. 램제트의 연소는 터보제트와 유사하게 아음속 속도에서 발생하지만, 연소 생성물은 초음속 속도로 수렴-발산 노즐을 통해 가속된다. 기계적인 압축 수단이 없기 때문에 램제트는 정지 상태에서 시작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 초음속 비행까지 충분한 압축을 달성하지 못한다. 복잡한 터보 기계가 없기 때문에 램제트는 초음속 흐름을 아음속 속도로 감속시키는 것과 관련된 온도 상승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디퓨저 후 흐름의 내부 에너지가 빠르게 증가하여 연료 연소로 인한 상대적인 에너지 추가가 낮아져 엔진 효율이 감소한다. 이는 램제트가 더 높은 속도에서 생성하는 추력 감소로 이어진다.
따라서 매우 높은 속도에서 추력을 생성하려면 들어오는 공기 흐름의 압력과 온도의 상승을 엄격하게 제어해야 한다. 특히, 이는 공기 흐름을 아음속 속도로 감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는 것은 상당한 기술적 과제를 제시하며, 연소 속도를 면밀히 관리하는 동시에 연소실 내의 내부 에너지의 상대적 증가를 최대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으로 더욱 복잡해진다. 결과적으로 현재의 스크램제트 기술은 지속적인 작동을 유지하기 위해 고에너지 연료와 능동 냉각 방식을 사용해야 하며, 종종 수소와 재생 냉각 기술을 사용한다.
초음속연소(Supersonic combustion)를 수행하는 램제트 엔진을 스크램제트라고 부른다. 동압으로 압축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넓은 의미의 램제트 엔진에 포함된다. 내연 기관(제트 엔진 포함)은 흡입한 공기를 압축하여 가열하고 연료를 연소시킴으로써 엔진을 구동하는 출력을 얻는다. 램제트 엔진의 경우, 엔진의 인렛부에서 고속 항행에 따른 램압에 의해 흡입 공기를 압축하므로 동작 영역은 초음속 영역에 한정되며, 마하 3에서 5 사이가 가장 효율적이라고 여겨진다. 램제트 엔진에서는 흡입 공기를 아음속까지 감속시킨 후에 연소시켜 출력을 얻고 있다. 그러나 마하 5를 넘는 속도로 비행할 때, 흡입한 공기를 아음속까지 감속시키면 전압 손실이 너무 커지므로, 초음속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생긴다. 그래서, 인테이크에서 흡입된 초음속의 공기를 초음속 상태로 연소시키는 것이 스크램제트 엔진이다. 흡입에서 연소, 배기까지 작동 유체가 음속 이하로 감속되는 일이 없으므로, 마하 5부터 이론상의 상한인 마하 15까지의 넓은 마하 수 영역에서 높은 엔진 효율이 유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압축기나 터빈 등과 같은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고 압축 공정을 실현하는 간단한 구조이다.
램제트 엔진과 마찬가지로 정지 상태에서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작동을 시작하는 속도까지는 로켓 엔진이나 다른 제트 엔진 등, 다른 동력에 의해 가속할 필요가 있다. 다만, 연료에 더해 산화제도 탑재·소비하는 로켓에 비해, 스크램제트는 흡입한 대기 중의 산소를 산화제로 사용하기 때문에, 로켓을 크게 상회하는 비추력을 가지고 효율 면에서 우수하다.
초음속 기류 내에서 연소를 유지해야 하므로 기술적 난이도가 높고, 엔진 내에서 연소가 완료되지 않거나 통상적인 연소와는 다른 의도하지 않은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등 기술적 요구가 높다. 또한, 스크램제트 엔진 연구에는 고온 충격 풍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이 설비에서 얻을 수 있는 시험 시간은 수십 밀리초에 불과하다. 진공조를 사용한 극초음속 풍동이라면 수십 초 정도의 연소 실험이 가능하지만, 대규모 시설이며 실험 비용이 매우 높다는 등, 실험에 있어서 과제가 많다. 게다가 실제로는, 고 엔탈피 유동을 만들어내기 위해 필요한 가스 가열에 의해 시험 유동의 조성이 공기로부터 크게 변화하여, 연소 반응이나 유체의 거동이 실제와 크게 달라지므로, 실험에 의한 비행 상황의 재현은 매우 어렵다.
연료에는 수소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대부분의 제트 엔진에서는 등유를 사용한다). 그 이유는 연소 속도가 빠르다는 점에 더해, 등유 등의 탄화수소계 연료는 온도가 높아지면 점성이 변화하므로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데 반해, 액체 수소라면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연소 전의 저온 액체 수소를 벽면 내에 순환시킴으로써 고온 벽면의 냉각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액체 수소의 유지를 위해서는 고비용의 냉각 시스템을 기체에 탑재해야 한다.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점화기 자체도 특수한 플라즈마 토치를 사용하는 것이 연구되고 있다.
이 외에도, 연소 및 대기 내를 고속 항행하기 위해 발생하는 고열의 문제가 있다. 엔진 내는 2,600K[56](2,326.85℃)에 달할 가능성이 있으며, 새로운 내열 소재 및 효율적인 냉각법의 고안·개발이 필요하다.
탑재량 설계는 스크램제트 덕트를 가진 두 대의 실험기로 수행할 수 있다. 하나는 버지니아 대학교의 초음속 풍동 크기에 맞춰지고, 다른 하나는 버지니아 공과대학교의 초음속 풍동 크기에 맞춰진다.
비행 중 데이터는 듀얼 모드 스크램제트 연소 해석과 여러 천이 모드의 수치 예측에 활용된다. 또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풍동의 영향을 줄이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버지니아 대학교의 초음속 풍동은 1980년대 말에 항공우주연구소(ARL) 내에 건설되었다. 이전에는 가스 원심력 연구에 사용되던 건물이었으나, 1989년에 ARL은 순수한 연구 기관으로 승인되었다. 그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마하 25로 비행하는 X-30으로 알려진 내셔널 에어로 스페이스 플레인(NASP) 계획을 지원하기 위해 풍동이 건설되었다.
풍동은 초음속 연소 능력뿐만 아니라 독특한 설계로도 알려져 있다. 공기를 연소로 가열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적으로 가열함으로써 풍동 내에서의 연소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 풍동은 무기한 운용 능력을 갖추고 있어, 장시간에 걸친 스크램제트의 시험이 가능하다.
실험기는 풍동 내의 DMSJ 연소기의 상태를 재현하도록 설계된다. 공기와 수소의 유량은 다음과 같다.
| 구분 | 전압 | 온도 | 정압 | 마하 |
|---|---|---|---|---|
| 공기 유량 | 330 kPa | 1200 K | 40 kPa | 2 |
| 수소 유량 | 1 MPa | 300 K | 200 kPa | 1.7 |
DMSJ 연소기 내의 상태를 재현하기 위해, 스크램제트 실험기의 치수는 실물 크기의 DMSJ 연소기의 복사본이 될 예정이다.
6. 이론
스크램제트는 램제트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일반적인 램제트 엔진은 흡입구에서 공기를 아음속으로 감속시킨 후, 노즐을 통해 다시 초음속으로 가속하여 추력을 얻는다. 이러한 감속 과정은 수직 충격파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램제트 엔진의 작동 속도 상한을 제한하는 총 압력 손실을 유발한다.
스크램제트 엔진의 경우, 엔진으로 들어오는 공기의 운동 에너지는 연료(예: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반응으로 방출되는 에너지와 거의 비슷하다. 마하 2.5에서 연소로 방출되는 열은 작동 유체 총 엔탈피의 약 10% 정도이다. 연료에 따라 다르지만, 대략 마하 8 정도에서 공기의 운동 에너지와 잠재적인 연소 열 방출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스크램제트 엔진 설계는 추력 극대화뿐만 아니라 항력 최소화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고속 환경은 연소실 내의 흐름을 제어하기 어렵게 만든다. 흐름이 초음속이기 때문에 연소실 내에서 하류의 영향이 자유 흐름 내로 전파되지 않는다. 또한, 추력 노즐 입구의 스로틀링(throttling)은 사용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이 아니다. 실제로 연소실에 들어가는 가스는 연료와 혼합되어 점화 및 반응에 충분한 시간을 가져야 하며, 이 모든 과정은 연소된 가스가 추력 노즐을 통해 팽창되기 전에 초음속으로 연소실을 통과해야 한다. 이는 흐름의 압력과 온도에 엄격한 조건을 부과하며, 연료 분사 및 혼합이 매우 효율적이어야 함을 의미한다.
스크램제트 엔진 내에서 사용 가능한 동압은 에서 범위이며, 여기서
:
연료 연소율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면 엔진의 압력과 온도도 일정해야 한다. 하지만 스크램제트 발사체는 넓은 속도 및 고도 범위에서 작동하므로, 이를 위한 기류 제어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구현하기 어렵다. 즉, 스크램제트는 속도에 특정한 고도에서 비행해야 한다. 공기 밀도는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므로, 스크램제트는 흡입구에서 일정한 공기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속하면서 특정 속도로 상승해야 한다. 이러한 최적의 상승/하강 프로파일을 "일정 동압 경로"라고 하며, 스크램제트는 최대 75 km 고도까지 작동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38]
연료 분사 및 관리 또한 복잡한 문제이다. 한 가지 가능한 방법은 연료를 터보 펌프로 100bar까지 가압하고, 기체로 가열하여 터빈을 통과시킨 후, 노즐을 통해 공기보다 빠른 속도로 가속하는 것이다. 공기와 연료 흐름은 빗살 모양 구조로 교차되어 넓은 접촉면을 생성하며, 연료의 빠른 속도로 인한 난류는 추가적인 혼합을 유도한다. 케로신과 같은 복잡한 연료는 연소를 완료하기 위해 더 긴 엔진이 필요하다.
스크램제트 작동 가능 최소 마하 수는 압축된 흐름이 연료를 연소시킬 만큼 충분히 뜨거워야 하고, 반응이 엔진 뒤로 공기가 빠져나가기 전에 완료될 만큼 충분히 높은 압력을 가져야 한다는 제약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스크램제트라고 불리려면 연소 후에도 압축된 흐름이 초음속을 유지해야 한다. 여기에는 두 가지 제한 사항이 있다.
- 첫째, 초음속 흐름이 압축되면 속도가 느려지므로, 압축 수준이 충분히 낮거나 초기 속도가 충분히 높아야 한다. 가스가 마하 1 이하로 느려지면 엔진은 "초크(choke)"되어 연소실에서 아음속 흐름으로 전환된다.
- 둘째, 연소에 의한 가열은 가스 내의 음속을 증가시켜 (마하 수를 감소) 연소실 내 기류 속도를 마하 1 미만으로 낮출 수 있는데, 이를 "열적 초크(thermal choke)"라고 한다.
순수 스크램제트는 마하 6-8[39]에서 작동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하한선은 스크램제트의 정의에 따라 달라진다. 램제트가 마하 3–6 범위에서 스크램제트로 전환되는 엔진 설계도 존재하며, 이를 이중 모드 스크램제트라고 한다.[40] 이 범위에서 엔진은 램제트 유형의 아음속 연소로부터 상당한 추력을 얻는다.
7. 군사적 이용
스크램제트 엔진은 기술적 난이도가 높아 실용화에 어려움이 많아, 램제트 엔진에 비해 군용 미사일에 채택될 가능성이 낮다. 그러나 러시아가 개발 중인 극초음속 대함 미사일인 3M22 치르콘(Циркон, 3M22 Zircon영어)은 스크램제트 엔진을 탑재하여 음속의 5~6배(시속 약 6100km~7400km)의 속도로 순항하며 항공모함을 일격에 파괴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60][61]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연방 대통령은 2021년 11월 3일, 2022년부터 치르콘을 해군에 배치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62]
러시아 중원자력 미사일 순양함 "표트르 대제"에 탑재될 예정이었으나,[60][61] 2024년 3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전쟁에서 치르콘이 키이우 공격에 사용되면서, 우크라이나군에 의해 격추된 잔해를 통해 스크램제트 엔진이 아닌 램제트 엔진임이 확인되었다.[63]
8. 결론 및 전망
초음속 연소(Supersonic combustion)를 하는 램제트 엔진의 일종인 스크램제트는, 마하 5부터 이론상 마하 15까지 넓은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유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압축기나 터빈 없이 압축을 실현하는 간단한 구조이지만, 초음속 기류 내에서 연소를 유지해야 하고, 고열 문제 등 여러 기술적 난제가 존재한다.[56] 주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데, 연소 속도가 빠르고 냉각에도 유리하지만, 액체 수소 유지를 위해 값비싼 냉각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이러한 기술적 어려움 때문에, 스크램제트 엔진은 실용화되더라도 당분간 군용 미사일에 채택될 가능성은 낮다. 램제트는 이미 일부 군용 미사일에 쓰이고 있지만, 스크램제트는 아직 실험 단계이다.
NASA의 X-43A 실험기는 스크램제트 엔진을 장착하고 마하 9.68의 비행 속도 기록을 세웠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일본[58][59] 등에서도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재사용 유인 우주 왕복선의 대기권 내 항행용 엔진으로 사용하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Lorin Ramjet
https://www.enginehi[...]
[2]
논문
Analysis of Ignition Process in a Scramjet at Low and High Fueling Rates
[3]
논문
Supersonic combustion in air-breathing propulsion systems for hypersonic flight.
[4]
웹사이트
An Analysis of Ramjet Engines Using Supersonic Combustion
https://ntrs.nasa.go[...]
NASA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1958-09-01
[5]
웹사이트
Frederick S. Billig, Ph.D.
http://www.eng.umd.e[...]
University of Maryland
2010-04-30
[6]
뉴스
Milestones in the history of scramjets
https://www.uq.edu.a[...]
University of Queensland
2002-07-27
[7]
서적
44th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
[8]
웹사이트
Future Flight Test Plans of an Axisymmetric Hydrogen-Fueled Scramjet Engine on the Hypersonic Flying Laboratory
http://www.nasa.gov/[...]
AIAA
1996
[9]
웹사이트
Recent Flight Test Results of the Joint CIAMNASA Mach 6.5 Scramjet Flight Program
http://www.nasa.gov/[...]
NASA Center for AeroSpace Information (CASI)
1998
[10]
논문
Flight Data Analysis of the HyShot 2 Scramjet Flight Experiment
[11]
서적
1001 Inventions That Changed the World
Cassell Illustrated
2009-02-02
[12]
서적
AIAA/CIRA 13th International Space Planes and Hypersonics Systems and Technologies Conference
AIAA
2005-05-17
[13]
웹사이트
X-43: Scramjet Power Breaks the Hypersonic Barrier
https://info.aiaa.or[...]
AIAA
2006-01-09
[14]
웹사이트
NASA – NASA's X-43A Scramjet Breaks Speed Record
https://www.nasa.gov[...]
2019-06-13
[15]
뉴스
Scramjet hits Mach 10 over Australia
https://www.newscien[...]
Reed Business Information
2007-06-15
[16]
서적
Google Maps and Google Earth
http://dx.doi.org/10[...]
Elsevier
2023-06-02
[17]
간행물
HIFiRE Direct-Connect Rig (HDCR) Phase I Scramjet Test Results from the NASA Langley Arc-Heated Scramjet Test Facility
2011-04-11
[18]
뉴스
Woomera hosts first HIFiRE hypersonic test flight
http://www.dailytele[...]
News Corp Australia
2009-05-24
[19]
뉴스
Scientists conduct second HIFiRE test
http://www.smh.com.a[...]
Fairfax Media
2010-03-22
[20]
뉴스
Success for hypersonic outback flight
http://www.abc.net.a[...]
ABC
2010-03-23
[21]
웹사이트
Longest Flight at Hypersonic Speed
http://www.guinnessw[...]
[22]
뉴스
X-51A races to hypersonic record
http://www.cnet.com/[...]
CBS Interactive
2010-05-26
[23]
뉴스
Hypersonic X-51A Scramjet Failure Perplexes Air Force
http://www.space.com[...]
Purch
2011-07-27
[24]
뉴스
Researchers put spark into scramjets
http://www.abc.net.a[...]
ABC
2010-11-16
[25]
뉴스
Hypersonic jet Waverider fails Mach 6 test
https://www.bbc.com/[...]
BBC
2012-08-15
[26]
뉴스
Experimental hypersonic aircraft hits 4828 km/h
http://www.smh.com.a[...]
Fairfax Media
2013-05-06
[27]
웹사이트
Scramjet engines successfully tested: All you need to know about Isro's latest feat
http://www.firstpost[...]
2016-08-28
[28]
웹사이트
Successful Flight Testing of ISRO's Scramjet Engine Technology Demonstrator – ISRO
http://www.isro.gov.[...]
[29]
뉴스
India successfully conducts flight test of unmanned scramjet demonstration aircraft
https://timesofindia[...]
2019-06-12
[30]
뉴스
India test fires Hypersonic Technology Demonstrator Vehicle
https://www.business[...]
2019-06-12
[31]
뉴스
DARPA'S Hypersonic Air-breathing Weapon Concept (HAWC) Achieves Successful Flight
https://www.darpa.mi[...]
DARPA
2021-09-27
[32]
뉴스
US tested hypersonic missile in mid-March but kept it quiet to avoid escalating tensions with Russia
https://www.cnn.com/[...]
2022-04-05
[33]
웹사이트
https://www.darpa.mi[...]
2022-08-01
[34]
웹사이트
NASA - How Scramjets Work
https://www.nasa.gov[...]
[35]
보도자료
Pratt & Whitney Rocketdyne Scramjet Powers Historic First Flight of X-51A WaveRider
http://www.pw.utc.co[...]
Pratt & Whitney Rocketdyne
2010-05-26
[36]
뉴스
Experimental Air Force aircraft goes hypersonic
http://phys.org/news[...]
Omicron Technology Limited
2013-05-03
[37]
논문
Analysis of Ignition Process in a Scramjet at Low and High Fueling Rates
[38]
웹사이트
Scramjets
http://www.orbitalve[...]
[39]
학술지
Supersonic Combustion Ramjet Propulsion Experiments In a Shock Tunnel
University of Queensland
1995-01-01
[40]
학회발표
CIAM/NASA Mach 6.5 Scramjet Flight and Ground Test
AIAA
[41]
웹사이트
The Hy-V Program – Ground Testing
http://www.mae.virgi[...]
University of Virginia
[42]
웹사이트
Arc-Heated Scramjet Test Facility
http://wte.larc.nasa[...]
NASA Langley Research Center
2005-11-17
[43]
웹사이트
Combustion-Heated Scramjet Test Facility
http://wte.larc.nasa[...]
NASA Langley Research Center
2005-11-17
[44]
학술지
A benchmark dataset for Hydrogen Combustion
2022-05-17
[45]
웹사이트
Space Launchers – Delta
http://www.braeunig.[...]
[46]
서적
Thermal Engineering
https://books.google[...]
Tata McGraw-Hill Education
[47]
서적
Round Trip to Orbit: Human Spaceflight Alternatives
https://books.googl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48]
학술지
A Comparison of Propulsion Concepts for SSTO Reusable Launchers
http://www.reactione[...]
[49]
웹사이트
Study of an Air-Breathing Engine for Hypersonic Flight
http://upcommons.upc[...]
Universitat Politècnica de Catalunya
2013
[50]
웹사이트
Orbital Parameters – Low Earth Circular Orbits
http://www.spaceacad[...]
Australian Space Academy
[51]
학회발표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 2-D dual mode scramjet with hydrogenfuel at Mach 4–6
http://arc.aiaa.org/[...]
AIAA
[52]
웹사이트
FAA Promulgates Strict New Sonic Boom Regulation
http://elr.info/news[...]
Environmental Law Institute
1973
[53]
웹사이트
Sec. 91.817 — Civil aircraft sonic boom.
http://www.risingup.[...]
RisingUp Aviation
[54]
웹사이트
Random Location
https://www.random.o[...]
2019
[55]
학회발표
Hypersonic Airplane Space Tether Orbital Launch (HASTOL) System
http://www.niac.usra[...]
NASA Institute for Advanced Concepts
1999-11-09
[56]
웹사이트
スクラムジェットエンジン-超耐熱材料への期待-
http://fgmdb.kakuda.[...]
2009-09-20
[57]
웹사이트
SCRAMSPACE team awaits further information on launch
https://www.uq.edu.a[...]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2013-09-19
[58]
보도자료
スクラムジェットエンジン推力を従来の3倍以上に増強
https://www.jaxa.jp/[...]
航空宇宙技術研究所
2003-02-04
[59]
보도자료
スクラムジェット燃焼器の委託飛行実験について
https://www.jaxa.jp/[...]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2006-03-20
[60]
뉴스
Russia successfully launches 'unstoppable' cruise missile Daily Mail Online
https://www.dailymai[...]
[61]
뉴스
Global Missile Defense Is Feeble Against Russian Hypersonic Weapons - Analysts - Sputnik International
https://sputniknews.[...]
[62]
뉴스
露、極超音速ミサイル海軍へ 2022年供給表明
https://www.sankei.c[...]
2021-11-04
[63]
웹사이트
Raytheon expand capacity to build the Hypersonic Attack Cruise Missile
https://www.airforce[...]
2024-1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