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인의 교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인의 교통은 철도, 도로, 항공, 해상, 파이프라인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스페인 철도는 1848년에 시작되었으며, AVE(Alta Velocidad Española)로 불리는 고속철도 서비스가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2024년 기준 유럽에서 가장 긴 고속철도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도로 교통은 총 681,298km의 도로를 포함하며, 고속도로는 17,228km이다. 항공 교통은 국내선과 국제선을 연결하며, 주요 공항으로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등이 있다. 해상 교통은 알헤시라스,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등의 주요 항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파이프라인은 가스, 석유 제품 등을 수송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의 교통 - 지브롤터 해협의 횡단
지브롤터 해협의 횡단은 유럽과 아프리카를 연결하기 위해 교량, 해저 터널, 부유식 섬 등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었으며, 전력 케이블 및 가스관 건설 연구도 진행되었으나 환경 문제, 경제성 논란, 정치적 갈등 등 해결 과제가 남아있다.
| 스페인의 교통 | |
|---|---|
| 개요 | |
![]() | |
| 철도 | |
| 총 연장 | 15,258km (2021년) |
| 광궤 | 12,347km (1,668mm 궤간) |
| 표준궤 | 2,873km (1,435mm 궤간) |
| 협궤 | 68km (1,000mm 궤간) |
| 전철화 | 10,525km (2021년) |
| 도로 | |
| 총 연장 | 683,181km (2012년) |
| 포장 도로 | 673,682km (고속도로 16,205km 포함) |
| 미포장 도로 | 9,499km |
| 수로 | |
| 총 연장 | 1,000km |
| 파이프라인 | |
| 원유 | 250km |
| 석유 제품 | 770km |
| 천연 가스 | 2,225km |
| 항구 및 선착장 | |
| 상선대 | |
| 총 척수 | 987척 (1,000 GT 이상) |
| 총 톤수 | 4,198,633 GT/6,236,305 DWT |
| 선박 종류 | 벌크화물선: 13척 화물선: 279척 화학제품 운반선: 45척 컨테이너선: 85척 가스 운반선: 8척 여객선: 12척 석유 탱커: 58척 냉장 화물선: 2척 롤온/롤오프 선박: 25척 단거리 여객선: 459척 |
| 공항 | |
| 총 개수 | 150개 (2013년) |
| 활주로 포장 공항 | |
| 총 개수 | 97개 |
| 3,047m 이상 | 14개 |
| 2,438 ~ 3,047m | 25개 |
| 1,524 ~ 2,437m | 31개 |
| 914 ~ 1,523m | 21개 |
| 914m 미만 | 6개 |
| 활주로 미포장 공항 | |
| 총 개수 | 53개 |
| 1,524 ~ 2,437m | 1개 |
| 914 ~ 1,523m | 12개 |
| 914m 미만 | 40개 |
| 헬기 착륙장 | |
| 총 개수 | 20개 (2013년) |
2. 철도 교통
스페인의 철도 역사는 1848년부터 시작되었다. 주요 철도 노선은 국영 철도 회사인 렌페(Renfe)가 운영하며, 협궤 철도 노선은 페베(FEVE) 및 각 자치 지역의 운송 회사들이 담당하고 있다.[2] 스페인 철도의 특징 중 하나는 이베리아 궤간, 표준궤, 협궤 등 다양한 궤간이 사용된다는 점이다. 고속철도(AVE)는 1992년 마드리드와 세비야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주요 도시를 연결하며 운행 중이며, 이후 지속적으로 노선이 확장되고 있다.[3][4] 스페인 철도 교통의 세부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고속철도 (AVE)
알타 벨로시다드 에스파뇰라(스페인어: Alta Velocidad Españolaes, AVE)는 스페인 국영 철도 회사인 렌페(Renfe)가 운영하는 고속철도 서비스로, 최고 속도 330km/h로 운행된다. 이름은 '스페인 고속'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약자인 AVE는 스페인어로 '새'를 의미하는 단어 'ave'와 발음이 같다. 스페인 고속철도 네트워크는 3966km에 달하여 유럽에서 가장 길고,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긴 네트워크이다.AVE 열차는 철도 인프라 관리 기관인 아디프(Adif)가 소유하고 관리하는 전용 고속 철도 선로에서 운행된다. 첫 노선은 1992년 마드리드와 세비야를 연결하며 개통되었다. 스페인의 다른 철도 노선들이 주로 이베리아 궤간을 사용하는 것과 달리, AVE는 표준궤를 사용하여 프랑스 등 다른 유럽 국가 철도망과의 직접 연결이 가능하다.
1992년 마드리드-세비야 노선 개통 이후, AVE 네트워크는 꾸준히 확장되었다. 2003년에는 마드리드-레이다 노선이 개통되었고, 2008년에는 이 노선이 바르셀로나까지 연장되었다. 같은 해 마드리드-바야돌리드 노선과 코르도바-말라가 노선도 개통되었다. 2010년에는 마드리드-쿠엔카-발렌시아 노선이 운행을 시작했다.[3][4]
AVE는 높은 정시성으로 유명하다. 특히 마드리드-세비야 노선에서는 열차가 예정 시각보다 5분 이상 늦게 도착할 경우 운임 전액을 환불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실제 지연율은 0.16%에 불과하다. 다른 노선에서는 정시성 기준이 다소 완화되어, 예를 들어 바르셀로나 노선은 15분 지연 시 환불 규정이 적용된다.
2020년 스페인 고속철도 시장이 개방되면서, 기존 AVE 외에도 민간 경쟁사인 우이고 에스파냐(Ouigo España)와 이리오(Iryo)가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주요 운행 노선은 다음과 같다.
| 출발지 | 도착지 |
|---|---|
| 마드리드 | 발렌시아 |
| 바르셀로나 | 마드리드 |
| 세비야 | 마드리드 |
| 시우다드 레알 | 마드리드 |
| 타라고나 | 마드리드 |
| 바야돌리드 | 마드리드 |
| 마드리드 | 톨레도 |
| 마드리드 | 코르도바 |
| 마드리드 | 엘체 |
고속철도의 도입은 스페인 내 교통수단 분담률에도 영향을 미쳤다. 2008년 바르셀로나-마드리드 고속 노선이 개통된 이후, 해당 구간 이용객의 75%가 항공편 대신 AVE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2. 일반 철도


스페인 철도는 1848년부터 시작되었다. 2017년 기준으로 총 노선 길이는 15333km이며, 이 중 9699km가 전철화되어 있다.[2] 스페인에서는 다음과 같이 4가지 다른 궤간이 사용된다.
| 궤간 종류 | 규격 | 총 길이 | 전철화 길이 (방식) |
|---|---|---|---|
| 이베리아 궤간 | 1668mm | 11333km | 6538km (3 kV DC) |
| 표준궤 | 1435mm | 2571km | 전 구간 (25 kV AC) |
| 협궤 | 1000mm | 1207km | 400km |
| 협궤 | 914mm | 28km | 전 구간 |
대부분의 철도는 국영 철도 회사인 렌페(Renfe)가 운영하며, 협궤 노선은 페베(FEVE) 및 각 자치 지역의 다른 운송업체에서 운영한다. 인접 국가와의 연결을 포함하여 더 많은 표준궤 노선을 건설하거나 기존 노선을 표준궤로 전환할 계획이 있으며, 광궤 노선을 이중 궤간으로 만드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
1992년에는 마드리드와 세비야를 잇는 첫 고속철도(AVE)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후 고속철도망은 꾸준히 확장되어, 2003년에는 마드리드-레이다 노선에서 고속 서비스가 시작되었고 2008년에는 이 노선이 바르셀로나까지 연장되었다. 같은 해 마드리드-바야돌리드 노선과 코르도바-말라가 노선이 개통되었으며, 2010년에는 마드리드-쿠엔카-발렌시아 노선이 개통되었다.[3][4]
2. 3. 도시 철도 (경전철, 지하철)
스페인의 여러 도시에서는 지하철, 경전철, 트램 등 다양한 형태의 도시 철도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도시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 도시 | 시스템 | 상태 |
|---|---|---|
| 알리칸테 | 알리칸테 트램 | 운행 중 |
| 바르셀로나 | 바르셀로나 지하철 및 트램 | 운행 중 |
| 빌바오 | 빌바오 지하철 및 빌바오 트램 (Euskotren Tranbia) | 운행 중 |
| 카스테욘 | 무궤도 전차 | 운행 중 |
| 아 코루냐 | - | 공사 중 |
| 그라나다 | 그라나다 지하철 | 운행 중 |
| 하엔 | 하엔 트램 | 완공, 미운행 |
| 마드리드 | 마드리드 지하철 | 운행 중 |
| 말라가 | 말라가 지하철 | 운행 중 |
| 무르시아 | 무르시아 트램 | 운행 중 |
| 팔마 | 팔마 지하철 | 운행 중 |
| 팔라 | 팔라 트램 | 운행 중 |
|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 테네리페 트램 | 운행 중 |
| 세비야 | 세비야 지하철 및 메트로센트로 (트램) | 운행 중 |
| 발렌시아 | 메트로발렌시아 | 운행 중 |
| 벨레스 말라가 | 벨레스 말라가 트램 | 운행 중단 |
| 비토리아 가스테이즈 | 비토리아 가스테이즈 트램 (Euskotren Tranbia) | 운행 중 |
| 사라고사 | 사라고사 트램 | 운행 중 |
2. 4. 국제 철도 연결
스페인은 포르투갈, 프랑스와 철도로 직접 연결되어 있으며, 모로코와는 해저 터널 건설이 제안된 상태이다. 안도라와 지브롤터는 자국 내 철도 노선이 없어 스페인과 연결되지 않는다.| 국가 | 연결 여부 | 비고 |
|---|---|---|
| 안도라 | 아니오 | 안도라에는 철도가 없음 |
| 프랑스 | 예 | 궤간 변경 필요 (1668mm / 1000mm / 1435mm). 단, 새로운 고속철도 노선은 궤간 변경 없이 1435mm 사용. |
| 포르투갈 | 예 | 동일한 1668mm 사용 |
| 모로코 | 아니오 | 지브롤터 해협 터널 건설 제안. 궤간 변경 필요 (1668mm / 1435mm) |
| 지브롤터 | 아니오 | 지브롤터에는 철도가 없음 |
2003년 12월, 모로코와 스페인은 양국 철도 시스템 연결을 위해 지브롤터 해협을 횡단하는 해저 철도 터널 건설 가능성을 검토하기로 합의했다.[5]
3. 도로 교통

:* '''고속도로:''' 17228km (2018년)[8]
스페인의 고속도로는 "아우토피스타"와 "아우토비아"로 나뉘며, 전자는 출입 통제 고속도로이다. 2019년 기준으로 스페인은 유럽의 포괄적인 TEN-T 네트워크의 일부로 지정된 12255km의 도로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중 10932km가 자동차 전용 도로이다. 이 네트워크에서 교량은 220km(2.1%), 터널은 86km(0.8%)를 차지했다.[9]
4. 항공 교통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며, 원본 소스의 내용이 하위 섹션 내용과 완전히 중복됨)
4. 1. 공항
2006년 추정 기준으로 스페인에는 총 96개의 공항이 있다.포장된 활주로 길이별 공항 수는 다음과 같다.
| 활주로 길이 | 공항 수 |
|---|---|
| 3048m 이상 | 16 |
| 2438m ~ 3047m | 10 |
| 1524m ~ 2437m | 20 |
| 914m ~ 1523m | 24 |
| 914m 미만 | 26 |
비포장 활주로를 가진 공항은 2006년 추정 기준으로 총 61개이며, 활주로 길이별 수는 다음과 같다.
| 활주로 길이 | 공항 수 |
|---|---|
| 1524m ~ 2437m | 2 |
| 914m ~ 1523m | 15 |
| 914m 미만 | 44 |

주요 공항으로는 마드리드, 바르셀로나, 팔마 데 마요르카 공항, 말라가 공항, 그란 카나리아 공항, 알리칸테 공항, 테네리페 남부 공항 등이 있다.
4. 2. 항공사
스페인의 주요 항공사는 다음과 같다.스페인 국내 항공 운송은 고속철도인 AVE와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다. 예를 들어, 마드리드-바르셀로나 노선은 해당 구간에 고속철도 노선이 개통되기 전까지 유럽에서 가장 붐비는 항공 노선 중 하나였다. 또한 항공 교통은 발레아레스 제도와 카나리아 제도를 스페인 본토와 연결하는 주요 교통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5. 해상 교통
스페인은 이베리아 반도에 위치하여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해상 교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국 각지에 주요 항구가 발달했으며, 특히 지중해와 대서양 연안을 중심으로 활발한 해상 무역과 여객 운송이 이루어진다. 스페인은 상당한 규모의 상선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선박을 운용하여 국제 해운 시장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5. 1. 항구

가장 중요한 항구는 알헤시라스,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빌바오, 라스팔마스이다. 다른 주요 항구로는 알리칸테, 알메리아, 카디스, 카르타헤나, 아 코루냐, 세우타, 우엘바, 말라가, 멜리야, 히혼, 팔마 데 마요르카, 사군토, 산타 크루스 데 테네리페, 로스 크리스티아노스 (테네리페), 산탄데르, 타라고나, 비고, 모트릴, 세비야, 카스테욘 데 라 플라나, 파사이야, 아빌레스, 페롤 등이 있다.
5. 2. 해운 회사

2006년 기준으로 1,000 GT 이상의 스페인 선박은 총 169척이며, 총 1,902,839 GT / 1,874,161 DWT 규모이다. 선박 종류별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선박 종류 | 척수 |
|---|---|
| 벌크선 | 9 |
| 화물선 | 13 |
| 화학 제품 운반선 | 14 |
| 컨테이너선 | 27 |
| 액화 가스 운반선 | 9 |
| 여객선 | 1 |
| 여객/화물선 | 49 |
| 유조선 | 15 |
| 냉동 화물선 | 5 |
| 롤 온/롤 오프선 | 20 |
| 특수 유조선 | 2 |
| 자동차 운반선 | 5 |
6. 파이프라인
참조
[1]
웹사이트
ESI funds to improve Madrid – Lisboa connection
https://www.railwayg[...]
2016-04-13
[2]
웹사이트
The World Factbook - Europe - Spain
https://www.cia.gov/[...]
2021-04-21
[3]
뉴스
High-Speed Rail Gains Traction in Spain
https://www.nytimes.[...]
2010-03-15
[4]
웹사이트
The advent of high-speed trains in Spain
http://www.adifaltav[...]
[5]
뉴스
Europe-Africa rail tunnel agreed
http://news.bbc.co.u[...]
2003-12-14
[6]
웹사이트
"Red de Alta Velocidad"
https://www.adifalta[...]
ADIF
[7]
웹사이트
Train three times as popular as plane in Barcelona-Madrid route as high-speed rail turns 15
https://www.catalann[...]
2023-02-20
[8]
웹사이트
"Catálogo y evolución de la red de carreteras | Ministerio de Transportes, Movilidad y Agenda Urbana"
https://www.mitma.go[...]
[9]
웹사이트
CEDR TR 2020/01: Trans-European Road Network, TEN-T (Roads): 2019 Performance Report
https://www.cedr.eu/[...]
Conference of European Directors of Roads
2020
[10]
지도
구글 지도
http://www.the-news.[...]
[11]
웹인용
CIA - The World Factbook - Spain
https://www.cia.gov/[...]
2011-06-01
[12]
뉴스
Europe-Africa rail tunnel agreed
http://news.bbc.co.u[...]
BBC New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