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연가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연가스는 주로 메탄을 포함하는 기체 탄화수소 혼합물로,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초 장거리 파이프라인 개발 이전에는 주로 유정 근처에서 사용되었다. 천연가스는 연소 시 매연과 미립자 발생이 적고,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적어 장점이 있지만, 출력과 1회 충전 주행 거리가 낮고,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단점도 있다. 천연가스의 기원은 유기적 기원과 무기적 기원으로 나뉘며, 매장량은 유전, 가스전, 탄전 등에서 발견된다.
천연가스는 메탄, 에탄, 프로판 등 다양한 성분으로 구성되며, 산지에 따라 성분 비율이 다르다. 용도에 따라 액화천연가스(LNG), 압축천연가스(CNG) 등으로 저장 및 수송되며, 주택 난방, 요리, 자동차 연료, 화학 물질 생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천연가스는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채굴 과정에서 안전 문제와 환경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천연가스는 다양한 국가에서 생산되며, 특히 미국과 러시아의 생산량이 높다. 천연가스 산업은 LNG 밸류 체인을 통해 공급되며, 일본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수입 기지, 재기화 설비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연 가스 - 셰일가스
셰일 가스는 이암층에 저장된 비재래형 천연 가스로, 상업적 생산을 위해 수압 파쇄법과 수평 시추 기술이 사용되며, 에너지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만 환경 문제 논란도 있는 자원이다. - 천연 가스 - 큐플렉스
큐플렉스는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대용량 LNG를 수송하기 위해 설계된 LNG 운반선으로, 증발 가스 재액화 시스템을 통해 LNG 손실과 탄소 배출량을 줄이며, 카타르가스가 주요 용선주로 활동하고 있다. - 화석 연료 - 탄화수소
탄화수소는 탄소와 수소 원자로만 구성된 유기 화합물로, 사슬 또는 고리 모양의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에너지 자원 및 화학 공업 원료로 사용되지만 환경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 화석 연료 - 화석연료
화석 연료는 과거 유기체의 잔해가 혐기성 분해되어 생성된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으로, 산업 혁명과 현대 문명 발전에 기여했으나 대기 오염, 기후 변화, 에너지 안보 문제,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환경 및 건강 문제를 야기하여 단계적 폐지와 재생 에너지 전환이 요구된다.
천연가스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화석 가스 메탄 가스 |
주요 성분 | 메탄 |
추가 성분 | 다른 탄화수소 이산화탄소 질소 황화수소 헬륨 수증기 |
냄새 | 원래는 무취 머캡탄 첨가로 썩은 달걀 냄새 유발 |
생성 원인 | 고대 생물 유해의 퇴적 및 변성 |
주요 용도 | 발전 난방 취사 산업 공정 화학 제품 생산 |
환경적 영향 | 온실 가스 배출 미세먼지 배출 지구 온난화 유발 |
안전 문제 | 화재 위험 폭발 위험 실내 공기 오염 유발 |
구성 성분 | |
주성분 | 메탄 (CH4) |
부성분 | 에탄 (C2H6) 프로판 (C3H8) 뷰테인 (C4H10) 펜테인 (C5H12) 질소 (N2) 이산화탄소 (CO2) 황화수소 (H2S) 헬륨 (He) 수증기 (H2O) |
함량 변화 | 근원지, 처리 과정에 따라 달라짐 메탄: 70–90% 에탄: 0–20% |
생성 과정 | |
퇴적 | 고대 생물의 유해가 해저에 퇴적 |
변성 | 열과 압력에 의해 유기물이 탄화수소로 변환 |
저장 | 불투수층 아래에 포집 |
이용 분야 | |
발전 | 가스 터빈 발전 복합 화력 발전 |
난방 | 주거용 난방 산업용 난방 |
취사 | 가정용 가스레인지 |
산업 공정 | 다양한 산업 공정의 열원 |
화학 산업 | 비료 플라스틱 기타 화학 제품 생산 |
차량 연료 | 압축 천연가스 (CNG) 액화 천연가스 (LNG) |
환경적 영향 | |
온실 가스 배출 | 연소 시 이산화탄소 배출 채굴 및 운송 과정에서 메탄 누출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강력한 온실 가스 |
미세먼지 배출 | 연소 시 미세먼지 등 대기 오염 물질 발생 |
지구 온난화 | 지구 온난화 가속화 |
안전 문제 | |
화재 및 폭발 | 인화성 물질로 화재 및 폭발 위험 |
실내 공기 오염 | 연소 시 일산화탄소, 이산화질소 등 유해 물질 발생 가스레인지 사용 시 실내 공기 오염 심화 |
추가 정보 | |
무취 | 원래는 무색, 무취 안전을 위해 머캡탄 첨가 |
운송 | 파이프라인 운송 액화하여 액화 천연가스 (LNG)로 운송 |
참고자료 |
2. 역사
고대 그리스에서는 키메라 산(Mount Chimaera)의 가스 불꽃이 불을 뿜는 신화 속 괴물 키마이라 전설의 배경이 되었다. 고대 중국에서는 기원전 400년경, 소금물(염수)을 얻기 위한 시추 과정에서 나오는 천연가스를 처음 활용했다.[21] 중국인들은 땅속에서 스며 나오는 가스를 대나무로 만든 조잡한 파이프라인으로 운반하여, 쓰촨성 자리우징구 지역에서 소금물을 끓여 소금을 생산하는 데 사용했다.[22][23] 아메리카 대륙에서 천연가스가 발견되고 그 존재가 확인된 것은 1626년의 일이다.
천연가스는 현대 사회의 주요 에너지원 중 하나로 자리 잡았지만, 여러 장점과 함께 고려해야 할 단점도 가지고 있다. 과거 원유 생산의 부산물로 여겨져 단순히 소각되거나 방출되는 경우가 많았으나,[28][29] 기술의 발전과 함께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천연가스의 최초 상업화는 1785년경 영국에서 이루어졌는데, 이때는 석탄에서 제조된 가스를 가정과 거리의 조명으로 사용했다. 1821년, 윌리엄 하트(William Hart)는 미국 뉴욕주 프레도니아에서 최초의 상업적 천연가스 유정을 성공적으로 시추했으며, 이는 1858년 프레도니아 가스등 회사 설립으로 이어졌다.[26] 필라델피아 시는 1836년 미국 최초로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천연가스 유통 회사를 설립했다. 한편, 17세기 프랑스 선교사들은 이리호 주변에서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천연가스 유출 지점에 불을 붙이는 것을 목격했으며, 1700년대 동안 동부 해안의 유럽계 정착민들도 이러한 유출 지점을 간헐적으로 관찰했다.[25]
20세기 초 장거리 파이프라인 기술이 개발되기 전까지 천연가스는 널리 사용되지 못했다. 주로 유정 근처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산업혁명 시대의 주요 연료 및 조명용 가스는 석탄을 건류하여 만든 도시가스(제조 가스)였다.[24] 도시가스는 수소, 일산화 탄소, 메탄, 기타 휘발성 탄화수소 등 다양한 발열 가스와 소량의 이산화 탄소, 질소 같은 비발열 가스를 포함하며, 천연가스와 유사하게 사용되었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미국 동부의 "가스 공장"들은 대부분 코크스 오븐 방식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역청탄을 가열하여 가스를 생산했다. 생산된 가스는 파이프 네트워크를 통해 가정과 건물에 공급되어 요리와 조명에 쓰였다. (가스 난방은 20세기 후반에 보편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오는 콜타르(역청)는 지붕 방수나 도로 포장 등에 활용되기도 했다.
1920년대부터 기술 혁신으로 주요 장거리 파이프라인 건설이 가능해지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천연가스 사용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했다.[25]
일본은 국내 천연가스 생산량이 수요에 비해 매우 적어[181] 역사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 크게 의존해왔다. 1969년 미국 알래스카산 LNG 수입을 시작으로, 이후 동남아시아(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중동(아부다비, 카타르, 오만), 러시아(사할린주),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LNG를 도입했다. 도입 당시 일본 내 화력발전의 주 연료가 원유와 중유였기 때문에, 경제성 비교를 위해 LNG 가격이 원유 가격과 연동되는 방식으로 거래되었다. 계약 기간은 10년 이상의 장기 계약이 일반적이었고, 판매 지역도 제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안정적인 연료 확보를 원하는 수요자 측의 요구와 더불어,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LNG 생산 설비 건설 및 LNG선 건조 비용을 장기간에 걸쳐 회수해야 하는 생산자 측의 사정이 맞물린 결과였다. 재판매를 허용할 경우 LNG 운반선의 운항 일정 변동으로 납품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판매 지역 제한 조건의 배경이 되었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현물 거래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특히 셰일가스 혁명으로 미국에서 다수의 LNG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유럽과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으로 LNG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판매 지역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계약이 일반화되었다. 일본 공정거래위원회가 LNG 판매 지역 변경 제한을 문제 삼아 조사를 실시한 것 역시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82][183] 도쿄상품거래소 등이 설립한 JAPAN OTC EXCHANGE 주식회사에서는 LNG 장외거래가 이루어졌으며, 2022년 4월에는 도쿄상품거래소에서 LNG 선물 거래도 시작되었다.[184] 하지만 2024년 현재 이러한 시장에서의 거래 규모는 크지 않으며, 대부분의 거래는 장외파생상품(OTC)이나 ICE(인터컨티넨탈거래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가스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 경로 선정이나 공급량, 가격 결정 등에는 외교적, 지정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얽히는 경우가 많다.
2009년 기준으로 추정되는 천연가스 회수 가능 매장량은 약 850000km3이며, 이 중 약 66000km3(8%)가 사용된 것으로 추산된다.[27]
3. 장단점
주요 장점으로는 연소 시 석탄이나 석유에 비해 환경 오염 물질과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다는 점이 꼽힌다. 또한 액화천연가스(LNG)나 압축천연가스(CNG) 형태로 가공하여 운송 및 저장이 용이해졌으며,[222] 특히 CNG는 깨끗한 배기가스 덕분에 자동차 연료로 주목받고 있다.[222]
반면, 에너지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아 저장 및 운송에 제약이 따르고, 천연가스 충전소와 같은 관련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점 등은 단점으로 지적된다. 천연가스의 장점과 단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3. 1. 장점
천연가스는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다.3. 2. 단점
천연가스는 여러 장점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4. 기원
천연가스는 주로 해양 미생물과 같은 유기물이 혐기성 조건에서 분해된 후, 수백만 년 동안 지하 깊은 곳에서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생성되는 화석연료이다. 이 과정에서 유기물이 광합성을 통해 저장했던 태양 에너지가 메테인과 다른 탄화수소의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전환된다.
천연가스는 종종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다른 화석 연료와 함께 지하 지층에서 발견된다. 생성 과정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비교적 얕은 곳에서 미생물의 작용으로 유기물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경우(생물학적 기원)이고, 다른 하나는 지하 깊은 곳의 유기물이 높은 열과 압력에 의해 변성되어 생성되는 경우(열 발생 기원)이다.[186][187] 천연가스의 구체적인 기원은 탄소나 헬륨 등의 동위원소 비율 분석을 통해 추정하기도 한다.[185]
4. 1. 유기적 기원
천연가스의 기원은 탄소의 동위원소 비 (13C/14C), 헬륨의 동위원소 비 (3He/4He), 질소(N)·아르곤(Ar) 비[185] 등을 분석하여 판별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생성 원인에 따라 크게 유기적 기원과 무기적 기원으로 나뉜다.[186][187] 참고로, 분류 방식에는 여러 설이 있으며, “생물 기원 가스”와 “비생물 기원 가스”로 나누는 견해도 있다.[188]- '''열분해 가스'''
- * 퇴적물 속의 유기물(원유, 석탄, 또는 니질 퇴적물에 포함된 유기 용매에 녹지 않는 유기물)이 열분해되어 생성된다.
다른 이름으로 습윤 가스**(wet gas|웻 가스eng)라고도 한다.[186]
- * 에탄, 프로판, 뷰탄, 펜탄과 같은 탄화수소를 비교적 많이 포함하고 있다.
- '''박테리아 가스'''
- * 석탄[189]이나 퇴적물 속 유기물이 낮은 온도에서 생물학적으로 분해되어 생성된다. 이름과 달리 직접 메탄을 생성하는 것은 박테리아가 아니라 고세균이다.[175]
다른 이름으로 건조 가스**(dry gas|드라이 가스eng)라고도 한다.[186]
4. 2. 무기적 기원
무기적 기원의 천연가스는[191] 유문암과 같은 화산암체[192]나 해저의 베개용암 속에서 발견된다. 이는 지구 맨틀에 존재하는 무기 탄소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193]5. 조성
천연가스는 주로 메테인(CH4)으로 구성된 기체 탄화수소의 자연 발생 혼합물이며, 다양한 소량의 다른 고급 알칸도 포함한다. 또한 이산화 탄소(CO2), 질소(N2), 황화 수소(H2S), 헬륨(He)과 같은 미량 가스도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주성분인 메탄은 무색, 무취이므로, 가스 누출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천연가스 공급 시에는 일반적으로 머캅탄(유황이나 썩은 달걀 냄새와 유사)과 같은 방향제를 첨가한다.
천연가스에 포함된 메탄, 에탄, 프로판, 부탄, 그리고 펜탄 이상의 탄화수소(천연가스 콘덴세이트)의 비율은 생산되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산지 | 메탄 | 에탄 | 프로판 | 부탄 | 펜탄 | 질소 |
---|---|---|---|---|---|---|
케나이(알래스카) | 99.81 | 0.07 | 0.00 | 0.00 | 0.00 | 0.12 |
룸풋(브루나이) | 89.83 | 5.89 | 2.92 | 1.30 | 0.04 | 0.02 |
다스(아부다비) | 82.07 | 15.86 | 1.86 | 0.13 | 0.00 | 0.05 |
천연가스에 포함된 주요 불순물로는 물, 질소, 이산화탄소, 황산화물, 황화 수소, 수은 등이 있다.[175] 예외적으로 북아메리카산 및 알제리산 천연가스에는 1~7 mol/100mol의 헬륨이 포함되어 있어 세계적으로 중요한 헬륨 공급원이 되고 있다.[194]
천연가스는 휘발성이 높아 상온에서는 빠르게 증발하는 성질을 가진다. 주성분인 메탄과 에탄은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대기 중에 쉽게 확산된다. 이는 상온에서 공기보다 무겁고 낮은 곳에 머무르기 쉬운 프로판이나 부탄 가스에 비해 취급 시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또한 프로판과 마찬가지로 메탄과 에탄도 무취이며, 불순물을 제거한 천연가스 역시 무취이다. 그러나 무취 상태로 천연가스를 사용하면 가스 누출 시 인지하지 못해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195] 따라서 비용 문제나 연소 생성물에 의한 영향을 피하기 위해 탈취제를 첨가하지 않는 산업용 원료를 제외하고, 연료용 가스로 천연가스를 공급할 때는 유기황 화합물을 비롯한 악취 성분을 의도적으로 혼입(첨취)하여 가스 누출을 사람의 후각으로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천연가스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의 물리적 성질은 다음과 같다.[175]
항목 | 메탄 | 에탄 | 프로판 | 부탄 (노르말/이소) |
---|---|---|---|---|
화학식 | CH4 | C2H6 | C3H8 | C4H10 |
분자량 | 16.04 | 30.07 | 44.09 | 58.12 |
끓는점(℃) | -161.5°C | -88.7°C | -42.2°C | -0.5°C/-11.7°C |
임계온도(℃) | -82.6°C | 32.2°C | 96.7°C | 152°C/135°C |
임계압력(MPa) | 4.54 | 4.88 | 4.2 | 3.75/3.6 |
비중(액체)(끓는점, 1기압) | 0.425 | 0.546 | 0.580 | 0.605/0.590 |
비중(기체)(0℃, 1기압, 공기=1) | 0.554 | 1.047 | 1.522 | 2.006 |
연소범위 상한 (공기 중 체적%) | 15.0 | 12.5 | 9.5 | 8.4 |
연소범위 하한 (공기 중 체적%) | 5.5 | 3.0 | 2.2 | 1.8 |
기체/액체 체적비 (0℃, 1기압) | 595 | 432 | 292 | 277/231 |
독성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부식성 | 없음 | 없음 | 없음 | 없음 |
상압 하에서 메탄의 끓는점은 -161.5°C이며, LNG의 끓는점은 약 -160°C이다. 따라서 상압 하에서 액화하려면 극저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압력을 가해 끓는점을 높이려 해도, 임계온도가 -82.6°C이기 때문에 이 온도 이상에서는 아무리 압력을 가해도 액화되지 않는다.
- - 메탄의 액체 상태 비중은 0.43이며, LNG가 되면 다른 성분의 비율에 따라 0.43~0.48 정도가 된다. 이는 원유의 비중 약 0.85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가벼운 편이어서, 운반 시 무게에 비해 큰 부피를 차지한다.
기체 상태의 메탄은 공기보다 약 55%의 비중으로 상당히 가볍지만, 기체 상태라도 저온 상태인 -113°C에서는 공기와 같은 무게가 되고,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공기보다 무거워진다.
사고 등으로 극저온 상태의 메탄이 누출되어 -161.5°C 이상에서 기체가 되면, 초기에는 공기의 약 1.4배 정도 무게가 되어 우선 지표면 근처에 머무르게 된다. 이 기체는 주변 공기 중의 수분을 얼려 흰 구름을 만드는데, 이를 증기운(Vapor Cloud)이라고 부르며, 투명한 기체가 간접적으로 눈에 보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폭발적인 연소, 동상, 질식의 위험이 있다. 지상에 머물던 저온 메탄 가스도 온도가 -131°C를 넘으면 다시 공기보다 가벼워져 상공으로 상승하고 확산된다.
메탄의 연소범위는 공기 중에서 5%~15%로, 다른 가연성 가스와 비교하면 비교적 좁은 편이어서 폭발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다. 기체 메탄이 액체가 되면 부피는 약 1/600로 줄어들기 때문에 운반에 유리하다.
연소 시 발열량은 13,300 kcal/kg으로 탄화수소 중에서 가장 높다. 이는 석탄(5,000~7,000 kcal/kg)이나 석유(9,250 kcal/kg)보다 크다. 메탄과 LNG 모두 인체에 대한 독성은 없다.[175]
6. 특성
천연가스는 주로 메테인(CH4)으로 이루어진 기체 상태의 탄화수소 혼합물이다.[195] 그 외에도 소량의 다른 알칸과 함께 이산화 탄소, 질소, 황화 수소, 헬륨 같은 미량 기체가 포함되기도 한다. 메탄 자체는 색깔과 냄새가 없기 때문에, 가스 누출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부취제(주로 머캅탄 계열)를 첨가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보통 유황이나 썩은 달걀과 비슷한 냄새를 풍긴다. 다만, 산업용 원료로 사용될 때는 비용 문제나 연소 생성물의 영향을 피하기 위해 부취제를 첨가하지 않기도 한다.[195]
천연가스는 화석연료이며 재생 불가능 자원이다. 주로 해양 미생물 같은 유기물이 산소가 없는 환경(혐기성 조건)에서 분해되고, 이후 수백만 년 동안 지하 깊은 곳에서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유기물이 광합성을 통해 태양으로부터 얻었던 에너지가 메탄과 다른 탄화수소 분자 안에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저장된다.
천연가스는 공기보다 가볍다. 밀도는 공기를 1로 보았을 때 0.58에서 0.79 사이이며, 일반적으로 0.64 미만이다. 비교를 위해 순수 메탄의 밀도는 공기의 약 0.678배이다. 또한 휘발성이 높아 상온에서는 빠르게 기체로 변하며, 주성분인 메탄과 에탄이 공기보다 가볍기 때문에 누출 시 대기 중으로 쉽게 확산된다. 이는 상온에서 공기보다 무거워 낮은 곳에 고이기 쉬운 프로판이나 부탄 가스(액화석유가스의 주성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특성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95]
천연가스는 산출되는 장소나 정제 방법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산출 장소 | 명칭 | 상세 설명 |
---|---|---|
유전 지대 | 유전가스, 석유계 천연가스, 습성가스 | 10m3에서 15m3의 가스에서 약 1L의 휘발유 성분을 얻을 수 있어 습성가스라고도 불린다. 조성이 다양하며, 과거 중동 등에서는 가스 플레어로 태워버렸으나 현재는 액화하여 회수한다. 메탄 함량이 높으면 LNG가 되고, 낮으면 LPG의 원료가 된다. 이러한 광상을 유용해성 가스 광상이라고 한다.[175] |
탄전 지대 | 탄전가스, 탄층가스 | 석탄층에 흡착되어 있거나 틈새에 존재하는 가스이다. |
(지하수 용해) | 수용성 가스 | 지하수에 녹아 있는 형태로 존재하는 천연가스이다. |
가스전 | 건성가스 | 메탄이 85~95%로 주성분이며, 에탄, 프로판, 부탄 등 다른 탄화수소 함량은 비교적 적다. 주로 액화되어 LNG가 된다. 이러한 광상을 유리성 가스 광상이라고 한다.[175] 메탄 하이드레이트와 관련이 있다. |
원유 정제 플랜트 | 정제가스 | 원유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가스로, 액화하여 LPG의 원료로 사용된다.[175] |
천연가스는 종종 단순히 '가스'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휘발유를 의미하는 '가스'(gasoline)와는 구분해야 한다. 측정 단위로는 표준 세제곱미터(Sm3) 또는 표준 세제곱피트(scf)를 사용한다.
천연가스는 난방, 요리, 발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플라스틱 제조 등 화학 공업의 원료로도 쓰인다. 그러나 천연가스의 추출과 연소 과정에서 주성분인 메탄과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온실 기체로 배출되어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연소 시 다른 화석 연료에 비해 대기 오염 물질 배출은 적은 편이지만, 생산 및 운송 과정에서의 누출(비산 배출)을 고려하면 전체적인 탄소 발자국은 다른 화석 연료와 비슷할 수 있다. 지하에서 생산된 천연가스는 보통 물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처리 과정을 거치며, 이 과정에서 에테인, 프로페인, 뷰테인 등이 부산물로 얻어진다.
7. 분류
천연가스는 존재하는 상태, 산출되는 지질학적 환경, 저장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하에서 생산되는 기체 상태의 천연가스와 이를 운송 및 저장을 위해 액화시킨 액화천연가스(LNG)로 구분하기도 한다. 산출 장소에 따라서는 셰일가스나 메탄 하이드레이트 등으로 나뉘며, 저장 방식에 따라 지하 저장이나 흡착 저장 등으로 분류된다.
7. 1. 산출 장소에 따른 분류

천연가스는 산출되는 지질학적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셰일가스와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있다.
=== 셰일가스 ===
셰일 암석층에서 생산되는 천연가스를 셰일가스라고 한다. 셰일은 입자 사이의 틈이 매우 작아 가스의 자연적인 이동이 어렵기 때문에(낮은 기질 투수율), 경제적인 양의 가스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암석층에 균열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균열을 통해 가스를 추출했지만,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셰일가스 시추공에서 수압 파쇄 기법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균열을 만들어 가스를 생산한다.
2000년대 이후 셰일가스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천연가스의 주요 공급원으로 부상했다.[41] 특히 미국의 셰일가스 생산량 증가는 "셰일가스 혁명"으로 불리며, 이로 인해 미국은 2014년 세계 최대 천연가스 생산국이 되었다.[42] 이는 21세기의 중요한 에너지 사건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43]
미국의 성공에 힘입어 폴란드,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여러 국가에서도 셰일가스 탐사가 진행되고 있다.[44][45][46] 중국의 지질학자들은 쓰촨 분지를 유망한 셰일가스 개발 지역으로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해당 지역의 셰일 지층이 미국의 생산성 높은 셰일 지층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Wei-201 시추공에서는 하루 10,000~20,000 입방미터의 가스를 생산했다.[47] 2020년 말,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공사(CNPC)는 창닝-웨이위안 시범 지역에서 하루 2천만 입방미터의 가스 생산량을 달성했다고 발표했다.[48]
=== 메탄 하이드레이트 ===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주로 메탄으로 구성된 천연가스가 낮은 온도와 높은 압력 조건에서 물 분자와 결합하여 얼음처럼 고체화된 상태이다. 막대한 양의 메탄 하이드레이트가 해저 대륙붕의 퇴적물 아래나 시베리아와 같은 영구 동토층 지역의 육지 지하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메탄 하이드레이트는 미래의 잠재적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개발 연구가 진행 중이다. 2013년, 일본의 일본석유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는 메탄 하이드레이트에서 상업적으로 의미 있는 양의 천연가스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하여 기술 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49]
7. 2. 저장 방식에 따른 분류
천연가스는 원유와 달리 지상에서 대량으로 저장하기 어렵다. 극저온 상태의 LNG로 만들어야 하지만, 관련 시설 건설 및 냉각 유지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많은 국가에서는 천연가스를 지하의 고갈된 가스전이나 대수층 등 적합한 지층 구조에 다시 압력을 가해 주입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600곳 이상, 일본에서도 여러 곳의 지하 저장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지하 저장을 위해서는 저장 공간 상부에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투과성이 없는 단단한 암석층인 캡록(cap rock)이 필수적이다. 지하 저장은 주로 여름철과 같이 수요가 적은 시기에 가스를 저장했다가 겨울철 수요 급증에 대비하거나, 파이프라인 사고 등 비상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다.[175]다른 저장 방식으로는 흡착제를 이용하는 흡착 천연가스(ANG, Adsorbed Natural Gas) 방식이 있다. 이는 흡착제라고 불리는 다공성 고체 물질 표면에 천연가스 분자를 흡착시켜 저장하는 방식이다. 메탄 저장에 가장 적합한 조건은 상온 및 대기압이지만, 압력을 최대 4MPa(대기압의 약 40배)까지 높이면 저장 용량을 더 늘릴 수 있다. ANG 저장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흡착제는 활성탄(AC)이며, 주로 활성탄 섬유(ACF), 분말 활성탄(PAC), 활성탄 모놀리스(monolith)의 세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173]
8. 용도
천연가스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는 중요한 에너지 자원이다. 주된 용도는 난방, 요리, 발전이며, 플라스틱 등 다양한 화학 제품을 만드는 원료로도 사용된다. 차량 연료로도 사용되지만 다른 용도에 비해 일반적이지는 않다.
=== 발전 ===
천연가스는 화력발전소의 주요 연료 중 하나이다. 석탄이나 석유에 비해 연소 시 질소산화물(NOx), 황산화물(SOx)과 같은 대기오염 물질과 온실가스인 이산화 탄소(CO₂)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장점이 있다.[176][177] 하지만 천연가스 자체(주성분인 메테인)가 강력한 온실가스이며, 추출 및 운송 과정에서 누출될 경우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급망 전체를 고려할 때 다른 화석 연료와 유사한 수준의 탄소 발자국을 가질 수도 있다.
=== 가정용 ===
가정에서는 주로 난방과 취사용 연료로 사용된다. 미국에서는 전체 가구의 1/3 이상(약 4천만 가구)이 요리에 천연가스를 사용한다.[4] 천연가스는 연소 시 1100°C가 넘는 높은 온도를 낼 수 있어 효율적인 가정용 연료이다.[80] 가스레인지, 오븐 외에도 HVAC(냉난방 공조 시스템), 온수기, 보일러, 벽난로 등 다양한 기기의 연료로 쓰인다.[81]
가정용 가스 기기는 보통 대기압보다 약간 높은 저압(약 0.25psi)으로 작동한다. 하지만 건물로 들어오는 공급관의 압력은 이보다 훨씬 높은 고압(1psi 에서 120psi)일 수 있으며, 이 경우 건물 입구의 압력 조정기를 통해 사용 압력으로 낮춘다.[82] 건물 내부 배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2psi 에서 5psi 압력으로 설계되며, 필요에 따라 추가 감압 장치가 설치된다. 미국에서는 NFPA 54(National Fuel Gas Code) 규정에 따라 건물 내 가스 배관의 최대 작동 압력을 일반적으로 5psi 이하로 제한한다.[83] 호주에서는 가스 처리 시설에서 조정소로 운송된 후, 분배 압력(보통 7 kPa ~ 515 kPa)으로 조정되고 각 가정에는 1.1 kPa 또는 2.75 kPa로 낮춰 공급된다.[87]
=== 산업용 ===
산업 분야에서도 천연가스는 중요한 연료 및 원료로 사용된다.
- '''화학 원료:'''
- * 하버-보슈법을 이용한 암모니아 생산의 핵심 원료이다. 생산된 암모니아는 주로 질소 비료 제조에 사용되며, 이는 현대 농업 생산성 향상과 세계 인구 부양에 크게 기여했다.[81][95][96][97]
- * 수소(H₂) 생산에 사용된다. 수증기 개질과 같은 공정을 통해 천연가스로부터 수소를 얻을 수 있으며, 생산된 수소는 정유 공정, 수소화 반응, 연료 전지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된다.
- * 메테인을 영양분으로 사용하는 메틸로코쿠스 캡슐라투스(Methylococcus capsulatus)와 같은 박테리아를 배양하여 동물 및 어류 사료용 단백질을 생산하는 데 쓰이기도 한다.[98][99][100]
- * 에탄, 프로판과 같은 천연가스 내 탄화수소는 올레핀(알켄)과 같은 기초 화학 물질 생산의 출발 물질이 된다. 예를 들어, 에탄은 에틸렌으로 전환되어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이나 에틸렌 글리콜(부동액 원료)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고, 프로판은 프로필렌으로 전환되어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이나 아크릴산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 * 이 외에도 섬유, 유리, 철강, 플라스틱, 페인트, 합성유 등 다양한 제품 제조 공정에 활용된다.[101]
- '''공정 연료:''' 산업용 보일러, 건조기, 용광로 등 다양한 설비의 열원으로 사용된다.
=== 운송 연료 ===

천연가스는 운송 부문에서도 연료로 사용된다.
- '''압축천연가스(CNG):''' 천연가스를 높은 압력으로 압축한 형태로, 주로 버스, 트럭 등 천연가스 자동차의 연료로 사용된다. 휘발유나 경유에 비해 배기가스 배출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천연가스의 옥탄가는 약 135 정도로 매우 높다.[222]
- '''액화천연가스(LNG):''' 천연가스를 약 -162°C 이하의 초저온으로 냉각하여 액화시킨 것이다. 부피가 기체 상태의 약 1/600로 줄어들어[175] 대량 수송 및 저장이 용이하다. 주로 LNG선을 통해 장거리 해상 운송되며, 천연가스 동력선의 연료로도 사용된다.[178] LNG는 액화 과정에서 이산화 탄소, 황 화합물 등 불순물이 제거되어 매우 순수한 메테인을 주성분으로 한다.[175]
- '''가스 투 리퀴드(GTL):''' 천연가스를 휘발유, 경유, 제트 연료 등 액체 연료로 전환하는 기술이다. 피셔-트롭슈 공정(Fischer-Tropsch process), 메탄올-가솔린 전환(MTG), 합성가스-가솔린 플러스 전환(STG+) 등의 기술이 있으며, 이를 통해 황 성분이 거의 없는 고품질의 합성 연료를 생산할 수 있다.[30]
천연가스는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될 때, 중간 지점의 압축기 스테이션에서 자체 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여 압축기를 가동하기도 한다. 이 압축기는 파이프라인 내 가스 압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79]
9. 생산 및 처리
천연가스는 주로 원유 생산 과정에서 함께 산출되는 부생가스(associated gas)이거나, 원유와 무관하게 천연가스전에서 독립적으로 발견되는 비부생가스(non-associated gas)이다. 또한 석탄층에 흡착된 형태로 존재하는 탄층 메탄(coalbed methane) 형태로도 발견된다.[32]
과거 19세기에는 원유 생산 시 함께 나오는 천연가스를 경제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워 종종 폐기물로 취급되었다. 원유가 지하의 고압 환경에서 지표면으로 올라오면서 압력이 낮아지면, 원유에 녹아 있던 가벼운 탄화수소(주로 메탄)가 분리되어 나왔는데, 이는 마치 탄산음료 병뚜껑을 열었을 때 거품이 일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당시에는 생산된 대량의 가스를 소비지로 운반할 파이프라인이나 천연가스 저장 시설을 건설하는 비용이 높아, 많은 양의 천연가스가 유전 현장에서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벤팅)되거나 가스 플레어 방식으로 태워졌다(플레어링). 이러한 가스 배출과 플레어링은 환경 문제와 자원 낭비 문제로 인해 현재는 많은 국가에서 규제하고 있으며, 상업적으로 활용하거나 지하 저류층에 다시 주입하는 등 대안적인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28][29]
유정이나 가스정에서 채취된 천연가스는 그대로 사용되지 않고, 소비자의 요구 기준(예: 특정 발열량)을 맞추고 파이프라인 및 처리 시설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처리 과정을 거친다.
1. 분리 공정: 채취된 천연가스에는 가스 외에도 원유, 물, 모래 등이 섞여 있다. 먼저 분리기(separator)를 이용하여 무게 차이 등을 통해 가스, 원유, 물을 일차적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원유는 별도로 처리되며, 물은 정화 후 지하에 다시 주입되는 경우가 많다. 가스 성분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무거운 탄화수소(예: 프로판, 뷰테인, 펜탄 등)는 콘덴세이트(condensate) 또는 천연가스 액체(NGL, Natural Gas Liquids)로 분리되어 LPG나 석유화학 원료 등으로 활용된다.
2. 탈수 공정: 가스에 포함된 수분은 파이프라인 내에서 하이드레이트를 형성하여 막힘을 유발하거나 부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제거해야 한다. 주로 글리콜(glycol)을 이용한 흡수 방식이나 흡착제를 이용한 탈수기(dehydrator)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3. 불순물 제거 공정: 황화합물(H2S), CO2, N2, He, Hg 등 천연가스의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장비를 부식시키는 불순물을 제거한다.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는 주로 아민(amine) 용액을 이용한 흡수법으로 제거하며, 황화수소는 회수하여 황(Sulfur)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수은은 활성탄 흡착법 등으로 제거한다. 처리된 천연가스는 일반적으로 황화수소 4ppm 이하, 이산화탄소 100ppm 이하, 수분 1ppm 이하 등의 엄격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헬륨 함량이 높은 천연가스의 경우, 이 공정에서 헬륨을 분리하여 상업적으로 생산하기도 한다.[33]
4. 냉동 및 액화 공정 (필요시): 처리된 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LNG) 형태로 운송하거나 저장하기 위해 줄-톰슨 효과나 극저온 냉각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약 -162°C 이하로 냉각시켜 액화한다. 파이프라인으로 직접 공급하는 경우에는 기체 상태로 출하된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가스전 외에도 기술 발전에 힘입어 경제성 있는 생산이 어려웠던 비전통 가스(unconventional gas) 자원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대표적인 비전통 가스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셰일가스 (Shale gas): 셰일(shale) 지층의 미세한 공극에 저장된 천연가스이다. 셰일은 투과율이 매우 낮기 때문에, 수압 파쇄(hydraulic fracturing) 공법을 이용하여 인공적인 균열을 만들어 가스를 추출한다. 200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셰일가스 생산이 급증하면서 "셰일 혁명"이라 불리는 에너지 시장의 변화를 가져왔으며,[41][42][43] 중국, 아르헨티나 등 다른 국가에서도 개발이 진행 중이다.[44][45][46][47][48]
- 타이트 가스 (Tight gas): 투과율이 낮은 사암이나 탄산염암 지층에 저장된 천연가스이다. 셰일가스와 마찬가지로 수압 파쇄 등의 기술이 필요하다.
- 탄층 메탄 (Coalbed methane, CBM): 석탄층에 흡착되어 있는 메탄가스이다. 석탄 채굴 시 안전을 위협하는 가스였으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 메탄 하이드레이트 (Methane hydrate): 저온 고압 상태에서 물 분자가 메탄 분자를 둘러싸 얼음처럼 고체화된 것이다. 주로 심해저 퇴적층이나 영구 동토층 아래에 막대한 양이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차세대 에너지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일본 등에서 상업적 생산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시험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다.[49]
이러한 비전통 가스의 개발은 천연가스 매장량을 크게 늘리고 공급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지만, 수압 파쇄 과정에서의 환경 영향 등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10. 환경 문제
천연가스 추출 및 소비는 기후 변화의 주요 원인이며 그 영향력이 점점 커지고 있다.[106][107][108] 천연가스 자체(주성분인 메테인)와 연소 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모두 온실 기체이기 때문이다.[109][110]
=== 온실가스 배출 ===
인간 활동은 전체 메탄 배출의 약 60%를 차지하며 대기 중 메탄 농도 증가의 주요 원인이다.[111][112][113] 특히 화석 연료인 천연가스는 추출, 저장, 운송, 분배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방출되거나 누출되는 경우가 많다.[110] 과거에는 원유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천연가스를 단순히 방출(가스 배출)하거나 태워버리는(가스 플레어) 경우가 흔했으며, 이는 현대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다.[28][29]
전 세계적으로 메탄은 인위적인 온실 가스 온난화의 약 33%를 유발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14] (생활 쓰레기 분해 등 다른 요인도 기여[115]) 메탄(CH4)은 대기 중에서 수산기 라디칼(OH-)과 반응하여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분해된다 (CH4 + 2O2 → CO2 + 2H2O).[116][117] 대기 중 수명은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짧지만(반감기 약 7년[118]), 열을 가두는 능력은 훨씬 뛰어나다. 지구온난화지수(GWP)로 볼 때, 20년 기준으로는 이산화탄소의 84배, 100년 기준으로는 28배 더 강력한 온실 효과를 일으킨다.[113] 따라서 천연가스는 단기적으로는 메탄의 강력한 온실 효과, 장기적으로는 연소 및 분해 결과 생성되는 이산화탄소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인해 기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온실 기체이다.[113]
이러한 공급망 전반의 가스 배출 및 누출 문제 때문에, 연소 시 비교적 깨끗하다는 인식과 달리 천연가스의 전체 탄소 발자국은 다른 화석 연료와 비슷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
기후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천연"이라는 단어가 환경에 덜 해롭다는 인식을 줄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일부 환경 운동가들은 기후 위협을 더 명확히 전달하기 위해 "화석 가스" 또는 "메탄 가스"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주장한다.[17][18][19] 실제로 2020년 미국 연구에 따르면, 정치 성향과 관계없이 "메탄 가스"라는 용어를 들었을 때 사람들이 그 해악과 위험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20]
=== 연소 시 대기 오염 ===
천연가스는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다른 화석 연료에 비해 연소 시 이산화 황(SO2)과 질소산화물(NOx) 같은 대기 오염 물질 배출량이 훨씬 적다.[120][176] 이 때문에 화력 발전소의 주요 연료로 사용되기도 한다.[177]
그러나 가정에서 난방이나 요리를 위해 천연가스를 연소할 때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은 실내 공기 질을 악화시켜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02][103][137]
=== 기타 환경 문제 ===
천연가스 채굴 과정에서는 폴로늄(Po-210), 납(Pb-210), 라돈(Rn-220)과 같은 방사성 동위 원소가 함께 나올 수 있다. 특히 기체 상태인 라돈은 붕괴하면서 납(Pb-210)과 같은 고체 방사성 물질을 생성하여 가스 채굴 장비 내부에 쌓일 수 있다.[138]
=== 대응 및 전환 ===
메탄 배출 감축은 단기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늦출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세계 메탄 이니셔티브와 같은 국제적 노력이 진행 중이다.[114]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천연가스 사용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네덜란드는 2050년까지 모든 가정에서 천연가스 사용을 중단하고 지역난방 등으로 전환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암스테르담에서는 2018년부터 신축 주택의 가스 연결을 금지했다.[129] 미국의 일부 도시와 주(뉴욕주[131] 등)에서도 신축 건물의 가스 설비 설치를 금지하거나 제한하는 법규를 도입하고 있다.[130]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132]와 빅토리아주[133] 역시 신규 가스 연결을 금지했다. 영국 정부도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가정 난방의 탈(脫)가스화를 위한 기술을 모색하고 있다.[135]
이러한 움직임에 맞서 미국의 천연가스 공급 업체들은 바이오가스나 수소 연료를 대안으로 홍보하며, 건물 전기화를 의무화하는 지역 규제를 막기 위한 로비 활동을 벌이고 있다.[136]
11. 안전 문제
천연가스를 이용한 요리는 실내 공기 질을 악화시키고 천식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102][103] 천연가스 채굴 과정에서는 또한 폴로늄(Po-210), 납(Pb-210), 라돈(Rn-220)과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가 생성될 수 있다. 특히 기체 상태인 라돈은 초기 방사능 수치가 1세제곱미터당 5~200,000 베크렐에 달하며, 빠르게 붕괴하여 납-210이 되어 가스 채굴 장비 표면에 얇은 막을 형성하기도 한다.[138]
천연가스 채굴 및 처리 작업자들은 고유한 건강 및 안전상의 문제에 직면한다.[139][140] 일부 가스전에서는 유독성 화합물인 황화수소를 포함하는 산성가스가 생산되기도 한다. 이러한 유해 성분은 아민 가스 처리 공정을 통해 제거된다.[141] 천연가스 채굴은 지하 저장소의 압력을 감소시켜 지반 침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생태계, 수로, 각종 기반 시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142]
천연가스는 원래 색깔과 냄새가 거의 없기 때문에 누출 시 감지하기 어렵다. 1937년 미국 텍사스주에서 발생한 뉴런던 스쿨 폭발 사고 이후, 누출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티오펜이나 tert-부틸티올과 같이 불쾌한 냄새가 나는 부취제를 첨가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특정 조건에서는 다른 냄새에 의해 부취제의 냄새가 가려지는 현상(냄새 가림)이 발생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160]
천연가스 누출로 인한 폭발 사고는 주택이나 건물 내부에서 가스가 축적될 경우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굴착 작업 중 부주의로 가스관이 손상되는 경우가 잦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재산 피해나 인명 피해가 발생하기도 한다.[161] 또한,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공간에서 가스 보일러를 사용하면 일산화탄소 중독의 위험이 있다. 일산화탄소 감지기 설치는 이러한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162]
지하 암석층에서 천연가스를 추출하는 수압파쇄(프래킹) 공정은 환경 및 안전 측면에서 여러 문제를 야기한다.[143][144] 이 공정에는 벤젠, 에틸벤젠과 같은 독성 및 발암성 화학물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156] 사용된 물(생산수)에는 이러한 화학물질 외에도 암석층에서 유래한 방사성 물질, 중금속, 염분 등이 포함될 수 있다.[146][157] 이러한 생산수는 처리가 어렵고 수질 오염을 유발할 수 있으며, 지하 주입 시 물 순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158] 수압파쇄 공법의 확산은 환경 및 공중 보건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152][153][154][155]
액화천연가스(LNG)는 -162°C 이하의 초저온 상태로 저장되는데, 누출될 경우 -113°C 이상으로 기화되기 전까지는 공기보다 무거워 지표면에 머무를 수 있다. 1944년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에서는 대규모 LNG 누출 사고가 발생하여, 방액제가 없는 상태에서 LNG가 시가지로 확산되고 폭발하여 128명의 사망자를 냈다.[217] 이 사고를 교훈 삼아 현재 LNG 저장 탱크 주변에는 방액제가 설치되어 만일의 누출 사고 시 피해 확산을 방지하도록 설계된다.[218]
12. 국제 관계
유럽 연합(EU) 내에서는 최종 소비자의 가스 가격이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인다.[168] EU는 단일 유럽 에너지 시장 구축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는 모든 회원국의 가스 가격을 비슷하게 만들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단일 시장은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 확보, 지구 온난화 문제 대응,[169] 다른 지중해 국가들과의 관계 강화, 해당 지역에 대한 투자 촉진 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170]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임박했을 당시, 미국은 카타르에 EU로의 비상 가스 공급을 요청하기도 했다.[171]
일본은 국내 천연가스 생산량이 수요에 비해 매우 적어 역사적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에 크게 의존해왔다.[181] 1969년 알래스카로부터 LNG 수입을 시작한 이래, 동남아시아(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중동(아부다비, 카타르, 오만), 러시아(사할린주), 미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LNG를 도입하고 있다. 과거 LNG 도입 초기에는 화력발전의 주 연료가 원유와 중유였기 때문에, 경제성 비교를 쉽게 하기 위해 원유 가격에 연동된 가격으로 거래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다. 계약 기간은 10년 이상의 장기 계약이 주를 이루었고, 구매한 LNG를 다른 지역에 재판매하는 것이 제한되는 조건이 붙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장기간 안정적으로 연료를 확보하려는 구매자 측의 요구와 더불어, LNG 생산자 측의 사정도 반영된 결과였다. 새로운 LNG 생산 프로젝트는 가스전 개발, 생산 설비 건설, 운반선 건조 등에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며, 장기간에 걸쳐 투자금을 회수해야 한다. 따라서 생산자 입장에서는 장기 판매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 투자 결정에 유리했다. 또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을 구성하기 위해서도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수익 확보가 필수적이었다. 재판매를 허용할 경우 LNG 운반선의 운항 일정이 변경되어 공급 계획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점도 재판매 제한 조건이 일반화된 이유 중 하나였다.
그러나 2010년대 이후 현물 거래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특히 셰일 혁명으로 미국에서 다수의 LNG 프로젝트가 추진되면서 유럽과 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으로의 공급이 가능해졌고, 이에 따라 LNG 판매 지역을 유연하게 변경하는 것이 점차 일반화되었다. 일본 공정거래위원회가 LNG 판매 지역 제한 조건을 문제 삼아 조사를 진행한 것도 이러한 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182][183] 도쿄상품거래소 등이 설립한 JAPAN OTC EXCHANGE 주식회사에서는 LNG 장외거래가 이루어졌으며, 2022년 4월에는 도쿄상품거래소에서 LNG 선물 거래도 시작되었다.[184] 하지만 2024년 현재 이러한 시장에서의 거래량은 아직 미미하며, 선물 거래의 대부분은 장외파생상품(OTC) 시장이나 인터컨티넨탈 익스체인지(ICE)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천연가스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 건설 경로 선정, 공급량 조절, 가격 책정 등에는 외교적, 지정학적 요인이 복잡하게 얽히는 경우가 많다. 천연가스 자원의 개발과 이용을 둘러싸고 여러 국가 및 지역에서 분쟁이 발생하기도 한다.
관련 국가/지역 | 분쟁 내용 |
---|---|
인도네시아 (아체) | 아체 독립 운동과 관련된 천연가스 자원 분쟁 |
예멘, 에리트레아 | 하니시 제도 분쟁 (천연가스 자원 관련 가능성) |
볼리비아 | 볼리비아 가스 분쟁 (국내 자원 통제 및 수출 관련 갈등) |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 동중국해 가스전 문제 |
러시아, 우크라이나 | 러시아-우크라이나 가스 분쟁 |
동남아시아, 중화인민공화국 | 남중국해 가스전 문제 |
13. 대한민국 천연가스 산업
한국가스공사(KOGAS)는 세계 최대의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업체 중 하나이다.[210] 대한민국은 천연가스 소비의 상당 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주로 화력발전 연료와 도시가스 원료로 사용한다.
13. 1. 도입 및 공급
천연가스는 주성분인 메탄 외에도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의 가스를 포함한다. LNG로 액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가스들도 함께 액화되므로, LNG는 원래 천연가스의 산지에 따라 탄화수소 구성 비율이 다르다. LNG 액화 초기 단계에서는 수화물을 만들어 파이프를 막는 이산화탄소나 플랜트를 부식시키는 황산화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LNG 자체는 인체에 무해하다.[175]LNG 액화 방식에는 "C3-MCR", "TEALARC", "PRICO", "CASCADE"의 네 가지가 있다. CASCADE 방식은 냉매로 메탄, 에틸렌, 프로판의 순수 성분을 각각 3단계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세 방식은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을 혼합하여 사용한다. 액화 플랜트에서는 C3-MCR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208]
일반적으로 액화 시설은 생산지에 가까운 육상에 설치되지만, 해상 가스전의 경우 부유식 해상 액화 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나 선적용 저장 설비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2013년에 진수된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l)의 선박형 구조물(자력 항해 장비는 없음)은 배수량이 60만ton 이상으로, 세계 최대급 항공모함 6척에 해당하는 거대한 규모였다.[209]

천연가스의 대량 수송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첫째는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기체 상태, 즉 CNG 수송이다. 이는 1930년대경 미국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러시아와 북아프리카에서 유럽 각국으로, 그리고 중앙아시아, 중동, 중국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둘째는 LNG 운반선을 이용한 LNG 수송이다. 중동, 오스트레일리아,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러시아, 미주 등의 산지에서 아시아, 유럽 등 수요국으로의 해상 수송에 주로 이용된다. 일본의 경우, 운반선으로 들여온 LNG는 항만 기점에서 파이프라인을 통해 화력발전소나 도시가스 사업자에게 공급된다. 세계 최초의 LNG 선박에 의한 국제 수송은 1959년 1월 25일, 미국 루이지애나주에서 영국 캔베이 아일랜드로 향한 "Methane Pioneer"호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선박은 원래 해군용 선박을 개조한 것으로, 2000ton의 LNG를 수송했다.[210] LNG 선박은 해난 사고가 극히 드물며, 대규모 가스 폭발이나 누출을 포함한 환경 파괴 사고는 발생한 적이 없다.
또한, 메탄하이드레이트 형태로 만들어 수송하는 방법이 개발 중이다. 이것이 실현되면 LNG보다 높은 온도에서도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수송 효율 향상이 기대된다. 더 나아가, 원산지에서 GTL(Gas-to-Liquids) 기술을 이용해 메탄올 등의 액체 연료로 변환하여 수송하는 방법도 실용화 단계에 있다.
파이프라인이나 도시가스 배관이 직접 연결되지 않은 수요자에게는 천연가스를 탱크로리나 철도 컨테이너에 옮겨 운반한다.[211] 철도를 이용한 LNG 수송은 일본의 석유자원개발 주식회사가 2000년 니가타현에서 시작한 것이 세계 최초로 알려져 있으며, 해외에 관련 기술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212]
13. 2. 소비
천연가스는 가정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는 전체 가구의 3분의 1 이상(약 4천만 가구)이 요리를 위해 가스를 사용한다.[4] 주택에 공급되는 천연가스는 1100°C 이상의 온도를 낼 수 있어, 가정용 요리 및 난방 연료로서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80] 하지만 스탠퍼드 대학교 과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가스 스토브는 사용하는 가스의 0.8%에서 1.3%를 연소되지 않은 메탄 형태로 배출하며, 미국 전체 스토브에서 배출되는 메탄의 양은 연간 28.1기가그램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4] 이는 천연가스 사용에 따른 환경적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선진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파이프를 통해 가정에 천연가스를 공급하며, 이는 렌지와 오븐, HVAC(난방/냉방 시스템), 야외 및 휴대용 그릴, 그리고 중앙 난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81] 가정 및 기타 건물에서 사용되는 난방 기기로는 보일러나 온수기 등이 있다. 북아메리카와 유럽은 천연가스의 주요 소비 지역이다.
가정용 가스 기기, 용광로, 보일러 등은 일반적으로 대기압보다 약 1.7 kPa (0.25 psi) 높은 저압 상태에서 작동한다. 반면, 건물로 들어오는 공급 라인의 압력은 이러한 표준 사용 압력(UP)이거나, 대기압보다 6.9 ~ 830 kPa (1 ~ 120 psi) 높은 고압(EP)일 수 있다. 고압(EP) 시스템의 경우, 서비스 입구에 설치된 압력 조정기를 통해 압력을 표준 사용 압력(UP) 수준으로 낮추어 사용한다.[82]
건물 내부의 천연가스 배관 시스템은 보통 14 ~ 34 kPa (2 ~ 5 psi)의 압력으로 설계되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다운스트림 압력 조정기를 설치하여 압력을 더 낮춘다. 미국에서는 건물 내 천연가스 배관 시스템의 최대 허용 작동 압력이 NFPA 54(전국 연료 가스 규정)에 의해 규제되지만[83], 공공 안전 당국의 승인이나 보험 회사의 더 엄격한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예외가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하지 않는 한, 천연가스 시스템 압력은 34 kPa (5 psi)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 관할 당국(AHJ)이 더 높은 압력을 허용하는 경우
- 배관이 용접 방식으로 시공된 경우 (일부 지역에서는 용접 부위의 연속성 확인을 위해 방사선 사진 촬영이 요구될 수 있음)
- 배관이 보호를 위해 밀폐되어 있고, 가스가 축적되지 않도록 환기가 잘 되는 공간에 설치된 경우
- 배관이 산업 공정, 연구, 저장 또는 기계 장비실과 같은 특정 용도의 구역에 설치된 경우
액화 석유 가스(LPG)의 경우, 건물이 NFPA 58(액화 석유 가스 규정) 7장에 따라 건설되었다면 최대 140 kPa (20 psi)의 압력이 허용될 수 있다.[84] 또한, 55 psig (3.7 bar)의 압력에서 작동하는 지진 감지 자동 차단 밸브는 지진 발생 시 부지 전체의 천연가스 배관 네트워크(옥외 지하, 건물 지붕 위, 캐노피 지붕 상부 지지대 내부 통과 등)로의 가스 흐름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 밸브는 최대 60 psig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85][86]
호주에서는 천연가스가 가스 처리 시설에서 송전관을 통해 각 지역의 조정소로 운송된다. 이후 가스 압력을 분배에 적합하게 조정한 뒤, 가스 메인(주 배관)을 통해 가스 네트워크 전체로 분배한다. '서비스'라고 불리는 작은 가지관들이 개별 주택이나 다세대 건물을 주 배관 네트워크에 연결한다. 네트워크 내 가스 압력은 일반적으로 7 kPa(저압)에서 515 kPa(고압) 사이이다.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공급되기 전에는 가스 계량기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1.1 kPa 또는 2.75 kPa로 다시 조정된다.[87] 천연가스 주 배관은 과거에는 주철로 만들어졌으나, 현대에는 주로 강철이나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된다.
미국의 일부 주에서는 천연가스 선택 프로그램을 통해, 기존 파이프라인 소유자의 인프라를 이용하는 독립적인 천연가스 도매업체나 공급업체가 소비자에게 직접 가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액화 석유 가스(LPG)는 주로 야외용 또는 휴대용 그릴의 연료로 널리 사용된다. 반면, 압축 천연가스(CNG)는 미국 내 시골 지역과 같이 저렴하고 풍부한 LPG의 기존 파이프라인 및 배포 네트워크가 부족한 곳에서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그 사용 빈도는 LPG에 비해 훨씬 낮다.
2006년 기준으로 세계 천연가스 생산량 및 무역량은 다음과 같다.[203]
운송 방식 | 무역량 (m³) |
---|---|
파이프라인 | 5,370억 |
액화천연가스(LNG) 탱커 | 2,110억 |
총 무역량 | 7,480억 |
액화천연가스(LNG)는 주성분인 메탄 외에도 에탄, 프로판, 부탄 등 다양한 가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탄화수소의 구성 비율은 원산지 천연가스의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LNG 액화 공정 초기 단계에서 파이프를 막을 수 있는 이산화탄소나 플랜트 부식을 유발하는 황산화물 같은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최종 생산된 LNG는 인체에 무해하다.[175]
LNG 액화 공정에는 주로 "C3-MCR", "TEALARC", "PRICO", "CASCADE" 네 가지 방식이 사용된다. 이 중 CASCADE 방식은 메탄, 에틸렌, 프로판을 각각의 냉매로 사용하는 3단계 순수 성분 냉각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며, 나머지 세 방식은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등을 혼합한 냉매를 사용한다. 현재 가동 중인 액화 플랜트에서는 C3-MCR 방식이 가장 많이 채택되고 있다.[208]
일반적으로 LNG 액화 시설은 생산지 근처 육상에 건설되지만, 해상 가스전의 경우에는 부유식 해상 액화 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나 선적용 저장 설비 등이 설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3년에 진수된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l)의 부유식 구조물(자체 항해 능력은 없음)은 배수량이 60만 톤 이상으로, 당시 세계 최대급 항공모함 6척에 해당하는 거대한 규모였다.[209]
LNG를 최종 소비자가 이용하기까지는 상류의 가스전 개발부터 시작하여 파이프라인 수송, 액화 플랜트에서의 액화, LNG 운반선을 통한 해상 수송, 수입 기지에서의 하역 및 저장, 재기화 설비를 통한 기화, 그리고 하류의 최종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수송망에 이르기까지, 소위 "LNG 밸류 체인(LNG Value Chain)"이라고 불리는 일련의 복잡한 설비와 과정이 필요하다.
LNG 수입 기지 및 재기화 설비(터미널)는 LNG 선박이 접안할 수 있는 부두 시설을 갖추어야 하며, LNG를 다시 기체 상태로 되돌리는 재기화 과정에 해수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 해안가에 위치한다. 세계 최초의 LNG 수입 기지는 영국 캔비 아일랜드(Canvey Island)에 건설되었으며, 미국과 알제리에서 수입된 LNG를 처리하는 거점 역할을 했다.[210] 2013년 싱가포르 주롱섬(Jurong Island)에서 가동을 시작한 LNG 터미널은 수입 설비와 재수출 설비를 동시에 갖춘 세계 최초의 복합 터미널이다.[213]
LNG 재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가운 기화열(냉열)을 활용하는 '냉열 이용' 기술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중요한 방법이다. 일본의 경우, 도쿄가스의 네기시(根岸) 공장에서는 냉열을 이용한 냉열발전, 참치 냉동 창고 운영, 공기 분리 장치 가동, 액화탄산가스 제조 설비 운영 등에 활용하여 열 교환 효율을 높이고 있다.[210] 또한 한신항 센보쿠(泉北) 콤비나트 지역에서는 냉동 우동 제조 공장(킨레이, 과거 오사카가스 자회사) 및 업무용 냉동고 운영, 심지어 오사카부립 린카이 스포츠센터의 스케이트 링크 냉각 등에 냉열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냉열 이용은 LNG 사업자에게는 재기화 비용 절감을, 관련 사업자에게는 제조 비용 절감을 가져다주며, 결과적으로 전력 사용량 감소를 통해 에너지 절약에 기여한다.
천연가스는 주로 다음과 같은 용도로 소비된다.
- 원료: 도시가스 제조, 화학 공업 원료
- 연료: 화력발전소 연료
일본의 경우, 천연가스 소비 비중은 도시가스용이 약 35%, 화력발전용이 약 65%를 차지한다.
;도시가스
:일본에서 천연가스를 도시가스로 이용하기 시작한 것은 간토 지방의 도쿄가스가 도쿄전력과 공동으로 요코하마시 이소고구 네기시에 일본 최초의 LNG 기지를 건설하면서부터이다. 1969년 11월 알래스카로부터 첫 LNG 탱커가 입항했으며, 1970년부터 도쿄전력 미나미요코하마(南横浜) 화력발전소에 연료로 공급되기 시작했다. 동시에 도쿄가스는 1972년부터 1988년까지 16년에 걸쳐 기존의 석유계 가스(6B) 공급을 천연가스(13A)로 전환하는 작업을 완료했다. 간사이 지방에서는 오사카가스가 1969년 천연가스 도입을 결정하고, 1975년부터 1990년까지 16년간 기존의 석탄 개질 가스 공급을 천연가스로 전환했으며, 사카이센보쿠항에 천연가스 콤비나트를 조성했다. 이렇게 공급되는 천연가스 기반 도시가스는 일본에서 주로 12A 또는 13A 규격으로 불린다.[210]
;화력발전
:화력발전용 연료로서는 도쿄전력 미나미요코하마화력발전소가 세계 최초의 LNG 전소 화력으로 건설되었다. 이후, 발전용 연료로서 많이 사용되는 것이 되어, 고출력의 가스터빈을 사용한 발전소가 전국에 건설되었다. 특히, 도쿄전력은 최근까지 세계 최대의 LNG 수입업체였으나, 그 자리를 한국가스공사(KOGAS)에 넘겨주었다. 중국에서는 석탄화력발전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유해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위한 환경대책으로서 천연가스의 수입을 늘리고, 2016년 이후에 신설하는 대부분의 발전소를 가스화력으로 전환하는 방침이다.
:한편, LNG는 장기 보존이 불가능하고, 급한 조달이 어려운 등의 이유로 화력발전소의 연료로서는 취약한 면을 지닌다. 2020년 말부터 2021년 초에 걸쳐 일본에 한파가 덮치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하였지만, 전력 회사들은 발전량에 맞는 LNG 조달을 하지 못하여 대혼란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LNG의 조달 가격이 2020년 4월 시점과 비교하여 7배 전후로 상승하는 현상도 보였다.[214] 유사한 예는 같은 해에 미국에서도 발생하여, 혹한에 시달린 텍사스주에서는 현물 가격이 순간적으로 통상 시의 100배까지 급등하는 현상이 보였다.[215]
:가와사키중공업은 "발전선"이라고 불리는 선박을 개발하고 있다. 이것은 항구에 계류한 상태로 LNG를 태워 발전하고 육상에 송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선박이다.[216]
13. 3. 인프라
천연가스는 주성분인 메탄 외에도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의 가스를 포함한다. LNG로 액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가스들도 함께 액화되므로, LNG는 원래 천연가스의 산지에 따라 탄화수소의 구성 비율이 달라진다. LNG 액화 초기 단계에서는 파이프를 막는 수화물을 만드는 이산화탄소나 플랜트를 부식시키는 황산화물 등의 불순물이 제거되어 인체에 무해하다.[175]LNG 액화 방식에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
방식 | 냉매 | 특징 |
---|---|---|
CASCADE | 메탄, 에틸렌, 프로판 (순수 성분) | 3단계 냉각 |
C3-MCR |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혼합) | 액화 플랜트에서 많이 사용됨 |
TEALARC |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혼합) | 혼합 냉매 사용 |
PRICO |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 (혼합) | 혼합 냉매 사용 |
CASCADE 방식은 순수 성분 냉매를 3단계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세 방식은 여러 가스를 혼합한 냉매를 사용한다. 실제 액화 플랜트에서는 C3-MCR 방식이 많이 채택된다.[208]
일반적으로 액화 시설은 가스전 생산지 근처 육상에 설치되지만, 해상 가스전의 경우 부유식 해상 액화 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나 선적용 저장 설비가 설치되기도 한다. 2013년에 진수된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l)의 FLNG는 배수량이 60만 톤 이상으로, 세계 최대급 항공모함 6척에 해당하는 거대한 규모였다.[209]
천연가스는 주로 도시가스나 화학공업의 원료, 화력발전소의 연료로 사용된다. 일본의 경우 도시가스용과 화력발전용 비율은 약 35:65이다.
- '''도시가스''': 일본에서는 도쿄가스가 도쿄전력과 공동으로 요코하마시 이소고구 네기시에 일본 최초의 LNG 기지를 건설하며 천연가스 이용을 시작했다. 1969년 11월 알래스카에서 첫 LNG 탱커가 도착했고, 1970년부터 도쿄전력 남요코하마화력발전소에 연료로 공급되었다. 도쿄가스는 1972년부터 1988년까지 16년에 걸쳐 기존 석유계 가스에서 천연가스(12A·13A)로 전환을 완료했다. 간사이 지방에서는 오사카가스가 1969년 도입을 결정하고, 1975년부터 1990년까지 16년간 석탄 개질 가스에서 천연가스로 전환했으며, 사카이센보쿠항에 천연가스 콤비나트를 형성했다.
- '''화력발전''': 화력발전 연료로는 도쿄전력 남요코하마화력발전소가 세계 최초의 LNG 전소 발전소로 건설되었다. 이후 고출력 가스터빈을 사용하는 LNG 화력발전소가 일본 전국에 건설되었다. 도쿄전력은 오랫동안 세계 최대의 LNG 수입업체였으나, 최근에는 한국가스공사(KOGAS)가 그 자리를 차지했다. 중국은 석탄화력발전 의존도를 낮추고 유해물질 배출을 줄이기 위한 환경 대책으로 천연가스 수입을 늘리고 있으며, 2016년 이후 신설되는 발전소 대부분을 가스화력으로 전환하는 방침이다.
하지만 LNG는 장기 보존이 어렵고 필요할 때 즉시 조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화력발전 연료로서 취약한 면이 있다. 2020년 말부터 2021년 초 일본에 한파가 닥쳐 전력 수요가 급증했을 때, 전력 회사들이 발전량에 맞는 LNG를 확보하지 못해 큰 혼란을 겪었다. 이로 인해 LNG 현물 가격이 2020년 4월 대비 7배 가까이 급등하기도 했다.[214] 비슷한 사례로 같은 해 미국 텍사스주에서도 혹한으로 인해 LNG 현물 가격이 평소의 100배까지 치솟는 현상이 나타났다.[215]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 개발도 진행 중이다. 가와사키중공업은 항구에 정박한 상태로 LNG를 연료로 사용하여 발전하고 육지로 전력을 보낼 수 있는 '발전선'을 개발하고 있다.[216]
13. 4. 정책
천연가스는 주성분인 메탄 외에도 에탄, 프로판, 부탄 등의 가스를 포함하고 있다. LNG로 액화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가스들도 동시에 액화되기 때문에, LNG는 원래 천연가스의 산지에 따라 탄화수소의 구성 비율에 차이가 있다. LNG 액화 초기 단계에서는 수화물을 만들어 파이프를 막는 이산화탄소나 플랜트를 부식시키는 황산화물 등 불순물이 제거되므로, LNG 자체는 인체에 무해하다.[175]LNG 액화에는 "C3-MCR", "TEALARC", "PRICO", "CASCADE"의 네 가지 주요 방식이 있다. CASCADE 방식은 냉매로 메탄, 에틸렌, 프로판의 순수 성분을 각각 3단계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세 방식은 질소, 메탄, 에탄, 프로판을 혼합하여 냉매로 사용한다. 실제 액화 플랜트에서는 C3-MCR 방식이 많이 채택되고 있다.[208]
일반적으로 가스전 근처 육상에 액화 시설이 건설되지만, 해상 가스전의 경우 부유식 해상 액화 설비(FLNG,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나 선적용 저장 설비가 설치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2013년에 진수된 로열 더치 쉘(Royal Dutch Shell)의 FLNG는 배수량이 60만ton 이상으로, 이는 세계 최대급 항공모함 6척에 해당하는 거대한 규모이다 (자체 항해 능력은 없음).[209]
14. 관련 통계
정제 및 연소 시 천연가스는 석유보다 25~30%, 석탄보다 40~45% 적은 이산화탄소(CO2)를 에너지 단위당 배출한다.[119] 다른 탄화수소 연료보다 유독성 오염 물질 배출 가능성도 낮다.[119][120] 그러나 생산 및 운송 과정을 포함한 수명 주기 전체를 고려하면, 다른 주요 화석 연료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배출을 유발한다. 즉, 수명 주기 온실가스 배출량은 소비 시점의 직접 배출량보다 약 50% 더 높다.[121][122]
100년 기준 온난화 효과 측면에서, 천연가스 생산 및 사용은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5분의 1을 차지하며, 이 기여도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2020년 천연가스 사용(플레어링 포함)으로 약 78억 톤의 CO2가 배출되었다. 같은 해 석탄과 석유 사용으로 인한 배출량은 각각 144억 톤과 120억 톤이었다.[123] 국제 에너지 기구(IEA)는 에너지 부문(석유, 천연가스, 석탄, 바이오에너지)이 인간 활동에 의한 메탄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산한다.[124]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천연가스 소비량은 15%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석유 및 석유 제품 소비량은 5% 증가했다.[125]
새로운 가스 파이프라인 건설이 계속되면서 향후 40~50년 동안 막대한 화석 온실가스 배출이 고착화될 수 있다.[126] 미국 텍사스주에서는 5개의 새로운 장거리 가스 파이프라인이 건설 중이며, 첫 번째는 2019년에 운영을 시작했고[127] 나머지는 2020년에서 2022년 사이에 운영될 예정이었다.[128]
천연가스의 양은 표준 세제곱미터(Sm³, 온도 15°C 및 압력 101.325 kPa 기준) 또는 표준 세제곱피트(scf, 온도 약 15.6°C 및 압력 14.73 psi 기준)로 측정된다. 1 Sm³는 35.301 scf와 같다. 상업용 천연가스의 총 발열량은 약 39MJ/m3이지만, 몇 퍼센트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는 밀도에 따라 약 50~54 MJ/kg에 해당한다.[164][165] 비교를 위해 순수 메탄의 연소열은 Sm³당 37.7 MJ 또는 55.5 MJ/kg이다.
유럽 연합, 미국, 캐나다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천연가스가 주로 기가줄(GJ) 단위로 소매 판매된다. 액화천연가스(LNG)와 액화석유가스(LPG)는 메트릭톤(1,000 kg) 또는 백만 BTU(MMBtu) 단위로 현물 거래된다. 장기 천연가스 공급 계약은 m³ 단위로, LNG 계약은 메트릭톤 단위로 체결된다. LNG와 LPG는 극저온에서 액화되어 특수한 LNG 운반선으로 운송된다. 각 LNG/LPG 화물의 사양에는 일반적으로 에너지 함량이 포함되지만, 이 정보는 공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유럽 연합은 2022년까지 러시아에 대한 가스 의존도를 3분의 2로 줄이는 것을 목표로 했다.[166]
2015년 8월, 이탈리아 가스 회사 ENI(에니)는 지중해에서 약 약 103.60km2에 달하는 초대형 가스전인 조흐르(Zohr) 가스전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이 가스전은 잠재적으로 30조 입방피트의 천연가스를 보유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양으로 약 55억 석유 환산 배럴(BOE)에 해당한다. ENI는 이것이 이집트 북부 해안 심해에서 발견되었으며, 지중해는 물론 세계에서도 가장 큰 가스전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167]
최종 소비자의 가스 가격은 유럽 연합(EU) 내에서도 국가별로 크게 다르다.[168] EU는 단일 유럽 에너지 시장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는 회원국 간 가스 가격을 평준화하고 공급 안정성 및 지구 온난화 문제[169] 해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른 지중해 국가와의 관계 강화 및 지역 투자 촉진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170] 러시아-우크라이나 위기 당시, 미국은 카타르에 공급 차질 발생 시 EU에 비상 가스를 공급해 줄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171]
미국 관습 단위에서 천연가스 1 입방피트(약 약 28.32L3)는 약 1028btu의 열량을 발생시킨다. 생성된 물이 응축되지 않을 때의 실제 발열량인 하위 발열량은 이보다 최대 10% 낮을 수 있다.[172] 미국에서는 소매 판매가 종종 써멀(th) 단위로 이루어지며, 1 써멀은 100,000 BTU이다. 가정용 가스 판매는 100 표준 세제곱피트(scf) 단위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가스 계량기는 사용된 가스 부피를 측정하고, 청구 시 해당 기간의 가스 에너지 함량(시간에 따라 변동)을 곱하여 써멀로 환산한다. 일반적인 단독 주택의 연간 소비량은 1,000 써멀 또는 1 주택 고객 환산량(RCE)이다. 도매 거래는 주로 데카써멀(Dth), 천 데카써멀(MDth), 백만 데카써멀(MMDth) 단위로 이루어진다. 백만 데카써멀은 1조 BTU이며, 약 10억 입방피트의 천연가스에 해당한다.
천연가스 가격은 위치와 소비자 유형에 따라 크게 다르다. 미국의 천연가스는 뉴욕상품거래소(NYMEX)에서 선물 계약으로 거래되며, 각 계약은 10,000 MMBtu (109 BTU)이다. 예를 들어 NYMEX에서 가스 가격이 1 MMBtu당 10달러라면, 계약 가격은 10만달러가 된다.
캐나다는 석유화학 제품 국내 거래에 미터법 단위를 사용한다. 따라서 천연가스는 기가줄(GJ), 세제곱미터(m³), 또는 천 세제곱미터(E3m³) 단위로 판매된다. 배급 인프라와 계량기는 대부분 부피(ft³ 또는 m³)를 측정한다. 서스캐처원과 같은 일부 주에서는 부피로만 판매하지만, 앨버타와 같은 다른 주에서는 에너지 함량(GJ)으로 판매한다. 이 지역에서는 대부분의 주거용 및 소규모 상업용 계량기가 부피(m³ 또는 ft³)를 측정하며, 청구서에는 부피를 지역 가스 공급의 에너지 함량으로 변환하는 승수가 포함된다.
기가줄(GJ)은 약 0.5oilbbl의 석유 또는 약 28316.85L3의 가스(1백만 BTU)와 거의 같은 에너지 단위이다. 캐나다의 가스 공급 에너지 함량은 유정과 고객 사이의 가스 공급 및 처리 과정에 따라 37MJ/m3 에서 43MJ/m3 범위에서 변동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mposition of natural gas: Understanding its key elements
https://group.met.co[...]
[2]
웹사이트
Background
http://www.naturalga[...]
Naturalgas.org
2012-07-14
[3]
논문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6
[4]
논문
Gas and Propane Combustion from Stoves Emits Benzene and Increases Indoor Air Pollution
2023-06-15
[5]
웹사이트
Why Does Natural Gas Smell Like Rotten Eggs? | Metropolitan Utilities District
https://www.mudomaha[...]
[6]
웹사이트
How Natural Gas Is Formed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https://www.ucsusa.o[...]
2022-05-03
[7]
웹사이트
Natural gas explained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0-09-30
[8]
웹사이트
Electricity from Natural Gas
http://www.epa.gov/c[...]
2013-11-10
[9]
뉴스
We need to talk about your gas stove, your health and climate change
https://www.npr.org/[...]
2022-05-03
[10]
웹사이트
Natural gas and the environment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0-09-30
[11]
웹사이트
Natural gas is a much 'dirtier' energy source, carbon-wise, than we thought
https://web.archive.[...]
2022-04-03
[12]
웹사이트
Organic Origins of Petroleum
http://energy.er.usg[...]
US Geological Survey
[13]
웹사이트
Natural gas
https://courses.lume[...]
2022-03-01
[14]
서적
Chemical Engineers' Handbook
1973
[15]
웹사이트
We need to talk about how we talk about natural gas
https://www.canaryme[...]
2023-07-27
[16]
서적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www.oed.com/[...]
[17]
웹사이트
The end of natural gas has to start with its name
https://www.vox.com/[...]
2023-07-27
[18]
웹사이트
"Natural" Gas is Not Clean Energy - It's Climate Endangering Methane Gas
https://www.sierracl[...]
2023-07-27
[19]
웹사이트
The high stakes of the natural gas branding battle
https://www.axios.co[...]
2021-09-10
[20]
웹사이트
Should it be called "natural gas" or "methane"?
https://climatecommu[...]
2023-07-27
[21]
웹사이트
First Oil Wells
http://www.historyli[...]
[22]
웹사이트
History
http://naturalgas.or[...]
NaturalGas.org
2016-12-01
[23]
서적
The Economics of the Gas Supply Industry
Routledge
2016
[24]
웹사이트
Britannica Academic
https://academic.eb.[...]
2023-07-27
[25]
웹사이트
Natural Gas Industry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2023-07-27
[2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Natural Gas - APGA
https://www.apga.org[...]
2019-02-18
[27]
웹사이트
World Energy Outlook 2009
http://www.worldener[...]
2009
[28]
웹사이트
Global Gas Flaring Reduction Partnership
https://sustainabled[...]
United Nations
2019-12-29
[29]
웹사이트
UN Climate Initiatives Platform - Zero Routine Flaring by 2030
http://climateinitia[...]
United Nations
2019-12-29
[30]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STG+ Technology
http://www.primusge.[...]
2013-03-05
[31]
웹사이트
First cargo of Pearl GTL products ship from Qatar
http://www.shell.com[...]
2017-11-19
[32]
웹사이트
Extraction
http://www.naturalga[...]
NaturalGas.org
[33]
웹사이트
Natural gas overview
https://web.archive.[...]
Naturalgas.org
2011-02-06
[34]
백과사전
Natural Gas – Proved Reserves
https://web.archiv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3-12-01
[35]
웹사이트
International statistics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13-12-01
[36]
웹사이트
U.S. Crude Oil, Natural Gas, and Natural Gas Proved Reserves, Year-end 2017
https://www.eia.gov/[...]
2019-08-26
[37]
웹사이트
Table 3.2 – World Proven Natural Gas Reserves by Country
http://www.opec.org/[...]
OPEC
2013-12-01
[38]
웹사이트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June 2013
http://www.bp.com/co[...]
[39]
웹사이트
Wonderfuel: Welcome to the age of unconventional gas
https://www.newscien[...]
2010-06-12
[40]
웹사이트
In Natural Gas, U.S. Will Move From Abundance to Imports
http://www.greentech[...]
2011-06-09
[41]
웹사이트
Estimate places natural gas reserves 35% higher
https://www.nytimes.[...]
2009-10-25
[42]
웹사이트
U.S. Now World's Leading Natural Gas Producer
http://www.desertsun[...]
2014-11-04
[43]
논문
Natural gas from shale formation – The evolution, evidences and challenges of shale gas revolution in United States
2014-02-01
[44]
뉴스
Poland Seeks to Boost Shale Gas Industry
http://www.ft.com/in[...]
2012-10-18
[45]
웹사이트
China Drills into Shale Gas, Targeting Huge Reserves Amid Challenges
http://news.national[...]
2012-10-18
[46]
뉴스
South Africa Allows Exploration of Shale Gas Resources
https://www.bloomber[...]
2012-10-18
[47]
논문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resource potential of shale gas in China
2010-12-01
[48]
뉴스
Shale gas production soars in SW China base
https://www.chinadai[...]
China Daily Information Co
2020-12-02
[49]
웹사이트
An Energy Coup for Japan: 'Flammable Ice'
https://www.nytimes.[...]
2013-03-12
[50]
웹사이트
Natural Gas Processing: The Crucial Link Between Natural Gas Production and Its Transportation to Market
http://www.dnr.loui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Office of Oil and Gas
2017-11-24
[51]
웹사이트
Natural Gas Processing
https://www.axens.ne[...]
2017-11-24
[52]
서적
Reliable & Efficient Feed Gas Preparation – A Key Enabler to Pearl GTL
https://www.onepetro[...]
Society of Petroleum Engineers
2015-06-11
[53]
컨퍼런스
Benefits of Integrating NGL Extraction and LNG Liquefaction
http://lnglicensing.[...]
2005-01-01
[54]
웹사이트
U.S. Natural Gas Gross Withdrawals
http://www.eia.gov/d[...]
2020-09-28
[55]
뉴스
Covid is at the center of world's energy crunch, but a cascade of problems is fueling it
https://www.nbcnews.[...]
2021-10-08
[56]
웹사이트
Advice for Working in the Vicinity of Gas Pipelines
https://www.gasnetwo[...]
2020-06-20
[57]
웹사이트
Gas Infrastructure Europe
http://www.gie.eu.co[...]
2009-06-18
[58]
웹사이트
African gas pipeline projects revived due to European gas crisis
https://intellinews.[...]
2023-04-22
[59]
웹사이트
Natural ga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 PowerUp – Parts for Gas-engines
https://www.powerup.[...]
2024-12-05
[60]
웹사이트
Von L-Gas auf H-Gas: Darum wird das Erdgas umgestellt
https://www.verbrauc[...]
2024-12-05
[61]
논문
Natural gas and CO2 price variation: Impact on the relative cost-efficiency of LNG and pipelines
2012-01-01
[62]
논문
Development of new technologies for shipping natural gas by sea
https://intapi.scien[...]
2009-01-01
[63]
서적
Dictionary of Petroleum Exploration, Drilling & Production
https://books.google[...]
PennWell Books
[64]
논문
On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U.S. Manufacturing: Evidence from the Shale Gas Revolution
http://cep.lse.ac.uk[...]
Centre for Economic Performance
2016-01-01
[65]
웹사이트
Bank-Led Satellite Imagery Sheds More Light on Gas Flaring Pollution
http://go.worldbank.[...]
2017-11-24
[66]
웹사이트
Will eyes in the sky end natural gas flaring?
http://www.ethanzuck[...]
2017-11-24
[67]
웹사이트
Composite image of gas flares in 1992, 2000 and 2006 by NGDC
http://www.ethanzuck[...]
2011-02-06
[68]
웹사이트
Composite image of the earth at night
https://nssdc.gsfc.n[...]
2017-11-24
[69]
뉴스
Gas infrastructure across Europe leaking planet-warming methane
https://www.reuters.[...]
2021-12-18
[70]
웹사이트
The Contours of the New Cold War
http://www.imi-onlin[...]
IMI
2011-02-06
[71]
웹사이트
Gazprom and Russian Foreign Policy
https://www.npr.org/[...]
2017-11-24
[72]
웹사이트
U.S. Natural Gas Export Era Begins In 2015, Fueling Upside In Prices
http://seekingalpha.[...]
2014-06-23
[73]
웹사이트
SEAAOC – NT Resources Week – Informa – NT Government
http://www.seaaoc.co[...]
2015-06-11
[74]
웹사이트
The Floating Liquefied Natural Gas (FLNG) Market 2011-2021
http://www.visiongai[...]
2015-06-11
[75]
웹사이트
Petronas' FLNG Facility to Deliver First Cargo in Q1 2016
http://worldmaritime[...]
2015-04-22
[76]
웹사이트
Steel cut for PETRONAS FLNG 2
http://www.aogdigita[...]
2015-06-16
[77]
웹사이트
prelude starts production
https://www.shell.co[...]
[78]
웹사이트
Browse Development – We remain committed to the earliest commercial development of the world-class Browse resources
http://www.woodside.[...]
[79]
웹사이트
Natural Gas Fuel Conditioning System – BTU Reduction
http://rto.american-[...]
2017-11-23
[80]
서적
Nature's Curiosity Shop
https://archive.org/[...]
Contemporary books
[81]
서적
Green Energy: An A-to-Z Guide
https://books.google[...]
SAGE
2011
[82]
웹사이트
Using 2PSI Elevated Pressure Natural Gas Technology to Help Reduce Costs in Next- Generation Multi-Family New Construction
https://abcgreenhome[...]
2017-04-03
[83]
웹사이트
NFPA 54: National Fuel Gas Code
https://www.nfpa.org[...]
2023-04-22
[84]
간행물
Plumbing Engineering Design Handbook
https://www.mepengin[...]
American Society of Plumbing Engineers
[85]
논문
Risk-based maintenance: an holistic application to the gas distribution industry
https://repositorio-[...]
[86]
웹사이트
State of California | Apply for Gas Shutoff Valve Certification for Residential Structures
https://www.dgs.ca.g[...]
[87]
웹사이트
Gas Distribution System Code {{!}} Essential Services Commission
https://www.esc.vic.[...]
2020-09-22
[88]
웹사이트
Alternative Fuels Data Center: Natural Gas Vehicle Emissions
https://afdc.energy.[...]
2019-09-01
[89]
웹사이트
Worldwide NGV statistics
http://www.ngvjourna[...]
2017-11-19
[90]
웹사이트
Clean Engine Vehicle
http://www.idsc.ethz[...]
2010-10-22
[91]
뉴스
Take a look at some natural gas-powered airplanes
http://wellsaidcabot[...]
2014-11-06
[92]
잡지
American Firm Debuts First Airplane to Run on Natural Gas
https://www.wired.co[...]
2013-07-31
[93]
웹사이트
Chomarat Present C-Ply KittyHawk with CNG Potential
http://www.ngvglobal[...]
Le Cheylard France
2014-02-19
[94]
웹사이트
Development of Cryogenic Fuel Aircraft
http://www.tupolev.r[...]
Tupolev
2011-02-06
[95]
뉴스
Soaring fertilizer prices put global food security at risk
https://www.axios.co[...]
2022-05-06
[96]
학술지
How a century of ammonia synthesis changed the world
http://www.physics.o[...]
2008-10-01
[97]
뉴스
Fears global energy crisis could lead to famine in vulnerable countries
https://www.theguard[...]
2021-10-20
[98]
웹사이트
BioProtein Production
https://www.ntva.no/[...]
2018-01-31
[99]
웹사이트
Food made from natural gas will soon feed farm animals – and us
https://www.newscien[...]
2018-01-31
[100]
웹사이트
New venture selects Cargill's Tennessee site to produce Calysta FeedKind® Protein
https://www.cargill.[...]
2018-01-31
[101]
뉴스
Food made from natural gas will soon feed farm animals – and us
https://www.newscien[...]
2016-11-10
[102]
웹사이트
Clearing the Air: Gas Cooking and Pollution in European Homes
https://www.clasp.ng[...]
2023-11-08
[103]
웹사이트
Gas Stoves: Health and Air Quality Impacts and Solutions
https://rmi.org/insi[...]
2024-05-05
[104]
학술지
What are the safest and cleanest sources of energy?
https://ourworldinda[...]
2021
[105]
웹사이트
The NOAA Annual Greenhouse Gas Index (AGGI)
https://gml.noaa.gov[...]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
2024
[106]
뉴스
Cleaner but not clean - Why scientists say natural gas won't avert climate disaster
https://www.reuters.[...]
2020-08-18
[107]
웹사이트
Data and Statistics: CO2 emissions by energy source, World 1990-2017
https://www.iea.org/[...]
International Energy Agency (Paris)
2020-04-24
[108]
논문
CO₂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CO₂ Emissions by Fuel
https://ourworldinda[...]
Published online at OurWorldInData.org.
2020-04-24
[109]
웹사이트
Why carbon dioxide isn't the only greenhouse gas we must reduce – Dr Richard Dixon
https://www.scotsman[...]
2020-08-17
[110]
웹사이트
Methane Emissions in the Oil and Gas Industry
https://www.american[...]
American Geosciences Institute
2019-05-01
[111]
웹사이트
Methane, explained
https://www.national[...]
nationalgeographic.com
2020-04-24
[112]
웹사이트
Global Carbon Project (GCP)
https://www.globalca[...]
2020-04-24
[113]
논문
Anthropogenic and Natural Radiative Forcing
http://www.climate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nited Kingdom and New York, New York, US
[114]
웹사이트
Global Methane Emissions and Mitigation Opportunities
https://www.globalme[...]
Global Methane Initiative
2020-04-24
[115]
웹사이트
Fossil fuel use may emit 40 percent more methane than we thought
https://www.sciencen[...]
Science News
2020-04-24
[116]
서적
Environmental Chemistry
CRC press
[117]
웹사이트
Methane: A Scientific Journey from Obscurity to Climate Super-Stardom
http://www.giss.nasa[...]
2013-06-11
[118]
뉴스
Curbing Emissions by Sealing Gas Leaks
https://www.nytimes.[...]
2013-06-11
[119]
웹사이트
Natural Gas and the Environment
http://www.naturalga[...]
NaturalGas.org
2013-06-11
[120]
웹사이트
Natural Gas in Asia: History and Prospects
http://www.nbr.org/d[...]
[121]
간행물
Life Cycle Greenhouse Gas Perspective on Exporting Liquefied Natural Gas from the United States
https://www.energy.g[...]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US Department of Energy
[122]
논문
Comparing Greenhouse Gas Impacts from Domestic Coal and Imported Natural Gas Electricity Generation in China
2021-07-05
[123]
논문
CO2 emissions by fuel
https://ourworldinda[...]
2021-01-22
[124]
웹사이트
Global Methane Tracker 2022 – Analysis
https://www.iea.org/[...]
2022-02-23
[125]
서적
IPCC AR6 WG1
[126]
뉴스
North American drilling boom threatens big blow to climate efforts, study finds
https://www.theguard[...]
2019-04-25
[127]
웹사이트
Gulf Coast Express Pipeline placed in service ahead of schedule
https://www.business[...]
Business Wire
2019-12-31
[128]
웹사이트
Natural Gas Flaring and Venting: State and Federal Regulatory Overview, Trends, and Impacts
https://www.energy.g[...]
U.S. Department of Energy
2019-12-29
[129]
웹사이트
Van der Pekbuurt gaat als eerste Amsterdamse wijk van het aardgas af
https://www.at5.nl/a[...]
2018-10-01
[130]
웹사이트
Dozens Of US Cities Are Banning Natural Gas Hookups In New Buildings — #CancelGas #ElectrifyEverything
https://cleantechnic[...]
2021-03-09
[131]
뉴스
Bye-bye blue flame? NY to require gas-free new buildings
https://www.washingt[...]
2023-05-02
[132]
웹사이트
Canberra Natural Gas Bans To Hit Appliance Retailers
https://www.channeln[...]
2023-01-13
[133]
웹사이트
Victoria's Gas Substitution Roadmap
https://www.energy.v[...]
Victorian Government
2023-10-07
[134]
웹사이트
'Always look up': Connecting Community for a Win against Gas
https://commonslibra[...]
2024-08-12
[135]
웹사이트
Heat in Buildings
https://www.gov.uk/g[...]
2021-08-09
[136]
뉴스
As Cities Grapple With Climate Change, Gas Utilities Fight To Stay In Business
https://www.npr.org/[...]
NPR
2021-02-22
[137]
논문
Methane and NO x Emissions from Natural Gas Stoves, Cooktops, and Ovens in Residential Homes
2022-02-15
[138]
웹사이트
Naturally 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http://world-nuclear[...]
2017-11-22
[139]
웹사이트
CDC - NIOSH - NORA Oil and Gas Extraction Council
https://www.cdc.gov/[...]
2019-03-14
[140]
웹사이트
NORA Oil and Gas Extraction Council - Research Agenda
https://www.cdc.gov/[...]
2019-03-14
[141]
웹사이트
Processing Natural Gas
http://www.naturalga[...]
NaturalGas.org
2011-02-06
[142]
서적
Environmental Science
https://books.google[...]
Jones & Bartlett Learning
[143]
뉴스
The Facts on Fracking
https://www.nytimes.[...]
2013-03-13
[144]
웹사이트
Frackonomics: Some Economics of Hydraulic Fracturing
2015-09-01
[145]
간행물
Shale Energy Shapes Global Energy Markets
2013-11-00
[146]
논문
Geological Disposal of Energy-Related Waste
[147]
보고서
Trends in Hydraulic Fracturing Distributions and Treatment Fluids, Additives, Proppants, and Water Volumes Applied to Wells Drilled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1947 through 2010—Data Analysis and Comparison to the Literature
http://pubs.usgs.gov[...]
U.S. Geological Survey
2015-00-00
[148]
웹사이트
Our responsibility: Limit the impact of our industrial operations
http://www.total.com[...]
Total
[149]
웹사이트
Shale Gas and Other Unconventional Sources of Natural Gas
http://www.ucsusa.or[...]
[150]
웹사이트
How is Shale Gas Produced?
http://energy.gov/si[...]
[151]
웹사이트
U.S. Average Depth of Natural Gas Developmental Wells Drilled
http://www.eia.gov/d[...]
[152]
웹사이트
The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Health Impacts of High-Volume Hydraulic Fracturing of Unconventional Gas Reserves
http://www.apha.org/[...]
2012-10-30
[153]
웹사이트
Documents Reveal Billions of Gallons of Oil Industry Wastewater Illegally Injected into Central California Aquifers
http://www.biologica[...]
Center for Biological Diversity
2014-10-06
[154]
논문
Sharp increase in central Oklahoma seismicity since 2008 induced by massive wastewater injection
2014-07-25
[155]
논문
Methane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accompanying gas-well drilling and hydraulic fracturing
2011-05-17
[156]
웹사이트
Quality Assurance Project Plan for the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elect Constituents Relevant to Hydraulic Fracturing
https://www.epa.gov/[...]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7-11-22
[157]
논문
Should Fracking Stop?
2011-09-15
[158]
웹사이트
As Texas Withers, Gas Industry Guzzles
https://www.motherjo[...]
2017-11-22
[159]
뉴스
Cheap natural gas jumbles energy markets, stirs fears it could inhibit renewables
https://www.washingt[...]
2022-06-24
[160]
논문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rom the Joint NIST—AGA Workshop on Odor Masking
[161]
웹사이트
Data and Statistics Overview
https://www.phmsa.do[...]
2021-07-22
[162]
보고서
Non-Fire Carbon Monoxide Deaths, 2011 Annual Estimate
http://www.cpsc.gov/[...]
US Consumer Product Safety Commission
2014-09-00
[163]
웹사이트
International / DATA / Natural Gas / Download options / Export CSV (table)
https://www.eia.gov/[...]
U.S. 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
2024-10-16
[164]
웹사이트
Gas Density, Molecular Weight and Density
http://www.teknopoli[...]
[165]
서적
Chemical Engineers' Handbook
1973-00-00
[166]
웹사이트
EU unveils plan to reduce Russia energy dependency
https://www.dw.com/e[...]
2022-03-08
[167]
웹사이트
Natural gas discovery could be largest ever
https://money.cnn.co[...]
2015-08-30
[168]
웹사이트
Energy Prices Report
http://www.energy.eu[...]
2015-06-11
[169]
웹사이트
Market analysis
http://ec.europa.eu/[...]
2015-06-11
[170]
논문
Offshore Natural Gas Resourc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in the Relations to the European Union: A Legal Perspective through the Lenses of MedReg
2015-00-00
[171]
웹사이트
Qatar seeks EU guarantee not to resell emergency gas
https://www.jpost.co[...]
2022-02-01
[172]
웹사이트
Heat value definitions
https://web.archive.[...]
2008-05-19
[173]
웹사이트
Adsorbed Natural Gas
http://scopewe.com/c[...]
2015-06-11
[174]
웹사이트
内山洋司「化石燃料のエネルギー転換」
https://www.jeh-cent[...]
一般社団法人日本エレクトロヒートセンター
[175]
웹사이트
都市ガス事業について
http://www.gas.or.jp[...]
日本ガス協会
2018-04-03
[176]
웹사이트
天然ガスが「クリーン・エネルギー」と呼ばれるのはなぜ?
http://www.inpex.co.[...]
2018-04-03
[177]
웹사이트
火力発電の主力燃料「LNG」の正体って?
http://www.tepco.co.[...]
2018-04-03
[178]
뉴스
海運3社/船舶にLNG 自ら供給網/環境規制に対応 燃料船普及視野
日経産業新聞
2018-03-15
[179]
웹사이트
天然ガスとは
http://www.mgc.co.jp[...]
2018-04-03
[180]
웹사이트
ヨウ素とは
http://www.gasukai.c[...]
2018-04-03
[181]
일반
[182]
웹사이트
(平成29年6月28日)液化天然ガスの取引実態に関する調査について 公正取引委員会
https://www.jftc.go.[...]
2024-06-11
[183]
뉴스
東ガス、LNGコスト削減/マレーシア産、転売可能に/ガス値下げの可能性も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03-14
[184]
웹사이트
https://www.kyoto-np[...]
[185]
논문
CH₄の炭素同位体比とN₂/Ar比の分布に基づく天然ガスの生成プロセス
[186]
논문
本邦油・ガス田地帯における天然ガスの起源に関する地球化学的考察
[187]
논문
地球深層天然ガスに関する調査
[188]
논문
地球化学からみた天然ガスの成因と熟成度
[189]
웹사이트
石炭を天然ガスに変えるメタン生成菌を発見
https://www.aist.go.[...]
2016-10-14
[190]
논문
メタン生成アーケア(古細菌)
[191]
논문
深部火山岩中の天然ガスの成因に関する地球化学的考察
[192]
논문
火山岩体石油鉱床の起源
[193]
논문
天然ガスの起源と生成環境 N₂/Ar比とHe/Ar比からのアプローチ
[194]
간행물
サイエンス
2007-12
[195]
일반
[196]
웹사이트
温暖化の科学 Q10 二酸化炭素以外の温室効果ガス削減の効果 - ココが知りたい地球温暖化
http://www.cger.nies[...]
2018-08-11
[197]
서적
Environmental Chemistry
CRC press
[198]
웹사이트
Methane: A Scientific Journey from Obscurity to Climate Super-Stardom
http://www.giss.nasa[...]
2004-09
[199]
뉴스
Curbing Emissions by Sealing Gas Leak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9-10-14
[200]
웹사이트
天然ガス処理の原理と技術
https://www.freebook[...]
booksgood
2022-12-24
[201]
웹사이트
石油とガスの生産
https://www.freebook[...]
booksgood
2022-12-24
[202]
일반
[203]
서적
天然ガスの本
日刊工業新聞
2008-03-25
[204]
웹사이트
第2節 一次エネルギーの動向
https://www.enecho.m[...]
資源エネルギー庁
2019-07-09
[205]
논문
関東平野下に賦存する可燃性天然ガスについて
[206]
웹사이트
LNGとは
https://www.freebook[...]
[207]
일반
[208]
서적
よくわかる天然ガス
社団法人 日本エネルギー学会
2000-02-16
[209]
뉴스
「世界最大の浮遊施設」が進水、エンパイアステートビルより巨大
https://www.afpbb.co[...]
AFP
2013-12-05
[210]
웹사이트
Center for Energy Economics, BEG/UT-Austin
https://web.archive.[...]
2013-07-28
[211]
웹사이트
LNG供給(タンクローリー・タンクコンテナ輸送)
http://www.tng-gas.c[...]
東北天然ガス株式会社
2018-03-15
[212]
뉴스
【注目グリーン技術】石油資源開発/世界初のLNG鉄道輸送 鉄道網発達の欧米照準
日経産業新聞
2018-03-13
[213]
웹사이트
SLNG - Singapre LNG Corporation
https://web.archive.[...]
2014-03-08
[214]
웹사이트
大寒波とLNG不足が直撃、電力逼迫の「異常事態」 市場価格は急騰、発電所トラブルが追い打ち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1-01-30
[215]
웹사이트
米寒波襲来で天然ガス高騰、約100倍の報告も 議員が調査要求
https://www.cnn.co.j[...]
CNN
2021-02-25
[216]
뉴스
【ビジネスTODAY】川重がLNG発電船/10万世帯に供給可能/消費地近くに配置 土木工事不要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8-12-21
[217]
간행물
LNG WEIGHS ANCHOR
http://pubs.acs.org/[...]
Chemical & Engineering News
2005-04-25
[218]
서적
LNG船がわかる本
成山堂出版
2005-01-18
[219]
웹사이트
商船三井がLNG発電船 事業化検討、収益安定狙う
https://www.nikkei.c[...]
[220]
웹사이트
LNG発電船、インドネシアに初配備…政府検討
https://web.archive.[...]
2017-10-14
[221]
용어
compressed natural gas
[222]
서적
石油が消える日
パンローリング株式会社
2007-08-0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러우 전쟁에 공급 이슈까지…천연가스 선물 ETN 급등
“AI시대 경제적인 에너지 확보 위해 협력” APEC 장관회의 공동선언문 채택
가스공사, 美 LNG 연 330만t 도입…13년간 총 26조원 규모
트럼프, 푸틴 만나 ‘북극 개발’ 논의할 듯
한국전력, 상반기 영업이익 5.9조…작년보다 3.3조 늘어
트럼프, 연이은 무역합의 발표…필리핀·인도네시아와 19~20% 합의
[MK시그널] NRG에너지 매도신호 포착, 수익률 46.7% 달성
귀뚜라미, 에너지 재활용 발전 시스템 美 첫 수출
가스공사, 경북권 천연가스 배관 건설 사업에 자동 용접 기술 도입
캐나다, 첫 선박 LNG 수출…한국부터 시작
정부, 대선일에 열리는 알래스카 LNG 회의 참석키로
[MK 골든크로스 돌파종목 : 한국가스공사(036460) &아모텍(052710)]
美 뻗어가는 삼성액티브운용 ETF 전략 뉴욕증시로 수출
삼성액티브운용, 美 ETF시장에 액티브 운용 전략 최초 수출
"러·우 종전 지지부진해도"…천연가스株는 불기둥
러-우 전쟁 종전 지지부진해도···천연가스주 투심은 확대
7% 반등한 천연가스, ETN도 덩달아 방긋
천연가스 ETN 7% 급등... “무더위 찾아오면 가격 반등 기대”
“깐족댄다”만 10번 넘게···한동훈 네거티브에 인신공격으로 받은 홍준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