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슬로바크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로바크인은 슬라브족의 한 민족으로, 슬로바키아를 중심으로 전 세계 약 660만 명이 거주한다. 명칭은 슬라브족의 옛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슬로베니아인과 함께 원래 이름을 보존한 유일한 슬라브 민족이다. 슬로바키아는 초기 슬라브족의 정착 이후 사모 제국, 니트라 공국을 거쳐 대 모라비아의 일부가 되었고, 10세기 이후 헝가리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 민족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슬로바키아인으로서의 정체성이 형성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체코슬로바키아의 독립에 참여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슬로바키아 공화국으로 분리되었으나 종전 후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에 통합되었으며, 1993년 벨벳 이혼으로 독립했다. 슬로바키아어는 체코어와 유사하며, 가톨릭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문화적으로는 체코인과 유사하며, 예술, 과학, 스포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슬로바키아의 민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슬로바키아의 민족 - 우크라이나인
    우크라이나인은 우크라이나를 중심으로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어를 사용하고 독특한 문화와 역사를 공유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으로, 그들의 명칭은 우크라이나에서 유래했으며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고 세계 여러 곳에 거주하며 1991년 독립 후 독자적인 국가 정체성을 강화하고 있다.
  • 서슬라브족 - 소르브인
    소르브인은 6세기 또는 7세기부터 독일 동부 루사티아 지역에 거주하며 상소르브어와 하소르브어를 사용하는 서슬라브 민족으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지배를 받았으며 독일화와 나치 정권의 탄압을 겪었지만, 현재는 약 4만 명의 상소르브인과 1만 5천~2만 명의 하소르브인이 남아 특유의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서슬라브족 - 체코인
    체코인은 체코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체코어를 사용하는 서슬라브계 민족으로,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을 통해 형성되었고, 슬라브 문화가 주류를 이루며, 대모라비아 공국부터 현대 체코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풍부한 문화적 유산을 남겼으나,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등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 키르기스스탄의 민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키르기스스탄의 민족 - 둥간족
    둥간족은 19세기 말 청나라 회민 반란 이후 러시아 제국령 중앙아시아로 이주한 사람들의 후손으로, 중국어를 사용하며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지에 거주하며 농업, 상업에 종사하고 중국 문화와 이슬람 문화를 융합한 독자적인 문화를 유지하며 중앙아시아와 중국 간 문화, 경제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슬로바크인
기본 정보
세계 슬로바크인 디아스포라 지도
세계 슬로바크인 디아스포라 지도
민족명슬로바크인
현지어명Slováci (슬로바치)
로마자 표기Slováci (슬로바치)
다른 표기Slovák (슬로바크, 남성 단수)
Slovenka (슬로벤카, 여성 단수)
추정 인구약 600만 ~ 700만 명
주요 거주 지역슬로바키아
통계
슬로바키아4,567,547명 (2021년)
미국416,047명 (2022년); 750,000명 (추정)
체코162,578명 (2021년 인구 조사); 200,000–400,000명 (추정)
캐나다68,210명 (1세대 이민자 14,910명 포함); 100,000명 (추정)
독일64,745명; 80,000명 (추정)
오스트리아63,621명 (2020년); 65,000명 (추정)
영국58,000명; 135,000명 (추정)
세르비아41,730명 (2021년); 40,000명 (추정)
헝가리29,794명 (2021년); 75,000명 (추정)
스위스20,581명 (2021년); 25,000명 (추정)
브라질17,200명
스칸디나비아 국가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17,000명 (총 추정)
스페인12,350명 (2021년); 15,000명 (추정)
아일랜드10,801명; 15,000명 (추정)
루마니아10,300명 (2021년 인구 조사) 13,000명 (추정)
프랑스9,768명 (2017년); 20,000명 (추정)
이탈리아9,014명 (2021년); 20,000명 (추정)
네덜란드9,000명 (2022년); 15,000명 (추정)
이스라엘8,000명 (2020년); 최대 70,000명 (추정)
벨기에6,677명 (2022년 인구 조사); 10,000명 (추정)
우크라이나6,700명 (추정)
오스트레일리아4,781명 (2021년 인구 조사), 9,000-15,000명 (추정)
크로아티아3,688명 (2021년 인구 조사); 5,000명 (추정)
언어
사용 언어슬로바키아어
종교
주요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다수), 루터교, 슬로바키아 그리스 가톨릭교회 (소수), 기타
민족 관계
관련 민족판노니아 루신인
다른 서슬라브족
체코인
모라비아인
호도베인
실레시아인

2. 명칭

"슬로바크"(Slovak)라는 명칭은 슬라브족의 옛 이름인 '*Slověninъ*'에서 유래했다. 슬로바키아인과 슬로베니아인은 원래 이름을 보존한 슬라브 민족이다. 헝가리어에서 "슬로바크인"을 뜻하는 'Tót'는 슬라브족 전체를 지칭하는 말에서 유래했으며,[1] 토트센트게르기, 토트센트마르톤, 토트코믈로스와 같은 헝가리의 많은 지명이 이를 포함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슬로바키아인은 'Slovyenyn', 'Slowyenyny', 'Winde' 등 다양한 명칭으로 불렸다.[2]

3. 민족 기원

슬로바크인의 조상은 5세기와 6세기에 슬로바키아 지역에 정착한 슬라브족이다. 초기 슬라브족은 부족 단위로 조직되었으며, 판노니아 아바르족의 영향으로 부족 간 통합이 가속화되었다. 7세기에는 슬라브족의 부족 연합인 사모 제국이 건국되었다.[19]

아바르 카간국이 멸망한 후, 9세기에는 니트라 공국이 등장하여 슬로바크인 민족 의식의 토대가 되었다.[19] 니트라 공국은 대모라비아 왕국에 통합되었으며, 이 시기 슬로바키아인의 초기 언어 통합이 이루어졌다. 8세기와 9세기 사이에 슬로바키아어의 기초가 되는 방언 통합이 이루어졌다.

10세기는 슬로바키아 민족 기원의 중요한 시기이다. 대모라비아 왕국의 멸망과 정치적 변화는 슬로바키아가 별도의 국가로 형성되는 데 기여했다. 10세기에서 13세기 사이에 슬로바키아어는 다른 슬라브어와 함께 독립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슬로바키아인은 다른 슬라브 민족과의 의사 소통에 사용된 '슬라부스'라는 원래 이름을 보존했다.

스바토플루크 1세의 동상


18세기부터 슬로바키아인들은 민족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근대적인 민족으로 변모하기 시작했다. 19세기 중반, 합스부르크 제국 내에서 슬로바키아 민족 운동이 절정에 달했다.[12] 그러나 헝가리 민족주의와의 갈등으로 인해 슬로바키아인의 민족 기원은 정치적 문제가 되었다.

미할 벤치크와 얀 발타자르 마긴은 슬로바키아인의 정착 연속성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았고, 유라이 파파넥은 슬로바키아 민족의 뿌리를 대모라비아 왕국에서 찾았다.[13][14] 슬로바키아 민족 부흥 운동은 인구 연속성을 강조하며 슬로바키아인이 헝가리와 동등한 시민임을 주장했다.

헝가리 언어학자 팔 훈팔비는 슬로바키아인과 슬라브족 사이에 연속성이 부족하다는 이론을 발표했지만, 이는 헝가리의 슬로바키아에 대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오용되었다. 죄르지 죄르피는 슬로바키아인의 기원이 다양한 슬라브족의 희박한 정착이라고 주장했지만, 이는 고고학적 증거와 상반된다.[15]

체코슬로바키아주의는 대모라비아 왕국에서 체코와 슬로바키아 민족의 공통 과거를 지지했지만,[16] 슬로바키아 자치주의자들은 슬로바키아 민족의 존재 시기를 프리비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갔다. 1993년 체코슬로바키아의 해체 이후, 슬로바키아 민족 정체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18]

3. 1. 헝가리 왕국 시대

10세기부터 1918년까지 슬로바키아는 헝가리 왕국의 일부였으며, "북부 헝가리"라고 불렸다.[24] 16세기 오스만 제국의 침입으로 헝가리 왕국의 수도가 현재 슬로바키아의 수도인 브라티슬라바(포조니)로 이전되면서(1536년 - 1784년) 슬로바키아 지역은 왕국의 중심지가 되었다.[29]

이 시기 슬로바키아 지역에는 슬로바크인 외에도 헝가리인, 독일인, 유대인, 로마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했다.[29] 특히 13세기에서 15세기에는 광산 전문가 등 많은 독일인이 헝가리 왕국에 정착했다.[29]

1863년 슬로바키아의 주요 애국 조직인 마티카 슬로벤스카("슬로바키아 재단") 설립을 기념하여 출판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유명 슬로바키아인들의 초상화.


18세기에 헝가리 왕국이 헝가리 평원을 회복한 후, 많은 슬로바키아인들이 헝가리, 세르비아 등 신영토로 이주하여 현재 이들 국가에 슬로바키아인 월경지가 형성되었다.

19세기에 부다페스트가 헝가리 왕국의 새로운 수도가 되면서 슬로바키아 지역의 중요성은 감소했고, 많은 슬로바키아인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1880년~1910년) 150만 명이 넘는 슬로바키아인들이 북아메리카로 이주했다.

19세기에는 합스부르크 제국 내에서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지면서 슬로바키아인들도 민족의식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헝가리 왕국 내에서 슬로바키아인의 지위는 낮았고, 헝가리 민족주의 정책으로 인해 슬로바키아인의 민족 운동은 억압받았다.

3. 2. 체코슬로바키아 시대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패배하면서, 토마시 마사리크가 주도한 슬라브계 민족 독립 운동이 결실을 맺어 체코슬로바키아가 독립했다. 슬로바키아인들은 체코인, 모라비아인과 함께 새로운 공화국의 주요 민족이 되었고, 슬로바키아인으로서의 자각이 높아졌다.[30]

하지만 슬로바키아는 체코보다 인구가 적고 농업 중심의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경제적 격차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슬로바키아인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커졌고, 슬로바키아 인민당이 주도하는 민족 자결 주장이 지지를 얻었다. 뮌헨 회담과 제1차 빈 중재로 남부 슬로바키아가 헝가리 왕국에 할양되자 슬로바키아인들의 분노는 더욱 커졌고, 공산당을 제외한 모든 정당이 슬로바키아 인민당에 합류했다.

1939년 3월, 독일 아돌프 히틀러 정권의 간섭으로 슬로바키아 공화국이 수립되면서 체코슬로바키아가 해체되었다. 요제프 티소가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 국가는 슬로바키아 최초의 "독립 국가"였지만, 실제로는 독일의 괴뢰 정권이었다. 제1차 빈 중재에 따른 영토 할양, 유대인과 로마 민족 학살(홀로코스트),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침공, 독소전) 참전 등 독일의 명령에 따라야 했다. 1945년 5월 8일 항복으로 슬로바키아 공화국은 소멸되었고, 슬로바키아는 다시 체코슬로바키아의 일부가 되었다.

소련 점령 하의 체코슬로바키아에서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의 영향력이 강해졌고,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2월 쿠데타로 사회주의 정권이 수립되었다. 클레멘트 고트발트 대통령의 독재가 심화되면서 슬로바키아 공산당은 분리주의 의혹을 받았고, 1952년 슬란스키 재판에서는 슬로바키아 공산당 간부들이 처형되었다. 체코에 비해 열세였던 슬로바키아인들은 중앙 집권 국가에 대한 불만을 품었고, 전후 혼란기에 미국으로 망명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1968년, 슬로바키아 출신 최초의 국가 최고 지도자가 된 알렉산데르 둡체크프라하의 봄으로 불리는 사회주의 개혁의 일환으로 국가 체제 변혁을 시도했다. 같은 해 8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군(소련 중심)의 군사 개입과 1969년 4월 둡체크 실각 후에도 이 흐름은 이어져, 구스타프 후삭 정권에 의해 연방제가 도입되었다. 슬로바키아는 '''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서 체코와 동등한 공화국이 되었다. 그러나 경제와 문화에서는 여전히 체코에 뒤처지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3. 3. 슬로바키아 독립

1989년 11월 벨벳 혁명으로 공산당 정권이 붕괴하고, 자유화 운동의 중심이었던 바츨라프 하벨을 대통령으로 하는 '''체코 및 슬로바키아 연방 공화국'''이 성립되자 슬로바키아인의 자립 경향이 급격히 가속화되었다. 연방 국가의 명칭 결정에서 슬로바키아 측이 동등성을 주장하며 하이픈 전쟁이 발생했고, 1992년 총선에서는 민족주의를 내세운 민주 슬로바키아 운동의 블라디미르 메치아르가 슬로바키아 공화국의 총리로 취임했다. 자립을 요구하는 슬로바키아 측의 요구는 사회주의 체제 시대에 건설된 슬로바키아의 중공업이 시대에 뒤떨어져 경제 개혁의 부담이 된다고 생각했던 체코 측에게 오히려 좋은 조건이었고, 1993년 1월 1일에 평화적인 연방 해체와 슬로바키아의 분리 독립이 실현되었다 (벨벳 이혼).

4. 문화

슬로바크인은 슬라브 민족인 슬로베니아인과 이름이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민족이다. 체코인과 문화가 비슷하다. 대부분 가톨릭을 믿지만 이슬람교개신교(주로 루터파 개신교)를 믿는 사람들도 약간씩 있다.[31][32]

슬로바키아의 예술은 중세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 시기에 이 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한 걸작들이 창조되었다. 주요 인물로는 레보차의 마스터 바울과 마스터 MS가 있다. 현대 예술은 콜로만 소콜,[31] 알빈 브루노프스키, 마틴 벤카,[32] 미쿨라시 갈란다,[31] 류도비트 풀라[31]를 통해 엿볼 수 있다. 21세기에는 율리우스 콜러, 스타니슬라프 필코, 로만 온다크, 블라제이 발라즈가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슬로바키아 작곡가로는 에우겐 수호니, 얀 치케르, 알렉산데르 모이제스가 있으며, 21세기에는 블라디미르 고다르와 페테르 마차이디크가 있다.

슬로바키아는 파볼 요제프 샤파리크, 마테이 벨, 얀 콜라르, 밀란 라스티슬라프 슈테파니크, 알렉산데르 둡체크 등 박식가와 정치 혁명가로도 알려져 있다.

슬로바키아어를 정립한 주요 인물로는 안톤 베르놀라크(1787년, 서부 슬로바키아 방언 기반, 최초의 국가 표준어 제정)와 류도비트 슈투르(1843년, 중부 슬로바키아 방언 기반)가 있다.

가장 잘 알려진 슬로바키아 영웅은 유라이 야노시크(로빈 후드에 해당하는 슬로바키아 인물)이며, 저명한 탐험가이자 외교관인 모리츠 베뇨프스키도 슬로바키아인이었다.

슬라브어족에 속하는 슬로바키아어를 사용하며, 오랫동안 합스부르크 제국(헝가리)의 지배를 받아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대 모라비아 왕국 시대에 로마 가톨릭 신앙이 퍼졌고, 근세 종교 개혁 이후에도 슬로바키아인의 다수는 가톨릭 신앙을 지켰다. 개신교 외에도 사회주의 체제의 영향으로 무신론자를 자처하는 소수도 존재한다. 문자는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알파벳을 이용한다.

체코인과는 근세 이래 역사를 오랫동안 공유하며 1992년까지 연방 국가를 형성했기 때문에 문화적 관계가 매우 가깝다. 사용하는 문자에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슬로바키아어와 체코어로 서로에게 말해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고 한다.

헝가리 왕국과 합스부르크 제국의 영향으로, 레보차의 마스터 파보르(16세기 조각가, 100슬로바키아 코루나 지폐 초상), 에우겐 수혼, 알렉산데르 모이세스 등(20세기 작곡가)과 같은 예술가들이 슬로바키아인으로 유명하다. 정치인 알렉산데르 둡체크도 슬로바키아인이다.

5. 인구

전 세계적으로 약 660만 명의 슬로바키아인이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Slováci|슬로바키아인sk은 슬로바키아 공화국에 약 460만 명이 거주하며, 이는 전체 인구의 약 85%를 차지한다. 슬로바키아 외 지역에는 약 200만 명의 슬로바키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34]

해외 슬로바키아인 협회와 각국 대사관의 추정치, 그리고 2000/2001년 각국의 공식 자료에 따르면 슬로바키아인들은 다음 국가에 주로 거주하고 있다.[33]

국가슬로바키아인 인구 (추정치)슬로바키아인 인구 (공식 자료)비고
미국1,200,000명821,325명19~21세기 이민자; 1990년 인구 조사에서는 1,882,915명; 약 40만 명의 "체코슬로바키아인" 중 상당수가 슬로바키아인으로 추정됨.
체코350,000명183,749명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존재; 1991년 인구 조사에서는 314,877명
헝가리39,266명17,693명
캐나다100,000명50,860명19~21세기 이민자
세르비아60,000명59,021명특히 보이보디나에 거주; 18~19세기 정착민 (루신족 제외)
폴란드47,000명2,000명고대 소수 민족 및 20세기 국경 이동; 중앙 인구 조사 위원회는 폴란드 슬로바키아인 협회의 이의를 수용함
루마니아18,000명17,199명고대 소수 민족
우크라이나17,000명6,397명특히 카르파티아 루테니아에 거주; 고대 소수 민족 및 이전 체코슬로바키아의 존재
프랑스13,000명해당 없음
호주12,000명해당 없음20~21세기 이민자
오스트리아10,234명10,234명20~21세기 이민자
영국10,000명해당 없음
크로아티아5,000명4,712명18~19세기 정착민



이 외에도 기타 국가에 슬로바키아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슬로바키아 외부에 거주하는 슬로바키아인의 수는 2001년에 최대 2,016,000명(1991년에는 2,660,000명)으로 추정되었다.

6. 한국과의 관계

이전 결과물은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검토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원문 소스가 제공되면 지시사항에 따라 내용을 수정하고 위키텍스트 형식으로 출력하겠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Ako žijú Slováci za hranicami? Slovensko mám rád, ale mojím domovom už nie je. http://www.sme.sk/c/[...] 2017-08-02
[2] 웹사이트 Národnosť a materin. jazyk https://www.scitanie[...] 2022-10-13
[3] 웹사이트 Census Reporter: People Reporting Multiple Ancestry https://censusreport[...] 2024-08-16
[4] 웹사이트 Office for Slovaks living abroad https://www.uszz.sk/[...]
[5] 웹사이트 Slováků v Česku přibývá, tvoří pětinu všech cizinců v zemi https://www.tyden.cz[...] 2019-06-15
[6] 웹사이트 Ethnic or cultural origin by generation status: Canada, provinces and territories, census metropolitan areas and census agglomerations with parts https://www150.statc[...] 2022-10-26
[7] 웹사이트 Federal Statistical Office Germany - GENESIS-Online https://www-genesis.[...] 2024-08-16
[8] 웹사이트 Population of the UK by country of birth and nationality: individual country data (Discontinued after June 2021) -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https://www.ons.gov.[...] 2024-08-16
[9] 서적 Mikrocenzus 2016 - 12. Nemzetiségi adatok http://www.ksh.hu/do[...] Hungarian Central Statistical Office 2019-01-09
[10] 웹사이트 Edição 214, Um atalho para a Europa http://epoca.globo.c[...] 2008-01-31
[11] 웹사이트 CSO Emigration http://www.cso.ie/en[...] Census Office Ireland 2013-01-29
[12] 서적 Liberal Nationalism in Central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3] 문서
[14] 웹사이트 Historia gentis Slavae / Dejiny slovenského národa https://www.databaze[...] Perfekt 2022-06-21
[15] 간행물 És erővel elfoglalta egész Pannóniát http://www.lib.jgytf[...] Tiszatáj 1996-10
[16] 문서
[17] 문서
[18] 웹사이트 Changing Rule Between the Danube and the Tatras: A study of Political Culture in Independent Slovakia, 1993 – 2005 http://www.umaine.ed[...]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05 Annual National Conference, April 9, 2005 2011-06-15
[19] 문서
[20] 서적 The Cambridge Medieval History https://books.google[...] "[[Macmillan Publishers|Macmillan]]"
[21] 서적 Chronology of 20th-century eastern European history Gale Research, Inc.
[22] 서적 The Great Moravia Exhibition: 1100 years of tradition of state and cultural life https://books.google[...]
[23] 서적 A history of Eastern Europe: crisis and change
[24] 문서
[25] 서적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26] 웹사이트 Histria 2001/03. – GYRFFY GYRGY: Honfoglals a Krpt-medencben http://www.historia.[...] 2014-11-14
[27] 서적 A Kárpát-medence és a magyarság régmúltja (1301-ig) (The ancient history of the Carpathian Basin and the Hungarians – till 1301) http://www.antikvari[...]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28] 서적 Encyclopedia of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1-21
[29] 문서
[30] 서적 When East Met West: Sociolinguistics in the Former Socialist Bloc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1995-01-11
[31] 서적 World and Its Peoples Marshall Cavendish
[32] 문서
[33] 웹사이트 Ancestry: 2000 : Census 2000 Brief https://www.census.g[...] 2017-08-02
[34] 웹사이트 Ako žijú Slováci za hranicami? Slovensko mám rád, ale mojím domovom už nie je http://www.sme.sk/c/[...] 2017-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