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르브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르브인은 6세기 또는 7세기부터 언급된 서슬라브 민족으로, 현재 독일 동부의 루사티아 지역에 거주하며, 상소르브어와 하소르브어를 사용한다. 소르브인은 역사적으로 프랑크 왕국, 신성 로마 제국, 폴란드, 보헤미아 등의 지배를 받았으며, 독일화 정책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했다. 20세기에는 나치 정권의 탄압을 겪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독에서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아 문화적 부흥을 겪었다. 현재는 약 4만 명의 상소르브인과 1만 5천~2만 명의 하소르브인이 남아 있으며, 특유의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슬라브족 - 체코인
체코인은 체코 공화국에 주로 거주하며 체코어를 사용하는 서슬라브계 민족으로,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을 통해 형성되었고, 슬라브 문화가 주류를 이루며, 대모라비아 공국부터 현대 체코 공화국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역사를 거쳐 풍부한 문화적 유산을 남겼으나, 인종차별과 외국인 혐오 등 사회적 문제도 안고 있다. - 서슬라브족 - 벤트인
벤드인은 게르만족이 슬라브족을 지칭하던 용어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의미가 변화했으며, 중세에는 주로 발트해 남쪽 폴라비아 슬라브족을 가리켰으나 프랑크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에 의해 동화되었고, 현재는 독일 소르브인과 텍사스 이민자 후손 공동체만이 그 유산을 이어가고 있다. - 독일의 민족 - 쿠르드족
쿠르드족은 이란 고원 북서부에서 기원하여 터키, 이란, 이라크, 시리아 등지에 흩어져 거주하며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유지하고, 자치와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이다. - 독일의 민족 - 타지크인
타지크인은 중앙아시아에 주로 거주하며 페르시아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하는 이란계 민족으로, 타지키스탄의 주된 민족이며 아프가니스탄과 우즈베키스탄에도 거주하고, 역사적으로 소그드인과 박트리아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 슬라브족 - 루신인
카르파티아 산맥에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루신인은 역사적으로 루테니아인, 카르파토-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현재는 키예프 루스에서 유래한 "루신"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우크라이나 자카르파티아주를 포함한 카르파티아 루테니아 지역을 중심으로 슬로바키아, 폴란드 등지에 거주하며, 우크라이나인과의 관계 및 루신어의 언어적 지위 등에 대한 논쟁이 존재한다. - 슬라브족 - 벨라루스인
벨라루스에 주로 거주하는 동슬라브계 민족인 벨라루스인은 역사적으로 백러시아인 등으로 불렸으며, 러시아, 우크라이나, 폴란드 등 인접 국가와 미국, 캐나다 등지에 거주하고, 벨라루스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하며, 키예프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등을 거치며 형성된 역사를 가지고, 슬라브 문화의 영향을 받은 문화를 가지고 있다.
소르브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민족명 | 소르브인 |
현지어명 | Serby |
현지어명 (고지 소르브어) | Serbja |
현지어명 (저지 소르브어) | Serby |
현지어명 (독일어) | Sorben |
현지어 발음 (독일어) | /ˈzɔʁbn̩/ |
현지어명 (체코어) | Lužičtí Srbové |
현지어명 (폴란드어) | Serbołużyczanie |
![]() | |
![]() | |
총 인구 | 80,000명 (추정) |
고지 소르브인 인구 | 45,000–60,000명 |
저지 소르브인 인구 | 15,000–20,000명 |
독일 내 소르브인 인구 | 60,000명 (그 중 20,000명이 소르브어 사용) (2007 로이터 추정) |
체코 내 소르브인 인구 | 2,000명 |
폴란드 내 소르브인 인구 | 1,000명 미만 |
미국 내 소르브인 인구 | 1,245명 (2000년) |
사용 언어 | 소르브어(고지소르브어, 저지소르브어) 폴란드어 독일어(루사티아 방언) |
종교 | 로마 가톨릭교 (다수) 개신교 |
관련 민족 | 다른 서슬라브족(특히 체코인과 폴란드인) |
추가 정보 | |
다른 표기법 |
2. 역사
2. 1. 초기 역사
소르브인의 민족명은 중세의 민족 집단인 "소르브인"(''Surbi'', ''Sorabi'')에서 유래했으며, 6세기 또는 7세기에 처음 언급된다.[6] 원래 민족명인 ''Srbi''는 소르브인과 발칸 반도의 세르브인들이 유지해왔다.[6] 일반적으로 그들의 민족명 ''*Sŕbъ'' (복수 ''*Sŕby'')는 "가족 친족"과 "동맹"이라는 명사적 의미를 가진 원슬라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25][7][8][9]
소르브인의 명칭은 6세기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당시 비비우스 세퀘스터는 엘베 강(Elbe)을 사이에 두고 수에비족(Suevi)과 분리되어 살았던 체르베티이스(Cervetiis)를 기록했다.[10][11][12][13][14] 7세기, 프랑크 왕국 연대기에 따르면 소르브인은 잘레(Saale) 강-엘베 강 유역에 살았으며, 프랑키아(Francia)의 투링기아(Thuringia) 지역에 정착하여 메로빙거 왕조(Merovingian dynasty)의 봉신이었다.[10][16][17] 잘레-엘베 선은 슬라브족의 서쪽 이동의 대략적인 한계를 나타낸다. 두크(duke) 데르반(Dervan) ("Dervanus dux gente Surbiorum que ex genere Sclavinorum")의 지도 아래, 그들은 631년 프랑크 왕 다고베르트 1세(Dagobert I)에 대한 사모(Samo)의 결정적인 승리 이후 사모 제국(Samo's Empire)에 참여했다.[16][17]

9세기 중반, 바이에른 지리학자(Bavarian Geographer)의 저술에 소르브 부족, 소르비/수르비가 언급되어 있다.[25][26][27] 소르브 부족은 엘베 강, 잘레 강, 슈프레 강, 나이세 강 유역에 정착하여 두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뉘었다.[28] 《프랑크 왕국 연대기(Annales Regni Francorum)》는 806년 소르브인 공작 밀리두크(Miliduch)가 프랑크족과 싸우다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9세기부터 동프랑크 왕국(East Francia)에 의해 소르브 변경(Sorbian March)이 조직되었고, 10세기부터 신성 로마 제국(Holy Roman Empire)에 의해 작센 동부 변경(Saxon Eastern March)(마이센 변경백국(Margravate of Meissen))과 루사티아 변경(March of Lusatia)이 조직되었다.

2. 2. 중세 시대
소르브인의 명칭은 6세기 또는 그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비비우스 세퀘스터는 엘베 강(Elbe)을 사이에 두고 수에비족(Suevi)과 분리되어 살았던 체르베티이스(Cervetiis)를 기록했다.[10][11][12][13][14] 루보르 니데를레(Lubor Niederle)에 따르면, 세르비아 지구는 마그데부르크(Magdeburg)와 루사티아(Lusatia) 사이 어딘가에 위치했으며, 이후 오토 왕조(Ottonian dynasty)에 의해 키에르비스티(Ciervisti), 체르비스티(Zerbisti), 키르비스티(Kirvisti)로 언급되었다.[15] 7세기 프랑크족의 《프레데가르 연대기(Chronicle of Fredegar)》에 따르면 수르비(Surbi)는 잘레 강(Saale)-엘베 강 유역에 살았으며, 6세기 후반 또는 7세기 초부터 프랑키아(Francia)의 투링기아(Thuringia) 지역에 정착하여 메로빙거 왕조(Merovingian dynasty)의 봉신이었다.[10][16][17]
잘레 강-엘베 강 선은 슬라브족의 서쪽 이동의 대략적인 한계를 나타낸다. 두크(duke) 데르반(Dervan) ("Dervanus dux gente Surbiorum que ex genere Sclavinorum")의 지도 아래, 그들은 631년 프랑크 왕 다고베르트 1세(Dagobert I)에 대한 사모(Samo)의 결정적인 승리 이후 사모의 제국(Samo's Empire)에 참여했다.[16][17] 그 후 이 슬라브 부족들은 투링기아(Duchy of Thuringia)를 계속해서 침략했다.[16] 사모의 죽음과 658년 연합의 해체 이후 부족들의 운명은 불확실하지만, 그들은 그 후 프랑크의 봉신으로 돌아온 것으로 여겨진다.[18]
10세기 자료 De Administrando Imperiola에 따르면, 그들은 그들이 "보이키(Boiki)"라고 불렀던 지역, 즉 프랑키아(Francia)와 인접한 지역에 "처음부터" 살았으며, 두 형제가 아버지를 계승했을 때, 그들 중 한 명이 7세기 전반 헤라클리우스(Heraclius) 통치 기간 동안 백성의 절반을 데리고 발칸 반도(Balkans)로 이주했다.[19][20]
소르브 부족, 소르비/수르비는 9세기 중반 바이에른 지리학자(Bavarian Geographer)의 저술에 언급되어 있다.[25][26][27] 6세기와 7세기 초 엘베 강, 잘레 강, 슈프레 강(Spree), 나이세 강(Neisse) 유역에 정착한 소르브 부족은 두 개의 주요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이들은 정착한 지역의 특징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 두 그룹은 넓고 사람이 살지 않는 숲 지역으로 분리되었는데, 하나는 슈프레 강 상류 주변에, 나머지는 엘베 강과 잘레 강 사이에 있었다.[28]
《프랑크 왕국 연대기(Annales Regni Francorum)》는 806년 소르브인 공작 밀리두크(Miliduch)가 프랑크족과 싸우다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840년에는 소르브인 공작 치즐라프(Czimislav)가 사망했다. 9세기부터 동프랑크 왕국(East Francia)에 의해 소르브 변경(Sorbian March)이 조직되었고, 10세기부터 신성 로마 제국(Holy Roman Empire)에 의해 작센 동부 변경(Saxon Eastern March)(마이센 변경백국(Margravate of Meissen))과 루사티아 변경(March of Lusatia)이 조직되었다. 932년, 독일 왕 하인리히 1세(Henry I the Fowler)는 루사티아(Lusatia)와 밀스코(Milsko)(상 루사티아(Upper Lusatia))를 정복했다. 작센 동부 변경의 변경백 게로(Gero)는 이듬해 루사티아를 재정복했고, 939년에는 연회 도중 30명의 소르브인 왕자를 살해했다.[32] 그 결과, 독일 통치에 대한 많은 소르브인의 봉기가 있었다. 하루사티아(Lower Lusatia)의 라두슈(Raddusch)에 있는 재건된 성은 이 초기 시대의 유일한 물리적 유물이다.
1002년, 볼레스와프 1세(Bolesław I of Poland)가 루사티아(Lusatia)를 장악하면서 소르브인들은 슬라브 친족인 폴란드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그 후 일어난 1003년-1018년 독일-폴란드 전쟁 이후, 바우첸 조약(Peace of Bautzen)에 따라 루사티아는 폴란드의 일부로 남게 되었지만, 1031년 다시 독일의 지배하에 들어갔다. 1070년대에는 루사티아 남부가 소르브인의 또 다른 슬라브 친족인 체코인들의 보헤미아 공국(Duchy of Bohemia)의 손에 넘어갔다.
보헤미아 왕국(Kingdom of Bohemia)은 결국 신성 로마 제국(Holy Roman Empire)의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구성원이 되었지만, 이웃 폴란드와 끊임없는 권력 투쟁을 벌였다. 그 후 수세기 동안 루사티아의 일부는 여러 차례 피아스트 왕조(Piast dynasty)가 지배하는 분열된 폴란드에 속하게 되었다. 독일이 지배하는 지역에서는 소르브인들이 길드(guild)에서 축출되었고, 소르브어 사용이 금지되었으며, 동방 식민(Ostsiedlung)과 독일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11세기부터 15세기까지 루사티아(Lusatia)의 농업은 발전했고, 프랑크, 플랑드르, 작센 정착민들에 의한 식민화가 강화되었다. 1327년 알텐부르크(Altenburg), 츠비카우(Zwickau), 라이프치히(Leipzig) 도시에서 소르브어를 법정과 행정 업무에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는 첫 번째 조치가 나타났다.
2. 3. 근세 시대
1376년부터 1469년까지, 그리고 1490년부터 1635년까지 루사티아는 룩셈부르크 가문, 야기에우워 왕조, 합스부르크 가문 등 여러 왕조의 통치하에 보헤미아 왕관령의 일부였다. 1469년부터 1490년까지는 헝가리의 마티아스 코르비누스 왕이 통치했다. 보헤미아 통치 시기 소르브인들은 도시, 관직, 수공업에 복귀할 수 있었고, 독일화가 상당히 감소했으며 소르브어를 공공연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16세기 초부터 보헤미아 지배하의 루사티아를 제외한 소르브인 거주 지역 전체가 독일화를 겪었다.
삼십년 전쟁 중인 1635년, 루사티아는 작센 선제후국의 봉토가 되었지만, 상당한 자치권과 독자적인 법 체계를 유지했다(루사티아 동맹 참조). 17세기 흑사병은 루사티아에 큰 피해를 가져왔고, 이는 추가적인 독일 식민지화와 독일화로 이어졌다.
1667년 브란덴부르크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왕자는 모든 소르브어 인쇄물의 파괴와 소르브어 미사 금지를 명령했다. 한편, 독일복음교회는 반종교개혁에 맞서기 위해 소르브어 종교 문헌 인쇄를 지원했다. 1697년 폴란드-작센 연합 결성으로 폴란드-소르브 접촉이 재개되었고, 폴란드는 소르브인들의 민족적, 문화적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계몽주의와 함께 소르브 민족 부흥이 시작되었고 독일화에 대한 저항이 나타났다. 1706년 소르브인 가톨릭 사제 양성의 주요 중심지인 소르브 신학교가 프라하에 설립되었다. 소르브 설교 단체가 복음주의 학생들에 의해 각각 1716년과 1749년에 라이프치히와 비텐베르크에 설립되었다.
2. 4. 근대
1815년 비엔나 의회는 루사티아를 프로이센과 작센 사이에 분할했다. 프로이센과 작센에서는 소르브어 사용 금지 조치가 점점 더 많아졌고, 소르브인들의 이주, 특히 서빈(텍사스주)과 오스트레일리아로의 이주가 증가했다. 1848년, 5000명의 소르브인들은 작센 정부에 청원서를 제출하여 교회, 법정, 학교 및 정부 부서에서 소르브어가 독일어와 동등한 지위를 가져야 한다고 요구했다. 1871년 루사티아 전체가 통일 독일의 일부가 되었고, 프로이센(실레시아와 브란덴부르크)와 작센으로 나뉘었다.
1871년부터 이 지역의 산업화와 독일인 이주가 시작되었고, 공식적인 독일화가 강화되었다. 19세기 내내 독일 통치하에서 소르브인들에 대한 박해는 점점 더 심해졌다. 슬라브인들은 게르만 민족보다 열등하다고 낙인찍혔고, 1875년에는 독일 학교에서 소르브어 사용이 금지되었다. 그 결과, 19세기 말까지 거의 모든 소르브인 인구가 이중 언어 사용자가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가장 존경받는 세르비아 장군 중 한 명은 실레시아 주 괴를리츠 출신 소르브인 파블레 유리시치 슈툼(Paul Sturm)이었다.
thumb)은 소르브어 사용 지역(루사티아)이다.]]
2. 5. 현대
바이마르 공화국은 헌법적으로 소수 민족의 권리를 보장했지만, 실제로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33] 나치 독일 통치하에 소르브인들은 슬라브어를 사용하는 독일 부족으로 묘사되었고, 그들의 의복, 문화, 관습, 언어는 비독일계 기원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되었다.[33] 나치 정권은 진정한 "소르브인"이나 "루사티아인"은 없고, 단지 벤드어를 사용하는 독일인만 있을 뿐이라고 선언했다. 젊은 소르브인들은 베어마흐트에 입대하여 전선으로 파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르브인들의 얽히고설킨 삶은 미나 비트코이츠(Mina Witkojc), , 얀 스칼라(Jan Skala)의 삶의 이야기에서 잘 보여준다.나치는 소르브인들을 완전히 동화시키고 독일화하려고 시도했다. 소르브인들의 독특한 정체성과 문화, 슬라브계 기원은 그들을 "벤드어를 사용하는 독일인"이라고 부르면서 부정되었다. 나치 통치하에 소르브어와 소르브 문화 관습은 금지되었고, 소르브어와 슬라브어 지명은 독일식 지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소르브인 관련 서적과 인쇄기는 파괴되었고, 소르브인 단체와 신문은 금지되었고, 소르브인 도서관과 기록 보관소는 폐쇄되었고, 소르브인 교사와 성직자는 독일어 사용 지역으로 추방당하고 독일어 사용 교사와 성직자로 대체되었다. 소르브 사회의 주요 인물들은 강제로 공동체에서 격리되거나 체포되었다. }} }} }} }} }} 소르브 국가 의례가와 깃발은 금지되었다. 소르브인의 동화를 감시하기 위해 특별한 ''벤덴아브타일룽(Wendenabteilung)''이 설립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날 무렵, 나치는 소르브인 전체 인구를 알자스-로렌의 광산 지역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것을 고려했다.
thumb)은 소르브어 사용 지역(루사티아)이다.]]
2. 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나치 독일이 패배한 후, 프라하의 루사티아 민족 위원회는 자치권과 독일로부터의 분리, 루사티아 자유국 건설 또는 체코슬로바키아 합병을 요구했다.[90] 그러나 소련은 구 독일 영토 내 소르브 국가 수립을 원치 않아 실현되지 않았다.[90]소련군과 폴란드 제2군이 크비사(Kwisa, 콰이스) 강을 건너면서 최초의 루사티아 도시들이 함락되었다.[34] 동독(독일 민주 공화국) 지역은 엄청난 산업화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인 추방으로 인한 많은 추방된 독일인들의 유입을 겪었다. 동독 당국은 소르브족 기관들을 광범위하게 설립하여 이러한 움직임에 대응하려고 시도했다. 소르브족은 공식적으로 소수 민족으로 인정받았고, 100개가 넘는 소르브어 학교와 여러 학술 기관이 설립되었으며, 도모비나(Domowina)와 관련 단체들이 재건되었고 소르브어 극장이 만들어졌다.[34] 1947년에는 소르브어 신문이 복간되었으며, 1948년에는 부디신(독일어: 바우첸(Bautzen))에 고등 교육 준비 기간으로서 소르브어 문법학교(Grammarschule)가 설립되었다.[90] 1951년에는 동독의 베를린 독일과학아카데미와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소르브 문화 연구가 시작되었다.[90]
1953년 동독 봉기 기간 동안 루사티아에서는 경찰과의 폭력적인 충돌이 보고되었다. 블로트(Błot)의 세 개의 상위 코뮌에서 소규모 봉기가 일어났다.[34] 1956년, 급속한 산업화에 반대하는 반정부 시위가 라우지츠에서 발생했지만, 소르브인의 사회와 문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90]

소르브족과 동독 정부의 관계는 종종 어려움이 없지 않았는데, 주로 높은 수준의 종교적 준수와 농업 국유화에 대한 저항 때문이었다. 강제 집단화 운동 기간 동안 많은 전례 없는 사건들이 보고되었다.[34] 1968년 개정된 동독 헌법 제40조에는 “소르브 민족에 속하는 독일민주공화국의 시민은 그들의 모국어와 문화를 발전시킬 권리를 가진다.”[90]라고 규정되어 있었다.
도모비나는 민족전선의 구성원 단체로서 지위를 가지고 있었고, 많은 소르브족이 인민의회(Volkskammer)와 동독 국가평의회의 의원이었다.[35] 1973년, 도모비나는 동독에서 2,130명의 시의회 의원, 119명의 시장, 그리고 3,500명 이상의 위원회 및 지역 기관 회원이 조직에 등록된 소르브족이라고 보고했다.[36]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루사티아인들은 자치 행정구역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지만, 헬무트 콜 정부는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1989년 이후 소르브 운동은 부활했지만 여전히 많은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 독일이 소수 민족을 지원하지만, 소르브인들은 그들의 열망이 충분히 충족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한다. 루사티아를 하나의 주로 통합하려는 희망은 고려되지 않았다. 상루사티아는 여전히 작센주에 속하고 하루사티아는 브란덴부르크주에 속한다. 재정적 어려움이나 갈탄 채굴을 위한 마을 전체 철거라는 구실 아래, 소르브인이 대부분 거주하는 지역에서조차 소르브 학교 폐교가 계속되고 있다.
점점 커지는 문화적 멸종의 위협에 직면하여, 도모비나(Domowina)는 2008년 3월 성명서[39]를 발표하고 "독일 정부, 작센주, 브란덴부르크주 간의 지원금 배분에 대한 지속적인 갈등으로 거의 모든 소르브 기관의 재정 지원이 차단되고 있기 때문에, 커지는 문화적 멸종 위협으로부터의 도움과 보호"를 촉구했다. 이 성명서는 또한 주로부터 연방정부로 권한을 이양하고 법적 지위를 확대할 것을 요구했다.[40]
최근 연구에 따르면 소르브인의 63%에게 특수한 Y염색체 인자가 확인되었는데, 이는 다른 슬라브계 민족과의 공통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3. 언어
소르브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로, 상소르브어와 하소르브어로 나뉜다.[54][55] 1548년, 하소어 성직자 미콜라위 야쿠비차(Mikołaj Jakubica)는 하소어로 된 신약성서의 최초의 미출판 번역본을 저술했다.[54][55] 1574년, 최초의 소르브어 책인 알빈 몰러(Albin Moller)의 노래책이 출판되었다. 1688년 유리 하우슈틴 스베틀리크(Jurij Hawštyn Swětlik)는 가톨릭 소르브인들을 위해 성경을 번역했다. 1706년부터 1709년까지 신약성서는 상소어로는 미하우 프렌첼(Michał Frencel)이, 하소어로는 얀 보구밀 파브리시우스(Jan Bogumił Fabricius)(1681–1741)가 번역하여 출판되었다. 얀 브예드리히 프리코(Jan Bjedrich Fryco)는 1790년에 출판된 최초의 하소어 구약성서 번역을 했다.
1809년에는 짧은 기간 동안 최초의 소르브어 신문이 인쇄되었다. 1841년부터 1843년까지 얀 아르노슈트 스몰레르(Jan Arnošt Smoler)와 레오폴트 하우프트(Leopold Haupt)는 상루사티아와 하루사티아의 벤디시 민요를 모은 2권짜리 책을 출판했다. 1842년부터 최초의 소르브어 출판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시인 한드리이 제일러(Handrij Zejler)는 오늘날의 소르브 뉴스의 전신인 주간지 설립했다. 1875년 상소어 문학의 시인이자 고전주의자인 야쿠브 바르트 치신스키(Jakub Bart-Ćišinski)와 카롤 아르노슈트 무카(Karol Arnošt Muka)는 향후 50년 동안 루사티아의 예술, 과학, 문학에 영향을 미친 젊은 소르브인들의 운동을 만들었다. 하루사티아에서도 가장 저명한 하루사티아 시인인 마토 코식(Mato Kósyk)과 보구밀 슈벨라(Bogumił Šwjela)를 중심으로 유사한 운동이 조직되었다.
19세기 말에는 약 15만 명이 소르브어를 사용했다. 1920년까지 거의 모든 소르브인들은 소르브어와 독일어를 동등한 수준으로 구사했다. 현재 소르브어를 사용하는 사람의 수는 4만 명 미만으로 추산된다.[54][55]
4. 문화
소르브 문화는 부활절 달걀 장식과 같은 독특한 전통과 관습으로 유명하다.[57] 특히 그리스도교의 부활절에 예술적인 부활절 달걀을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다. 또한 1월 25일에는 겨울의 끝을 축하하는 '작은 새의 결혼식'(de:Vogelhochzeit)이라는 축제를 행한다. 이것은 아이들이 결혼식 놀이를 하거나, 작은 새 모양의 엮은 빵을 만들기도 한다.
1845년 바우첸에서는 최초의 소르브어 노래 축제가 열렸다.[52] 1904년, 소르브인들의 기여 덕분에 가장 중요한 소르브 문화 센터인 세르브스키 돔(소르브 하우스)(Serbski dom)이 바우첸에 건설되었다.[52] 1912년, 루사티아 소르브인들의 사회문화 단체인 도모비나(Domowina) 기관(소르브 단체 연합)이 설립되었다.[52]
4. 1. 종교
원래 소르브인 대다수는 루터교 신교도였으며, 1900년 당시 신교도 인구는 86.9%였다.[58] 판슈비츠-쿠카우(Panschwitz-Kuckau)에 있는 마리아엔슈테른 수도원(Kloster St. Marienstern) 부지에 정착한 카멘츠(Kamenz) 지역 소르브인들은 예외적으로 가톨릭 신자 비율이 88.4%였다. 하부 루사티아 지역에서 가톨릭 신자 비율은 1% 미만이었다. 동독 시대를 거치면서 신교 소르브인들 사이에서 언어와 문화적 정체성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이 지역 소르브어 사용 인구의 종교적 구성이 역전되었고, 현재 상소르브어 사용자 대부분은 가톨릭 신자이다.
4. 2. 민족 상징
루지치 소르브인의 깃발은 파란색, 빨간색, 흰색의 가로 줄무늬 천이다. 1842년에 처음으로 국가 상징으로 사용된 이 깃발은 범슬라브 색상이 1848년 프라하 슬라브 회의에서 선포된 후 소르브인들 사이에서 완전히 인정받았다.[59] 브란덴부르크 주 헌법 제25조에는 루지치 깃발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작센 주 헌법 제2조에는 루지치 소르브인의 문장과 전통적인 국가 색상의 사용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 브란덴부르크와 작센 주의 루지치 소르브인 권리에 관한 법률에는 루지치 국가 상징(문장과 국가 색상)의 사용에 관한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59]
20세기 이후 루지치 소르브인의 국가 의례가는 상루지아(Rjana Łužica)(아름다운 루지치아)라는 노래이다.[60] 이전에는 “소르브인들은 아직 멸망하지 않았다”(1840년 한드리히 차일러(Handrij Zejler) 작곡)[61] 와 “우리 소르브인들은 먼지에서 일어선다”(M. 도마슈카 작곡, 1945년까지 사용)[62]라는 노래가 국가로 사용되었다.
5. 지역
루사티아에는 언어, 종교, 관습이 서로 다른 세 개의 주요 지역이 있다.
가톨릭 루사티아는 바우첸, 카멘츠, 호이어스베르다 지역의 85개 마을을 포함하며, 이곳에서는 상부 소르브어, 관습 및 전통이 여전히 번성하고 있다. 라디보어(라드보어), 크로스트비츠(크로시치), 로젠탈(로잔트)에서는 소르브인이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아이들은 소르브어를 사용하여 성장한다. 일요일, 공휴일, 결혼식 때는 진주로 장식된 화려한 장식과 자수가 풍부한 지역 의상을 착용한다. 관습과 전통으로는 새 결혼식(1월 25일), 부활절 기수 행렬, 마녀 태우기(4월 30일), 마이크, 성 마르틴의 날(니콜라이) 노래, 성 바르바라 축일 및 성 니콜라스 축일 기념 행사 등이 있다.
호이어스베르다(Wojerecy)에서 슐라이페(Slepo)에 이르는 지역에서는 상소르브어와 하소르브어의 특징을 결합한 소르브어 방언이 사용된다. 이 지역은 주로 프로테스탄트 지역이며, 갈탄 채굴 산업으로 인해 심각하게 황폐화되었고, 인구 밀도가 낮으며, 상당 부분 독일화되었다. 소르브어 화자 대부분은 60세 이상이다. 이 지역은 교회와 일반 가옥을 포함한 슬라브 목조 건축물 기념물, 검은색 십자가 모양의 자수가 있는 흰색 니트를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전통 의상(주로 노년 여성이 착용), 그리고 백파이프 연주 전통 등 많은 예시를 통해 독특함을 나타낸다. 여러 마을에서는 겨울맞이 행사, 마이(Maik), 부활절과 성금요일 노래, 그리고 '드제체트코'(dźěćetko) (크리스마스 선물을 주는 변장한 아이 또는 소녀) 축제와 같은 전통 축제를 계속 이어가고 있다.
콧부스 지역에 속한 60개의 도시가 있으며, 60세 이상의 노인 대부분은 하부 소르브어를 구사하지만 젊은이와 어린이는 거의 없다. 지역 방언에는 독일어에서 차용한 단어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젊은 세대와의 대화에서는 일반적으로 독일어를 선호한다. 이 지역의 일부 초등학교에서는 이중 언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콧부스에는 하부 소르브어를 주요 교육 언어로 사용하는 중요한 김나지움이 있다. 이 지역은 대부분 프로테스탄트이며, 갈탄 채굴 산업으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이 지역과 전체 루사티아에서 가장 큰 관광 명소는 습지대이며, 많은 슈프레발트(Błóta) 운하, 그림 같은 슈프레 강의 넓은 수역이 있다. 주로 노년층이, 그리고 휴일에는 젊은 여성들이 착용하는 전통 의상은 다채롭고, "라파"라고 불리는 큰 머리 스카프를 포함하며, 금색 자수가 풍부하고 마을마다 다르다. 일부 마을에서는 사순절, ''마이크'', 부활절 봉화, 수탉 잡기/사냥과 같은 전통이 지켜진다. 얀쇼발데(소르브어: Janšojce)에서는 소위 얀쇼이스키 보그(변장한 어린 소녀)가 크리스마스 선물을 준다.
6. 폴란드, 체코와의 관계
wikitext
1002년부터 1031년까지 볼레스와프 1세 통치하에 루사티아는 폴란드 국가의 일부였다.[63][64][65] 폴란드-독일 전쟁(1002~1018) 이후 1018년 1월 30일에 바우첸 조약이 체결되었고, 폴란드는 분쟁 지역인 루사티아와 밀스코를 봉토가 아닌 폴란드 영토의 일부로 유지할 수 있었다. 1030년 폴란드 왕자 메슈코는 소르브인 마을 약 100개를 파괴하기도 하였다.[66]
18세기 폴란드와 작센의 동군연합 시기, 폴란드-소르브 접촉이 증가했다. 소르브인 목사 미하우 프렌첼과 그의 아들 아브라함 프렌첼은 소르브어 성경 번역과 언어학적 저술에서 폴란드어 자료를 참고했다. 폴란드 출신인 얀 보구밀 파브리치우스는 소르브어 인쇄소를 설립하고 소르브어로 교리문답과 신약전서를 번역했다. 폴란드 고위 인사들은 드레스덴과 바르샤바 사이를 오가는 길에 루사티아를 여행하면서 소르브인들을 만났고, 일부 폴란드 귀족들은 루사티아에 영지를 소유하기도 했다.
19세기와 20세기 초, 폴란드 지식인들은 소르브인들의 민족 운동을 지지했다. 폴란드 낭만주의 시인 로만 즈모르스키는 소르브인 작가 얀 아르노슈트 스몰레르와 친구가 되었고, 부디신에서 폴란드 신문을 발행하고 스몰레르의 시를 폴란드어로 번역했다. 폴란드 역사가 빌헬름 보구슬라프스키는 소르브 역사에 관한 첫 번째 책을 저술했고, 이는 미하우 호르니크와 협력하여 확장, 재출판되었다. 폴란드 역사가이자 활동가인 알폰스 파르체프스키는 소르브인들의 권리 보호에 참여하고 소르브어 출판을 지원했다.
20세기 초 폴란드 슬라브 학자 헨리크 우와쉰은 여러 저명한 소르브인들을 만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폴란드가 복원되자, 폴란드 언어학자 얀 보두앵 드 쿠르트네는 소르브인들의 자결권을 지지했다.[69] 전간기에는 독일의 폴란드인과 소르브인들이 협력했다. 소르브인 언론인 얀 스칼라는 독일 폴란드인 연합 언론 본부의 일원이었다.[7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폴란드인들은 소르브인들이 폴란드나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내에서 또는 폴란드와 동맹을 맺은 독립 소르브 국가에서 자유로운 민족 발전을 허용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72] 1945년 폴란드군은 루사티아에서 여러 전투에서 독일군과 싸웠다.
1945년 이후 역사적으로 루사티아 동부에 살았던 소르브인들은 독일 시민이었기 때문에 폴란드에서 독일인 추방을 당했다. 동루사티아는 소련에 의해 합병된 이전 동부 폴란드에서 추방된 폴란드인들에 의해 재정착되었고 현재는 소르브인 정체성을 잃었다.[75]
1946년 폴란드 즈고젤레츠에 소르브인들을 위한 체육관 설립이 시작되었지만, 소르브인들이 폴란드로의 국경 통행증을 얻지 못해 개교하지 못했다.[76][77]
루사티아는 1075년부터 1635년까지 다양한 시기에 체코 공국 또는 왕국(서쪽에서는 보헤미아로도 알려짐)의 일부 또는 전부였으며, 이 지역에는 체코 지배의 여러 잔재가 남아있다. 루사티아가 독일 지배에서 보헤미아(체코) 지배로 돌아왔을 때, 소르브인들은 도시, 관직 및 공예에 복귀할 수 있었고, 소르브어를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체코 지배하에 있던 지역에서 소르브 문화와 언어가 지속되었지만, 더 서쪽에 있는 원래 소르브 영토는 독일화 정책에 굴복했다. 이 지역에 남아있는 체코 지배의 잔재 중 하나는 체코 사자를 포함하는 많은 도시 문장들인데, 드레브카우(Drjowk), 괴를리츠(Zhorjelc), 구벤(Gubin), 카멘츠(Kamjenc), 뢰바우(Lubij), 슈프렘베르크(Grodk) 등이 그 예이다.
1706년 프라하에 가톨릭 소르브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846년, 프라하에서 소르브 학생들에 의해 Serbowkahsb 단체가 설립되었고, 1892년까지 ''Kwětkihsb'' 잡지를 발행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루사티아를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시키자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1945년 체코인들은 체스카리파에 소르브인들을 위한 김나지움을 설립했고, 1946년에는 바른스도르프로, 1949년에는 리베레츠로 이전했지만, 바우첸에 소르브 고등학교가 설립된 후 소르브인들은 바우첸에서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았다.[80]
6. 1. 폴란드와의 관계
1002년부터 1031년까지 볼레스와프 1세 통치하에 루사티아는 폴란드 국가의 일부였다.[63][64][65] 폴란드-독일 전쟁(1002~1018) 이후 1018년 1월 30일에 바우첸 조약이 체결되었고, 폴란드는 분쟁 지역인 루사티아와 밀스코를 봉토가 아닌 폴란드 영토의 일부로 유지할 수 있었다. 1030년 폴란드 왕자 메슈코는 소르브인 마을 약 100개를 파괴하기도 하였다.[66]18세기 폴란드와 작센의 동군연합 시기, 폴란드-소르브 접촉이 증가했다.[63] 소르브인 목사 미하우 프렌첼과 그의 아들 아브라함 프렌첼은 소르브어 성경 번역과 언어학적 저술에서 폴란드어 자료를 참고했다. 폴란드 출신인 얀 보구밀 파브리치우스는 소르브어 인쇄소를 설립하고 소르브어로 교리문답과 신약전서를 번역했다. 폴란드 고위 인사들은 드레스덴과 바르샤바 사이를 오가는 길에 루사티아를 여행하면서 소르브인들을 만났고, 일부 폴란드 귀족들은 루사티아에 영지를 소유하기도 했다.
19세기와 20세기 초, 폴란드 지식인들은 소르브인들의 민족 운동을 지지했다.[68] 폴란드 낭만주의 시인 로만 즈모르스키는 소르브인 작가 얀 아르노슈트 스몰레르와 친구가 되었고, 부디신에서 폴란드 신문을 발행하고 스몰레르의 시를 폴란드어로 번역했다. 폴란드 역사가 빌헬름 보구슬라프스키는 소르브 역사에 관한 첫 번째 책을 저술했고, 이는 미하우 호르니크와 협력하여 확장, 재출판되었다. 폴란드 역사가이자 활동가인 알폰스 파르체프스키는 소르브인들의 권리 보호에 참여하고 소르브어 출판을 지원했다.
20세기 초 폴란드 슬라브 학자 헨리크 우와쉰은 여러 저명한 소르브인들을 만났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독립 폴란드가 복원되자, 폴란드 언어학자 얀 보두앙 드 쿠르테네는 소르브인들의 자결권을 지지했다.[69] 전간기에는 독일의 폴란드인과 소르브인들이 협력했다. 소르브인 언론인 얀 스칼라는 독일 폴란드인 연합 언론 본부의 일원이었다.[70]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폴란드인들은 소르브인들이 폴란드나 체코슬로바키아 국경 내에서 또는 폴란드와 동맹을 맺은 독립 소르브 국가에서 자유로운 민족 발전을 허용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72] 1945년 폴란드군은 루사티아에서 여러 전투에서 독일군과 싸웠다.
1945년 이후 역사적으로 루사티아 동부에 살았던 소르브인들은 독일 시민이었기 때문에 폴란드에서 독일인 추방을 당했다. 동루사티아는 소련에 의해 합병된 이전 동부 폴란드에서 추방된 폴란드인들에 의해 재정착되었고 현재는 소르브인 정체성을 잃었다.[75]
1946년 폴란드 즈고젤레츠에 소르브인들을 위한 체육관 설립이 시작되었지만, 소르브인들이 폴란드로의 국경 통행증을 얻지 못해 개교하지 못했다.[76][77]
6. 2. 체코와의 관계
루사티아는 1075년부터 1635년까지 다양한 시기에 체코 공국 또는 왕국(서쪽에서는 보헤미아로도 알려짐)의 일부 또는 전부였으며, 이 지역에는 체코 지배의 여러 잔재가 남아있다. 루사티아가 독일 지배에서 보헤미아(체코) 지배로 돌아왔을 때, 소르브인들은 도시, 관직 및 공예에 복귀할 수 있었고, 소르브어를 공공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체코 지배하에 있던 지역에서 소르브 문화와 언어가 지속되었지만, 더 서쪽에 있는 원래 소르브 영토는 독일화 정책에 굴복했다. 이 지역에 남아있는 체코 지배의 잔재 중 하나는 체코 사자를 포함하는 많은 도시 문장들인데, 드레브카우(Drjowk), 괴를리츠(Zhorjelc), 구벤(Gubin), 카멘츠(Kamjenc), 뢰바우(Lubij), 슈프렘베르크(Grodk) 등이 그 예이다.
1706년 프라하에 가톨릭 소르브 신학교가 설립되었다. 1846년, 프라하에서 소르브 학생들에 의해 v=sup/Serbowkahsb 단체가 설립되었고, 1892년까지 ''v=sup/Kwětkihsb'' 잡지를 발행했다.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독일이 패배한 후 루사티아를 체코슬로바키아에 편입시키자는 요구가 제기되었다. 1945년 체코인들은 체스카 리파에 소르브인들을 위한 김나지움을 설립했고, 1946년에는 바른스도르프로, 1949년에는 리베레츠로 이전했지만, 바우첸에 소르브 고등학교가 설립된 후 소르브인들은 바우첸에서 고등학교 졸업장을 받았다.
7. 인구
1450년 이후 소르브 인구는 15만 명에서 25만 명 사이를 오르내리다가, 20세기 이후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는 4만 명에서 5만 명 사이로 추정된다.[81][82][83][84] 19세기 중반, 프랑크푸르트 행정구역의 콧부스 (68.1%), 슈프렘베르크 (65.2%), 뤼벤 (39.4%), 칼라우 (28.0%), 소라우 (14.1%), 리그니츠 행정구역의 호이어스베르다 (57.3%), 로텐부르크 (33.3%), 작센의 쾨니히스바르타 (86.2%), 바이센베르크 (72.6%), 바우첸 (62.4%), 카멘츠 (33.3%), 뢰바우 (15.0%), 쉬르기스발데 (13.2%), 비숍스베르다 (7.8%) 등지에서 소르브 인구가 다수를 차지했다.[85][83]
현대 소르브인은 상소르브인(약 4만 명)[86]과 하소르브인(약 1만 5천 명~2만 명)[87][81]으로 나뉜다.
8. 해외 소르브인
19세기 중반, 많은 소르브인들이 미국 텍사스 주와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다.[89] 1840년대에는 많은 소르브인 이민자들이 독일계 이민자들과 함께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했으며, 1844년에 벤디쉬 모라비아 형제단 선교사 얀 릭터가 시드니에 정착했다.[88] 상소르브인과 하소르브인은 각각 1848년과 1850년에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하여 주로 남호주, 특히 바로사 밸리를 비롯하여 빅토리아 주와 뉴사우스웨일스 주에 정착했다.[88]
텍사스 중부에 정착한 소르브인들은 독일계 미국인으로서 독일 문화를 받아들였지만, "텍사스 웬디시 헤리티지 소사이어티"는 1988년부터 매년 소르브어로 축제를 열어 부활절 달걀, 민족춤, 소시지와 맥주 섭취 등 서슬라브계 소르브 문화를 계승하고 있다.[89] 오스트레일리아의 소르브인들은 주로 남부 지역에 거주하지만, 이곳 역시 독일화되어 독일계 이민자의 일부로 여겨진다.
9. 지명
독일 동부의 많은 지명은 슬라브어 기원이며, 그중에는 소르브어에서 유래한 것도 많다. 라우지츠 지방의 지명 중 '-au'나 '-ow'로 끝나는 것들(예: 츠타우, 츠비카우)은 소르브어 기원일 가능성이 있다. 작센안할트주의 나 등도 소르브어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지명이다. 베를린 서부의 슈판다우(Spandau)는 슬라브족의 한 갈래인 헤벨인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여겨진다.
참조
[1]
웹사이트
Germany's Sorb minority struggles for survival
https://www.reuters.[...]
2022-08-18
[2]
웹사이트
Společnost přátel Lužice
http://www.luzice.cz[...]
2015-03-18
[3]
웹사이트
(제목 없음)
https://www2.censu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23-10-18
[4]
웹사이트
Sorbs: The ethnic minority inside Germany
https://www.bbc.com/[...]
2022-04-03
[5]
서적
History of the Czech Lands
https://books.google[...]
[6]
웹사이트
Lužički Srbi - njemački Slaveni protestantske vjere
http://www.dw.de/lu%[...]
2014-12-06
[7]
서적
Prasłowiańszczyzna, Lechia-Polska
https://books.google[...]
Państwowe wydawn. naukowe, Oddzia ︢w Poznaniu
[8]
저널
Die slawischen Sprachen in Jugoslawien
1970
[9]
저널
Ślady etnonimów słowiańskich z elementem obcym w nazewnictwie polskim
http://yadda.icm.edu[...]
2020-08-16
[10]
서적
Chebsko V Staré Dobe: Dnesní Nejzápadnejsi Slovanské Území
https://digilib.phil[...]
Vydává Masarykova Universita v Brne
[11]
저널
Migracja Słowian na zachód w pierwszym tysiącleciu n. e.
http://bazhum.pl/bib[...]
2020-08-04
[12]
서적
Słowianie w historiografii antycznej do połowy VI wieku
https://books.google[...]
Wydawn. Uniwersytetu Wrocławskiego
[13]
서적
Kształtowanie się Słowiańszczyzny Północno-Zachodniej: studium archeologiczne
https://books.google[...]
Instytut Archeologii i Etnologii Polskiej Akademii Nauk
[14]
서적
Narodziny Międzymorza: ukształtowanie ojczyzn, powstanie państw oraz układy geopolityczne wschodniej części Europy w późnej starożytności i we wczesnym średniowieczu
https://books.google[...]
Bellona
[15]
저널
Славянская топонимия в современной Германии в лингвокультуроло-гическоми лингво-историческом аспек
https://www.elibrary[...]
2020-08-04
[16]
서적
History of Humanity: From the seventh century B.C. to the seventh century A.D.
https://books.google[...]
UNESCO
1996-01-01
[17]
서적
Slav Outposts in Central European History: The Wends, Sorbs and Kashub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8]
서적
The Germanic loanwords in Proto-Slavic
https://books.google[...]
Rodopi
[19]
서적
Јужни Словени под византијском влашћу (600-1025)
https://books.google[...]
Serbian Academy of Sciences and Arts
[20]
서적
De conversione Croatorum et Serborum: A Lost Source
https://www.academia[...]
The Institute of History
[21]
서적
Severni Srbi (ne)zaboravljeni narod
[22]
서적
Odlomci Istorije Srba i srpskih jugoslavenskih zemalja u Turskoj i Austriji
https://books.google[...]
U državnoj štampariji
[23]
서적
Odakle su Sebl dos̆il na Balkansko poluostrvo
https://books.google[...]
Istorijski institut
[24]
서적
Byzantium and the Avars, 6th-9th Century AD: political, diplomatic and cultural relations
https://books.google[...]
BRILL
[25]
저널
"Geograf Bawarski" — nowe odczytania
https://rcin.org.pl/[...]
2020-08-04
[26]
문서
Der bairische Geograph
[27]
문서
Zur Rekonstruktion der ältesten slawischen Burgbezirke im obersächsisch-meißnischen Raum auf der Grundlage des Bayerischen Geographen
[28]
서적
Славяне в раннем Средневековье
https://books.google[...]
Akademska knjiga
[29]
서적
Encyclopedia of Contemporary German Cul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4-03
[30]
서적
The Early Slavs: Culture and Society in Early Medieval Eastern Europe
Cornell University Press
[31]
저널
The beginnings of Slavic settlement east of the river Elbe
https://doi.org/10.1[...]
[32]
저널
Milzener, Lusizer und Glomaci-Daleminzer Kontroversen zur frühen Geschichte der Sorben
https://www.ceeol.co[...]
[33]
저널
The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Minorities in Germany: Weimar Revisited
https://www.jstor.or[...]
[34]
서적
Upper Sorbian Language Policy in Education: Bringing the Language Back, or Bringing It Forward?
Brill
[35]
서적
Absees: Soviet and East European Abstracts Series, Volume 4
Oxford Microform Publications Limited
[36]
서적
Absees: Soviet and East European Abstracts Series, Volume 4
Oxford Microform Publications Limited
1973
[37]
서적
Antifascism After Hitler: East German Youth and Socialist Memory, 1949-1989
Routledge
2015
[38]
서적
Social Currents in Eastern Europe: The Sources and Consequences of the Great Transformation
Duke University Press
1995
[39]
웹사이트
DOMOWINA - Medijowe wozjewjenje - Pressemitteilung- Press release
http://www.domowina.[...]
2015-03-18
[40]
뉴스
Kulturhoheit: Sorben bitten Europa um Hilfe - International - Politik - Tagesspiegel
http://www.tagesspie[...]
2015-03-18
[41]
웹사이트
Lužički Srbi strahuju od uspjeha AfD-a
https://www.index.hr[...]
2024-07-27
[42]
학술지
Contemporary paternal genetic landscape of Polish and German populations: from early medieval Slavic expansion to post-World War II resettlements
[43]
학술지
Genetic Heritage of the Balto-Slavic Speaking Populations: A Synthesis of Autosomal, Mitochondrial and Y-Chromosomal Data
[44]
학술지
Multiple origins of Ashkenazi Levites: Y chromosome evidence for both Near Eastern and European ancestries
2003-10
[45]
학술지
Y-chromosomal STR haplotype analysis reveals surname-associated strata in the East-German population
2006-01
[46]
학술지
Population study and evaluation of 20 Y-chromosome STR loci in Germans
2007-01
[47]
학술지
Genetic Diversity in the German Population
http://www.els.net/W[...]
2008-04
[48]
학술지
The Early Mediaeval Slav-German border (Limes Sorabicus) in the light of research into Y-chromosome polymorphism in contemporary and historical German populations
https://www.research[...]
2020-12
[49]
학술지
Genetic variation in the Sorbs of eastern Germany in the context of broader European genetic diversity
2011-05
[50]
학술지
Population-genetic comparison of the Sorbian isolate population in Germany with the German KORA population using genome-wide SNP arrays
2011-07
[51]
학술지
Genomic insights into the origin of farming in the ancient Near East
2016-08
[52]
웹사이트
Działalność Wojciecha (Wojcecha) Kócki w serbołużyckim ruchu narodowym w latach 1945 - 1950
http://www.prolusati[...]
2015-03-18
[53]
웹사이트
Akcja "Narodny Partyzan Łužica" (1946 - 1947) i jej reperkusje w serbołużyckim ruchu narodowym
http://www.prolusati[...]
2015-03-18
[54]
서적
The Ashkenazic Jews
Slavica Publishers
[55]
서적
The Balkan Substratum of Yiddish: A Reassessment of the Unique Romance and Greek Components
Harrassowitz Verlag
1992
[56]
뉴스
Germany's Sorbs celebrate Zapust festival
http://www.thelocal.[...]
2010-03-12
[57]
뉴스
German Slavic minority cultivates a colorful Easter tradition
http://www.ethiopian[...]
2010-03-31
[58]
서적
Die Entwicklung der Sorbischen Bevölkerung
Akademie-Verlag
[59]
журнал
Сорбы в ФРГ: ценный опыт правов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статуса национального меньшинства в немецкой и российской литературе
[60]
서적
Введение в историю серболужицкой словесности и литературы от истоков до наших дней
http://www.inslav.ru[...]
1997
[61]
학술지
Slovanský přehled
https://kramerius.li[...]
[62]
서적
Nowy biografiski slownik k stawiznam a kulture Serbow
1984
[63]
학술지
Bolesław Chrobry i rok 1000
[64]
서적
Polska Piastow
Proszynski Media
2007
[65]
서적
Itinerant Kingship and Royal Monasteries in Early Medieval Germany, c. 936–107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66]
웹사이트
Лужички Срби, њихова историја и култура
http://www.rastko.rs[...]
// rastko.rs
2016-10-24
[67]
서적
Słownik geograficzny Królestwa Polskiego i innych krajów słowiańskich, Tom VII
[68]
학술지
Michał Hornik – budziszyński przyjaciel Polski i popularyzator dzieł Kopernika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69]
학술지
Kwestia serbołużycka w polskiej myśli politycznej w latach 1939–1947
Zakład Narodowy im. Ossolińskich, Wydawnictwo Polskiej Akademii Nauk
[70]
학술지
Centrala prasowa Związku Polaków w Niemczech (1923–1939)
[71]
서적
Leksykon Polactwa w Niemczech
Związek Polaków w Niemczech
[72]
문서
Orzechowski
[73]
웹사이트
Grób Jana Skali
https://zabytek.pl/p[...]
2023-11-05
[74]
서적
Prołuż Akademicki Związek Przyjaciół Łużyc
Polska Grupa Marketingowa
[75]
웹사이트
Verwaistes Erbe
https://www.bpb.de/a[...]
2020-01-31
[76]
간행물
Próby utworzenia w Zgorzelcu w latach 1946–1948 gimnazjum łużyckiego
[77]
문서
Pałys
[78]
문서
Pałys
[79]
웹사이트
Offener Brief zum Beschluss des Hauptausschusses des Bautzener Stadtrats vom 6. Oktober 2021 zur Wiedererrichtung eines Bismarck-Denkmals
https://www.serbski-[...]
2021-10-11
[80]
문서
Pałys
[81]
서적
Language and ethnic national identity in Europe: the importance of Gaelic and Sorbian to the maintenance of associated cultures and ethno cultural identities.
https://eprints.mdx.[...]
Middlesex University
2018-02-08
[82]
웹사이트
Lužičtí Srbové a česko-lužickosrbské vztahy
http://www.listy.cz/[...]
2014-09-29
[83]
서적
Nationale Minderheiten und staatliche Minderheitenpolitik in Deutschland im 19. Jahrhundert
https://books.google[...]
Akademie Verlag GmbH
[84]
서적
Češi o Lužických Srbech
https://www.kosmas.c[...]
Masarykův ústav AV ČR
[85]
서적
Sprachliche Minderheiten im preussischen Staat: 1815 - 1914 ; die preußische Sprachenstatistik in Bearbeitung und Kommentar
https://opacplus.bsb[...]
Herder-Inst.
2023-05-01
[86]
서적
Češi o Lužických Srbech
[87]
웹사이트
Sorben
http://www.sorben.sa[...]
2015-03-18
[88]
서적
In Search of a Home
Birmingham Slavonic Monographs
[89]
웹사이트
Texas Wendish Heritage
http://www.texaswend[...]
2015-03-18
[90]
서적
ドイツ憲法集【第6版】
信山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