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계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계자리는 1756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가 남반구의 별을 관측하고 계몽 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만든 별자리이다. 원래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진자와 초침이 달린 시계)로 명명되었으며, 1763년 라틴어 이름 'Horologium'으로 변경되었다.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 의해 88개 별자리 중 하나로 공식 인정되었으며, 약칭은 'Hor'이다. 시계자리는 248.9 제곱도의 면적을 차지하며, 여러 개의 별과 심원 천체를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계자리 - 시계자리 요타 b
    시계자리 요타 b는 11.4일의 공전 주기를 가지며 최소 질량이 목성의 약 2.4배인 외계 행성으로, 1999년 케플러 우주망원경의 모항성 가림 현상 관측과 제네바 천문대의 연구를 통해 발견되었고, 0.055 천문 단위 궤도 반경을 가진 "뜨거운 목성"으로 분류된다.
  • 시계자리 - 시계자리 알파
  • 남반구의 별자리 - 큰개자리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로 묘사되며,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하고 있고, 다양한 밝은 별들과 천체들을 품고 있는 별자리이다.
  • 남반구의 별자리 - 비둘기자리
    1679년 오귀스탱 루아예에 의해 큰개자리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별자리로 인정받은 비둘기자리는 성경 속 노아의 비둘기를 상징하며, 2.65 등급의 가장 밝은 별 '팍트'와 궤도 이탈성인 뮤별, 그리고 NGC 1851, NGC 1792, NGC 1808 등의 천체를 포함한다.
  • 별자리에 관한 - 이십팔수
    이십팔수는 고대 중국 천문학에서 황도를 따라 나눈 28개의 별자리 체계로, 천체 위치 측정, 시간 계산, 계절 예측 등에 활용되었으며 동아시아 여러 나라에 전파되어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이다.
  • 별자리에 관한 - 페르세우스자리
    겨울철 북쪽 하늘의 밝은 별자리인 페르세우스자리는 그리스 신화 영웅을 모티브로 'u'자 모양으로 묘사되며, 알골과 같은 변광성, 이중성단, 은하단을 포함하고 페르세우스자리 유성우의 방사점이다.
시계자리
기본 정보
이름시계자리
라틴어 이름Horologium
약자Hor
소유격Horologii
상징진자 시계
설명시간을 알리는 기구
위치
적경' - '
적위−39.63° - −67.04°
4분면SQ1
특징
총 면적249
면적 순위58
주요 별 수6
Bayer/Flamsteed 지정 별 수10
행성 보유 별 수1
밝은 별 수0
가까운 별 수1
가장 밝은 별 이름시계자리 알파별 (α Hor)
별 밝기3.86
가장 가까운 별 이름GJ 1061
별 거리 (광년)12.0
메시에 천체 수0
유성우해당 없음
둘러싼 별자리에리다누스자리
물뱀자리
그물자리
황새치자리
조각칼자리
관측
관측 가능 위도북위 30도 ~ 남위 90도
남중 시기12월 25일

2. 역사

하위헌스의 추시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756년 희망봉에서 남쪽 하늘의 별을 관찰하면서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 (진자와 초침이 달린 시계)라는 이름으로 시계자리를 처음 만들었다.[42][43] 이는 계몽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14개의 별자리 중 하나였다. 1763년 라틴어 명칭인 ''Horologium''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4]

17세기 후반 크리스티안 하위헌스진자시계를 발명한 이후, 18세기 중반 프랑스의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진자시계를 모티브로 시계자리를 고안하였다. 1756년에 간행된 1752년판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기요에 게재된 라카유의 성도에는 진자시계 그림과 함께 프랑스어로 "시계"를 의미하는 '''l’Horloge'''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라카유가 사망한 후인 1763년에 간행된 성도에서는 라틴어화된 '''Horologium'''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시계자리가 포함되었으며, 별자리 이름은 '''Horologium''', 약칭은 '''Hor'''로 공식 결정되었다.

일본에서는 처음부터 "'''시계'''"라는 번역어가 사용되었다. 1925년 초판이 간행된 『이과연표』에도 "'''시계 (토케이)'''"로 계승되었다. 1952년 일본 천문학회가 "별자리 이름은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한다"고 정했을 때, Horologium의 일본어 학명은 "'''토케이'''"로 정해졌고, 이후 "토케이"라는 학명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

2. 1. 라카유의 창안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756년 희망봉에서 남쪽 하늘의 별을 관찰하면서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 (진자와 초침이 달린 시계)라는 이름으로 시계자리를 처음 만들었다.[42][43] 이는 계몽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14개의 별자리 중 하나였다. 1763년 라틴어 명칭인 ''Horologium''으로 이름이 바뀌었다.[44]

라카유는 1752년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의 기요 『Histoire de l'Académie royale des sciences』에 게재된 자신의 성도에 진자시계 그림과 함께 프랑스어로 "시계"를 뜻하는 '''l’Horloge'''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이후 라카유가 사망하고 1763년에 간행된 『Coelum australe stelliferum』에 게재된 성도에서는 라틴어화된 '''Horologium'''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22년 5월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천문연맹(IAU)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시계자리가 포함되었으며, 별자리 이름은 '''Horologium''', 약칭은 '''Hor'''로 공식 결정되었다.

2. 2. 계몽주의 시대의 상징



원래 명칭은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진자와 초침이 달린 시계)로, 1756년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에서 남위의 별을 관찰하면서 만들어졌다.[42][43] 이는 14개의 별자리와 함께 계몽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명칭은 1763년 라틴 명칭인 ''Horologium''으로 바뀌었다.[44] 17세기에 만들어진 별자리이며, 지중해에서 관측되지도 않아, 관련된 신화는 없다.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는 1756년, 희망봉에서 2년간 10,000개에 달하는 남쪽 별들을 관측하고 목록화한 후, 이 별자리를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 (진자 및 초침이 있는 시계)라고 처음 묘사했다.[1][2] 그는 유럽에서는 보이지 않는 남반구의 이전에 지도화되지 않은 지역에서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고안했다. 이 중 하나를 제외하고는 모두 과학 기구를 기리는 것이었으며, 이는 계몽주의 시대를 상징했다.[3] 이 별자리의 이름은 1763년 사후에 출판된 카탈로그와 업데이트된 차트에서 ''Horologium''으로 라틴화되었다.[3]

2. 3. 현대

니콜라 루이 드 라카유희망봉에서 남쪽 하늘의 별을 관찰하던 중 1756년에 처음으로 시계자리를 명명하였다. 원래 이름은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진자와 초침이 달린 시계)였다.[42][43] 이는 계몽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라카유가 고안한 14개의 별자리 중 하나로, 1763년에 라틴어 명칭인 ''Horologium''으로 바뀌었다.[44] 17세기에 만들어진 별자리이며, 지중해에서는 관측되지 않아 관련된 신화는 없다.

라카유는 2년간 희망봉에서 10,000개에 달하는 남쪽 별들을 관측하고 목록화한 후, 이 별자리를 ''l'Horloge à pendule & à secondes''라고 처음 묘사했다.[1][2] 그는 유럽에서는 보이지 않는 남반구의 이전에 지도화되지 않은 지역에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고안했다. 이 중 Table Mountain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과학 기구를 기리는 것이었으며, 이는 계몽주의 시대를 상징했다.[3] 1763년 라카유 사후에 출판된 카탈로그에서 ''Horologium''으로 라틴화되었다.[3]

1922년 로마에서 개최된 국제천문연맹(IAU)의 설립 총회에서 현행 88개 별자리가 정해졌을 때 시계자리도 그중 하나로 선정되었으며, 별자리 이름은 '''Horologium''', 약칭은 '''Hor'''로 정식으로 결정되었다. 새로운 별자리이기 때문에 별자리에 얽힌 신화나 전승은 없다.

일본에서는 처음부터 "'''시계'''"라는 번역어가 사용되었다. 1925년 초판이 간행된 『이과연표』에도 "'''시계 (토케이)'''"로 계승되었다. 1952년 일본 천문학회가 "별자리 이름은 히라가나 또는 가타카나로 표기한다"고 정했을 때, Horologium의 일본어 학명은 "'''토케이'''"로 정해졌고, 이후 "토케이"라는 학명이 계속 사용되고 있다.

3. 특징

시계자리는 약 북위 23°에서 관측자의 지평선과 평행하며, 시계자리의 적위 하한선은 -67.04°이다.


시계자리는 총 248.9 제곱도 (하늘의 0.603%)를 차지하며, 현대 88개 별자리 중 58위에 해당한다.[39] 남반구에 위치하여 북위 23도 남쪽의 관측자는 시계자리 전체를 볼 수 있다.[39] 에리다누스자리, 물뱀자리, 그물자리, 황새치자리, 조각칼자리 등 5개의 별자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1922년 국제천문연맹에서 채택한 이 별자리의 세 글자 약어는 "Hor"이다.[40]

3. 1. 좌표



적도 좌표계에서 시계자리의 경계선 적경은 02시 12.8분에서 04시 20.3분 사이이며, 적위는 -39.64°에서 -67.04° 사이이다.[41][7]

4. 별과 천체

시계자리에는 항성 외에도 여러 심원 천체들이 있다. NGC 1261은 지구에서 약 53,000 광년 떨어진 8등급의 구상 성단이다.[34] Arp-Madore 1 구상 성단은 지구에서 123.3kpc 떨어진 은하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것으로 알려진 구상 성단이다.[35]

NGC 1512는 겉보기 등급 10.2의 막대 나선 은하이며,[36] 약 5 각분 (13.8 kpc) 떨어진 곳에 왜소 은하인 렌즈상 은하 NGC 1510이 있다. 이 둘은 4억 년 동안 진행된 병합 과정에 있다.[37]

NGC 1512(왼쪽)와 왜소 은하 NGC 1510의 합성 이미지


시계자리-그물자리 초은하단은 은하 초은하단으로, 국부 우주(지구에서 200 mpc 이내)에서 샤플리 초은하단 다음으로 크다. 20개 이상의 아벨 은하단을 포함한다.[38]

이름설명
NGC 1433막대 나선 은하
NGC 1448나선 은하
시계자리 은하단직경 550Mly 거리의 은하단으로, 가까운 곳은 지구로부터 약 7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약 5천 개의 은하계를 포함하고 있다.


4. 1. 별


  • 시계자리 ι별: 항성이며, 태양계 외부의 행성이 발견되었다.[29] 겉보기 밝기 5.40등급의 5등급 별이다. 1999년에 외계 행성이 발견되었다.
  • 글리제 1061: 태양계로부터 12광년 떨어진 항성이다.[33] 겉보기 밝기 13.07등급의 적색 왜성이다.


시계자리는 겉보기 등급 4보다 밝은 별이 1개,[8] 등급 6.5 이하의 별이 41개 있다.[9][5] 6.5등급의 천체는 밤하늘의 교외 지역과 시골 지역 사이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희미한 별에 속한다.[9] 라카유는 이 별자리에 11개의 별을 기록하고 지정하여, 1756년에 바이어 명명법을 사용하여 알파 (α Hor)에서 람다 (λ Hor)까지 명명했다. 19세기 중반에 영국의 천문학자 프랜시스 베일리는 엡실론과 세타 시계자리의 명칭을 제거했는데, 그가 보기에는 이름이 붙을 정도로 밝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라카유의 베타 시계자리 좌표에 해당하는 별을 찾을 수 없었다. 좌표가 잘못되었다고 판단하여 다른 별에 명칭을 부여했다. 카파 시계자리도 확인이 불가능했지만, 아마도 별 HD 18292였을 것이고, 그 이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1879년에 미국의 천문학자 벤자민 앱소프 골드는 뮤와 누에 명칭을 부여했는데, 그가 보기에 충분히 밝았기 때문이다.[3]

겉보기 등급 3.9인 알파 시계자리는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로, 지구로부터 115 (±0.5) 광년 떨어져 있다.[10]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엘러트 보데는 그것을 시계의 추로 묘사했고, 라카유는 그것을 무게 중 하나로 만들었다.[11] 그것은 분광형 K2III의 오렌지색 거성으로, 백색 주계열성으로 생애 대부분을 보냈으며, 태양의 약 11배로 부풀어 올랐다.[12] 태양 질량의 약 1.55배로 추정되며,[13] 광구에서 38배의 태양 광도를 방출하며, 유효 온도는 5,028K이다.[14]

겉보기 등급 4.93인 델타 시계자리는 이 별자리에서 두 번째로 밝은 별이며,[15] 알파와 넓은 광학 이중성을 형성한다.[16] 델타 자체는 분광형 A5V의 백색 주계열성으로 이루어진 진정한 쌍성계로, 태양보다 1.41배 더 무겁고 등급은 5.15이며, 더 희미한 동반성은 등급 7.29이다.[17] 이 시스템은 지구에서 179 (±4) 광년 떨어져 있다.[10]

겉보기 등급 5.0인 베타 시계자리는 태양보다 63배 더 밝은 백색 거성으로, 유효 온도는 8,303K이다.[14] 지구로부터 312 (±4) 광년 떨어져 있으며,[18]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15] 람다 시계자리는 분광형 F2III의 노란색-흰색 거성으로, 초당 140km로 회전하며, 따라서 극이 약간 평평하다(편평 타원체).[19] 지구로부터 161 (±1) 광년 떨어져 있다.[10]

겉보기 등급 5.24,[21] 누 시계자리는 분광형 A2V의 백색 주계열성으로 지구에서 169 (±1) 광년 떨어져 있으며,[20] 태양의 약 1.9배 질량을 가지고 있다. 약 5억 4천만 년으로 추정되며, 두 개의 구성 요소가 있는 것으로 보이는 원반체를 가지고 있다. 내부 원반은 거리에 있고, 외부 원반은 별에서 떨어져 있다. 원반의 추정 질량은 지구 질량의 이다.[21]

시계자리에는 여러 개의 변광성이 있다. R 시계자리는 적색 거성 미라 변광성으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밤하늘의 별 중에서 가장 넓은 밝기 범위를 가지고 있다.[22] 지구로부터 약 1,000 광년 떨어져 있다.[23] 최저 등급은 14.3이고 최대 등급은 4.7이며, 주기는 약 13개월이다.[34] 겉보기 밝기가 4.7등급에서 14.3등급의 진폭으로 변광하는 미라형의 맥동 변광성이다. T와 U 시계자리도 미라 변광성이다.[16] 남아프리카 천문학회는 2003년에 이 두 별에 대한 관측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는데, 그들의 광도 곡선에 대한 데이터가 불완전했기 때문이다.[24] TW 시계자리는 반불규칙 변광성 적색 거성으로 탄소별로 분류되며,[34] 지구로부터 1,370 (±70) 광년 떨어져 있다.[25]

이오타 시계자리는 태양보다 1.23 (±0.12)배 더 무겁고 1.16 (±0.04)배 더 넓은 황백색 왜성으로 분광형은 F8V이며,[26] 지구에서 57 (±0.05) 광년 떨어져 있다.[27] 화학적 프로파일, 움직임 및 나이는 히아데스 성단 내에서 형성되었지만 다른 구성원으로부터 약 130 광년 떨어져 표류했음을 나타낸다.[28] 307일마다 궤도를 도는 목성 질량의 최소 2.5배의 행성을 가지고 있다.[29] HD 27631은 지구에서 164 (±0.3) 광년 떨어져 있는 태양과 같은 별로,[30] 2,208 (±66)일(6년)마다 궤도를 도는 목성 질량의 최소 1.45배의 행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1] WASP-120은 분광형 F5V의 태양보다 약 1.4배 더 무거운 황백색 주계열성으로, 약 26억 (±5억) 년 된 것으로 추정된다. 목성 질량의 약 4.85배의 거대한 행성을 가지고 있으며, 3.6일마다 궤도를 완료하며, 추정 표면 온도는 1,880 (±70)K이다.[32]

겉보기 등급 13.06인 글리제 1061은 분광형 M5.5V의 적색 왜성으로, 태양 질량의 12%와 직경의 15%를 가지고 있으며, 광도의 0.17%만 빛난다. 지구에서 12 광년 떨어져 있으며,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단일 별 또는 별 시스템 중 20번째이다. 2019년 8월, 세 개의 행성이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그 중 하나는 생명 가능 지대에 있었다.[33]

2022년 4월 현재, 국제천문연맹(IAU)이 인증한 고유 명칭을 가진 항성은 하나도 없다.

4. 2. 심원 천체

시계자리는 여러 개의 심원천체를 포함하여 많은 구상 성단의 고향이다. NGC 1261은 지구에서 53,000 광년 떨어진 8등급의 구상 성단이다.[34] 이 성단은 뮤 시계자리에서 북북동쪽으로 4.7도 떨어져 있다.[36] Arp-Madore 1 구상 성단은 지구에서 123.3kpc 떨어진 은하수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것으로 알려진 구상 성단이다.[35]

허블 우주 망원경으로 촬영한 구상 성단 NGC 1261.


NGC 1512는 알파 시계자리에서 서남서쪽으로 2.1도 떨어진 겉보기 등급 10.2의 막대 나선 은하이다.[36] 약 5 각분 (13.8 kpc) 떨어진 곳에 왜소 은하인 렌즈상 은하 NGC 1510이 있다. 이 둘은 4억 년 동안 진행된 병합 과정에 있다.[37]

시계자리-그물자리 초은하단은 은하 초은하단으로, 국부 우주(지구에서 200 mpc 이내)에서 샤플리 초은하단 다음으로 크다. 20개 이상의 아벨 은하단을 포함하며, 적도 좌표 α = , δ = 를 중심으로 하늘의 100 deg2 이상을 덮고 있다.[38]

NGC 1433 MIRI Image


이름설명
NGC 1261Caldwell 87로도 불리는 구상 성단.
NGC 1433막대 나선 은하.
NGC 1448나선 은하.
NGC 1512막대 나선 은하.
시계자리 은하단직경 5억 5천만 광년 거리의 은하단으로, 가까운 곳은 지구로부터 약 7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다. 약 5천개의 은하계를 포함하고 있다.


5. 신화

시계자리는 17세기에 만들어진 별자리로 지중해에서는 관측되지 않아 관련된 신화는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Horologium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20-09-03
[2] 논문 Relation abrégée du Voyage fait par ordre du Roi au cap de Bonne-espérance https://gallica.bnf.[...] 2016-03-19
[3]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4] 웹사이트 horologe, noun https://www.oed.com/[...] Oxford English Dictionary 2019-12-26
[5] 웹사이트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20-09-03
[6] 논문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922
[7] 웹사이트 Horologium,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09-03
[8] 서적 Cambridge Guide to Stars and Planets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9] 웹사이트 The Bortle Dark-Sky Scale http://www.skyandtel[...] Sky Publishing Corporation 2015-08-01
[10] 논문 Validation of the New Hipparcos Reduction 2007
[11] 웹사이트 Horologium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20-09-03
[12] 웹사이트 Alpha Horologii http://stars.astro.i[...] 2020-09-03
[13] 논문 The Abundances of Nearby Red Clump Giants 2007
[14] 논문 Fundamental Parameters and Infrared Excesses of Hipparcos Stars 2012
[15] 웹사이트 Beta Horologii http://stars.astro.i[...] 2019-09-20
[16] 서적 The Photographic Atlas of the Stars https://books.google[...] CRC Press 1999
[17] 논문 A Catalogue of Multiplicity among Bright Stellar Systems 2008
[18] 간행물 Gaia DR2
[19] 논문 Interferometric Observations of Rapidly Rotating Stars
[20] 간행물 Gaia DR2
[21] 논문 Searching for Planets in Holey Debris Disks with the Apodizing Phase Plate 2015
[22] 서적 The Constellation Observing Atla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6-03-18
[23] 간행물 Gaia DR2
[24] 논문 Presidential Address: Amateur Observations – Successes and Opportunities 2003
[25] 간행물 Gaia DR2
[26] 논문 Accurate Fundamental Parameters for 23 Bright Solar-type Stars
[27] 간행물 Gaia DR2
[28] 논문 The Exoplanet-host Star Iota Horologii: an Evaporated Member of the Primordial Hyades Cluster
[29] 논문 The Planet Search Programme at the ESO CES and HARPS. IV. The Search for Jupiter Analogues around Solar-like Stars
[30] 간행물 Gaia DR2
[31] 논문 The CORALIE Survey for Southern Extrasolar Planets XVII. New and Updated Long Period and Massive Planets 2013
[32] 논문 WASP-120 b, WASP-122 b, and WASP-123 b: Three Newly Discovered Planets from the WASP-South Survey
[33] 논문 Red Dots: A temperate 1.5 Earth-mass planet in a compact multi-terrestrial planet system around GJ1061 2019-08-13
[34] 서적 Stars and Planets Guide Collins
[35] 논문 Proper Motions and Dynamics of the Milky Way Globular Cluster System from Gaia DR2
[36] 서적 1001 Celestial Wonders to See Before You Die: The Best Sky Objects for Star Gazers Springer
[37] 논문 Gas Dynamics and Star Formation in the Galaxy Pair NGC 1512/1510 2009
[38] 논문 Large-Scale Velocity Structures in the Horologium-Reticulum Supercluster 2005-09
[39] 웹인용 Constellations: Andromeda–Indus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20-09-03
[40] 저널 The New International Symbols for the Constellations 1922
[41] 저널 Horologium, Constellation Boundary https://www.iau.org/[...]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20-09-03
[42] 웹인용 Horologium http://www.ianridpat[...] Self-published 2020-09-03
[43] 저널 Relation abrégée du Voyage fait par ordre du Roi au cap de Bonne-espérance https://gallica.bnf.[...] 2016-03-19
[44] 서적 Lost Stars: Lost, Missing and Troublesome Stars from the Catalogues of Johannes Bayer, Nicholas Louis de Lacaille, John Flamsteed, and Sundry Others The McDonald & Woodward Publishing Company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