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바타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바타성은 시나노강과 아가노강 유역의 늪지에 위치한 일본의 평성으로, 가마쿠라 시대부터 시바타 씨족이 지배했다. 센고쿠 시대에는 우에스기 겐신의 가신이었던 시바타 나가쓰가 활약했으나, 오다 노부나가의 유혹에 넘어간 시바타 시게이에의 반란으로 멸망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거쳐 미조구치 씨족이 시바타 번을 다스리며 평지 성곽 양식으로 재건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육군 주둔지로 사용되면서 대부분의 구조물이 철거되었지만, 현재 오모테몬, 스미 야구라, 산가이 야구라, 타츠미 야구라 등이 복원되어 일본 100명성으로 선정되었다. 현재는 육상자위대 주둔지 및 공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가타현의 성 - 다카다성
    다카다성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6남 마쓰다이라 다다테루에 의해 에도시대 초기에 축조되었으며, 다테 마사무네가 설계하고 저습지 특성을 고려해 토성으로 지어졌으나, 메이지 시대에 철거 후 공원으로 정비되어 3층 망루가 재건되었고, 속 일본 100명성 및 벚꽃 명소로 지정되었다.
  • 니가타현의 성 - 후쿠시마성 (니가타현)
    후쿠시마성은 니가타현 조에쓰 시립 후루시로 초등학교 부근에 있던 성으로, 호리 히데하루에 의해 축성되었으나 마쓰다이라 다다테루를 거쳐 다카다성 축성 후 폐성되었으며, 현재는 성터 석비와 석축 등이 남아 있다.
  • 니가타현의 중요문화재 - 북방문화박물관
    북방문화박물관은 한국의 북방정책 관련 자료 보존, 연구, 전시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 증가 속에 성장하여 국가 등록 유형 문화재 및 중요 문화재를 다수 보유하고 있으나 최근 예산 삭감으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니가타현의 중요문화재 - 사도 금광
    사도 금광은 일본의 주요 금, 은 생산지로서 센고쿠 시대부터 메이지 시대까지 운영되었으며, 에도 시대에는 막부 재정을 뒷받침했지만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인 강제 징용의 역사를 안고 현재는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시바타성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이름시바타성 (新発田城)
별칭아야메 성 (菖蒲城), 후나가타 성 (舟形城)
유형평성
위치니가타현 시바타시
축조 시기가마쿠라 시대 초기
재건 시기1597년-1654년
축조자시바타 씨 (원래), 미조구치 씨
사용 시기가마쿠라 시대 초기-1945년, 1953년-현재 (군사 기지)
통제 세력시바타 씨 (-1587년), 미조구치 씨 (1597년–1873년), 일본 (1873년–현재)
보존 상태원래의 오모테 문과 니노마루 스미 야구라가 남아 있음. 고산카이 야구라와 다쓰미 야구라는 2004년에 재건됨.
건축 정보
재료돌, 나무, 회반죽 벽
천수각 구조고산카이 야구라 복합식 층탑형 3중 3층 (1679년 재건, 비현존), 목조 복원 (2004년 재건)
문화재 정보
문화재 지정국가 중요 문화재 (오모테 문, 니노마루 스미 야구라)
재건3층 야구라, 다쓰미 야구라
역사
해체1873년
현재 상태
잔존물야구라, 나가야, 문, 석벽, 토루, 해자
이미지
시바타성 천수각
재건된 시바타성 천수각
니노마루 스미 야구라
니노마루 스미 야구라 (국가 중요 문화재)와 석벽, 해자

2. 역사

시바타성은 현대 시바타시 중심부에 위치하며, 니가타시에서 동쪽으로 약 20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다. 역사적으로 이 지역은 시나노강아가노강에 의해 형성된 광대한 늪지였으며, 두 강 모두 에치고국의 중요한 무역로였다.

시바타성의 정확한 건설 연대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가마쿠라 시대부터 시바타 씨족이 주변 지역을 지배했다는 기록이 있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71년 시바타성은 일본 제국 육군의 주둔지가 되었고, 1873년에는 대부분의 구조물이 철거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1732년에 재건된 오모테몬|表門일본어 정문과 스미 야구라(隅櫓)뿐이며, 두 곳 모두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2004년에는 3층 망루(三階櫓)와 다쓰미 망루(辰巳櫓)가 복원되었고, 2006년에는 일본 100명성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5][6][7]

현재 성터의 대부분은 육상자위대 신바타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이 제한되는 구역이 있다.

2. 1. 가마쿠라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가마쿠라 시대 초기, 시바타 씨족이 시바타성 주변 지역을 지배하며 성을 건설한 것으로 추정된다. 시바타 씨족은 사사키 씨족의 방계로,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가신 사사키 모리츠나로부터 시작되었다. 무로마치 시대 중반까지 시바타 씨족은 "아게키타슈" 중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으나, 센고쿠 시대우에스기 겐신의 가신이 되었다. 시바타 나가쓰 (1538–1580)는 겐신의 7대 장군 중 한 명이었다. 겐신 사후, 후계자 다툼에서 시바타 씨족은 우에스기 가게카쓰의 승리에 기여했지만, 영토 약속 불이행으로 오다 노부나가에게 유혹받은 시바타 시게이에 (1547–1587)가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나 7년간의 전쟁 끝에 패배하여 씨족은 멸망했다.[4]

1597년,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우에스기 씨족을 아이즈와카마쓰로 옮기고, 1598년 미조구치 히데카쓰에게 시바타 영지를 주었다. 히데카쓰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충성하여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영지를 인정받았다. 미조구치 씨족은 시바타성을 당시 평지 성곽 양식으로 재건했지만, 자원 부족으로 1654년에야 완공되었다. 1668년 화재로 파괴되었으나 1679년 재건되었다. 1732년 재건된 오모테몬|表門일본어 정문은 현재 성에서 가장 오래된 구조물이다.

2. 2. 에도 시대

게이초 2년, 미조구치 히데카쓰가 6만 석의 영지를 얻어 신바타에 입봉했다. 신바타 번 영내를 다스리기 위한 거점으로 시바타 시게이에의 구 성터 부지를 선택하여, 시바타성 축성을 진행해갔다.[4] 조오 3년, 3대 노부나오의 시대에 성이 완전한 형태를 갖추었다고 전해진다. 이후 간분 8년, 교호 4년에 화재로 인해 성내 건축물에 큰 피해를 입었지만, 그때마다 재건되었다.

미조구치 씨족은 시바타성을 당시의 평지 성곽 양식으로 재건했다. 지리적 위치는 양쪽 강과 주변 늪지로 둘러싸인 안전한 곳에 위치해 있었다. 미조구치 씨족은 자원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건설이 매우 느리게 진행되었고, 1654년 시바타 번의 3대 다이묘인 미조구치 노부나오 통치 시대에 이르러서야 완공되었다. 성의 많은 부분이 1668년 화재로 파괴되었고, 1679년에 재건되었다. 현재의 오모테몬|表門일본어 정문은 1732년 재건된 것으로, 성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구조물이다.

2. 3. 메이지 시대 이후 ~ 현대

메이지 유신과 그에 따른 폐번치현 이후, 미조부치 씨족은 시바타 성을 메이지 정부에 넘겨주었다. 1871년, 이 성은 일본 제국 육군의 한 분대에 의해 주둔하게 되었으며, 1873년에는 대부분의 구조물이 철거되었다. 당시 11개의 망루(야구라)와 5개의 문이 있었는데, 이 16개의 주요 구조물 중 오늘날에는 문 하나인 '오모테몬(Omotemon)'과 망루 하나인 '스미 야구라(隅櫓)'만 남아있다. 이 두 곳 모두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망루 밖의 벽은 '나마코 카베(海鼠壁)'라고 불리는 양식으로 방수 처리가 되어있고, 돌담은 '키리코미하기' 방식으로 규칙적으로 돌을 쌓아 만들었다.[5]

2004년에는 3층짜리 '산가이 야구라(三階櫓)'와 '타츠미 야구라(辰巳櫓)'가 옛 사진과 도면을 바탕으로 복원되었다. 다쓰미 망루는 같은 해 7월부터 일반에 공개되고 있다.[6] 2006년에는 일본성곽협회에 의해 일본 100명성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7]

부성 및 내성의 대부분은 육상자위대 기지가 차지하고 있으며, 일반인의 접근은 허용되지 않는다. 진대 제도의 시행에 따라 정부는 도쿄 진대 제1영지로 니가타를 선정하고, 보병 제8대대를 배치하기로 했다. 그러나 성 아래 마을이 아닌 니가타에는 부대를 수용할 시설이 없었기 때문에 잠시 시바타성을 영지로 사용했다. 시바타성이 임시 영지로 사용된 것은 1871년 11월부터 니가타 영지가 완성되어 부대가 이전한 1872년 11월까지이다.[8] 1873년 2월에 한 번 폐성이 결정되었지만, 니가타 영지가 부적합하다는 이유로 부대가 없는 채 육군성 관할로 남겨졌다. 1874년에 보병 제8대대는 니가타를 떠나 다카사키(현재의 군마현)로 이전하게 되었고, 그 일부인 제2중대가 시바타성에 들어갔다. 제2중대는 같은 해 11월에 보병 제3연대의 제2대대가 되었고, 이 제2대대가 1884년 6월에 보병 제16연대로 확충되어, 패전까지 신바타의 향토 부대가 되었다.

현재도 성곽 터의 대부분이 육상자위대의 신바타 주둔지로 되어 있기 때문에, 3층 야구라에 갈 수 없는 등, 시바타성의 관광지화에 지장을 주고 있다. 그러나 그 반면, 이곳을 방문하는 관광객들 중에서는 성과 겹쳐 보이는 주둔지의 광경을 보고 "전국자위대 같다"는 감상을 내뱉는 사람들이 매우 많다. 과거에는 우키후네성, 여우의 꼬리 끌기 성, 붓꽃 성이라고 불렸던 시바타성이지만, 최근에는 '''전국자위대의 성'''이라는 애칭으로 불리는 경우가 늘고 있다.

3. 구조

시바타 성은 인접한 시바타 강을 끌어들여 해자로 삼은 평성이다. 혼마루 주위를 니노마루가 감싸 안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니노마루 남쪽에 돌출된 형태로 산노마루가 자리잡고 있다. 혼마루의 형태가 와 닮아 있어 후나가타 성(舟形城)이라는 이명이 있다. 또, 주변에는 창포가 많이 피어 아야메 성(菖蒲城)으로도 불린다.

혼마루는 길이가 약 100미터인 오각형 지역으로, 높은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원래 시바타 씨족의 요새 윤곽을 대체로 따른다. 야구라가 혼마루 각 모서리에 건설되었으며, 서쪽 모서리의 야구라는 다른 것보다 크고 덴슈를 대신했다. 이 3층 야구라는 독특한 T자형 지붕을 가지고 있으며, 지붕에는 세 개의 샤치호코 조각상이 있다. 혼마루를 둘러싼 보조 구획이 있었으며, 조카마치를 향하고 있던 남쪽과 서쪽 성벽은 석재로, 나머지는 점토벽으로 보호되었다. 보조 구획에는 동쪽, 서쪽, 남쪽에 문이 있었으며, 남쪽 문이 성의 정문이었다. 세 번째 구획은 두 번째 구획의 남쪽에 있었다. 성의 전체 크기는 약 500미터, 폭 200미터였다.

3. 1. 건축

시바타 강을 끌어들여 해자로 삼은 평성이다. 혼마루 주위를 니노마루가 감싸 안은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니노마루 남쪽에 돌출된 형태로 산노마루가 자리잡고 있다. 혼마루의 형태가 와 닮아 있다 하여 후나가타 성(舟形城)이라는 이명이 있다. 또, 주변에는 창포가 많이 피어 아야메 성(菖蒲城)으로도 불린다.

석벽은 모난 돌을 다듬어 쌓아 올렸고, 망루의 벽은 가나자와 성에서도 볼 수 있는 나마코카베(해삼 벽)로 불리는 격자형의 외벽으로 장식되어 있다.[9] 혼마루의 3층 망루는 실질적인 천수지만, 막부를 고려해 오산가이 야구라(三階櫓), 즉 3층 망루로 불리고 있다. 3층 망루는 2004년 복원된 것으로 1679년 재건된 망루를 모델로 복원한 것이다. 메이지 초엽에 촬영된 사진을 보면, 쓰키 망루가 딸린 승탑형 3층 3계의 망루였고, 1층의 서쪽면과 남쪽면에는 출창형으로 된 이시오토시가 설치되었다. 특히 망루의 용마루는 정자형(丁字型)의 형태로 지어져 3마리의 샤치호코로 장식된 것이 특징이다.

성의 북부를 흐르는 가지가와를 외호로 이용한 평성이며, 혼마루를 중심으로 북쪽의 고마루와 남쪽의 니노마루로 둘러싸고, 그 남쪽에 산노마루를 배치하는 구조였다. 현재는 혼마루의 일부를 제외한 전역과 고마루 전역, 니노마루의 일부가 자위대 주둔지로 이용되고 있으며, 혼마루 남쪽의 석벽과 해자, 야구라몬의 혼마루 표문과 이중 야구라인 니노마루 구미야구라가 현존한다. 현존하는 건축물이 있는 성터로는 니가타현 내에서는 유일하다.[2] 그 외에 3층 야구라와 2중 야구라의 복원 건축이 있다. 또한 석벽은 혼마루의 표문 쪽에만 전면적으로 런던식 쌓기 석벽이 사용되었고, 다른 곳은 허리 감기 석벽이나 토루였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간분 9년(1669년)의 대지진으로 석벽이 붕괴되었고 그 복구 공사에서 '''잘라 잇대어 쌓기'''로 개수되었다고 한다.[3]

타츠미 망루(복원)


망루의 외벽에는 동절기 적설에 대한 대책의 의미도 있어, 해삼 벽이 사용되었다. 그 외의 담장이나 일부 망루문에는, 세로 널빤지가 덧대어져 있었다. 『쇼호 성 그림 지도』에서는 지붕은 짚으로 덮여 있다.

  • 3층 망루


천수는 없고, 혼마루의 북서쪽 모퉁이에 삼중 망루를 세워 "3층 망루"라고 불렀다. 막부에 배려하여 천수를 공칭하지 않았지만, 3층 망루는 시바타 성의 실질적인 천수였다. 조오 3년 (1654년)에 창건된 것은, 간분 8년 (1668년)의 화재로 소실되어, 현재 복원된 모습은 엔포 7년 (1679년)에 재건된 것이다. 『쇼호 성 그림 지도』에서는 이중 망루이지만, 다른 망루보다 크게 그려져 있다.

메이지 초기에 촬영된 사진에 따르면, 속 망루(부속 망루)를 갖춘 복합식 층탑형 3중 3층으로, 1층의 서면과 남면에 맞배 파풍을 가진 석락을 겸하는 돌출 창이 있으며, 3층 지붕의 동(棟)은 '''丁자형'''으로 만들어졌고, 동 위에는 3마리의 샤치가 올려져 있다. 1874년 (메이지 7년)에 파각되었다.

  • 혼마루 정문


1732년에 재건된 현존하는 망루문. 2층에 격자창을 설치하고, 문 바로 위의 바닥을 떼어내 석락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국가 중요 문화재[10]

  • 구 니노마루 모서리 망루


층탑형 2중 2층의 이전 현존하는 이중 망루. 1668년의 대화재 이후 건축. 현재는 혼마루 철포 망루의 터로 이전되어 있다. 국가 중요 문화재[11]

  • 혼마루 타츠미 망루


혼마루의 남동쪽에 세워진 층탑형 2중 2층의 이중 망루. 3층 망루와 함께 목조로 복원되었다.

4. 주변 시설


  • 시미즈다니 어전 - 신바타번 미조구치 가문의 별장으로, 1693년(겐로쿠 6년) 4대 번주 시게오 때 완성되었다.
  • 호코지 - 미조구치 가문의 보리사(菩提寺)이다. 산문은 신바타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시 유형 문화재로 지정된 회화, 불상 등을 소장하고 있다. 경내에는 수령 350년으로 추정되는 수양 벚나무가 있다.
  • 신바타번 아시가루 나가야 - 신바타시 스와마치 3초메 3번 3호에 소재하며, 1969년 12월 18일에 국가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었다.[12]
  • 호리베 야스베 무용상 - 1984년에 뜻있는 사람에 의해 건립되었다.[13][14] 낭인이 된 후 다카다노바바의 결투의 주요 인물이 되었으며, 이후 아코 낭사가 되었다. '''나카야마 야스베'''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겐로쿠 아코 사건에서는 "키라 가신에게 죄는 없다"며 키라 측을 한 명도 참살하지 않았다.[15]

5. 현재 상황

메이지 유신과 그에 따른 폐번치현 이후, 시바타 성은 메이지 정부에 넘어갔다. 1871년 일본 제국 육군의 한 분대가 시바타 성에 주둔했으며, 1873년에는 성의 대부분의 구조물이 철거되었다. 당시 11개의 망루(야구라)와 5개의 문이 있었으나, 현재는 '오모테몬(Omotemon)' 문과 '스미 야구라(隅櫓)' 망루 하나만 남아있다. 이 두 곳은 모두 중요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2] 망루 밖의 벽은 '나마코 카베(海鼠壁)'라는 방수 양식으로 되어 있고, 돌담은 '키리코미하기' 방식으로 규칙적으로 돌을 쌓아 만들었다.

2004년 옛 사진과 도면을 바탕으로 3층짜리 '산가이 야구라(三階櫓)'와 '타츠미 야구라(辰巳櫓)'가 복원되었다.[2] 2006년 일본성곽협회는 시바타 성을 일본 100명성 중 하나로 선정했다.

현재 시바타 성 부지 및 내성의 대부분은 육상자위대 기지가 차지하고 있어 일반인의 접근은 허용되지 않는다. 성곽 터의 대부분은 일본군 해체 전까지 육군이 주둔했던 곳으로, 현재도 육상자위대의 신바타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다.[2] 따라서 성내 건축물 중 이의마루[二の丸] 모서리 망루, 혼마루[本丸] 정문, 타츠미 망루[辰巳櫓]만 내부 관람이 가능하며, 자위대 부지 내에 있는 3층 망루는 공개되지 않는다.

시바타 성 주변은 시바타성터 공원으로 정비되어 휴식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성곽 터에는 초대 번주 미조구치 히데카츠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하야시키[下屋敷]였던 시미즈엔(시미즈다니 고텐[清水谷御殿])은 국가지정 명승이고, 아시가루 나가야는 국가지정 중요 문화재이다. 미조구치 가문의 다실이었던 이고노 오차야는 국가지정 명승이자 니가타현의 문화재이다.

현재도 성곽 터의 대부분이 육상자위대의 신바타 주둔지로 사용되고 있어 3층 야구라에 접근할 수 없는 등, 시바타 성의 관광지화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성과 겹쳐 보이는 주둔지의 광경을 보고 "전국자위대 같다"는 감상을 남기는 관광객들이 많아, 과거 우키후네성, 여우의 꼬리 끌기 성, 붓꽃 성 등으로 불렸던 시바타 성은 최근 '''전국자위대의 성'''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리고 있다.

참조

[1] 서적 角川日本地名大辞典 15 新潟県
[2] 문서 高田城の三層櫓は復元建築、長岡城は模擬天守(長岡市郷土資料館)である。村上城は石垣のみ残る。
[3] 간행물 新発田城跡発掘調査報告書Ⅴ(第19地点) http://sitereports.n[...] 新発田市教育委員会 2008
[4] 문서 阿賀北衆の[[大名]]としては滅んだが、重家の弟・新発田盛喜の子孫は代々[[米沢藩]]侍組として家名は残る(新保氏、新発田氏)。
[5] 논문 兵営所在地の日常
[6] 문서 越後国新発田城ヲ廃ス https://www.digital.[...]
[7] 문서 越後国新発田城ヲ更ニ陸軍省ノ管轄トナス https://www.digital.[...]
[7] 문서 越後国新発田城管轄伺 https://www.digital.[...]
[8] 논문 兵営所在地の日常
[9] 문서 建物の腰まわり部分に平らな瓦を張り詰め、継ぎ手部分を漆喰で固める際に蒲鉾形の目地をつけた外壁仕上げのことで、耐水、防火性がある。
[10] 문화유산 新発田城 表門
[11] 문화유산 新発田城 旧二の丸隅櫓
[12] 웹사이트 旧新発田藩足軽長屋 문화유산 온라인 https://bunka.nii.ac[...] 2021-11-21
[13] 문서 現当主(20代)・[[溝口隆雄]]からは「弥次右衛門・武庸父子が新発田城の櫓を炎焼させ浪人になった事」「長矩が勅使饗応を職務放棄したのは「勤皇の新発田」として認めがたい事」などの理由で賛同を得られなかった(細野稔人・武庸会)
[14] 문서 しばた観光案内 新発田市
[15] 서적 堀部武庸日記
[16] 문화유산 旧新発田藩下屋敷(清水谷御殿)庭園および五十公野御茶屋庭園
[17] 문서 新発田市大栄町所在、財団法人[[北方文化博物館]]所有
[18] 문화유산 旧新発田藩足軽長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