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한촌 사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한촌 사건은 1920년 4월 일본군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의 신한촌을 기습하여 한국인들을 학살한 사건이다. 19세기 후반부터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이주한 한국인들은 신한촌을 중심으로 독립 운동을 전개했는데,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 이후 일본군이 시베리아에 출병하면서 이 지역의 정세가 불안정해졌다. 일본군은 1920년 3월 붉은 군대의 공격으로 일본인 사상자가 발생하자 이에 대한 보복으로 신한촌을 공격하여 민간인을 살해하고 건물을 방화했다. 이 사건으로 많은 한국인들이 사망하거나 체포되었으며, 신한촌에서 탈출한 사람들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합류하기도 했다. 이후 신한촌에는 한국 독립운동 기념비가 건립되었고, 매년 추모 행사가 열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이 저지른 학살 - 훈춘 사건
    훈춘 사건은 1920년 10월 2일 지린성 훈춘의 일본 영사관 공격 사건으로, 일본은 한국 독립군의 소행으로 규정하고 만주 군사 개입을 확대했으며, 한국 측에서는 일본의 조작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어 진실 공방이 이어졌다.
  • 일본이 저지른 학살 - 간토 대학살
    간토 대학살은 1923년 간토 대지진 직후 유언비어로 인해 일본인들이 조선인, 중국인, 류큐인, 일부 일본인 등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한 사건으로, 정부의 묵인과 조장 속에 6,000명에서 9,000명에 이르는 조선인이 희생되었으며, 사회주의자 등 정치적 반대파도 학살 대상이 되었다.
  • 일본이 저지른 전쟁 범죄 - 일본의 전쟁 범죄
    일본의 전쟁 범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 제국이 저지른 난징 대학살, 위안부 문제, 생체 실험, 포로 학대 등 수많은 인권 유린을 포함하는 범죄 행위로, 오늘날까지도 일본과 피해국 관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일본이 저지른 전쟁 범죄 - 100인 참수 경쟁
    100인 참수 경쟁은 1937년 일본군 장교 두 명이 100명의 중국인 참수 경쟁을 벌였다는 내용으로, 난징 대학살과 관련하여 역사적 논쟁을 촉발했다.
신한촌 사건
사건 개요
명칭신한촌 사건
다른 명칭4월 참변
발생일1920년 4월
위치신한촌
가해자일본 제국
피해자한인
원인시베리아 출병에 대한 항일 무장 세력의 활동을 탄압하고, 한인 사회를 와해시키기 위함
배경
신한촌1905년경 러시아 연해주에 형성된 한인 자치 마을
항일 운동의 중심지 역할
시베리아 출병1918년 일본이 러시아 혁명 혼란기에 시베리아에 군대를 파견
연해주 지역의 항일 무장 세력 탄압 강화
경과
일본군의 공격1920년 4월 4일 밤, 일본군은 신한촌을 기습 공격
무차별적인 학살과 방화
수백 명의 한인 사망 또는 실종
피해 규모정확한 피해 규모는 파악되지 않음 (수백 명 이상 추정)
사건의 영향연해주 한인 사회에 큰 타격을 줌
항일 운동 노선 변화에 영향
한인들의 만주 이주 가속화
관련 자료
참고 자료동아일보, 1920년 4월 4일밤 연해주 한인지역 습격 ‘광란의 학살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월참변
월드코리안뉴스, [고려인 이주 150주년 특별연재-7] 신한촌 학살

2. 배경

19세기 후반부터 많은 한국인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러시아 극동 지역으로 이주하였다.[4] 1910년 한일병합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신한촌은 한국 독립운동의 주요 거점이 되었다. 홍범도, 신채호, 최재형 등 주요 독립운동가들이 이곳에서 활동했다.[5][4]

1917년 러시아 혁명이 발발하면서 연해주는 볼셰비키, 반혁명 세력, 일본군 등이 얽힌 복잡한 상황에 놓였다. 일본군은 시베리아 출병을 명분으로 연해주에 진출하여, 볼셰비키와 연합한 한인 독립운동 세력을 탄압하고자 하였다.

2. 1. 연해주의 한인 사회

19세기 후반부터 한국인들은 경제적 기회를 찾아 러시아 극동으로 이주했다.[4] 1910년 일본이 한국을 식민지화한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신한촌은 한국 독립 운동의 온상이 되었다. 유명한 독립운동가이자 장군인 홍범도는 이 마을을 근거지로 삼았다. 다른 주목할 만한 활동가들인 신채호최재형 또한 이 마을에 머물렀다.[5][4] 학교와 신문을 포함한 다양한 기관들이 지역 사회를 위해 설립되었다.[4]

1917년 러시아 10월 혁명이 발발하면서 이 지역은 불안정해졌다. 당시 연해주의 조선인은 제정 러시아의 기존 체제를 지지하는 원호세력과 볼셰비키 혁명파를 지지하는 여호세력으로 나뉘어 있었다. 고려공산당의 전신인 한인사회당을 결성한 여호세력이 좀 더 우세한 편이었고, 멘셰비키 측이 일본군과 합동하여 조선인을 핍박하면서 조선인 사회는 급격히 볼셰비키 쪽으로 기울어졌다. 볼셰비키는 일본 민간인을 학살하고 군사 기관을 공격했다. 한국인들은 일본을 공동의 적으로 삼아 볼셰비키에게 우호적이었기 때문에 보복의 대상이 되었다.[1]

3·1 운동 1920년 3월 1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벌어진 3·1 운동 기념 시위. 학살 1개월 전

2. 2. 일본군의 시베리아 출병과 4월 참변

1917년 러시아에서 10월 혁명이 일어나자 일본 제국은 이듬해 시베리아에 군대를 파병하였다. 명분은 시베리아에 거주하는 일본인을 보호한다는 것이었다.[3] 일본군이 시베리아에 출병하여 멘셰비키 측을 후원하면서 1922년에 철수할 때까지 5년 이상 연해주 지역에서 복잡한 내전 상태가 지속되었다. 1920년을 전후하여 일본군은 볼셰비키붉은 군대와의 전투에서 수세에 몰리면서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1920년 3월에는 일본인과 조선인이 많이 거주하는 현재의 우수리스크 지역을 붉은 군대가 공격하여 다수의 일본 민간인이 살해되는 일이 발생했다. 이에 일본군은 보복을 단행하게 되었다.[3]

3월 12일 소련군의 공격으로 일본 군대가 후퇴하고 일본 민간인과 러시아 주민까지 대량 학살된 사건에 분개한 일본군[3]4월 5일 조선인 마을인 신한촌을 습격하여 조선인 민간인을 학살하였다. 소련군에 조선인 항일 세력이 가담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지역 조선인 소련군 지도자인 최재형과 김이직, 엄주필, 황경섭 등이 사살되었다. 일본군은 헌병대 분견대를 주둔시키고 자위대라는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신한촌을 무력 통제했다.[3]

4월 4일 오전 5시경, 일본군은 1920년[3] 신한촌을 기습하여 대규모 체포, 민간인 살해, 건물 방화 등을 저질렀다. 민간인 사망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 측 기록에는 60명의 한국인이 체포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한국 측 기록에는 300명 이상이 체포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체포된 한국인들은 독립운동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고문을 당했다.[5]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한국 민간인들이 현지 한국 신문사 사무실로 끌려가 갇혔으며, 건물에 불을 질러 안에 있던 사람들이 사망했다.[1] 한국인들의 소지품이 약탈당했고, 한국인 학교가 불태워졌다.[3] 공격은 오전 8시까지 계속되었다. 잠시 후, 일본군은 오후 4시경 다시 돌아와 공격을 재개했다. 다음 날에도 공격이 이어졌다.[3]

수많은 한국인들이 신한촌에서 탈출했으며, 일부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합류하기 위해 상하이로 향했다.[1] 비슷한 공격이 우수리스크에서도 한국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발생했다. 최재형은 그곳에서 일본군에 체포되어 결국 총살당했다.[1][3]

3. 경과

1920년 4월 5일, 3월 12일 소련군의 공격으로 일본 군대가 후퇴하고 일본 민간인과 러시아 주민까지 대량 학살된 사건에 분개한 일본군은 조선인 마을인 신한촌을 습격하여 조선인 민간인을 학살하였다. 소련군에 조선인 항일 세력이 가담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지역 조선인 소련군 지도자인 최재형과 김이직, 엄주필, 황경섭 등이 사살되었다.[3] 일본군은 헌병대 분견대를 주둔시키고 자위대라는 보조기구를 설치하여 신한촌을 무력 통제했다.

1920년[3] 4월 4일 오전 5시경, 일본군은 신한촌을 기습하여 대규모 체포, 민간인 살해, 건물 방화 등을 저질렀다. 민간인 사망자 수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 측 기록에는 60명의 한국인이 체포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지만, 한국 측 기록에는 300명 이상이 체포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체포된 한국인들은 독립운동가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고문을 당했다.[5] 생존자의 증언에 따르면, 한국 민간인들이 현지 한국 신문사 사무실로 끌려가 갇혔으며, 건물에 불을 질러 안에 있던 사람들이 사망했다.[1] 한국인들의 소지품이 약탈당했고, 한국인 학교가 불태워졌다.[3] 공격은 오전 8시까지 계속되었다. 잠시 후, 일본군은 오후 4시경 다시 돌아와 공격을 재개했다. 다음 날에도 공격이 이어졌다.[3]

수많은 한국인들이 신한촌에서 탈출했으며, 일부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합류하기 위해 상하이로 향했다.[1] 비슷한 공격이 우수리스크에서도 한국 민간인들을 대상으로 발생했다. 최재형은 그곳에서 일본군에 체포되어 결국 총살당했다.[1][3]

4. 추모 및 기념 사업

1999년 8월, 해외한민족연구소에서 신한촌에 한국 독립 운동 기념비를 세웠다.[4][6]

참조

[1] 웹사이트 일제, 1920년 4월 4일밤 연해주 한인지역 습격 ‘광란의 학살극’ https://www.donga.co[...] 2020-02-01
[2] 웹사이트 4월참변 (四月慘變) https://encykorea.ak[...]
[3] 웹사이트 "[고려인 이주 150주년 특별연재-7] 신한촌 학살" http://www.worldkore[...] 2014-02-18
[4] 웹사이트 Tracing freedom fighters in Russian Far East https://www.koreatim[...] 2019-03-14
[5] 웹사이트 잊혀진 독립운동의 성지 ‘신한촌’ https://news.kbs.co.[...]
[6] 웹사이트 방치 논란 '신한촌 기념탑' 러 당국이 직접 관리할 길 열려 https://www.yna.co.k[...] 202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