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간토 대학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토 대학살은 1923년 간토 대지진 당시 일본에서 발생한 조선인 학살 사건이다. 지진으로 인한 사회 혼란 속에서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킨다"는 유언비어가 퍼졌고, 이에 일본 정부와 군경은 자경단을 조직하여 조선인들을 무차별적으로 학살했다. 학살은 수천 명의 희생자를 낳았으며, 일본 정부는 사건을 은폐하고 축소 발표했다. 이후에도 역사 수정주의와 부정론이 제기되며 진상 규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국에서는 간토 대학살의 진실 규명과 희생자 추모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그롬 - 시크 학살
    1984년 시크 학살은 인디라 간디 암살 이후 인도에서 발생한 반 시크교 폭동으로, 시크교도에 대한 조직적인 공격, 살해, 재산 약탈 등이 자행되었으며, 정부의 소극적인 대처로 인해 진실 규명이 미흡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 1923년 학살 - 로즈우드 학살
    1923년 플로리다주 로즈우드에서 백인 폭도들이 흑인 마을을 공격하여 파괴하고 다수의 흑인 주민들을 살해한 로즈우드 학살은 백인 여성 폭행 혐의로 촉발되었으며, 인종차별 정책 하에 발생하여 마을 파괴와 생존자들의 흩어짐을 낳았고, 1990년대에 진실이 밝혀진 미국 역사 속 인종차별의 비극적인 사건이다.
간토 대학살
사건 개요
사건명간토 대학살
발생 시기1923년 9월
발생 장소간토 지방, 일본
표적일본 거주 한국인
일본 거주 중국인http://www.guancha.cn/huwancheng/2017_07_08_417100_s.shtml
일본 거주 중국인http://www.chinanews.com/cul/2014/09-16/6594014.shtml
아나키스트
공산주의자
사회주의자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4775
유형즉결 처형
대학살
대량 살인
인종 청소
사망자 수최소 6,000명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04775
가해자일본 제국 육군
경찰
자경단 시민
무기총기
일본도
대나무 창
동기반한 감정
반중 감정
반공주의
일본 민족주의
인종 차별
관련 정보
관련 사건간토 대지진 중국인 학살 사건
관련 항목간토 대지진#지진 후의 살상 사건
희생자 수 추정희생자 수와 위로금
명칭
한자關東大虐殺
히라가나かんとうだいぎゃくさつ
로마자 표기Kantō daigyakusatsu
한국어 (한글)간토 대학살
한국어 (한자)關東大虐殺
로마자 표기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Gwandong daehaksal
한국어 (대안 표기)간토 대학살
한국어 (한자, 대안 표기)간토 大虐殺
로마자 표기 (대안,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Ganto daehaksal
배경
원인간토 대지진으로 인한 사회 혼란
유언비어 확산 (조선인들이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는 거짓 정보)
사회 불안 및 공포 심리
역사적 반감 및 차별 의식
정부와 언론의 소극적 대처
사건 전개
자경단 활동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자경단을 조직
검문소를 설치하고 조선인, 중국인, 사회주의자 등을 색출
폭행, 학살 등의 만행 자행
군경 개입군대와 경찰도 학살에 가담
일부 군인과 경찰은 자경단을 지휘하거나 묵인
정부는 사태를 제대로 진압하지 못하고 오히려 유언비어 유포에 기여
주요 학살 지역도쿄, 요코하마, 가와사키, 지바 등 간토 지방 일대
결과 및 영향
사망자 수최소 수천 명에서 최대 2만 명 이상으로 추정 (정확한 통계 부재)
주로 조선인, 중국인, 일본인 사회주의자들이 희생됨
사회적 영향사회 전체에 깊은 상처와 트라우마를 남김
조선인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심화시킴
일본 사회의 어두운 과거사로 남음
역사적 논쟁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 여부
희생자 수에 대한 이견
역사 교육에서의 취급 문제
진상 규명 노력
시민 단체 활동시민 단체들이 진상 규명 및 명예 회복 운동 전개
학살 희생자 추모 사업 진행
역사 교육 자료 제작 및 배포
학계 연구학계에서 학살 원인과 과정에 대한 연구 지속
새로운 자료 발굴 및 분석
역사적 의미 재조명
정부의 입장
공식 입장사건 발생에 대한 유감 표명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
하지만 공식적인 사죄나 배상은 이루어지지 않음
역사 인식 문제일본 정부의 역사 인식에 대한 비판 지속
역사 왜곡 문제 제기
올바른 역사 교육의 필요성 강조
같이 보기
관련 사건난징 대학살
731 부대
참고 문헌
참고 자료대원 사회문제 연구소 잡지 제668호, 야마모토 스미코, 2014
중앙 방재 회의 재해 교훈 계승에 관한 전문 조사회 2008 제4장 제2절 살상 사건의 발생
중앙 방재 회의 재해 교훈 계승에 관한 전문 조사회 2008 제4장 제2절 칼럼8 살상 사건의 검증
중앙 방재 회의 재해 교훈 계승에 관한 전문 조사회 2008 제4장 제1절 유언비어와 도시

2. 사건의 배경

1923년 도쿄를 비롯한 간토 지방은 간토 대지진으로 인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고, 사회 질서는 극도로 혼란스러운 상황이었다. 이러한 가운데,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각 지역 경찰서에 치안 유지를 지시하면서,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라는 내용을 전달했다.[219]

이러한 내용은 일부 신문에 사실 확인 없이 보도되었고,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여러 신문을 통해 더욱 과격한 내용의 유언비어가 퍼져나갔다. "조선인(또한 중국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라는 거짓 소문은, 지진으로 공급이 끊기고 목조 건물이 대부분이었던 일본인들에게 화재에 대한 공포를 불러일으켜, 조선인중국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유발했다.[219]

1923년 9월 10일매일신보. 신문에는 '관동대지진 당시 조선인들이 폭동을 조장하고 있다.'는 내용의 기사글로 전면을 다루고 있다.


당시 일본 당국은 3.1 운동과 같이 조선에서 발생한 대규모 독립운동과 다이쇼 데모크라시의 영향으로 활발해진 노동 운동, 민권 운동 등 민중의 저항에 대해 큰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인 지진이 발생하자, 조선인을 희생양 삼아 사회 질서를 유지하려는 목적으로 "조선인 폭동설"을 날조하였다.[231]

본소 이시하라 방면 대선풍의 진경, 제국 대진재 화보


조선인이 폭도로 변하여 방화하고 있다고 전하는 오사카 아사히 신문 (1923년 9월 3일 호외). 지진 후, 많은 신문사가 유언비어 확산에 가담했다.


이토 히로부미. 초대 한국 통감(1905년-1909년).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대한제국을 병합하여 조선의 통치권을 "완전하고 영구"하게 "양여"받았다. 병합 후 토지 조사 사업으로 조선 농민들은 토지를 빼앗기고 일본이나 만주로 이주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결 후, 3.1 운동 등 아시아 각지에서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여행 단속에 관한 건"을 공포하여 도항을 경찰 신고 허가제로 했다. 1920년부터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하여 일본에 의한 토지 수탈이 심화되고 일본 내 조선인 인구가 증가했다.

1922년 일본에서 싼 노동력 필요로 조선인의 도항이 "자유 도항제"로 바뀌면서 일본 이주 조선인이 늘었다. 그러나 경기 악화로 취업난에 고통받고 사회 운동이나 노동 운동에 참가하는 조선인이 많아지면서 일본인과의 분쟁이 빈번해졌다. 1923년 "조선인 노동자 모집에 관한 건"이 발령되고, 1924년 "조선인에 대한 여권 증명서의 건", 1925년 부산항에서 "도항 저지제"가 실시되었다. 3.1 운동 이후 언론 보도로 조선인이 공포와 불안의 대상이 되어 "불령 선인"이라는 표현이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조선의 3.1 운동이나 타이완의 대규모 데모를 유혈 진압하면서 민중의 저항에 경계심을 품고 있었다.[91] 일본 국내에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노동 운동・민권 운동・여성 운동 등 사회주의자들의 저항과 권리 확대 운동이 활발해지고, 보수적 세력의 급신장, 수상 암살과 공황으로 정치 경제 불안이 심화되면서 사회 체제가 흔들리고 있었다.[91] 국외에서도 영국・미국과의 대립, 시베리아 출병 실패로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등 내우외환의 상황에서 관동 대지진이 발생했다.[91]

야마모토 내각은 9월 7일 치안 유지령을 공포했다. 계엄령이 해제된 11월 15일까지 도쿄・가나가와・사이타마・지바의 피재지 1부 3현민의 시민적・정치적 자유가 정지된 상태에서, 대지진 발생 직후인 9월 1일 오후 3시 이후, 도쿄와 요코하마 등에서 "사회주의자 및 선인의 방화가 많다", "불령 선인 폭동" 등의 유언비어가 발생했는데, 경찰과 군이 흘린 것도 있었다.[92] 이러한 소문에 불안해진 민중이나 유지가 자경단을 결성했고, 일부는 지역 관할 경찰의 주도・지도하에 조직되었다. 이들 자경단의 일부에 의해 조선인・일본인・중국인 등이 학살되었다.[92]

관동 계엄 사령부에 참가한 이소메 록로 대좌는 "이번 불령 선인의 불령 행위의 배후에는 사회주의자나 러시아의 과격파가 큰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발언했다. 육군과 경찰은 이 혼란을 기화로 사회주의자나 노동 운동가들의 말살을 획책하여, 가메이도 사건, 아마카스 사건이 실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백색 테러"에 대한 책임 추궁이나 비판은 저조했다. 당시 사회에서는 치안 유지와 피재자 구원 활동의 일환으로 군, 정부, 경찰의 위신을 되찾았다고 환영받는 상황이었다.[92]

자세한 내용은 사회적 배경 및 유언비어의 확산 문서를 참고하라.

2. 1. 사회적 배경

1923년 도쿄를 비롯한 간토 지방은 지진으로 궤멸적인 피해를 입어 민심과 사회 질서가 매우 혼란스러웠다.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각 지역 경찰서에 치안 유지를 지시하며 "재난을 틈타 이득을 취하려는 무리들이 있다. 조선인들이 방화폭탄에 의한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는 내용을 하달했다.[219]

이 내용은 일부 신문에 사실 확인 없이 보도되었고,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여러 신문에 과격한 유언비어가 실리면서 "조선인(또한 중국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을 풀고 방화·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는 거짓 소문이 퍼졌다. 당시 지진으로 공급이 끊기고 목조 건물이 대부분이었던 일본인들은 화재를 매우 두려워했기에, 이러한 소문은 일본 민간인에게 조선인중국인에 대한 강렬한 적개심을 유발했다.[219]

당시 일본 당국은 3.1 운동 등 조선의 독립운동과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인한 노동 운동, 민권 운동 등 민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진이라는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를 기화로 조선인을 희생양 삼아 질서를 유지할 목적으로 "조선인 폭동설"을 날조하였다.[231]

1923년 8월 24일, 가토 도모사부로 내각총리대신이 병사하고 내각이 총사퇴했다. 8월 28일, 야마모토 곤베에게 조각 명령이 내려졌다. 지진 당일인 9월 1일 밤, 임시 총리 우치다 야스야 아래에서 각의가 열렸고, 2일에는 비상 징발령과 계엄에 관한 칙령이 발령되었다.

지진 후 1일부터 조선인 폭동 유언비어가 유포되었고, 2일 정오까지 도쿄와 요코하마 전역에 퍼졌다. 1일에는 "조선인이 습격한다"는 통보가 경시청에 들어왔으나, 2일 밤까지 조선인이 나타나지 않아 허위 보고임이 밝혀졌다.[69] 2일 밤, 경시청은 신문사에 "조선인 폭동"이 유언비어임을 알리고, 3일 도쿄일일신문 조간에 "불령한 조선인"의 맹동은 있지만 대다수 조선인은 선량하므로 박해나 폭행을 가해서는 안 된다는 "고시"를 게재했다.[70] 관헌 당국은 일부 "불령한 조선인"에 의한 폭행 사건은 발생했지만, 내무성이 발표하는 내용이 과장 보도되고 있다며 유언비어 보도의 진정을 도모했다.[71]

3일 오전 8시, 내무성 경보국장 고토 후미오는 각 지방 장관에게 "도쿄 근교의 지진을 이용하여 조선인이 방화하고 불령한 목적을 수행하려 한다"는 전문을 보냈다. 이 전문은 해군성 후나바시 송신소에서 발송되었는데, 이 송신소는 "조선인 300명 후나바시 상륙"과 같은 사실무근의 타전을 하고, 4일에는 SOS까지 쳤다. 소장 오모리 대위는 인근 마을 대표에게 "습격 목적으로 오는 조선인은 죽여도 좋다"고 훈시하여 16명의 조선인 피난자가 살해되었다.[72]

당시 신문들은 취재를 통해 얻은 체험담이나 목격 정보를 사실 확인 없이 기사화했다.[74] 9월 3일, 내무성 경보국은 허위 소문 유포로 인한 사회 불안 증대를 막기 위해 "조선인에 관한 기사는 일절 게재하지 말 것"을 각 신문에 경고했다.[75]

1905년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대한제국을 병합하여 조선의 통치권을 "완전하고 영구"하게 "양여"받았다. 병합 후 토지 조사 사업으로 조선 농민들은 토지를 빼앗기고 일본이나 만주로 이주하게 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종결 후, 3.1 운동 등 아시아 각지에서 독립 운동이 일어났다. 조선총독부는 "조선인의 여행 단속에 관한 건"을 공포하여 도항을 경찰 신고 허가제로 했다. 1920년부터 산미 증식 계획을 실시하여 일본에 의한 토지 수탈이 심화되고 일본 내 조선인 인구가 증가했다.

1922년 일본에서 싼 노동력 필요로 조선인의 도항이 "자유 도항제"로 바뀌면서 일본 이주 조선인이 늘었다. 그러나 경기 악화로 취업난에 고통받고 사회 운동이나 노동 운동에 참가하는 조선인이 많아지면서 일본인과의 분쟁이 빈번해졌다. 1923년 "조선인 노동자 모집에 관한 건"이 발령되고, 1924년 "조선인에 대한 여권 증명서의 건", 1925년 부산항에서 "도항 저지제"가 실시되었다. 3.1 운동 이후 언론 보도로 조선인이 공포와 불안의 대상이 되어 "불령 선인"이라는 표현이 유행어가 되기도 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조선의 3.1 운동이나 타이완의 대규모 데모를 유혈 진압하면서 민중의 저항에 경계심을 품고 있었다.[91] 일본 국내에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노동 운동・민권 운동・여성 운동 등 사회주의자들의 저항과 권리 확대 운동이 활발해지고, 보수적 세력의 급신장, 수상 암살과 공황으로 정치 경제 불안이 심화되면서 사회 체제가 흔들리고 있었다.[91] 국외에서도 영국・미국과의 대립, 시베리아 출병 실패로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는 등 내우외환의 상황에서 관동 대지진이 발생했다.[91]

야마모토 내각은 9월 7일 치안 유지령을 공포했다. 계엄령이 해제된 11월 15일까지 도쿄・가나가와・사이타마・지바의 피재지 1부 3현민의 시민적・정치적 자유가 정지된 상태에서, 대지진 발생 직후인 9월 1일 오후 3시 이후, 도쿄와 요코하마 등에서 "사회주의자 및 선인의 방화가 많다", "불령 선인 폭동" 등의 유언비어가 발생했는데, 경찰과 군이 흘린 것도 있었다.[92] 이러한 소문에 불안해진 민중이나 유지가 자경단을 결성했고, 일부는 지역 관할 경찰의 주도・지도하에 조직되었다. 이들 자경단의 일부에 의해 조선인・일본인・중국인 등이 학살되었다.[92]

관동 계엄 사령부에 참가한 이소메 록로 대좌는 "이번 불령 선인의 불령 행위의 배후에는 사회주의자나 러시아의 과격파가 큰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 같다"고 발언했다. 육군과 경찰은 이 혼란을 기화로 사회주의자나 노동 운동가들의 말살을 획책하여, 가메이도 사건, 아마카스 사건이 실행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백색 테러"에 대한 책임 추궁이나 비판은 저조했다. 당시 사회에서는 치안 유지와 피재자 구원 활동의 일환으로 군, 정부, 경찰의 위신을 되찾았다고 환영받는 상황이었다.[92]

2. 2. 유언비어의 확산

1923년 도쿄 일원은 간토 대지진으로 궤멸적인 피해를 입었고, 사회는 극도로 혼란스러웠다. 이러한 상황에서 내무성은 계엄령을 선포하고 각 경찰서에 치안 유지를 지시하면서, "조선인들이 방화, 폭탄 테러, 강도 등을 획책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는 내용을 하달했다.[27]

이 내용은 사실 확인 없이 일부 신문에 보도되었고, 아사히 신문, 요미우리 신문 등 여러 신문을 통해 더욱 과격해진 유언비어가 확산되었다. "조선인 (및 중국인)들이 폭도로 돌변해 우물을 풀고 방화, 약탈을 하며 일본인을 습격하고 있다"는 소문은, 지진으로 공급이 끊기고 목조 건물이 많아 화재를 두려워하던 일본인들에게 조선인중국인에 대한 강한 적개심을 유발했다.

일본인 증언에 따르면, 9월 2일 밤부터 요코하마, 가나가와, 도쿄의 경찰관들은 주민들에게 조선인을 죽여도 된다고 알렸으며, 심지어 "이웃에 들어오는 조선인은 누구든 죽여라"와 같은 명령도 있었다.[27] 경찰은 조선인들이 방화할 동네 목록, 휘발유, 독극물을 소지하고 있다거나, 일본 여성들을 강간하고 있다는 등의 거짓 소문을 퍼뜨려 일본 남성들이 자경단을 조직하도록 부추겼다.[27] 분쿄에서는 경찰이 조선인들이 식수와 식량을 독살했다고 거짓 보고하기도 했다.[11] 그러나 이러한 소문은 모두 거짓으로 밝혀졌다.[27][32]

당시 신문들은 다음과 같이 유언비어를 보도했다.

신문기사 내용
도쿄일일신문"불령선인이 각지에 방화하고, 제국에 계엄령을 선포하다.", "선인이 가는 곳마다 멸시를 행하다. 200명이 발도하여 집합, 경관대와 충돌하다.", "일본인 남녀 십수 명을 살해하다. 본부는 세타가야"
시모노 신문"오모리 방면에서 불령선인대와 우리 보병 소대와 전투 개시", "미카와 방면에서 불령선인 200명 압송 보도", "오쿠보에서 선인이 우물에 독을 던져 200명 사망"
조모 신문"선인 침입. 우물에 투약이 목적", "경종을 난타하다. 우라와 마을의 대경계", "선인이 맹렬히 습격하다."
오타루 신문"대도쿄시의 약 3분의 2가 초토화되어 사상자의 산. 불령선인 횡행"
가라후토 일일 신문"선인의 대폭동", "나고야의 불령선인"
홋카이 타임스"선인 발호", "불령선인 폭거, 시노바즈 연못에 독약을 투여하다", "선인 300명 후나바시에 상륙.", "불령선인과 전투 개시. 3천 명의 선인이 요코하마에서 옴."
하코다테 일일 신문"도쿄 시 전체의 3분의 2가 불타고, 불령선인이 대거 활개치다", "야수와 같은 선인 폭동 마수 제국에서 지방으로. 강도 강간 약탈 살인이 그들의 목적."
히로사키 신문"산백 암살. 범인은 불령선인", "보병 한 개 소대 전멸", "선인 타카사키의 화약고 폭발하려다", "2천 명의 선인 폭도가 도카이도를 휩쓸다"
가호쿠 신보"400명의 불령선인이 마침내 군대와 충돌.", "약 3천 명의 불령선인이 오모리 방면에서 도쿄로", "거의 전멸한 요코하마, 사상자 약 48만 명.", "대지진 후의 도쿄는 불에 탄 돌 하천과 같다. 불령선인의 폭동은 사실"
쇼나이 신보"야마모토 수상 암살? 주의자의 폭동"
야마가타 민보"불령선인 300여 명, 폭탄으로 시내 각지를 폭파.", "3천 명의 폭도 집합, 오모리에서 군대와 충돌, 보병 한 개 소대 전멸했는가", "1만 명의 불령선인 도쿄를 탈출하여 자유 행동.", "선인 200명 습격, 해안에서 일본인과 격투"
후쿠시마 민유 신문"보병과 불령선인과 전투를 벌이다."
니가타 매일 신문"야마모토 백작 암살설", "불령선인 발호."
호쿠리쿠 타임스"도쿄 무경찰 상태. 불령선인의 발호", "불령선인과 지나인이 고위 고관에게 폭탄을 던지"
호쿠코쿠 신문"선인 횡행하다. 질서가 완전히 문란하다"
나고야 신문"야마모토 백작이 불령선인에게 암살되었다는 소문", "선인 우라와 타카사키에 방화."
교토 일출 신문"조선인의 폭도가 일어나 요코하마, 가나가와를 거쳐 하치오지로 향하여 맹렬히 불을 지르고 있는 것을 보았다"
오사카 아사히 신문"비어, 폭리의 단속 등 4개 항목. 경찰서장을 소집하여 부장의 엄달"
고베 또 신일보"만일의 사태를 고려하여 탄환을 탑재. 도쿄만에 회항해야 할 군대 "후소" 불령선인이 폭탄을 가져왔다는 소문"
쇼요 신보"불령선인 도약하다. 도쿄는 무질서 상태"
해남 신문"선인의 불령 분자가 화약고 폭발의 풍설."
관문 일일 신문"폭한 습격설은 누군가의 선전인 듯하다."
후쿠오카 일일 신문"제도는 거의 무질서. 궁내성 내무성도 불태우다. 초토화된 도쿄 시중은 대혼란을 보이며 선인 등의 발호가 매우 횡포를 부리고 있다"



이러한 유언비어는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그리고 지방 출신 일본인들에게까지 피해를 입혔다. 조선인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시볼레스가 사용되었고, 국가나 도도이츠를 부르게 하거나, 조선어는 단어 첫머리에 탁음이 오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15엔 50전"이나 "가기구게고" 등을 말하게 하여 제대로 말하지 못하면 조선인으로 간주하여 폭행하거나 살해했다.[76]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자에 대해 경고하는 경시청의 전단


9월 3일, 내무성 경보국은 허위 소문 유포로 인한 사회 불안 증대를 막기 위해 "조선인에 관한 기사는 일절 게재하지 말 것"을 각 신문에 경고했다.[75] 그러나 유언비어는 이미 널리 퍼진 후였고, 그 결과 간토 대학살이라는 비극적인 사건으로 이어졌다.

3. 학살의 전개

간토 대지진 직후, 일본 사회에는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유언비어가 퍼졌다. 이에 일본인들은 자경단을 조직해 조선인과 중국인을 학살하기 시작했다. 곳곳에서 일본인들이 자경단을 조직해 불심검문을 하면서 조선인이나 중국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했다.[220] 이들은 죽창,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했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했다.[27] 조선인 학살에는 쉽볼렛이 사용되었는데, 우선 조선식이나 중국식 복장을 한 이는 바로 살해당했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신분을 숨기기 위해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이나 중국인을 식별하기 위해 어려운 일본어 발음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222]

지진 직후부터 자경단이나 무장한 민간인에 의해 "불령선인"으로 의심받은 조선인, 경찰에 보호받는 조선인에 대한 살상 행위가 발생했다. 일본인이나 중국인이 대상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조선인으로 오인된 중국인이 희생된 사건, 더 나아가 오인이 아닌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살해된 사건도 있다(관동 대지진 중국인 학살 사건).[223]

제2차 야마모토 내각은 9월 5일, 민중에게 조선인에게 불온한 움직임이 있으면 군대 및 경찰이 단속하므로, 민간인에게 자제를 요구하는 '내각고유 제2호'를 발표했다.[79][80] 같은 날 관헌은 임시 진재 구호 사무국 경비부에서 '선인 문제에 관한 협정'이라는 극비 협정을 맺었다. 협정의 내용은, 관헌・신문 등에 대해 일반 조선인이 평온하다고 전할 것, 조선인에 의한 폭행・폭행 미수 사실을 수사하여 사실을 긍정하도록 노력할 것, 국외에 '적화 일본인 및 적화 선인이 배후에서 폭동을 선동한 사실이 있었다는 것을 선전'하는 것이다. 이러한 대응은 정부가 조선인 폭동에 대한 유언비어를 퍼뜨린 것을 은폐・책임 전가하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받는다.

이후 우익 헌법학자 우에스기 신키치는 혼란의 원인을 주로 경찰관헌의 자동차 포스터나 과장된 선전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86] 미야케 세츠레이는 당시 경시총감 아카이케 노부를 장본인으로 지목했다.[137] 경시청 관방주사 쇼리키 마쓰타로는 자신이 부하에게 조선인 폭동 유언을 명령하여 게시판에도 공표하게 했다고 말했다.[137]

9월 1일에는 이미 유언비어가 발생했고, 경찰관도 지역에서 조선인에 대한 경계를 적극적으로 촉구했다.[81] 9월 2일, 경시청은 각 경찰서에 "불령자에 대한 단속을 엄격히 하라"는 호령을 내렸다.[86] 같은 날, 내무성 경보국장은 "조선인이 각지에서 방화하고 있으니 엄하게 단속해 달라"는 통첩을 발령했다.[86]

처음에는 조선인 폭동을 믿었던 정부·경찰·군 수뇌부도 3일 이후, 점차 허위의 풍문임을 깨닫고 궤도 수정을 시도해갔다. 9월 3일에는 "어제부터 일부 불령(不逞) 조선인의 망동이 있었으나, 지금은 엄중한 경계에 의해 그 흔적이 끊겼다(…) 흉행을 저지르는 자는 없으므로 함부로 이를 박해하고 폭행을 가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할 것"이라는 내용의 전단을 경시청이 배포했다. 야마모토 곤베에는 9월 5일에 내각고유 제2호 "지진 재해에 즈음한 국민 자중에 관한 건"을 발표했다. 그 내용은 민중이 조선인을 박해하는 것은 일선동화에 반하며, 여러 외국에 알려져 좋은 일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도쿄 아자부에서 결성된 자경단. 죽창 등으로 무장하고 있다.

3. 1. 자경단의 조직과 폭력

자경단죽창,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하였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하였다.[220] 이들은 조선인이나 중국인으로 확인되면 가차없이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조선인 학살에는 쉽볼렛이 사용되었는데, 한국어에 없는 어두전탁 및 장음 발음(撥音) 등으로 이루어진 “十五円五十銭(15엔 50전)”(じゅうごえんごじっせん)이나 "大根(무)"(だいこん)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바로 살해하였다.[222] 이 과정에서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아마미 제도 출신, 지방 일본인, 심지어 서양 출신 기자들까지 조선인으로 오인받고 살해당하는 등 자경단의 광기는 상상을 초월하였다.[223]

일부 조선인들은 학살을 피해 경찰서 유치장으로 피신하였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자경단이 경찰서 안까지 쳐들어와 끄집어 내어 학살하였다.[16] 경찰살인을 보고서도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하였으며, 오히려 조선인을 조직원으로 받아들이고 있던 야쿠자 등 비공권력 범죄 집단의 일부가 조선인을 숨겨주는 일이 있었다.[224]

9월 4일에는 사이타마현 혼조정(현 혼조시)에서 주민들이 조선인을 공격하여 살해하는 혼조 사건이 일어났다. 같은 날 구마가야정(현 구마가야시), 9월 5일 메누마정에서도 같은 사건이 일어났다. 9월 5일에서 6일 사이에는 군마현 후지오카정(현 후지오카시)에서 후지오카 경찰서 내에 구금되어 있던 재일조선인 17명이 경찰서 내로 난입한 자경단과 군중의 린치로 살해당한 후지오카 사건이 일어났으며, 이 사건은 당시 사망진단서와 검시기록 자료에도 남아 있다.[224]

이런 학살 와중에도 조선인 등을 보호하고자 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요코하마시의 쓰루미 경찰서장이었던 오카와 쓰네키치는 경찰 보호 하에 있는 조선인 300명을 보호하기 위해 1천여 명의 군중과 대치하면서 "조선인들을 제군에게 넘겨줄 수 없다. 이 오카와부터 죽이고 나서 데려가라. 조선인을 넘겨주는 대신 목숨이 붙어있는 한 계속 싸우겠다"며 군중을 물리쳤다.[225]

3. 2. 일본 군대와 경찰의 개입

간토 대지진 당시, 일본 사회에는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킬 것이라는 유언비어가 퍼져 있었다. 이에 따라 일본인들은 자경단을 조직하여 조선인과 중국인을 학살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죽창,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했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했다.[27]

일본 경찰은 이러한 학살을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학살을 조장하거나 직접 가담하기도 했다. 가나가와현 경찰서장 니시자카 가쓰토는 9월 1일 밤 지역 서장들에게 "비상 사태에 대처하기 위한 특정 임무"를 부여했다고 보고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27] 그는 인터뷰에서 "혼란스러운 시기에 '조선인 불량배'가 위험하다고 누군가 말했을 것"이라고 말했다.[27]

일본인 증언에 따르면, 9월 2일 밤부터 요코하마, 가나가와, 도쿄의 경찰관들은 주민들에게 조선인을 죽여도 된다고 알리기 시작했다.[27] 요코스카에서는 경찰관들이 지역 주민들에게 조선인들이 일본 여성들을 강간하고 있다고 말하여 일본 남성들이 자경단을 형성하도록 부추겼다.[27] 분쿄에서는 경찰이 조선인들이 식수와 식량 공급을 독살했다고 거짓 보고했다.[11]

9월 15일: 우에노 공원에서 내무대신 고토 신페이로부터 보고를 받는 섭정 - 수도의 황폐한 모습을 시찰하는 동안.


군대 역시 학살에 가담했다. 아마카스 사건에서는 오스기 사카에, 이토 노에아나키즘 신봉자들이 육군 장교 아마카스 마사히코에 의해 살해되었다. 아마카스는 10년 형을 선고받았으나, 1926년 사면으로 석방되었다.[25][26]

제2차 야마모토 내각은 9월 5일, 민중에게 조선인에게 불온한 움직임이 있으면 군대 및 경찰이 단속하므로, 민간인에게 자제를 요구하는 '내각고유 제2호'를 발표했다.[79][80]

이후 우익 헌법학자 우에스기 신키치는 혼란의 원인을 주로 경찰관헌의 자동차 포스터나 과장된 선전에 의한 것이라고 보았다.[86] 미야케 세츠레이는 당시 경시총감 아카이케 노부를 장본인으로 지목했다.[137] 경시청 관방주사 쇼리키 마쓰타로는 자신이 부하에게 조선인 폭동 유언을 명령하여 게시판에도 공표하게 했다고 말했다.[137]

9월 1일에는 이미 유언비어가 발생했고, 경찰관도 지역에서 조선인에 대한 경계를 적극적으로 촉구했다.[81] 9월 2일, 경시청은 각 경찰서에 "불령자에 대한 단속을 엄격히 하라"는 호령을 내렸다.[86] 같은 날, 내무성 경보국장은 "조선인이 각지에서 방화하고 있으니 엄하게 단속해 달라"는 통첩을 발령했다.[86]

경보국 사무관 가와무라 테이시로는 관헌 발 유언비어의 이유 중 하나로 "일파의 자들이 불온 계획을 실행하려 한다는 정보를 얻고 있었다"는 것을 들고 있지만, 이것은 실제로는 일본 공산 청년 동맹이 9월 2일 국제 청년의 날에 소규모 활동을 계획했던 것에 불과하다.[72]

김부자는 학살은 경찰과 군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으며, 자경단은 주로 관헌의 선동·교사에 의해 조직되어 학살로 향한 것이고, 그 책임 추궁을 두려워한 정부 측이 자경단에게 책임을 전가했다고 주장한다.[84]

3. 3. 학살의 대상

간토 대지진 당시, 일본인들은 자경단을 조직하여 조선인과 중국인을 학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220] 이들은 죽창, 몽둥이, 일본도 등으로 무장했고, 일부는 총기로 무장하기도 했다. 조선식이나 중국식 복장을 한 사람들은 즉시 살해되었으며, 학살 사실을 알고 일본식 복장을 한 조선인과 중국인을 식별하기 위해 어려운 일본어 발음(十五円五十銭|주고엔고주센일본어)이나 "大根(무)"(だいこん|다이콘일본어)을 시켜보아 발음이 이상하면 살해했다.[222]

이 과정에서 조선인뿐만 아니라 중국인, 류큐인, 아마미 제도 출신, 도호쿠, 고신에쓰, 홋카이도 출신 일본인, 미국, 영국 등 서양 출신 기자들도 조선인으로 오인받아 살해당했다. 일부 조선인들은 경찰서 유치장으로 피신했으나, 자경단은 경찰서 안까지 쳐들어와 이들을 학살했다. 경찰은 살인을 방관하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했으며, 오히려 야쿠자 등이 조선인을 숨겨주는 일도 있었다.

조선인 학살과 더불어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 인권운동가 등 좌파 계열 운동가에 대한 학살도 동시에 진행되었다.

일본군과 경찰의 주도로 간토 지방에서만 4,000여 개의 자경단이 조직되었다.[220] 요코하마 지역에서는 형무소에서 죄수들이 풀려나 자경단의 활동이 가속화되었다.[221] 자경단은 조선인뿐 아니라 중국인, 일본인 등도 학살했다. 조선인 판별을 위해 쉽볼렛을 말하게 하거나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를 부르게 했다.[222] 한국어에는 어두에 탁음이 없다는 점을 이용해 "15엔 50전"(十五円五十銭|주고엔고주센일본어), "가기구게고"(ガギグゲゴ|가기구게고일본어)를 말하게 하여 발음이 이상하면 조선인으로 간주하여 폭행하거나 살해했다. "하얀 복장이라 조선인이다"라는 이유로 일본 해군 장교도 조선인으로 의심받았다. 후다이촌 사건처럼 사투리를 쓰는 지방 출신 일본인들도 살해당했다. 도쿄농아학교 재학생의 절반 이상이 실종되었고 졸업생 중 1명이 살해당했다.[223] 9월 4일에는 사이타마현 혼조정(현 혼조시)에서 혼조 사건이, 9월 5일에서 6일 사이에는 군마현 후지오카정(현 후지오카시)에서 후지오카 사건이 일어났다.[224]

이런 학살 속에서도 조선인 등을 보호하고자 한 사람들도 있었다. 요코하마시 쓰루미 경찰서장 오카와 쓰네키치는 조선인 300명을 보호하기 위해 군중과 대치하며 "조선인들을 넘겨줄 수 없다. 이 오카와부터 죽이고 나서 데려가라"라고 말하며 군중을 물리쳤다.[225][226] 요코스카 진수부 장관 노마구치 가네오의 부관 구사카 류노스케 대위는 해군육전대의 실탄 사용 신청이나 재향군인회의 무기 방출 요청 허가를 전부 내주지 않았다.[222] 지바현 후나바시시 마루야마 취락에서는 마을 주민들이 조선인들을 자경단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일치단결하기도 하였다.

10월 이후 자경단은 경찰에 체포되었는데, 살인, 살인미수, 상해치사, 상해 등 4개 죄목으로 기소된 일본인은 362명이었다. 하지만 대부분 "애국심"으로 집행유예를 받았으며, 실형을 선고받은 사람들도 황태자(후일의 쇼와 천황) 결혼으로 사면받았다.[230]

4. 학살 이후

1923년 9월 1일과 2일, 내무성 경보국은 전국 신문사에 인심을 불안하게 하는 소문에 대한 기사를 피하도록 통첩을 보냈다. 특히 조선인 관련 기사는 허위 보도가 많으므로 일절 게재하지 않도록 요청했다. 박경식은 이를 치안 유지와 정부 비판을 막기 위한 조치로 해석한다.[88]

계엄 사령부는 방해 행위가 될 수 있는 집회, 신문, 잡지, 광고의 중지를 경시총감, 관계 지방 장관, 경찰관에게 명령했다.[88]

1923년 12월, 중의원이 개회되었다. 같은 달 14일 다부치 도요키치(무소속), 15일 나가이 류타로(헌정회), 23일 다카야나기 가쿠타로, 미나미 테이조 등이 조선인 학살에 대해 정부를 추궁했다. 다부치 의원은 "천 명 이상의 사람이 살해된 대사건을 묻지 않고 괜찮은 것인가"라고 비판했지만, 야마모토 곤베에 총리는 답변을 유보했다. 나가이 의원은 정부가 다부치 의원의 발언을 묵살한 것을 문제 삼았고, "모든 책임은 자경단에 있는 것과 같은 관점이 있는데, 이는 국민 사상의 향상 발전을 위해 슬퍼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같은 날 귀족원에서는 남작 후지무라 의원이 정부와 군, 재향 군인 단, 청년단을 칭찬했고, 조선인 학살은 거론되지 않았다.

나가이 의원은 조선인 폭동 유언비어에 대해 "당시 내무성의 최고 관료로부터 발신되었으므로, 그 명령을 접한 각지의 지방 장관은, 또한, 그 명령을 관할의 군청에 전달하고, 관할의 군청은 또한, 이를 관할의 촌락에 전달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저 자경단의 조직을 보게 되었다"라고 말하며, 조선 통치의 책임을 추궁했다.[88]

야마모토 총리는 사죄의 말을 하지 않았고, "현재 조사 진행 중"이라는 답변으로 마무리하려 했다. 다만, 내상 고토 신페이는 "불행하게도 범죄자가 아닌 사람이 해를 입은 사람이 절대로 없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라며 살해 사실을 인정했다.

4. 1. 일본 정부의 대응

많은 전문가들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에 대한 자료 부족의 원인으로 일본 민간인들의 사실 은폐와 더불어 일본 정부의 조사 의지 부족을 지적한다. 이는 일본의 당시 상황과 외국인과의 관계 정립에 있어 안타까운 역사적 상황으로 여겨진다.[219]

치안 당국은 "조선인 폭동"이 없다는 것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혼란 수습과 질서 회복을 명분으로 자경단의 만행을 방관하고, 일부는 가담하거나 조장하기까지 하였다. 자경단의 만행이 심해져 공권력을 위협할 정도가 되자, 그제야 개입하였으나, 이미 수많은 조선인이 학살당한 후였다. 학살 대상은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았으며, 상당수는 암매장되었다. 학살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에는 도쿄의 스미다가와와 아라카와 강이 시체로 인해 피로 물들었다고 한다. 일본 정부는 유언비어를 공식 확인하였으나, 피해자 수를 줄여서 발표하고, 자경단 일부를 조사하였으나, 형식상의 조치에 불과하였으며, 기소된 사람들도 증거불충분으로 무죄 방면되었다. 학살 사건으로 인해 사법적 또는 도의적 책임을 진 사람이나 기구는 없었다.

당시 일본 당국은 3.1 운동과 대만에서의 대규모 봉기를 유혈 진압하면서 민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을 느꼈다. 지진 당시 치안 책임자들은 주로 대만총독부 출신 관료 및 군인이었다. 또한 일본 본국에서는 다이쇼 데모크라시로 인해 노동 운동, 민권 운동, 여성 운동 등 민중의 저항과 권리 찾기 운동이 활발했다. 이러한 분위기를 사회적 혼란 또는 일본 제국의 위기로 판단한 이들은 조선인을 희생양 삼아, 질서를 유지할 목적으로 “조선인 폭동설”을 날조하였다.[231] 사건 이후, 일본 당국은 이 사실이 알려질 경우 조선에서 다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한동안 일본 내 조선인의 입국을 금지시켰다. 또한 초기 발표에서 조선인 사상자 수는 불과 2~3명에 불과하다고 주장할 정도로 사건을 숨기는 데 급급하였다.

1923년 9월 5일, 내각총리대신 우치다 고사이가 불법 살인이 발생했음을 인정하자, 도쿄 관리들은 학살을 부인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비밀리에 논의했다. 사망자 수를 최소화하고, 조선인 폭력에 대한 소문을 노동 운동가 야마구치 세이켄에게 뒤집어씌우고, 폭동 혐의로 무고한 조선인을 모함하기로 합의했다. 이 계획은 다음 달에 실행되었다. 사망자 수 보도 금지령은 모든 신문에 의해 준수되었으며, 관리들은 단 5명이 사망했다고 주장했다. 학살이 시작된 지 거의 두 달 후인 10월 21일, 지역 경찰은 23명의 조선인을 체포했고, 동시에 금지령을 해제하여 학살의 전체 규모에 대한 최초 보도는 거짓 체포와 섞였다.[27]

9월 18일부터 일본 정부는 학살에 가담한 735명을 체포했다. 그러나 정부는 그들을 엄하게 처벌할 의사가 없었다. 11월, ''도쿄 니치니치 신문''은 재판 과정에서 피고인과 판사가 린치를 묘사하며 웃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검찰은 가벼운 형량을 권고했다.[28]

조선인 사회에 린치 폭도에 대한 소식이 퍼지면서 수천 명이 도시를 탈출하려 했다. 도쿄 경찰은 도망치는 조선인을 체포하여 혼조의 수용소에 구금하는 역할을 소아이카이라는 협력 단체에 맡겼다. 도쿄 경찰청장 마루야마 쓰루키치는 소아이카이에 학살 소식이 해외로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조선인들을 수용소에 가두라고 명령했다. 소아이카이는 결국 4,000명의 조선인에게 2개월 이상 도시 폐허를 청소하는 무보수 노동을 시켰다.[29]

야마구치는 일본 관리들에 의해 조선인 폭도에 대한 소문을 퍼뜨린 혐의로 공개적으로 비난받았지만, 그 혐의는 공식화되지 않았다. 그는 몇 달 동안 감옥에 갇힌 후, 훼손된 집에서 지진 생존자에게 집주인의 허가 없이 음식과 물을 재분배한 혐의로만 기소되었다.[30][27] 1924년 7월 그는 2년 징역형을 선고받았고, 옥살이를 견뎌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1]

서울의 조선 신문은 지역 경찰에 의해 학살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도록 차단되었다.[32] 도쿄에서 탈출하여 소식을 전하기 위해 서울로 급히 달려온 두 명의 조선인은 "허위 정보 유포" 혐의로 체포되었고, 그들에 대한 뉴스 보도는 완전히 검열되었다.[33] 학살 소식이 한반도에 도달했을 때, 일본은 조선인들을 잘 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를 전국에 배포하여 조선인들을 달래려 했다. 이 영화들은 반응이 좋지 않았다고 한다.[18] 일본 조선총독부는 학살 희생자 832가족에게 보상했지만, 일본 정부는 250명 정도의 사망자만 인정했다.[34] 총독은 또한 린치 폭도들로부터 조선인을 보호하는 "아름다운 이야기"(美談)가 담긴 선전 전단지를 발행하고 배포했다.[33] 니시자카 경찰청장 자신도 영웅적인 경찰이 조선인을 보호하는 ''미담'' 이야기를 배포했는데, 그는 나중에 인터뷰에서 이러한 이야기가 불쾌한 측면을 생략하기 위해 신중하게 선택되었다고 인정했다.[27]

이후 우익 헌법학자 우에스기 신키치는 혼란의 원인을 주로 경찰관헌의 자동차 포스터나 말 잘하는 자들의 과장된 선전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86] 미야케 세츠레이는 당시 경시총감 아카이케 노부를 장본인으로 지목했다.[137] 쇼리키 마쓰타로는 자신이 부하에게 조선인 폭동 유언을 명령하여 게시판에도 공표하게 했다고 말했다.[137] 박경식은 아카이케와 내상 미즈노 렌타로가 조선총독부 전 관료였으며, 3·1 운동에서 받은 공포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고 지적했다.[137] 나가이 류타로 또한 국회 질의에서 일부 정부 관료들의 조선에서의 자신들의 잘못된 정책에 대한 반동이 있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137]

1960년대 이후 강덕상, 야마다 아키지 등을 시작으로 다나카 마사타카에 이르기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84] 이들에 따르면 1923년 9월 1일에는 이미 유언이 일어나 경찰관도 지역에서 조선인에 대한 경계를 적극적으로 촉구했다.[81] 9월 2일, 내무성 경보국장은 "조선인이 각지에서 방화하고 있으니 엄하게 단속해 달라"는 통첩을 발령하여 전국 지방 장관에게 타전했다.[86] 또한 도쿄 근교에도 통첩을 발령하여 각 촌에서 주민을 자경단으로 조직시켜 조선인에 대한 경계에 나서도록 지시했다.[81] 자경단은 도쿄부에서 1,593단체, 관동 지방 전역에서 3,689단체가 조직되었다.

김부자는 학살은 경찰과 군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으며, 자경단은 주로 관헌의 선동·교사에 의해 조직되어 학살로 향한 것이고, 그 책임 추궁을 두려워한 정부 측이 자경단에게 책임을 전가했다고 주장한다.[84]

10월 이후 경찰에 의해 자경단의 단속이 이루어져 살인·살인 미수·상해 치사·상해 등 4가지 죄목으로 기소된 일본인은 362명에 달했다. 그러나 "애국심"에 의한 것으로 참작되어, 그 대부분이 집행유예가 되었고, 나머지도 형이 가벼웠다.[153][154] 후쿠다촌 사건에서는 실형을 선고받은 자도 황태자(훗날 쇼와 천황. 당시 섭정) 결혼으로 사면되었다.[154] 자경단의 해산이 명령되기 시작한 것은 11월의 일이다.

1923년 12월, 중의원이 개회했다. 같은 달 14일 다부치 도요키치(무소속), 15일 나가이 류타로(헌정회), 23일 다카야나기 가쿠타로, 미나미 테이조 등이 조선인 살해에 대해 정부를 추궁했다. 다부치 의원은 "나는 내각의 여러 공들이 가장 슬퍼해야 할 대사건에 대해 한 마디도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에 대해 매우 분개하고 슬픔을 느끼는 바입니다…… 천 명 이상의 사람이 살해된 대사건을 묻지 않고 괜찮은 것인가"라고 말했지만, 야마모토 곤베에 총리는 답변을 유보했다. 나가이 의원은 전날 다부치의 발언을 정부가 묵살한 것을 문제 삼았다. 또한, 이 사건에 대해 "모든 책임은 자경단에 있는 것과 같은 관점이 있는데, 이는 국민 사상의 향상 발전을 위해 본 의원은 이를 슬퍼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같은 날, 귀족원에서는 남작・후지무라 의원이 정부와 군, 재향 군인 단, 청년단을 칭찬했다. 귀족원에서는 조선인 살해는 거론되지 않았다.

나가이 의원은 1923년 12월 국회에서 조선인 폭동 유언비어에 대해 "당시 내무성의 최고 관료로부터 발신되었으므로, 그 명령을 접한 각지의 지방 장관은, 또한, 그 명령을 관할의 군청에 전달하고, 관할의 군청은 또한, 이를 관할의 촌락에 전달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저 자경단의 조직을 보게 되었다"라고 말하며, 아울러 조선 통치의 책임을 추궁했다[88]

야마모토 총리로부터 사죄의 말은 나오지 않았고, "현재 조사 진행 중"이라는 답변으로 마무리하려 했다. 다만, 내상・고토 신페이로부터는 "불행하게도 범죄자가 아닌 사람이 해를 입은 사람이 절대로 없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라며 살해 사실을 인정하는 발언이 있었다.

기시다 후미오 내각의 내각관방장관 마츠노 히로카즈는, 지진 발생 100년을 이틀 앞둔 2023년 8월 30일, 총리 관저에서의 기자 회견에서, 교도 통신 기자가 관동 대지진의 기록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176][177][178]。이에 대해 마츠노는 "정부로서 조사한 결과, 정부 내에서 사실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록은 찾을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176][177][178]

다음날 31일의 기자 회견에서 마츠노는, 2009년에 중앙 방재 회의에 설치된 "재해 교훈의 계승에 관한 전문 조사회"가 정리한 관동 대지진에 관한 보고서 중에, 조선인 학살에 관한 기재가 있다는 질문을 받았다[177][179]

> 피해 지역에서는 조선인 폭동의 유언비어에 근거하여 민간 자경단에 의한 조선인에 대한 폭행 및 살상 사건이 일어났다. 혼란 속에서 진위를 확인할 수 없는 채, 관헌도 유언비어를 사실로 오인하여 행동했다. 이로 인해 관헌 스스로의 손에 의한 조선인 살상 사건이 발생했고, 또한, 자경단의 폭주를 조장하는 결과가 되었다.

이에 대해 마츠노는, 이것은 유식자가 정리한 것으로 정부 견해를 나타낸 것은 아니라고 답변했다[180]

제1회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에서 당시 도쿄도지사였던 미노베 료키치는 "51년 전의 끔찍한 행위는 지금도 우리의 양심을 날카롭게 찌릅니다"라는 추도 메시지를 보냈다. 이후, 역대 도쿄도지사가 추도식에 추도문을 보내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187][188]

2016년 7월에 도쿄도지사로 취임한 고이케 유리코는 2017년 8월, 식전에 추도문을 보내는 것을 중단했다[188]。 추도문 발송 중단은 2017년 8월 24일 각 신문이 보도하면서 알려졌고[189][190], 8월 30일, 스미다구 구청장 야마모토 토오루가 고이케를 따라 마찬가지로 발송을 중단했다고 보도되었다[191]

2017년 3월 2일 도쿄도의회 본회의에서 자민당의 고가 토시아키 도의원이 희생자 수에 이의가 있다며 "앞으로는 추도사의 발신을 재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요구했다[188]。 고가는 "일본 및 일본인에 대한 주권 및 인권 침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해자 측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사실을 규명하고, 지진 3년 전인 1920년 국세조사에서 1부 3현(도쿄부, 사이타마현, 지바현, 가나가와현)의 전체 조선인 인구는 3,385명이므로 추도비의 희생자 수 "6천여 명"이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192]。 이에 대해 고이케 지사는 "추도문은 매년 관례적으로 보냈었다. 앞으로는 저 자신이 잘 살펴보고 적절하게 판단하겠다"고 답했다[188]

2022년 12월의 도의회[195]에서는 입헌민주당의 나카무라 히로시 도의원이 추도문 중단 사안을 염두에 두고 학살 사건에 대한 고이케 지사의 인식을 질문하자, 고이케 지사는 "재해와 여러 사정으로 사망한 모든 분들께 애도의 뜻을 표하고 있다"고 답변했다[196]。 이듬해인 2023년에도 추도문 발송은 보류되었다[197]。 하지만 2023년 춘계와 추계에 개최된 위령당의 대법요에서 변화가 일어났다. 예년의 대법요는 지진과 전재 희생자에게만 언급했던 고이케 지사가 2023년 춘계·추계 대법요에서는 "극도의 혼란 속에서 희생된" 사람들에게도 언급했다[198][199]。 고이케는 2024년 이후 추도문 재개를 예정하고 있지 않다[200]

『코리아월드타임스』에 따르면, 고이케 지사가 추도문 미발송 이유로 "9월과 3월에 도 위령당에서 열리는 대법요에서 관동 대지진, 태평양 전쟁에서 희생된 모든 분들께 애도의 뜻을 표하고 있다"는 것을 든 것에 대해 "자연 재해에 의한 지진 피해자와 사람의 손에 의해 살해된 희생자는 성격이 다르다"는 비판이 있다.[68]

4. 2. 조선총독부의 대응

3·1 운동 이후 조선 민중의 저항에 대한 두려움을 갖고 있던 일본 당국은, 간토 대지진이라는 예상치 못한 자연재해 상황에서 "조선인 폭동설"을 날조하여 조선인을 희생양 삼아 질서를 유지하려 했다.[231] 사건 이후, 일본 당국은 조선에서 대규모 반발이 일어날 것을 우려하여 일본 내 조선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조선인 사상자 수를 축소 발표하는 등 사건을 은폐하려 했다.[231]

1923년 9월 5일, 내각총리대신 우치다 고사이가 불법 살인을 인정하자, 도쿄 관리들은 사망자 수를 최소화하고, 조선인 폭력에 대한 소문을 노동 운동가 야마구치 세이켄에게 뒤집어씌우는 등의 계획을 세웠다.[27] 사망자 수 보도 금지령이 내려졌고, 학살 발생 약 두 달 후인 10월 21일, 지역 경찰은 23명의 조선인을 체포함과 동시에 금지령을 해제하여 학살의 규모가 처음 보도되었으나, 이는 거짓 체포와 섞여 보도되었다.[27]

일본 정부는 학살 가담자 735명을 체포했지만, 엄하게 처벌할 의사가 없었다. 도쿄 니치니치 신문은 재판 과정에서 피고인과 판사가 린치를 묘사하며 웃고 있었다고 보도했고, 검찰은 가벼운 형량을 권고했다.[28]

학살 소식이 조선인 사회에 퍼지면서 수천 명이 도시를 탈출하려 했고, 도쿄 경찰은 도망치는 조선인을 체포하여 혼조의 수용소에 구금하는 역할을 소아이카이라는 협력 단체에 맡겼다. 소아이카이는 4,000명의 조선인에게 2개월 이상 도시 폐허를 청소하는 무보수 노동을 시켰다.[29]

서울의 조선 신문은 지역 경찰에 의해 학살에 대한 정보를 받지 못하도록 차단되었고,[32] 도쿄에서 탈출하여 소식을 전하려 서울로 온 두 명의 조선인은 "허위 정보 유포" 혐의로 체포되어 검열을 받았다.[33] 학살 소식이 한반도에 도달했을 때, 일본은 조선인들을 달래기 위해 조선인들을 잘 대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영화를 전국에 배포했지만, 반응이 좋지 않았다.[18] 조선총독부는 학살 희생자 832가족에게 보상했지만, 일본 정부는 250명 정도의 사망자만 인정했다.[34] 총독은 또한 린치 폭도로부터 조선인을 보호하는 "아름다운 이야기"(美談)가 담긴 선전 전단지를 발행하고 배포했다.[33]

이후 우익 헌법학자 우에스기 신키치는 혼란의 원인이 경찰관헌의 자동차 포스터나 과장된 선전 때문이라고 보았고,[86] 미야케 세츠레이는 당시 경시총감 아카이케 노부를 장본인으로 지목했다.[137] 쇼리키 마쓰타로는 자신이 부하에게 조선인 폭동 유언을 명령하여 게시판에도 공표하게 했다고 말했다.[137] 박경식은 아카이케와 내상 미즈노 렌타로가 조선총독부 전 관료였으며, 3·1 독립 운동에서 받은 공포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하고 지적했다.[137]

1960년대 이후 강덕상, 야마다 아키지, 다나카 마사타카 등 많은 연구가 나타났다.[84] 이들에 따르면, 9월 1일에는 이미 유언비어가 있었고, 경찰관도 지역에서 조선인에 대한 경계를 적극적으로 촉구했다.[81] 9월 2일 오후 5시경, 경시청은 각 경찰서에 "불령자에 대한 단속을 엄격히 하라"는 호령을 내렸고,[86] 같은 날, 내무성 경보국장은 "조선인이 각지에서 방화하고 있으니 엄하게 단속해 달라"는 통첩을 전국 지방 장관에게 발령했다.[86]

김부자는 학살은 경찰과 군의 주도 하에 이루어졌으며, 자경단은 주로 관헌의 선동·교사에 의해 조직되어 학살로 향한 것이고, 그 책임 추궁을 두려워한 정부 측이 자경단에게 책임을 전가했다고 주장한다.[84]

9월 1일과 2일, 내무성 경보국은 전국 신문 각사에 인심을 불안하게 만드는 풍설의 기사는 피하도록 통첩을 보냈고, 특히 조선인에 관한 기사는 일절 게재하지 않도록 요청했다. 박경식은 오히려 치안 유지와 정부 비판을 봉쇄하기 위한 것으로 보고 있다.[88]

4. 3. 국제 사회의 반응

계엄 사령부는 방해가 될 수 있는 집회, 신문, 잡지, 광고를 중지하라는 명령을 경시총감, 관계 지방 장관, 경찰관에게 내렸다.[88]

5. 역사적 논란과 진상 규명 노력

많은 전문가들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사건'에 대한 자료 부족의 원인으로 일본 민간인들의 사실 은폐와 더불어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조사 의지를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당시 일본의 위험했던 상황뿐만 아니라, 외국인과의 관계 정립에서 올바른 미래로 나아가는 데 안타까운 역사적 상황으로 여겨진다.[219]

아마카스 마사히코 중위가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와 그의 가족을 살해하고 우물에 유기한 아마카스 사건은 간토 대지진 이후의 사회적 혼란을 일본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인 학살 사건도 이 사건을 통해 알려졌다.

일본 영화계의 거장 구로사와 아키라는 소년기에 대지진 후의 혼란을 직접 겪으며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 자경단의 광기, 유언비어 등에 대해 상세히 증언했다. 반면, 일본 소설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자경단으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23년 12월, 중의원에서 다부치 도요키치, 나가이 류타로 등 여러 의원들이 조선인 학살에 대해 정부를 추궁했다. 다부치 의원은 "천 명 이상의 사람이 살해된 대사건"에 대해 내각이 언급하지 않는 것에 분개하며 야마모토 곤베에 총리에게 답변을 요구했지만, 총리는 답변을 유보했다. 나가이 의원은 정부가 이 사건의 책임을 자경단에게만 돌리는 것에 대해 비판했다. 같은 날 귀족원에서는 조선인 학살이 거론되지 않았다.

나가이 의원은 조선인 폭동 유언비어가 내무성 최고 관료로부터 발신되어 각 지방에 전달되었고, 이로 인해 자경단이 조직되었다고 주장하며 조선 통치의 책임을 추궁했다.[88] 야마모토 총리는 사죄 대신 "현재 조사 진행 중"이라고 답변했지만, 고토 신페이 내상은 "범죄자가 아닌 사람이 해를 입은 사람이 절대로 없다고 말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라며 살해 사실을 인정했다.

정부의 삭제 해제를 받고 조선인 사건을 보도하는 신문 1면. 정부가 발표한 『형사 사범 조사서』를 참조하고 있다.


지진 발생 한 달 후인 10월 20일, 관헌 당국은 『지진 재해 후에 있어서 형사 사범 및 이에 관련된 사항 조사서』(이하, 형사 사범 조사서)를 공개하고, 일부 조선인의 방화나 살인이 사실이었다는 「사법성 발표」를 했다. 또한, 유언비어를 유포하여 체포된 사람들 중에 조선인도 있었다고 발표하며, 조선인 살해의 원인 중 하나로 「광폭한 조선인에게 폭행 협박 방화 강간 등의 행위가 있었다」는 점을 들었다.[71][172] 각 신문은 이 정부 발표를 바탕으로 보도했다.[173][172][174][175]

그러나 이 『형사 사범 조사서』는 여러 학자들과 전문가들로부터 그 신뢰성에 대한 비판과 의문을 받고 있다. 이시바시 탄잔, 후세 타츠지, 요시노 사쿠조 등은 이 사법성 발표를 비판했다.[16] 야마다 쇼지 편 『조선인 학살 관련 신문 보도 사료』에 따르면, 일부 조선인에 의한 범죄 보도 내용은 불투명하며, 「사법성이 말하는 조선인의 '범죄'는 일본 국가의 책임을 면제하기 위해 날조된 창작물」로 여겨진다.[16] 역사학자 김부자는 임시 지진 재해 구호 사무국 경비부가 작성한 「조선인 문제에 관한 협정」에 기초하여, 유언비어와 학살의 책임을 자경단에 전가하면서 조선인 학살을 정당화하기 위해 「조선인 폭동」의 사실 찾기가 이루어졌다고 지적한다.[7]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 (1973년 9월 29일 건립)


1973년, 일조협회 등의 요청으로 "관동 대지진 50주년 조선인 희생자 추도 행사 실행위원회"가 결성되어 도립 요코아미초 공원에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가 건립되었다.[183][184][185] 미노베 료키치 지사를 비롯한 시민들의 기부금으로 건립되었으며, 추도비문은 도쿄도와의 협상을 거쳐 작성되었다.[183][186] 1974년부터 매년 9월 1일, 요코아미초 공원 내 도쿄도 위령당에서 지진 희생자 추모 대법요와 함께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이 열리고 있다.

5. 1. 역사 수정주의와 부정론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 논란과 간토 대지진 당시 조선인 학살에 대한 역사 수정주의 및 부정론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다카라베 다케시 해군 대신은 일본 린치 폭도들의 "무술 정신"을 칭찬하며 징병제의 성공적인 결과라고 묘사했다.[27] 가미시바이라는 종이 연극은 끔찍한 그림으로 학살을 묘사하며 아이들에게 "위험한" 한국인을 죽이는 린치 폭도들을 응원하도록 격려했다.[33] 1927년 요코하마시 공식 역사서는 한국인 공격자에 대한 소문이 "사실에 근거가 있다"고 주장했다.[27]

2000년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지사는 ''상코쿠진''(외국인 혐오적 표현)이 "재앙적인 지진 발생 시 폭동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하여 비판을 받았고, 이후 단어 사용 중단을 밝혔지만 사과나 발언 철회는 없었다.[35][36][37]

구도 미요코의 2009년 저서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진실''은 학살 은폐 시도를 촉발했다.[38] 2010년대에는 학살을 부인하고 1923년 정부 입장을 지지하는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9] 2017년 일본 내각부는 웹사이트에서 학살에 대한 역사적 증거와 인정을 삭제했다.[40]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학살 인정 및 조의 표명을 거부하며 수십 년간의 선례를 깨뜨렸고, 학살 발생 여부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라고 주장했다.[41] 2020년 고이케는 도쿄 시장에 재선되었고,[42] 2022년에는 6년 연속 추모 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43][44][45]

1974년부터 매년 일조협회는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추모식을 개최해 왔으나,[44][43][45] 일본 여성의 모임 산들바람 등의 반대 시위에 직면하고 있다.[46][43][45][47] 이 단체는 학살을 부인하며 추모식 금지를 요구해 왔고,[46] 2020년에는 "조선인 학살은 거짓이다"라는 현수막을 내걸었다.[43] 이는 폭력 사태로 이어지기도 했다.[43]

2019년 J. 마크 래머이어 하버드 대학교 교수는 논문에서 한국인에 대한 당시 일본 신문의 소문을 되풀이하며, "얼마나 광범위하게 발생했느냐"가 문제라고 주장했다.[48][49] 래머이어는 위안부를 "합의된 계약 과정"에 참여하는 것으로 묘사하여 논란을 일으켰고,[49] 논문은 비판 후 철회되었다. 편집자는 "우리 측의 실수"라며 유감을 표했다.[50]

2023년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은 학살 100주년을 앞두고 학살 증거가 부족하다고 밝혔다.[51][52][53][54] ''마이니치 신문''은 마쓰노의 2011년 발언과 모순된다고 주장했다.

지진 직후 자경단 등에 의해 "불령선인"으로 의심받은 조선인, 경찰에 보호받는 조선인 살상 행위가 발생했다. 일본인, 중국인도 대상이 되었다. 조선인으로 오인된 중국인 희생, 중국인이라는 이유로 살해된 사건도 있다(관동 대지진 중국인 학살 사건).

조선인 판별을 위해 시볼레스가 사용되었고, 국가[76] 도도이츠를 부르게 했다. 조선어는 단어 첫머리에 탁음이 오지 않는다는 점을 이용하여 "15엔 50전"이나 "가기구게고" 등을 말하게 하여 판별했다. "흰 옷을 입고 있으니 조선인이겠지"라는 이유로 일본 해군 장교도 의심받았다.[77] 후쿠다 마을 사건처럼 방언 사용자, 농아자(청각 장애인)도 희생되었다.[78] 츠누마정에서 조선인으로 오인된 아키타 출신 청년이 군중에 의해 살해되었다.

조선인 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지도자 살해도 있었고, 오스기 사카에 등이 살해된 아마카스 사건, 사회주의자 10명 등이 희생된 카메이도 사건도 일어났다.

9월 7일 긴급 칙령 403호 "치안 유지령"이 발포되어 사회주의자 탄압 의도로 치안유지법의 선구가 되었다. 조선인, 사회주의자 등이 감시 대상이 되었고,[72] 유언비어, 박해 사건 기사 작성이 불가능해졌고, 신문, 잡지가 발금되었다.[72]

16일, 경비부는 조선인 문제 선전 관련, 일부 조선인 흉행, 시민 격분, 검거 및 린치 사망자 발생, 대부분 보호, 본소·후카가와·요코하마에서 다수 사망자 발생, 화재로 인한 소사로 선전할 것을 협의했다. 조선인 대책으로 현지 관헌 및 신문에 선전하도록 했다. 경보국은 참혹한 시체 사진 게재 금지, 원고 내부 검열을 통고했다. 18일, 군마현·토치기현 조선인 관련 범죄 수색 및 검거 기사 중단. 20일, 신문 검열 및 단속 강화 조치.[88]

"학살은 없었다",[63] 관헌의 테러리스트 대처, "불령선인" 등에 대한 자경단의 정당방위 살해가 주된 이유로 "학살이 아니다"라는 주장이 있다. 니시자키 마사오는 학살 부인 언설이 지진 당시 생존자 사망 후 시작되었다고 한다.[130] 인터넷 보급으로 학살 부인은 확대되었고, 유언비어 기사 인용자도 있다.[130]

가토 야스오는 자경단 활동이 정당방위이며 "학살"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도쿄부 통계" 조선인 인구에서 보호받은 피해자를 빼면 불명 인원은 약 2,700명, 그 중 2,000명이 지진, 화재로 사망, "생사 불명 조선인은 800명 정도"로 추정한다. 800명은 자경단에 살해된 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견 테러리스트 집단 가능성이 있고 진위는 불명이라고 한다. (1923년 황태자 결혼 노린 테러 계획, 1932년 상하이 톈창절 폭탄 사건, 쇼와 천황 암살 미수 사건 (무지개 작전) 등 조선인 테러 활동은 활발했다). 가토는 구도 미요코 아버지 이케다 쓰네오에게서 조선인 폭동이 실제로 일어났다고 들었다고 주장하지만, 가토 나오키는 이케다 사후 주장이라고 비판한다.[114]

구도 미요코는 조선인 테러리스트, 게릴라 폭동, 자경단 정당방위 살해가 주된 이유라고 주장하며, 내무성 발표 233명은 오살, 과잉 방어 살해자 수, 800명 정도는 테러리스트, 게릴라 부대여서 정당방위 살해라고 "학살"을 부정한다. 도쿄·요코하마 조선인 9,800명 중 6,797명 군, 경찰 수용, 내무성 살해 233명(오살, 과잉 방어), 일본인 15% 지진 사망, 열악한 환경 조선인 20% 1,960명 붕괴, 화재 사망, 행방불명, 나머지 800명 정당방위 살해 테러리스트, 게릴라 추산, 살해된 자 233+800명이라고 한다.

기시다 후미오 내각 마츠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은 지진 100년 전 2023년 8월 30일 총리 관저 기자 회견에서 교도 통신 기자 질문에 "정부 조사 결과 사실 관계 파악 기록 없음"이라고 답변했다.[176][177][178]

다음날 31일 기자 회견에서 마쓰노는 2009년 중앙 방재 회의 "재해 교훈 계승 전문 조사회" 보고서 조선인 학살 기재 질문에[177][179] 유식자 정리, 정부 견해 아니라고 답변했다.[180] 보고서 작성자 도쿄대 스즈키 준 교수는 보고서가 당시 정부 발표 재탕, 한정적 범위, "최소한"이라고 한다.[181]

5. 2. 진상 규명 노력

아나키스트 오스기 사카에와 그의 6살 조카 다치바나 소이치, 페미니스트 사회주의자이자 오스기의 아내인 이토 노에아마카스 마사히코 중위에게 체포되어 살해당하고 우물에 유기된 아마카스 사건은 간토 대지진 후의 사회적 혼란을 일본 전국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인 학살 사건도 이 사건을 통해 알려졌다.[35][36]

일본 영화계의 거장 구로사와 아키라는 소년기에 대지진 후의 혼란을 직접 겪었으며, 억울하게 희생된 조선인, 자경단의 광기, 유언비어 등에 대해 상세히 증언했다. 반면, 일본 소설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는 자경단으로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0년, 이시하라 신타로 도쿄도지사는 ''상코쿠진''(외국인 혐오적 표현)이 "재앙적인 지진 발생 시 폭동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고 주장하여 국제적인 비판을 받았다. 그는 이후 "상코쿠진"이라는 단어 사용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지만, 사과하거나 발언의 핵심 내용을 철회하지는 않았다.[37][36]

구도 미요코의 2009년 저서 ''관동 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진실''은 추모 행사에서 이 문제를 은폐하려는 시도를 촉발했다.[38] 2010년대에는 학살을 부인하고 1923년 정부의 입장을 지지하는 책들이 베스트셀러가 되었다.[39] 2017년 4월, 일본 내각부는 웹사이트에서 학살에 대한 역사적 증거와 인정을 삭제했다.[40] 고이케 유리코 도쿄도지사는 학살을 인정하거나 생존자 후손에게 조의를 표하는 것을 거부하며 수십 년간의 선례를 깨뜨렸다. 그녀는 학살 발생 여부가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라고 말했다.[41] 2020년 7월, 고이케는 도쿄 시장에 재선되었으며,[42] 2022년에는 6년 연속 추모 메시지를 보내지 않았다는 보도가 나왔다.[43][44][45]

1974년부터 매년 일조협회는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학살 희생자를 기리는 추모식을 개최해 왔다.[44][43][45] 그러나 이 추모식은 "일본 여성의 모임 소요카제"라는 단체의 반대 시위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들은 학살을 부인하고 추모식 금지를 요구해 왔다.[46][43][45][47] 2020년에는 "조선인 학살은 거짓이다"라는 현수막을 내걸었고,[43] 2019년에는 폭력 사태가 발생하기도 했다.[43]

2019년 6월, 하버드 대학교 교수 J. 마크 래머이어는 한국인에 대한 당시 일본 신문의 소문을 되풀이하며, "얼마나 광범위하게 발생했느냐"가 문제라고 주장했다.[48][49] 그는 위안부를 "합의된 계약 과정"으로 묘사하여 논란을 일으켰고,[49] 그의 논문은 비판을 받고 철회되었다.[50]

2023년 8월 30일, 마쓰노 히로카즈 내각관방장관은 학살이 발생했다는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밝혔다. ''마이니치 신문''은 마쓰노가 2011년에 학살 당시 살인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한 이전 발언과 모순된다고 주장했다. 이 발언은 일본 내외에서 비판을 받았다.[51][52][53][54]

작가 가토 나오키는 이 주제에 관해 여러 권의 책을 출판했다. 2014년에는 ''九月、東京の路上で|9월, 도쿄의 길 위에서일본어''를 출판했고, 에스페란토로도 번역되었다.[55] 2019년에는 대학살 부정 전술을 논하는 ''트릭''을 출판했다.[56]

재일 한국인 오충공은 대학살에 관한 두 편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했다. 1983년 ''隠された爪跡: 東京荒川土手周辺から下町の虐殺|숨겨진 손톱자국: 도쿄 아라카와 강변에서 시타마치까지의 학살일본어'', 1986년 ''払い下げられた朝鮮人: 関東大震災と習志野収容所|헐값에 팔린 조선인: 관동대지진과 나라시노 수용소일본어''이다.[57][58][59]

9월 7일, 긴급 칙령 403호 "치안 유지령"이 발포되었다. 이는 사회주의자 탄압 의도였으며, 치안유지법의 선구가 되었다. 조선인, 사회주의자 등이 감시 대상이 되었고,[72] 유언비어뿐만 아니라 박해 사건 기사도 금지되었다.[72] 11월 말까지 신문 45개, 잡지 6개가 발금되었다.[72]

경비부는 조선인 문제에 대해 일부 조선인의 흉행으로 시민들이 격분하여 린치로 사망한 자가 있다는 점, 대부분은 보호되었다는 점, 화재로 인한 소사로 선전한다는 내용을 담았다. 조선인 대책으로 현지 관헌 및 신문에 선전하도록 했다. 참혹한 시체 사진 게재는 금지되었고, 원고는 내부 검열을 받았다. 군마현·토치기현의 조선인 관련 범죄 수색 및 검거 기사는 중단되었다.[88]

진재 구호국 경비부는 "선인 문제에 관한 협정"을 마련하여 풍설에 의한 날조를 사실상 장려했다.[72]

1973년 6월, 일조협회 도쿄도 연합회 요청으로 "관동 대지진 50주년 조선인 희생자 추도 행사 실행위원회"가 결성되었다. 대표 위원은 와타나베 사헤이 등 9명과 도쿄도의회 전 의회 대표였다. 아오야마 료도가 비 건설 실행 위원장을 맡았다.[183] 같은 해 9월 29일,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비"가 도립 요코아미초 공원에 건립되었다.[183][184][185] 미노베 료키치 지사를 비롯한 시민들이 기부금을 모았고, 추도비는 도에 기증되었다.[183][186]

추도비문은 도쿄도와의 협상을 거쳐 작성되었으며, 도 의회 전 의회 파의 찬성을 얻어 건립되었다.[183]

요코아미초 공원 내 도쿄도 위령당에서는 매년 9월 1일에 지진 희생자 추모 대법요가 열렸다. 1974년에는 같은 날, 추도비 앞에서 제1회 "관동 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이 열렸다.

6. 한국의 관점과 과제

처음에는 조선인 폭동을 믿었던 일본 정부·경찰·군 수뇌부도 3일 이후, 점차 허위의 풍문임을 깨닫고 궤도 수정을 시도해갔다. 3일에는 경시청이 "어제부터 일부 불령(不逞) 조선인의 망동이 있었으나, 지금은 엄중한 경계에 의해 그 흔적이 끊겼다(…) 흉행을 저지르는 자는 없으므로 함부로 이를 박해하고 폭행을 가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할 것"이라는 내용의 전단을 배포했다.[72] 4일 오후 4시, 자경단의 조선인 학살을 막기 위해 제1사단 사령부는 나리시노의 옛 포로 수용소에 조선인·중국인을 이송·수용하기로 결정하고, 오후 10시에 명령을 내렸다.[72] 2일에 내각총리로 취임한 야마모토 곤베에는 5일에 내각고유 제2호 "지진 재해에 즈음한 국민 자중에 관한 건"을 발표했다.[72] 그 내용은 민중이 조선인을 박해하는 것은 일본·조선의 동화에 반하며, 여러 외국에 알려져 좋은 일이 아니라는 것이었다.[72]

진재 구호국 경비부는 "선인 문제에 관한 협정"을 마련하여 "조선인의 폭행 또는 폭행하려 한 사실을 극력 수사하고, 풍설을 철저히 조사하여 이를 사실로 긍정하는 데 힘쓸 것"으로 규정하고, 풍설에 의한 날조를 사실상 장려했다.[72]

참조

[1] 웹사이트 胡万程:当中国人伸出援手时,日本政府正砍下屠刀-胡海阳 http://www.guancha.c[...]
[2] 웹사이트 90年前东瀛惨案:关东大地震后 中国人遭屠杀-中新网 http://www.chinanews[...]
[3] 백과사전 Gwandong Dai Hagsal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18-03-03
[4] 뉴스 Yokohama recalls texts describing 1923 'massacre' of Koreans https://www.japantim[...] 2018-03-03
[5] 뉴스 1923 Kanto Earthquake Massacre seen through American viewpoints https://www.koreatim[...] 2018-03-03
[6] 뉴스 Kantō daishinsai no Chōsen hito gyakusatsu jiken Koike-to chiji no tsuitō bun fu sōfu nado mondai to natte iru haikei e semaru https://www.koreawor[...] 2020-06-28
[7] 뉴스 'It hurts my heart': Japan's Kanto massacre, 100 years on https://www.france24[...] 2023-08-31
[8] 웹사이트 Un-remembering the Massacre: How Japan's "History Wars" are Challenging Research Integrity Domestically and Abroad https://gjia.georget[...] 2021-10-25
[9] 웹사이트 FEATURE: Efforts ongoing to shed light on 1923 Kanto quake's Korean massacre https://english.kyod[...] 2023-09-30
[10] 웹사이트 Director shining a light on the 'dark history' of 1923 killings https://www.asahi.co[...] 2023-09-30
[11] 논문 'Malcontent Koreans (Futei Senjin)': Towards a Genealogy of Colonial Representation of Koreans in the Japanese Empire https://thekeep.eiu.[...] 2013-03-01
[12] 논문 The 8 p.m. Battle Cry: The 1923 Earthquake and the Korean Sawagi in Central Tokyo https://apjjf.org/20[...] 2023-07-08
[13] 논문 'Malcontent Koreans (Futei Senjin)': Towards a Genealogy of Colonial Representation of Koreans in the Japanese Empire https://thekeep.eiu.[...] 2013-03-01
[14] 서적 Something Like an Autobiography Vintage 1983
[15] 서적 1923 関東大震災 報告書 http://www.bousai.go[...]
[16] 영상 払い下げられた朝鮮人: 関東大震災と習志野収容所 1986
[17] 웹사이트 The Great Kanto Earthquake Massacre http://english.ohmyn[...] 2013-08-29
[18] 서적 Yokohama burning: the deadly 1923 earthquake and fire that helped forge the path to World War II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19] 웹사이트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1923 http://library.brown[...] Library.brown.edu 2013-02-18
[20] 백과사전 Kameido jiken http://rekishi.jkn21[...] Shogakukan 2012-08-11
[21] 서적 Reflections on the Way to the Gallows: Rebel Women in Prewar Japa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8
[22] 뉴스 Amakasu Incident Embassy https://www.newspape[...] 2023-07-20
[23] 논문 Pure Spirits: Imperial Japanese Justice and Right-Wing Terrorists, 1878–1936 https://www.academia[...] 2018
[24] 뉴스 Amakasu released https://www.newspape[...] 2023-07-20
[25] 웹사이트 Murder of an Anarchist Recalled: Suppression of News in the Wake of the 1923 Tokyo Earthquake https://apjjf.org/-T[...] The Asahi Shinbun Cultural Research Center 2023-07-08
[26] 서적 The Japan Financial and Economic Monthly https://books.google[...] Liberal news agency 1924
[27] 논문 The Massacre of Koreans in Yokohama in the Aftermath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of 1923 https://muse.jhu.edu[...] 2020-09-16
[28] 논문 The Enemy Within: Earthquake, Rumors, and Massacre in the Japanese Empire https://thekeep.eiu.[...] 2008-01-01
[29] 서적 The proletarian gamble: Korean workers in interwar Japan Duke University Press 2009
[30] 논문 The Massacre of Koreans in the Aftermath of the Earthquake in Yokohama 2014
[31] 서적 Nihon anakizumu undō jinmei jiten (Biografia leksikono de la Japana anarkista movado) Paru Shuppan 2004
[32] 논문 The Price of Identity: The 1923 Kantō Earthquake and Its Aftermath https://www.jstor.or[...] 1996
[33] 학위논문 Instability of empire: Earthquake, rumor, and the massacre of Koreans in the Japanese empire https://www.proquest[...]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2004
[34] 서적 1923 Kantō daishinsai hōkoku-sho [dai 2-hen] http://www.bousai.go[...] 中央防災会議 災害教訓の継承に関する専門調査会
[35] 뉴스 Tokyo Chief Starts New Furor, on Immigrants https://www.nytimes.[...] 2023-07-08
[36] 웹사이트 Mr. Ishihara's insensitivity https://www.japantim[...] 2023-07-08
[37] 간행물 Extended Interview: 'There's No Need For an Apology' http://www.cnn.com/A[...] 2023-07-08
[38] 웹사이트 Two Faces of the Hate Korean Campaign in Japan https://apjjf.org/20[...] 2022-12-26
[39] 서적 Torikku: chōsenjin gyakusatsu o nakatta koto ni shitai hitotachi Korokara 2019
[40] 뉴스 「朝鮮人虐殺」含む災害教訓報告書、内閣府HPから削除 https://www.asahi.co[...] 2020-09-22
[41] 뉴스 Tokyo gov. skips 1923 Korean massacre anniv. eulogy for 2nd year, raising denial worries https://mainichi.jp/[...] 2018-09-01
[42] 웹사이트 開票速報|2020都知事選(東京都知事選挙) https://www.asahi.co[...]
[43] 웹사이트 Koike under fire as memorial held for Koreans slain in Tokyo in 1923 https://www.asahi.co[...] 2023-07-08
[44] 뉴스 Ceremony held in Tokyo to commemorate Koreans massacred in wake of 1923 Japan quake https://mainichi.jp/[...] 2023-07-08
[45] 웹사이트 Un-remembering the Massacre: How Japan's "History Wars" are Challenging Research Integrity Domestically and Abroad https://gjia.georget[...] 2023-07-08
[46] 뉴스 関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なかった」ことにしたい集会、誰が参加するのか? https://news.yahoo.c[...] 2020-09-21
[47] 웹사이트 When Women Perform Hate Speech: Gender, Patriotism, and Social Empowerment in Japan https://apjjf.org/20[...] 2023-07-08
[48] 학술지 Privatizing Police: Japanese Police, the Korean Massacre, and Private Security Firms 2019-06-12
[49] 웹사이트 Harvard professor's paper on Kanto Massacre angers South Koreans https://www.upi.com/[...] 2023-07-08
[50] 웹사이트 Harvard professor Ramseyer to revise paper on 1923 massacre of Koreans in Japan: Cambridge handbook editor https://en.yna.co.kr[...] 2023-07-08
[51] 웹사이트 VOX POPULI: Government turning blind eye to 1923 massacre of Koreans is vile https://www.asahi.co[...] 2024-06-14
[52] 뉴스 Ex-Japan PM Abe's shadow seen in gov't claim it has no records on 1923 Korean massacre https://mainichi.jp/[...] 2024-06-14
[53] 웹사이트 N. Korea slams Japanese official's remarks on Kanto massacre of Koreans https://en.yna.co.kr[...] 2024-06-14
[54] 뉴스 For Koreans in Japan, this little-known massacre still carries weight https://www.csmonito[...] 2024-06-14
[55] 서적 Septembre, surstrate en Tokio : Granda Tertremo En La Regiono Kantô 1923-Postsono De Masakro. Korocolor Publishers 2018
[56] 웹사이트 "[Interview] New book debunks the Japanese right wing's denial of Korean massacres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https://english.hani[...] 2023-07-08
[57] 웹사이트 Films to be shown at Illinois focus on post-quake massacre in 1923 Japan https://news.illinoi[...] 2023-07-08
[58] 웹사이트 (Yonhap Interview) Japan attempting to cover up 1923 massacre of Koreans: Korean-Japanese filmmaker https://en.yna.co.kr[...] 2023-07-08
[59] 학술지 Documentary Film and Trauma Healing -Focus on Director Oh Choong-kong's documentaries on the Korean Massacre in Japan- https://www.kci.go.k[...] 2018
[60] 학술지 The Passing Perils of Korean Hunting: Zainichi Literature Remembers the Kantō Earthquake Korean Massacres 2019
[61] 뉴스 A play teaching the history of the Great Kanto Earthquake massacres to Japanese youth http://english.hani.[...] 2018-03-03
[62] 웹사이트 朝鮮人・中国人虐殺事件の真相究明と謝罪を https://www.nippyo.c[...] 日本評論社 2024-07-09
[63]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にどう向き合うか 東大・外村教授に聞く「事実として語り継ぐ」 小池知事の追悼文不送付は…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4-06-11
[64]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裏付ける政府の新文書発見 陸軍機関作成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7-03
[65] 웹사이트 関東大震災直後の朝鮮人虐殺につながった流言はなぜ広がったか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7-03
[66] 웹사이트 Yokohama recalls texts describing 1923 'massacre' of Koreans https://www.japantim[...] 2018-03-03
[67] 웹사이트 1923 Kanto Earthquake Massacre seen through American viewpoints https://www.koreatim[...] 2018-03-03
[68]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事件 小池都知事の追悼文不送付など問題となっている背景へ迫る 2019-09-29
[69] 서적 悪戦苦闘 早川書房 1952
[70] 뉴스 『東京日日新聞』 1923-09-03
[71] 간행물 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報道と論調」(下) 1987
[72] 서적 日本現代史 (株)三一書房 1968-02-15
[73] 서적 "朝鮮人虐殺事件 法学博士吉野作造"現代史資料(6)第三部強制収容と調査 人民による調査 みすず書房 1963
[74] 뉴스 「マスコミの取材手法は今も同じ」関東大震災で最悪の"朝鮮人デマ"が広がった根本原因 「聞いた話をそのまま書いてしまう」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 2021-09-01
[75] 뉴스 関東大震災時に流言伝えた新聞 政府やメディアは誤情報止める役割を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23-12-15
[76] 문서 一海軍士官の反省記
[77] 서적 海軍生活四十年 時事通信社
[78] 뉴스 1923年10月6日付読売新聞
[79] 문서 鮮人ニ対スル迫害ニ関シ告諭ノ件: 內閣告諭第二號 A01200507700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
[80] 문서 大詔を拝して https://archive.libr[...] 東京市編 1923
[81] 웹사이트 関東大震災時の朝鮮人虐殺と 地域における追悼・調査の活動と現状 https://oisr-org.ws.[...]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2024-12-02
[82] 서적 横須賀市震災誌 : 附・復興誌 https://dl.ndl.go.jp[...] 横須賀市震災誌刊行会 1932
[83] 뉴스 怪我人を出さなかった 1923-11-05
[84] 웹사이트 関東大震災時の「レイピスト神話」と 朝鮮人虐殺 https://oisr-org.ws.[...]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2024-11-29
[85] 웹사이트 中国人虐殺事件関連現地フィールドワーク https://www.jca.apc.[...] JCA-NET 2024-11-28
[86] 서적 九月、東京の路上で ころから 2014-03-11
[87] 뉴스 特集ワイド:関東大震災時の虐殺、ふたをする政府 2023-09-27
[88] 서적 事件と報道 研究社出版(株) 1972-11-30
[89] 문서 大正十二年五月十四日内務省警閣第三號
[90] 간행물 中西伊之助と大正期日本の「不逞鮮人」へのまなざし : 大衆ディスクールとコロニアル言説の転覆 https://doi.org/10.3[...] 立命館大学国際言語文化研究所
[91] 웹사이트 関東大震災 2024-09-03
[92] 문서 関東大震災:政治的反動と朝鮮人・中国人の虐殺 小学館
[93] 서적 警察辞典 清水書店 1926-05-24
[94] 웹사이트 国籍民籍別人口-府県,大正9年国勢調査 https://www.e-stat.g[...] 総務省統計局 2017-09-01
[95] 웹사이트 民籍国籍別人口-府県,総務省統計局昭和5年国勢調査 https://www.e-stat.g[...] 総務省統計局 2017-09-01
[96] 문서 2008
[97] 문서 神奈川の韓国・朝鮮人 昭和57年度 研究チームB報告書 https://www.pref.kan[...] 神奈川県自治総合研究センター
[98] 뉴스 『東京朝日新聞』 1923-10-20
[99] 간행물 1923(大正12)年関東大震災―揺れと津波による被害― https://www.bousai.g[...] 内閣府 2007-05
[100] 웹사이트 関東大震災100年 朝鮮人虐殺、犠牲者視点で朗読劇 「負の歴史 繰り返さぬ社会に」横浜で追悼会 330人参加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4-07-03
[101]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ファクト”否定したい人たちを助長する都知事 https://rkb.jp/conte[...] RKB毎日放送 2024-07-11
[102]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における朝鮮人虐殺に関する質問主意書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07-10
[103] 웹사이트 関東大震災時の虐殺 新聞は 「流言」報じた責任 震災前も蔑視の記事/平時から差別許すな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7-03
[104] 웹사이트 関東大震災100年 朝鮮人虐殺、犠牲者視点で朗読劇 「負の歴史 繰り返さぬ社会に」横浜で追悼会 330人参加: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4-09-08
[105] 서적 朝鮮人虐殺事件 1924
[106] 서적 吉野作造と明治文化研究会 : 「ヘーゲルの法律哲学」から「嘆きの天使」まで https://dokkyo.repo.[...] 獨協大学法学会 紀要 2007-07
[107] 서적 『関東大震災朝鮮人虐殺問題関係資料 朝鮮人虐殺に関しる植民地朝鮮の反応』 緑陰書房 1996
[108] 간행물 大韓民国臨時政府機関誌『独立新聞』 1923-12-05
[109] 간행물 神奈川の韓国・朝鮮人 昭和57年度 研究チームB報告書 https://www.pref.kan[...] 神奈川県自治総合研究センター
[110] 웹사이트 関東大震災・朝鮮人虐殺は「正当防衛」ではない 工藤美代子著『関東大震災――「朝鮮人虐殺」の真実』への批判 http://synodos.jp/so[...] 株式会社シノドス 2017-09-01
[111] 서적 関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 評論社
[112] 뉴스 東京で発見 3・1運動と関東大震災の韓国人犠牲者名簿 http://japanese.yonh[...] Yonhap news agency 2013-11-19
[113] 뉴스 関東大震災時の朝鮮人虐殺犠牲者 40人確認=韓国政府 http://japanese.yonh[...] Yonhap news agency 2015-12-16
[114] 뉴스 なぜ朝鮮人虐殺の記憶を否定したがるのか 虐殺否定論者の戦略 https://imidas.jp/ji[...] imidas 2019-09-06
[115] 간행물 SAPIO 2009-05-13
[116]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をめぐる 教育現場の歴史修正主義 https://oisr-org.ws.[...] 法政大学大原社会問題研究所 2024-12-02
[117] 문서 倉持
[118] 뉴스 「デマ引き金…愚かさ忘れず」 元教員・後藤さんが朝鮮・中国人虐殺 研究成果を1冊に 歴史見つめ、学ぶ大切さ訴え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11-01
[119] 뉴스 <書評>『それは丘の上から始まった 1923年 横浜の朝鮮人・中国人虐殺』後藤周(あまね)著、加藤直樹 編集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11-05
[120] 뉴스 東京日日新聞 1923-09-03
[121] 간행물 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報道と論調」(下)『東京大学新聞研究所紀要 1987
[122] 서적 典獄と934人のメロス 講談社 2015
[123] 웹사이트 親子三代続いた“刑務所の看守”…真実を知る刑務官が語った「犯罪者」たちの素顔とは https://bunshun.jp/a[...] 文春オンライン 2024-09-10
[124] 웹사이트 解放した囚人が全員帰還:刑務官との信頼関係が生み出した奇跡 https://www.nippon.c[...] nippon.com 2024-09-10
[125]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13)虐殺情報に動揺した在朝日本人と総督府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2-07
[126] 웹사이트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4) 「十五円五十銭」の闇その2…難波大助の見た朝鮮人労働者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4-07-06
[127] 웹사이트 大震災と朝鮮人虐殺 史実の黙殺は許されない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7-06
[128] 서적 『特装版 日録20世紀 第3巻』 講談社 2000-03-03
[129] 뉴스 米汽船上で鮮人六名を殺す 1923-10-21
[130] 뉴스 関東大震災「荒川で数千人の朝鮮人殺害、遺骨は1本も発見されず」と虐殺を否定する誤情報が拡散。「不可能」と指摘したが… https://www.buzzfeed[...] BuzzFeedNews 2022-09-15
[131] 웹사이트 中国人虐殺事件関連現地フィールドワーク http://www.jca.apc.o[...] JCA-NET 2024-11-26
[132] 뉴스 「負の歴史に向き合って」 川崎にもあった「朝鮮人虐殺」の教訓 あす関東大震災から97年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0-08-31
[133] 뉴스 「朝鮮人145人虐殺」神奈川県が国に報告か 政府の「記録なし」説明覆す 関東大震災2カ月後に作成の文書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9-05
[134] 뉴스 実は被害甚大だった横浜の関東大震災を知っておきたい https://allabout.co.[...] All About 2015-08-28
[135] 뉴스 関東大震災朝鮮人・中国人虐殺100年 「官製ヘイト」認めぬ国――地域に根差した地道な追悼・真相究明の取り組み https://gendainoriro[...] 現代の理論 第35号 2023-08-07
[136]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20=最終) 虐殺はなぜ起きたかその3…加害側の証言、そして今も流布されるデマ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2-17
[137] 서적 事件と報道 研究社出版(株) 1972-11-30
[138] 웹사이트 虐殺された朝鮮人ら追悼、熊谷・本庄・上里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4-06-13
[139] 뉴스 【詳報】関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知事さん、どう把握してますか? 関東1都6県アンケート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4-09-01
[140] 서적 かくされていた歴史 1974
[141] 서적 かくされていた歴史 1974
[142] 웹사이트 関東大震災100年 朝鮮人虐殺、埼玉県内193人 熊谷の市民団体語り継ぐ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9-01
[143] 서적 かくされていた歴史 1974
[144] 간행물 本庄市史(通史編III) 本庄市 1995
[145] 간행물 新編埼玉県史 通史編6 埼玉県 1989
[146] 서적 かくされていた歴史 増補版 1987
[147] 뉴스 北斗星(9月1日付) http://www.sakigake.[...] 2017-09-01
[148] 뉴스 日本人が日本人を集団で殺害…関東大震災直後の忘れられた事件 現代に通ずる差別意識と偏見の暴走 https://www.tokyo-np[...] 2023-08-07
[149] 뉴스 日本人が日本人を集団で殺害…関東大震災直後の忘れられた事件 現代に通ずる差別意識と偏見の暴走 https://www.tokyo-np[...] 2023-08-07
[150] 뉴스 二百余名の自警団員工夫十六名を虐殺 1923-10-13
[151] 뉴스 二百余名の自警団員工夫十七名を虐殺 1923-10-12
[152] 서적 事件と報道 研究社出版(株) 1972-11-30
[153] 서적 ヘイト・スピーチとは何か 岩波書店 2013-12-20
[154] 웹사이트 福田村事件 https://web.archive.[...] 香川人権研究所
[155]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2) 「官」から「民」へ通達された流言蜚語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1-19
[156] 뉴스 竹久夢二が見て、描いた関東大震災 ルポ「東京災難画信」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8-28
[157]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7)虚実でふくらんだ憎悪と恐怖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1-26
[158] 뉴스 殺害、暴行、街頭で尋問… 沖縄出身者に差別の暴力 関東大震災100年 被害証言でたどる https://www.okinawat[...] 2023-08-29
[159] 뉴스 関東大震災100年 朝鮮人虐殺を忘れない 加藤直樹さん https://www.jinken.n[...] ニューメディア人権機構|人権情報ネットワーク ふらっと 2023-09-01
[160]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19)虐殺はなぜ起きたかその2…自警団の残虐は情状酌量された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2-17
[161]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5)「十五円五十銭」の闇その3…デマを拡散した新聞報道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1-24
[162] 뉴스 流言 市民凶徒に変貌 第36回  関東大震災──人間性の焦土 (大正) 自警を逸脱 虐殺に軍部も加担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4-05-04
[163] 서적 2008
[164] 간행물 神奈川の韓国・朝鮮人 昭和57年度 研究チームB報告書 https://www.pref.kan[...] 神奈川県自治総合研究センター
[165] 뉴스 <不逞鮮人>とは誰か~関東大震災下の朝鮮人虐殺を読む(9)文壇作家の見た朝鮮人虐殺 https://www.asiapres[...] アジアプレス・ネットワーク 2022-01-31
[166] 서적 関東大震災と亀戸事件 刀江書院
[167] 서적 天皇制国家と在日朝鮮人 社会評論社
[168] 간행물 万象ニ天意ヲ覚ル者:その高邁な実践倫理 https://www.obayashi[...] 大林組 2020
[169] 서적 秋田県史 秋田県 1965-03-31
[170] 뉴스 だれが小学生の作文を改ざんしたのか:検閲、震災、虐殺、発禁本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17-11-30
[171] 논문 関東大震災と朝鮮人虐殺--その記録づくりのなかで https://dl.ndl.go.jp[...] 1973-09
[172] 서적 鮮人騒ぎの調査 1924-09
[173] 서적 現代史資料(6)関東大震災と朝鮮人 みすず書房 1963
[174] 뉴스 読売新聞 1923-10-21
[175] 뉴스 東京日日新聞 1923-10-21
[176] 뉴스 朝鮮人虐殺でコメントせず 松野官房長官「政府記録なし」 https://www.47news.j[...] 2023-08-30
[177] 웹사이트 朝鮮人虐殺「事実関係を把握できる記録ない」と松野官房長官が発言→誤り。防衛省も「文書保管」を認める国会答弁 https://www.huffingt[...] ハフポスト 2023-09-01
[178] 웹사이트 令和5年8月30日(水)午前 官房長官記者会見 https://www.kantei.g[...] 首相官邸 2023-08-30
[179] 웹사이트 「朝鮮人虐殺、政府内に記録が見当たらない」、松野官房長官の発言はやっぱり「ウソ」じゃないですか?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3-09-01
[180]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 松野官房長官「政府内の記録見当たらず」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3-10-09
[181] 웹사이트 政府は朝鮮人虐殺「記録ない」 報告まとめた学者は「読んで判断を」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3-10-09
[182] 웹사이트 政府によって徹底的に隠蔽された「関東大震災朝鮮人虐殺事件」の真相(西崎 雅夫) {{!}} 現代ビジネス {{!}} 講談社(2/4) https://gendai.media[...] 講談社 2024-12-05
[183] 웹사이트 関東大震災朝鮮人虐殺の否定・隠蔽について─小池都知事の追悼辞送付取りやめと関連して https://www.jstage.j[...] 日本の科学者会議 2024-06-13
[184] 웹사이트 事実がそこに~各地に佇む朝鮮人犠牲者追悼碑~ 追悼 関東大震災朝鮮人犠牲者 https://chosonsinbo.[...] 朝鮮新報 2024-06-13
[185] 웹사이트 施設案内 {{!}} 都立横網町公園 https://tokyoireikyo[...] 公益財団法人 東京都慰霊協会 2024-06-13
[186] 웹사이트 関東大震災96年 朝鮮人犠牲者を追悼 史実直視しない小池知事―慰霊かき乱す否定派 https://gendainoriro[...] 現代の理論 2024-06-13
[187] 웹사이트 朝鮮人犠牲者追悼のウラで行われた「虐殺を否定する」慰霊祭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24-06-13
[188] 뉴스 朝鮮人虐殺の追悼文 小池知事送付見送り 2017-08-24
[189] 웹사이트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 小池都知事が追悼文断る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4-07-01
[190] 웹사이트 小池知事:朝鮮人犠牲者慰霊式典へ追悼文送付を取りやめ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4-07-01
[191] 뉴스 朝鮮人犠牲者追悼文 墨田区長も取りやめ 東京新聞 2017-08-30
[192] 웹사이트 平成29年第1回定例会 一般質問2日目(古賀俊昭) | 本会議ネットリポート https://www.gikai.me[...] 東京都議会
[193] 뉴스 関東大震災における朝鮮人虐殺――なぜ流言は広まり、虐殺に繋がっていったのか https://synodos.jp/o[...] シノドス 2014-11-10
[194] 뉴스 ヘイトスピーチ考 時代の正体〈516〉朝鮮人追悼文取りやめ問題(中)謝罪と反省まで消され https://www.kanaloco[...] 神奈川新聞 2017-09-04
[195] 웹사이트 令和4年第4回定例会 会議録目次 https://www.gikai.me[...] 東京都議会
[196] 뉴스 都議会代表質問 太陽光設置「100万キロ・ワット発電」30年までに 義務化巡り都試算 https://www.yomiuri.[...] 2023-01-28
[197] 뉴스 小池知事「全ての方々への慰霊で対応」 朝鮮人虐殺犠牲者への追悼文の不送付で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9-01
[198] 뉴스 小池都知事の姿勢が変化? 朝鮮人虐殺に配慮か 法要で「極度の混乱」「全ての方々」の文言加わる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3-10
[199] 뉴스 関東大震災100年 小池知事の追悼の辞「極度の混乱の中で…」 東京・墨田区の横網町公園で法要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9-01
[200] 뉴스 関東大震災「朝鮮人虐殺」に追悼文「送る」「送らない」 都知事選候補者はどう答えた 式典実行委が結果公表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4-07-02
[201] 뉴스 ついに本性が…小池百合子が関東大震災朝鮮人犠牲者の追悼を拒否! 背後に朝鮮人虐殺を否定する在特会系ヘイト団体(3/3ページ) https://lite-ra.com/[...] LITERA 2017-08-25
[202] 웹사이트 関東大震災101年目の追悼を前に「朝鮮人虐殺の否定論者」とデマを考える https://rkb.jp/conte[...] RKBオンライン 2024-08-28
[203] 뉴스 ヘイトスピーチ認定団体が集会計画 「差別的言動に不安」 市民団体が都に抗議文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0-08-29
[204] 뉴스 100年前の「フェイク画像」 関東大震災でも拡散したデマ https://www3.nhk.or.[...] NHK 2024-09-03
[205] 뉴스 関東大震災写真の改ざんや捏造の事例 https://www.histeq.j[...] 2024-09-03
[206] 뉴스 100年前の朝鮮人虐殺の公文書を東京で初公開! デマをまき散らした当時の新聞記事や朝鮮人虐殺場面の写真も展示!! これでも政府は「記録が見当たらない」と言い張るのか!?~8.31 関東大震災「朝鮮人・中国人虐殺」原史料・パネル展 https://www3.nhk.or.[...] IWJ Independent Web Journal 2024-09-11
[207] 뉴스 韓国記録写真研究家が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写真を訴える 別の写真を使い捏造の可能性? https://getnews.jp/a[...] ガジェット通信 2013-02-03
[208] 웹사이트 明治44年 吉原大火災 https://web.archive.[...] 千葉県立博物館
[209] 뉴스 Très suspectes photos d'Hiroshima https://www.lemonde.[...] ル・モンド 2008-05-13
[210] 뉴스 Le piège des photos, par Véronique Maurus https://www.lemonde.[...] ル・モンド 2008-05-17
[211] 뉴스 吉原に伝わる「遊女600人が死亡」の逸話、真相は 慰霊の法要に行ってみると…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3-09-02
[212] 웹사이트 「関東大震災 描かれた朝鮮人虐殺を読み解く」書評 絵から明かされる官民一体での行為 https://book.asahi.c[...] 朝日新聞社 2023-09-05
[213] 웹사이트 特集ワイド:関東大震災100年 保阪正康さんの警鐘 14歳の父の眼前で起きた中国人虐殺 帝国主義国家、恐怖が爆発 https://mainichi.jp/[...] 毎日新聞社 2024-12-12
[214] 뉴스 作家・平野啓一郎さんスペシャルインタビュー 第2回 なぜ人を殺してはいけないか。 http://salitote.jp/p[...] salitoté(さりとて) 歩きながら考える、大人の道草WEBマガジン 2015-06-05
[215] 서적 망언의 뿌리를 찾아서 (주)자유포럼 1998-04-10
[216] 뉴스 日敎組 `관동대학살 피해 조선인 6천600명` http://news.joins.co[...] 연합뉴스
[217] 뉴스 "관동대지진 때 학살된 조선인 2만3천58명이었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8-21
[218] 뉴스 関東大震災の朝鮮人虐殺事件 小池都知事の追悼文不送付など問題となっている背景へ迫る https://www.koreawor[...] 2020-06-28
[219] 문서 관동대지진 조선인 학살의 국가책임을 묻는 모임-관동대지진 때의 조선인 학살이란 무엇인가? https://www.shinsai-[...]
[220] 간행물 関東大震災時の朝鮮人・中国人虐殺人権救済申立事件調査報告書 日本弁護士連合会 2003-08-25
[221] 문서 正午二分前
[222] 문서 草鹿『一海軍士官の反省記』
[223] 뉴스 1923年10月6日付読売新聞
[224] 문서 藤岡町役場文書に残された「藤岡事件」行政文書に残された朝鮮人虐殺事件 http://www.jichiro.g[...]
[225] 문서 「神奈川県下の大震火災と警察」神奈川県警察部高等課長西坂勝人著
[226] 뉴스 毎日新聞湘南版2006年9月9日朝刊
[227] 문서 草鹿『一海軍士官の反省記』
[228] 문서 草鹿『一海軍士官の反省記』
[229] 문서 中馬馨『市政に夢を』大阪都市協会(昭和47年(1972年))
[230] 문서 福田村事件 http://www3.ocn.ne.j[...]
[231] 서적 망언의 뿌리를 찾아서 (주)자유포럼 1998-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