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귀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귀령은 조선 초기의 무신으로, 태종을 도와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을 평정하는 데 기여하여 좌명공신에 책록되었다. 그는 대장군, 상장군을 거쳐 판군자감사, 삼도 조전 절제사 등을 역임했으며,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이후 풍천군에 봉해졌으며, 사후 정양(靖襄)의 시호를 받았다. 심귀령은 풍산 심씨 가문의 인물로, 후손으로는 영의정을 지낸 심응, 좌의정을 지낸 심정 등이 있다. 특히, 그의 차남 심실이 소헌왕후 가문과 사돈 관계를 맺으면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형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13년 사망 - 헨리 4세
    헨리 4세는 잉글랜드 왕이자 아일랜드 영주(재위 1399년~1413년)이며 랭커스터 왕가의 시조로, 리처드 2세 폐위 후 즉위하여 반란 진압, 마누엘 2세 환대, 제임스 1세 포획 등 대외 관계를 겪고 병으로 사망했다.
  • 1413년 사망 - 최유경
    최유경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위화도 회군을 이성계에게 보고하여 조선 개국에 기여, 개국원종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청백리에 녹선되고 송천서원에 배향되었다.
심귀령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귀령
원래 이름沈龜齡
작위풍천군 (豐川君)
출생일1350년
사망일1413년 (64세)
종교유교(성리학)
아버지심승경
자녀아들 : 심치 · 심실
친인척박화(사돈)
심인봉(사돈)
심응(손자)
심주(손자)
심원(증손자)
심형(증손자)
심정(증손자)
심의(증손자)
심사손(고손자)
심사순(고손자)
심수경(5세손)
심일장(6세손)
심일취(6세손)
심일매(서6세손)
심일준(서6세손)
심일운(서6세손)

2. 생애

심귀령은 1399년(정종 1년) 대장군을 거쳐, 1401년(태종 1년) 상장군에 올랐다.[1]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태종을 도와 즉위하게 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1] 1406년(태종 6년) 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 겸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를 거쳐, 1408년(태종 8년) 풍천군(豐川君)에 봉해지고, 삼도 조전 절제사(三道 助戰 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토벌하였다.[1]

1409년(태종 9년) 하천추사(賀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삼군진무소 부진무(三軍鎭撫所 副鎭撫),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동지의흥부사(同知義興府事), 의흥삼군부 좌군 도총제, 1410년(태종 10년) 지의흥부사(知義興府事), 1412년(태종 12년) 우군 절제사를 지냈다.[1] 1413년(태종 13년) 별세하니, 태종이 3일 동안 철조(輟朝)하고, 부의(賻儀)를 내려 치제(致祭)하였다.[1] 또한, 태종비 원경왕후왕세자(양녕대군)도 치전(致奠)하고, 심귀령에게 정양(靖襄)의 시호를 내렸다.[1]

2. 1. 초기 활동

심귀령은 1399년(정종 1년) 대장군을 거쳐, 1401년(태종 1년) 상장군에 올랐다.[1]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태종을 도와 즉위하게 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1] 1406년(태종 6년) 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 겸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를 거쳐, 1408년(태종 8년) 풍천군(豐川君)에 봉해지고, 삼도 조전 절제사(三道 助戰 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토벌하였다.[1]

1409년(태종 9년) 하천추사(賀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삼군진무소 부진무(三軍鎭撫所 副鎭撫),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동지의흥부사(同知義興府事), 의흥삼군부 좌군 도총제, 1410년(태종 10년) 지의흥부사(知義興府事), 1412년(태종 12년) 우군 절제사를 지냈다.[1] 1413년(태종 13년) 별세하니, 태종이 3일 동안 철조(輟朝)하고, 부의(賻儀)를 내려 치제(致祭)하였다.[1] 또한, 태종비 원경왕후왕세자(양녕대군)도 치전(致奠)하고, 심귀령에게 정양(靖襄)의 시호를 내렸다.[1]

2. 2. 군사적 업적

1399년(정종 1년) 대장군을 거쳐, 1401년(태종 1년) 상장군에 올랐다.[1]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태종을 도와 즉위하게 한 공으로,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1] 1406년(태종 6년) 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 겸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를 거쳐,[1] 1408년(태종 8년) 풍천군(豐川君)에 봉해지고, 삼도 조전 절제사(三道 助戰 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토벌하였다.[1]

1409년(태종 9년) 하천추사(賀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삼군진무소 부진무(三軍鎭撫所 副鎭撫),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동지의흥부사(同知義興府事), 의흥삼군부 좌군 도총제, 1410년(태종 10년) 지의흥부사(知義興府事), 1412년(태종 12년) 우군 절제사를 지냈다.[1]

2. 3. 외교 활동

1409년(태종 9년) 하천추사(賀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2. 4. 관직 역임

1399년(정종 1년) 대장군을 거쳐, 1401년(태종 1년) 상장군에 올랐다.[1]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태종을 도와 즉위하게 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1] 1406년(태종 6년) 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 겸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를 거쳐, 1408년(태종 8년) 풍천군(豐川君)에 봉해지고, 삼도 조전 절제사(三道 助戰 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토벌하였다.[1]

1409년(태종 9년) 하천추사(賀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삼군진무소 부진무(三軍鎭撫所 副鎭撫),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동지의흥부사(同知義興府事), 의흥삼군부 좌군 도총제, 1410년(태종 10년) 지의흥부사(知義興府事), 1412년(태종 12년) 우군 절제사를 지냈다.[1] 1413년(태종 13년) 별세하니, 태종이 3일 동안 철조(輟朝)하고, 부의(賻儀)를 내려 치제(致祭)하였다.[1] 또한, 태종비 원경왕후왕세자(양녕대군)도 치전(致奠)하고, 심귀령에게 정양(靖襄)의 시호를 내렸다.[1]

2. 5. 사망

1399년(정종 1년) 대장군을 거쳐, 1401년(태종 1년) 상장군에 올랐다.[1]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태종을 도와 즉위하게 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 4등에 책록되었다.[1] 1406년(태종 6년) 판군자감사(判軍資監事) 겸 의흥삼군부 중군 동지총제를 거쳐, 1408년(태종 8년) 풍천군(豐川君)에 봉해지고, 삼도 조전 절제사(三道 助戰 節制使)가 되어, 왜구를 토벌하였다.[1]

1409년(태종 9년) 하천추사(賀千秋使)로 명나라에 다녀왔다.[1] 이후, 삼군진무소 부진무(三軍鎭撫所 副鎭撫), 판공안부사(判恭安府事), 동지의흥부사(同知義興府事), 의흥삼군부 좌군 도총제, 1410년(태종 10년) 지의흥부사(知義興府事), 1412년(태종 12년) 우군 절제사를 지냈다.[1] 1413년(태종 13년) 별세하니, 태종이 3일 동안 철조(輟朝)하고, 부의(賻儀)를 내려 치제(致祭)하였다.[1] 또한, 태종비 원경왕후왕세자(양녕대군)도 치전(致奠)하고, 심귀령에게 정양(靖襄)의 시호를 내렸다.[1]

3. 가계 및 가족 관계

풍산 심씨(豊山 沈氏)의 시조(始祖) 태자첨사부(고려시대 황태자의 교육기관) 첨사 심만승(沈滿升)의 9세손으로, 고려 말에 봉익대부(奉翊大夫, 종2품)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 상호군을 지낸 심승경(沈承慶)의 아들이다. 또한, 세조 때, 적개공신(敵愾功臣)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증직된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 심응의 조부이며, 중종 때, 정국공신에 책록되고, 좌의정을 지낸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 심정의 증조부이다.[2]

특히, 심귀령의 차남 심실(沈實)이 태종과 세종 때, 의흥삼군부 도총제를 지낸 심인봉(沈仁鳳)의 사위가 되어, 심귀령의 집안은 소헌왕후의 집안과 사돈관계가 되었다. 심인봉은 소헌왕후의 숙부로, 고려 말에 문하시중을 지내고, 조선 초에 문하부 좌정승을 지낸 청성백(靑城伯) 심덕부의 장남이다.[3][4][5][6]


  • 아버지 : 심승경(沈承慶) - 봉익대부 판전농시사 상호군
  • 본인 : 심귀령 - 좌명공신 풍천군(豐川君), 의흥삼군부 도총제, 지의흥부사
  • * 장남 : 심치(沈寘) - 남원부사, 증호조판서
  • ** 며느리 : 증 정부인 박씨 - 용구현령 박화(朴華)의 딸

손자 : 심응 - 무과 장원급제, 적개공신, 호군, 첨지중추부사, 회령부사, 봉조하, 증영의정,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
* 증손자 : 심원(沈元) - 내자시정
* 증손자 : 심형(沈亨) - 무과 급제, 의주목사, 정국공신 풍창군(豊昌君), 충청도 수군절도사
* 증손자 : 심정 - 문과 급제, 정국공신, 좌의정,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
** 고손자 : 심사손 - 문과 급제, 홍문관 직제학, 만포진 첨절제사, 증영의정
*** 5세손 : 심수경 - 문과 장원급제, 호당(사가독서), 좌의정
6세손 : 심일장(沈日將) - 찰방
6세손 : 심일취(沈日就) - 첨지중추부사 증 이조참판
서6세손 : 심일매(沈日邁) - 관상감정
서6세손 : 심일준 - 인동부사
서6세손 : 심일운 - 해미현감
** 고손자 : 심사순(沈思順)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홍문관 부제학
* 증손자 : 심의(沈義)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이조정랑, 소격서령

  • * 차남 : 심실(沈實) - 군수
  • ** 며느리 : 청송 심씨 - 소헌왕후의 숙부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沈仁鳳)의 딸, 청성백 심덕부의 손녀

손자 : 심주(沈胄) - 상호군

  • * 사돈 : 박화(朴華)
  • * 사돈 : 심인봉(沈仁鳳)

3. 1. 소헌왕후 가문과의 관계

심귀령은 풍산 심씨 시조 심만승의 9세손으로, 고려 말에 봉익대부 판전농시사 상호군을 지낸 심승경의 아들이다.[2] 세조적개공신에 책록되고 영의정에 증직된 풍산부원군 심응의 조부이며, 중종 때 정국공신에 책록되고 좌의정을 지낸 화천부원군 심정의 증조부이다.[2]

심귀령의 차남 심실이 태종과 세종 때 의흥삼군부 도총제를 지낸 심인봉의 사위가 되면서, 심귀령의 집안은 소헌왕후 집안과 사돈 관계를 맺었다.[3][4][5][6] 심인봉은 소헌왕후의 숙부로, 고려 말에 문하시중을 지내고 조선 초에 문하부 좌정승을 지낸 청성백 심덕부의 장남이다.[3][4][5][6]

3. 2. 후손


  • 아버지 : 심승경(沈承慶) - 봉익대부 판전농시사 상호군
  • 본인 : 심귀령 - 좌명공신 풍천군(豐川君), 의흥삼군부 도총제, 지의흥부사
  • * 장남 : 심치(沈寘) - 남원부사, 증호조판서
  • ** 며느리 : 증 정부인 박씨 - 용구현령 박화(朴華)의 딸

손자 : 심응 - 무과 장원급제, 적개공신, 호군, 첨지중추부사, 회령부사, 봉조하, 증영의정,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
* 증손자 : 심원(沈元) - 내자시정
* 증손자 : 심형(沈亨) - 무과 급제, 의주목사, 정국공신 풍창군(豊昌君), 충청도 수군절도사
* 증손자 : 심정 - 문과 급제, 정국공신, 좌의정,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
** 고손자 : 심사손 - 문과 급제, 홍문관 직제학, 만포진 첨절제사, 증영의정
*** 5세손 : 심수경 - 문과 장원급제, 호당(사가독서), 좌의정
6세손 : 심일장(沈日將) - 찰방
6세손 : 심일취(沈日就) - 첨지중추부사 증 이조참판
서6세손 : 심일매(沈日邁) - 관상감정
서6세손 : 심일준 - 인동부사
서6세손 : 심일운 - 해미현감
** 고손자 : 심사순(沈思順)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홍문관 부제학
* 증손자 : 심의(沈義)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이조정랑, 소격서령

  • * 차남 : 심실(沈實) - 군수
  • ** 며느리 : 청송 심씨 - 소헌왕후의 숙부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沈仁鳳)의 딸, 청성백 심덕부의 손녀

손자 : 심주(沈胄) - 상호군

  • * 사돈 : 박화(朴華)
  • * 사돈 : 심인봉(沈仁鳳)

3. 2. 1. 주요 후손


  • 아버지 : 심승경(沈承慶) - 봉익대부 판전농시사 상호군
  • 본인 : 심귀령 - 좌명공신 풍천군(豐川君), 의흥삼군부 도총제, 지의흥부사
  • * 장남 : 심치(沈寘) - 남원부사, 증호조판서
  • ** 며느리 : 증 정부인 박씨 - 용구현령 박화(朴華)의 딸

손자 : 심응 - 무과 장원급제, 적개공신, 호군, 첨지중추부사, 회령부사, 봉조하, 증영의정, 풍산부원군(豊山府院君)
* 증손자 : 심원(沈元) - 내자시정
* 증손자 : 심형(沈亨) - 무과 급제, 의주목사, 정국공신 풍창군(豊昌君), 충청도 수군절도사
* 증손자 : 심정 - 문과 급제, 정국공신, 좌의정, 화천부원군(花川府院君)
** 고손자 : 심사손 - 문과 급제, 홍문관 직제학, 만포진 첨절제사, 증영의정
*** 5세손 : 심수경 - 문과 장원급제, 호당(사가독서), 좌의정
6세손 : 심일장(沈日將) - 찰방
6세손 : 심일취(沈日就) - 첨지중추부사 증 이조참판
서6세손 : 심일매(沈日邁) - 관상감정
서6세손 : 심일준 - 인동부사
서6세손 : 심일운 - 해미현감
** 고손자 : 심사순(沈思順)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홍문관 부제학
* 증손자 : 심의(沈義) - 문과 급제, 호당(사가독서), 이조정랑, 소격서령

  • * 차남 : 심실(沈實) - 군수
  • ** 며느리 : 청송 심씨 - 소헌왕후의 숙부 의흥삼군부 도총제 심인봉(沈仁鳳)의 딸, 청성백 심덕부의 손녀

손자 : 심주(沈胄) - 상호군

  • * 사돈 : 박화(朴華)
  • * 사돈 : 심인봉(沈仁鳳)

참조

[1]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 웹사이트 한국역대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 http://people.aks.ac[...]
[3] 웹사이트 디지털향토문화대전 http://eumseong.gran[...]
[4] 웹인용 청송 심씨 대종회 인터넷 족보 검색 (인봉 - 父덕부) https://web.archive.[...] 2010-09-06
[5] 네이버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6]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종합 정보 시스템 https://web.archive.[...] 2010-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