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쌀식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쌀식초는 쌀을 발효시켜 만든 식초로,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등 아시아 각국에서 다양한 종류로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백미나 현미, 찹쌀로 만든 쌀식초가 있으며, 막걸리 술지게미를 이용한 막걸리식초와 현미식초 등이 있다. 중국 쌀식초는 흑초, 홍국미 식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본 쌀식초는 맛이 순하고 부드러우며 스시, 절임, 조림 등에 사용된다. 베트남 쌀식초는 쌀의 종류와 제조법에 따라 다양한 맛과 용도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쌀 요리 - 식혜
    식혜는 엿기름의 아밀라아제 효소로 밥의 전분을 분해하여 단맛을 내는 한국 전통 음료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고 소화를 돕는 효능이 있으며, 단술 또는 감주라고도 불린다.
  • 한국의 쌀 요리 - 부각
    부각은 깻잎, 김, 다시마 등 다양한 재료를 튀겨서 만드는 한국 전통 음식이다.
  • 식초 - 감식초
    감식초는 운동 능력 향상, 숙취 해소, 혈중 지질 농도 감소, 지방 대사 활성화 등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인 식초의 한 종류이며, 기능성 음료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 식초 - 비네그레트
    비네그레트는 오일과 식초를 기본으로 소금, 후추, 허브 등으로 맛을 낸 유화 소스로, 샐러드 드레싱으로 주로 사용되며 다양한 오일, 식초, 부재료와 지역 특색을 담아 변형되기도 한다.
  • 한국의 조미료 - 다시마
    다시마는 한반도, 일본 등 태평양 연안에 분포하는 갈색 대형 해조류로, 뿌리, 줄기, 잎으로 구성되어 식용 및 알긴산 생산에 이용되지만, 요오드 함량이 높아 과다 섭취 시 갑상선 기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 한국의 조미료 - 된장
    된장은 콩을 주재료로 하는 한국 전통 발효 식품으로, 삼국시대 이전부터 제조되었으며, 전통적인 메주 발효 방식과 현대적인 공장 제조 방식이 있고,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재료에 따라 한식된장, 된장, 조미된장으로 분류하며,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쌀식초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종류식초
주 재료
상세 정보
이름쌀식초
한국의 쌀식초
한국의 쌀식초
나라동아시아
나라별 요리한국 요리
베트남 요리
일본 요리
중국 요리

2. 종류

동아시아 각 지역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쌀식초를 생산한다.


  • 중국: 중국 쌀 식초는 일본 쌀 식초보다 맛이 강하며, 색깔은 투명에서 다양한 색조의 빨강, 갈색 및 검정색까지 다양하다. 크게 백미 식초, 흑식초, 홍국미 식초 등으로 나뉜다. 백미 식초는 옅은 노란색을 띠며, 흑식초는 검은색 찹쌀 등으로 만들어져 특유의 향을 가진다. 홍국미 식초는 홍국미를 사용하여 붉은색을 띠며 독특한 맛을 낸다. 대표적인 흑식초로는 전장 식초(镇江香醋|전장 향초중국어)와 쓰촨성의 바오닝 식초가 있다.

  • 일본: 일본 쌀 식초는 '요네즈'(米酢)라고 불리며, 일반적인 서양 식초에 비해 매우 순하고 부드러우며, 아세트산 함량은 약 5% 정도이다. 색상은 무색에서 옅은 노란색까지 다양하다. 쌀 외에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는 '카스즈'(粕酢)라고 불린다. 사케,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만든 조미 쌀 식초는 '아와세즈'(合わせ酢)라고 하며, 스시를 만들 때 사용한다. 술지게미를 숙성시켜 만든 붉은 쌀 식초는 '아카즈'(赤酢)라고 하며, 전통적으로 에도마에 스타일의 스시에 사용되었다. 쌀로 만든 흑초는 '쿠로즈'(黒酢)라고 불리며, 건강 음료로 여겨진다.

  • 베트남: 베트남에서 쌀식초는 ''dấm gạo'' 또는 ''giấm gạo''라고 불린다. 박장성 비엣옌현 반하사 코뮌 반 마을에서 유래한 ''giấm bỗng''은 nếp cái hoa vàng 쌀로 만들어 맵고 시큼한 맛이 나며, ''vịt om giấm bổng'', 분리에우, 분옥 등의 요리에 사용된다.[1] 호치민시 혹몬현의 ''hèm'' 쌀식초는 살짝 시큼한 맛이 나며, ''ốc bươu hấp hèm'', ''gà hấp hèm'' 등의 특산품 요리에 사용된다.[1] 껀터시의 ''mẻ'' 쌀식초는 강한 신맛을 내며, ''trâu luộc mẻ''라는 특산품 요리에 사용된다.[1]

2. 1. 한국

현미로 만든 ''현미식초''


한국에서 쌀식초는 백미, 현미, 찹쌀 등으로 만든다. 쌀은 발효 종균인 누룩과 섞거나,[9] 쌀 막걸리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막걸리식초를 만들기도 한다. 경상북도충청남도에서 생산되는 두 종류의 쌀 식초는 맛의 방주 유산 음식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11]

2. 1. 1. 막걸리식초

막걸리식초는 쌀 막걸리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든 식초이다. 경상북도충청남도에서 각각 생산되는 두 종류의 쌀 식초는 맛의 방주 유산 음식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11]

2. 1. 2. 현미식초

현미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만든 식초로, 백미식초보다 영양가가 높다고 알려져 있다.

2. 1. 3. 기타



한국 요리에서 쌀식초는 백미 또는 현미로 만든다. 찹쌀도 사용할 수 있다. 쌀은 발효 종균인 누룩과 섞는다.[9] 쌀 막걸리 술지게미를 사용하면 '막걸리식초'를 만들 수 있다.[9] 경상북도충청남도에서 생산되는 두 종류의 쌀 식초는 맛의 방주 유산 음식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11]

2. 2. 중국

중국 쌀 식초는 일본 쌀 식초보다 맛이 강하며, 투명에서 다양한 색조의 빨강, 갈색 및 검정색까지 다양하여 쌀 와인 식초로 알려져 있다.[1] 중국 식초는 증류된 서양 식초보다 산도가 낮아 쌀 식초의 적절한 대체품이 아니다. 아시아 쌀 식초의 대부분은 흑식초를 제외하고는 서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맛이 순하고 달콤하다.

중국에서 생산되는 쌀 식초는 크게 백미 식초, 흑식초, 홍국미 식초 등으로 나뉜다. 백미 식초는 옅은 노란색을 띠며, 흑식초는 검은색 찹쌀 등으로 만들어져 특유의 향을 가진다. 홍국미 식초는 홍국미를 사용하여 붉은색을 띠며 독특한 맛을 낸다.

2. 2. 1. 백미 식초

백미 식초는 무색 또는 옅은 노란색 액체로 다른 중국 식초보다 산도가 높지만, 서양 식초보다는 산도가 낮고 맛이 순하다.[2]

2. 2. 2. 흑식초 (黑醋)

흑초는 중국 남부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검은색 찹쌀 ("단 쌀"이라고도 함)로 만들어지지만, 또는 수수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색깔이 어둡고 깊고 거의 매캐한 맛이 난다.

전장 식초(镇江香醋|전장 향초중국어)는 장쑤성 동부 해안 지방의 전장시에서 유래된 흑식초로, 훌륭한 식초로 여겨진다.[3] 쓰촨성의 바오닝 식초 (保寧醋)도 유명하다.

중국 흑초

2. 2. 3. 홍국미 식초 (紅麴米醋)

홍국미 식초는 곰팡이 ''Monascus purpureus''로 재배된 홍국미(红曲米)로 인해 독특한 붉은색을 띤다.[2] 붉은 곰팡이로 인해 독특한 맛을 낸다.[2]

홍국미 식초


중국 요리책에서는 서양 증류 백식초 0.5큰술은 전강 식초 1큰술과 동등한 강도를 가지며, 홍국미 식초 4작은술을 요구하는 조리법은 백식초 3작은술로 대체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4]

2. 2. 4. 기타

백미 식초는 무색 또는 옅은 노란색 액체로 다른 중국 식초보다 산도가 높지만, 서양 식초보다는 산도가 낮고 맛이 순하다.[2]

흑초는 중국 남부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장쑤성 동부 해안 지방의 전장시(镇江香醋|전장향초중국어)에서 유래된 전강 식초는 훌륭한 식초로 여겨진다.[3] 쓰촨성의 바오닝 식초도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흑미 식초는 검은색 찹쌀( "단 쌀"이라고도 함)로 만들어지지만, 또는 수수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색깔이 어둡고 깊고 거의 매캐한 맛이 난다. 전장 외에도 홍콩에서도 생산된다. 이것은 산시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수수, 완두콩, 보리, 겨 및 왕겨로 만들어지는 중국 북부에서 인기 있는 흑초와는 다르다.

홍국미 식초는 곰팡이 ''Monascus purpureus''로 재배된 홍국미(红曲米)로 인해 독특한 붉은색을 띤다. 이 식초는 붉은 곰팡이로 인해 독특한 맛을 낸다.

중국 요리책에서는 서양 증류 백식초 0.5큰술은 전강 식초 1큰술과 동등한 강도를 가지며, 홍국미 식초 4작은술을 요구하는 조리법은 백식초 3작은술로 대체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4]

2. 3. 일본

일본에서 쌀 식초는 다양한 종류와 특징을 가지며, 크게 쌀로 만든 식초와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로 나눌 수 있다. 각각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쌀로 만든 식초는 '요네즈'(米酢),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는 '카스즈'(粕酢)라고 한다. 이 외에도 조미 쌀 식초인 '아와세즈'(合わせ酢), 붉은 쌀 식초인 '아카즈'(赤酢), 흑초인 '쿠로즈'(黒酢) 등이 있다.

일본 쌀 식초는 서양 식초에 비해 순하고 부드러운 맛을 가지며, 아세트산 함량은 약 5% 정도이다. 색상은 무색에서 옅은 노란색까지 다양하다.

2. 3. 1. 쌀 식초 (米酢, 요네즈)

일본 쌀 식초(米酢, komezu, "쌀 식초" 또는 단순히 酢, su, "식초")는 일반적인 서양 식초에 비해 매우 순하고 부드러우며, 약 5% 정도의 아세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색상은 무색에서 옅은 노란색까지 다양하다. 쌀 또는 술지게미(Lees (fermentation))로 만든다. 쌀로 만든 식초는 특히 '요네즈'(米酢 よねず),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는 '카스즈'(粕酢 かすず)라고 불린다. 이 식초들은 스노모노(酢の物, "식초 요리"), 일부 쓰케모노(漬物, "절임"), 니모노(煮物, "조림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특정 생선과 고기의 강한 냄새를 완화하기 위한 마리네이드에도 사용된다.

조미 쌀 식초(awasezu)는 사케,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만든다. 미림도 때때로 사용된다(그러나 드물게). 집에서도 만들 수 있지만, 조미 식초는 슈퍼마켓에서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조미 쌀 식초는 스시를 만들 때 사용하기 위해 조리된 쌀에 첨가된다. 또한 서양에서 인기 있는 샐러드 드레싱, 예를 들어 생강 드레싱이나 참깨 드레싱에도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에도마에 스타일의 스시는 아카즈(赤酢)로 알려진 붉은 쌀 식초로 양념했다. 이것은 나무 상자에 저장되어 최대 20년 동안 숙성된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숙성 후, 검게 변한 술지게미는 물과 섞여 모로미(もろみ/醪)로 알려진 매시를 형성한다. 이 매시는 아세트산 발효를 거치기 전에 끊임없이 뒤집고 압축한다.[5]

쌀로 만든 '쿠로즈'(黒酢)라고 불리는 약간 더 가벼운 형태의 흑초가 일본에서 생산된다. 건강 음료로 여겨지며, 제조업체는 고농도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쿠로즈에 대한 최근의 과학 연구는 쥐의 '생체 내'(in vivo)에서의 항암 특성[6][7] 및 인간 암 세포의 '시험관 내'(in vitro)에서의 항암 특성을 밝혀냈다.[8]

2. 3. 2. 술지게미 식초 (粕酢, 카스즈)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는 '카스즈'(粕酢かすず|카스즈일본어)라고 불린다. 이 식초는 스노모노(酢の物, "식초 요리"), 일부 쓰케모노(漬物, "절임"), 니모노(煮物, "조림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특정 생선과 고기의 강한 냄새를 완화하기 위한 마리네이드에도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에도마에 스타일의 스시는 아카즈(赤酢)로 알려진 붉은 쌀 식초로 양념했다. 이것은 나무 상자에 저장되어 최대 20년 동안 숙성된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숙성 후, 검게 변한 술지게미는 물과 섞여 모로미(もろみ/醪もろみ|모로미일본어)로 알려진 매시를 형성한다. 이 매시는 아세트산 발효를 거치기 전에 끊임없이 뒤집고 압축한다.[5]

2. 3. 3. 조미 쌀 식초 (合わせ酢, 아와세즈)

조미 쌀 식초(合わせ酢|아와세즈일본어)는 사케,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만든다. 미림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드물다.[5] 집에서도 만들 수 있지만, 조미 식초는 슈퍼마켓에서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조미 쌀 식초는 스시를 만들 때 조리된 쌀에 첨가된다. 또한 생강 드레싱이나 참깨 드레싱과 같이 서양에서 인기 있는 샐러드 드레싱에도 사용된다.

2. 3. 4. 붉은 쌀 식초 (赤酢, 아카즈)

전통적으로 에도마에 스타일의 스시는 아카즈(赤酢)라고 알려진 붉은 쌀 식초로 양념했다. 아카즈는 나무 상자에 저장되어 최대 20년 동안 숙성된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숙성 후, 검게 변한 술지게미는 물과 섞여 모로미(もろみ/醪)라고 알려진 매시를 형성한다. 이 매시는 아세트산 발효를 거치기 전에 끊임없이 뒤집고 압축한다.[5]

2. 3. 5. 흑초 (黒酢, 쿠로즈)

일본에서는 쌀로 만든 '쿠로즈'(黒酢)라고 불리는 약간 더 가벼운 형태의 흑초가 생산된다. 쿠로즈는 건강 음료로 여겨지며, 제조업체는 고농도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최근의 과학 연구에 따르면 쿠로즈는 쥐의 '생체 내'(in vivo)에서 항암 특성[6][7]을 보였으며, 인간 암 세포의 '시험관 내'(in vitro) 실험에서도 항암 특성이 나타났다.[8]

2. 4. 베트남

베트남에서 쌀식초는 ''dấm gạo'' 또는 ''giấm gạo''라고 불린다. 대표적인 쌀식초로는 박장성 비엣옌현 반하사 코뮌 반 마을에서 유래한 ''giấm bỗng''이 있으며, 호치민시 혹몬현의 ''hèm'', 껀터시의 ''mẻ''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

2. 4. 1. Giấm gạo (dấm gạo)

베트남에서는 쌀식초를 ''dấm gạo'' 또는 ''giấm gạo''라고 부른다. 베트남 쌀식초의 한 종류로는 ''nếp cái hoa vàng'' 쌀로 만들어 맵고 시큼한 맛이 나는 ''giấm bỗng''이 있다. 이 식초는 박장성 비엣옌현 반하사 코뮌 반 마을에서 유래한 것이 가장 유명하다.[1] ''Giấm bỗng''은 ''vịt om giấm bổng'', 분리에우, 분옥 등의 요리에 사용된다.[1]

호치민시 혹몬현에서는 살짝 시큼한 맛이 나는 ''hèm'' 쌀식초를 ''ốc bươu hấp hèm'', ''gà hấp hèm'' 등의 특산품 요리에 사용한다.[1] 껀터시에서는 강한 신맛을 내는 ''mẻ'' 쌀식초를 ''trâu luộc mẻ''라는 특산품 요리에 사용한다.[1]

2. 4. 2. Giấm bỗng

Giấm bỗngvi은 nếp cái hoa vàng 쌀로 만든 맵고 시큼한 식초이다. 박장성 비엣옌현 반하사 코뮌 반 마을이 이 식초의 원산지로 가장 유명하다. Giấm bỗngvi은 vịt om giấm bổngvi, 분리에우, 분옥의 재료이다.[4]

2. 4. 3. Hèm

hèm은 호치민시 혹몬현의 특산품인 ''ốc bươu hấp hèm''과 ''gà hấp hèm''에 사용되는 살짝 시큼한 맛이 나는 쌀 식초이다.

2. 4. 4. Mẻ

껀터시(Cần Thơ)의 특산품인 ''trâu luộc mẻ''에 사용되는 강한 신맛을 내는 쌀 식초이다.

3. 활용


  • '''한국 요리''': 한국에서 쌀식초는 백미 또는 현미로 만들며, 찹쌀도 사용할 수 있다. 발효에는 누룩을 사용하거나,[9]막걸리 술지게미를 사용할 수 있다. 쌀 막걸리 술지게미로 만든 쌀식초는 '막걸리식초'라고 부른다. 경상북도충청남도에서 생산되는 두 종류의 쌀 식초는 맛의 방주 유산 음식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11]
  • '''중국 요리''': 중국의 백미 식초는 옅은 노란색을 띠며, 서양 식초보다 맛이 순하다.[2] 흑초는 중국 남부에서 인기가 많으며, 장쑤성 전장시의 전강 식초가 유명하다.[3] 쓰촨성의 바오닝 식초도 유명하다. 흑미 식초는 검은색 찹쌀로 만들어지며, 수수를 사용하기도 한다. 흑초는 색깔이 어둡고 깊은 맛이 난다. 홍콩에서도 생산된다. 중국 북부에서는 수수, 완두콩, 보리 등으로 만든 흑초가 인기 있다. 홍국미로 만든 홍국미 식초는 붉은색을 띠며 독특한 맛이 난다. 중국 요리책에서는 서양 백식초 0.5큰술은 전강 식초 1큰술과 같은 강도를 가지며, 홍국미 식초 4작은술은 백식초 3작은술로 대체할 수 있다고 한다.[4]
  • '''일본 요리''': 일본 쌀 식초(米酢, 米酢|komezu일본어)는 서양 식초보다 순하고 부드러우며, 아세트산 함량은 약 5%이다. 쌀 또는 술지게미(Lees (fermentation))로 만들며, 쌀로 만든 식초는 '요네즈'(米酢 よねず일본어),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는 '카스즈'(粕酢 かすず일본어)라고 한다. 스노모노(식초 요리), 쓰케모노(절임), 니모노(조림 요리) 등에 사용되며, 마리네이드에도 사용된다. 조미 쌀 식초(合わせ酢|awasezu일본어)는 사케,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만들며, 미림을 넣기도 한다. 스시를 만들 때 사용하며, 샐러드 드레싱에도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에도마에 스타일의 스시는 아카즈(赤酢)로 알려진 붉은 쌀 식초로 양념했다. 아카즈는 숙성된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든다.[5]
  • '''베트남 요리''': 베트남에서 쌀 식초는 'dấm gạo' 또는 'giấm gạo'라고 불린다. 박장성 반 마을의 'giấm bỗng'은 'nếp cái hoa vàng' 쌀로 만들어 맵고 시큼하며, 'vịt om giấm bổng', 분리에우, 분옥의 재료이다.[1] 'hèm'은 호치민시 혹몬현의 특산품으로 살짝 시큼하며, 'ốc bươu hấp hèm'과 'gà hấp hèm'에 사용된다.[1] 강한 신맛을 내는 'mẻ' 쌀 식초는 껀터시의 특산품인 'trâu luộc mẻ'에 사용된다.[1]

3. 1. 한국 요리



한국 요리에서 '쌀식초'는 백미 또는 현미로 만들어진다. 찹쌀도 사용할 수 있다. 쌀은 발효 종균인 누룩과 섞거나,[9]막걸리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다. 쌀 막걸리 술지게미를 이용해 만든 쌀식초는 '막걸리식초'라고 부른다. 경상북도충청남도에서 각각 생산되는 두 종류의 쌀 식초는 맛의 방주 유산 음식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10][11]

3. 2. 중국 요리



백미 식초는 무색 또는 옅은 노란색 액체로 다른 중국 식초보다 산도가 높지만, 서양 식초보다는 산도가 낮고 맛이 순하다.[2]

흑초는 중국 남부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장쑤성 동부 해안 지방의 전장시(镇江香醋|전장 향초중국어)에서 유래된 전강 식초는 훌륭한 식초로 여겨진다.[3] 쓰촨성의 바오닝 식초도 유명하다. 일반적으로 흑미 식초는 검은색 찹쌀( "단 쌀"이라고도 함)로 만들어지지만, 또는 수수를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색깔이 어둡고 깊고 거의 매캐한 맛이 난다. 전장 외에도 홍콩에서도 생산된다. 이것은 산시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수수, 완두콩, 보리, 겨 및 왕겨로 만들어지는 중국 북부에서 인기 있는 흑초와는 다르다.

홍국미 식초는 곰팡이 ''Monascus purpureus''로 재배된 홍국미(红曲米)로 인해 독특한 붉은색을 띤다. 이 식초는 붉은 곰팡이로 인해 독특한 맛을 낸다.

중국 요리책에서는 서양 증류 백식초 0.5큰술은 전강 식초 1큰술과 동등한 강도를 가지며, 홍국미 식초 4작은술을 요구하는 조리법은 백식초 3작은술로 대체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4]

3. 3. 일본 요리

일본 쌀 식초(米酢, komezu, "쌀 식초" 또는 단순히 酢, su, "식초")는 일반적인 서양 식초에 비해 매우 순하고 부드러우며, 약 5% 정도의 아세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색상은 무색에서 옅은 노란색까지 다양하다. 쌀 또는 술지게미(Lees (fermentation))로 만든다. 쌀로 만든 식초는 특히 '요네즈'(米酢 よねず), 술지게미로 만든 식초는 '카스즈'(粕酢 かすず)라고 불린다. 이 식초들은 스노모노(酢の物, "식초 요리"), 일부 쓰케모노(漬物, "절임"), 니모노(煮物, "조림 요리")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특정 생선과 고기의 강한 냄새를 완화하기 위한 마리네이드에도 사용된다.

조미 쌀 식초(awasezu)는 사케, 소금, 설탕을 첨가하여 만든다. 미림도 때때로 사용된다(그러나 드물게). 집에서도 만들 수 있지만, 조미 식초는 슈퍼마켓에서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조미 쌀 식초는 스시를 만들 때 사용하기 위해 조리된 쌀에 첨가된다. 또한 서양에서 인기 있는 샐러드 드레싱(예: 생강 드레싱, 참깨 드레싱)에도 사용된다.

전통적으로 에도마에 스타일의 스시는 아카즈(赤酢)로 알려진 붉은 쌀 식초로 양념했다. 이것은 나무 상자에 저장되어 최대 20년 동안 숙성된 술지게미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숙성 후, 검게 변한 술지게미는 물과 섞여 모로미(もろみ/醪)로 알려진 매시를 형성한다. 이 매시는 아세트산 발효를 거치기 전에 끊임없이 뒤집고 압축한다.[5]

3. 4. 베트남 요리

베트남에서 쌀 식초는 'dấm gạo' 또는 'giấm gạo'라고 불린다. 베트남 쌀 식초의 한 종류로는 박장성 비엣옌현 반하사 코뮌, 반 마을이 원산지로 가장 유명한, 'nếp cái hoa vàng' 쌀로 만든 맵고 시큼한 'giấm bỗng'이 있다.[1] 'Giấm bỗng'은 'vịt om giấm bổng', 분리에우, 분옥의 재료이다.[1]

또 다른 쌀 식초로는 호치민시 혹몬현의 특산품인 'ốc bươu hấp hèm'과 'gà hấp hèm'에 사용되는 살짝 시큼한 'hèm'이 있다.[1] 강한 신맛을 내는 'mẻ' 쌀 식초는 껀터시의 특산품인 'trâu luộc mẻ'에 사용된다.[1]

참조

[1] 웹사이트 Rice Vinegar Vs Rice Wine Vinegar: What's The Difference? https://trustedcooki[...] 2023-03-06
[2] 웹사이트 Rice Vinegar - Chinese Seasonings http://chinesefood.a[...] About.com 2012-05-17
[3] 서적 The Illustrated Cook's Book of Ingredients DK Publishing 2012-03-21
[4] 간행물 Congee, Rice Noodles, Noodles, and Rice Publications (Holdings) Limited
[5] 웹사이트 Edomae Red Sushi Vinegar https://lapetitnoise[...] 2019
[6] 논문 Extract of Kurosu, a Vinegar from Unpolished Rice, Inhibits Azoxymethane-Induced Colon Carcinogenesis in Male F344 Rats
[7] 논문 Kurozu moromimatsu inhibits tumor growth of Lovo cells in a mouse model in vivo
[8] 논문 Extract of vinegar 'Kurosu' from unpolished rice inhibits the 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9] 웹사이트 Sikcho's effect (식초의 효과) http://jeollailbo.co[...] Jeolla Ilbo 2006-10-08
[10] 웹사이트 Nuruk Fermented Grain Vinegar https://www.fondazio[...] 2017-08-14
[11] 웹사이트 Jakjububon Gokja Fermented Vinegar https://www.fondazio[...] 2017-08-14
[12] 웹인용 Jakjububon Gokja Fermented Vinegar https://www.fondazio[...] 2017-09-24
[13] 웹인용 Nuruk Fermented Grain Vinegar https://www.fondazio[...] 2017-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