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썰매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썰매개는 썰매를 끌거나 짐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개를 의미하며, 9,000년 전부터 존재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역사적으로 썰매개는 이동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특히 러시아, 그린란드, 북아메리카 등 북극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썰매개의 품종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며, 알래스칸 허스키, 알래스칸 말라뮤트, 캐나다 에스키모 개 등이 대표적이다. 썰매개는 썰매개 스포츠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국제 썰매개 스포츠 연맹(FSS)에서 주최하는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린다. 발토, 토고, 타로와 지로 등 썰매개와 관련된 유명한 이야기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썰매 - 발토
    발토는 1925년 알래스카 노움의 디프테리아 유행 당시 혈청 수송 릴레이의 마지막 구간을 이끈 시베리안 허스키 개썰매 리더견으로, 그의 공헌을 기려 동상이 세워지고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썰매개 - 시베리안 허스키
    시베리안 허스키는 추크치족이 개발한 썰매견으로, 알래스카에서 썰매 경주견으로 발전했으며, 뛰어난 지구력과 친화적인 성격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지만, 높은 활동성과 유전 질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견종이다.
  • 썰매개 - 알래스칸 맬러뮤트
    알래스칸 맬러뮤트는 알래스카 말라뮤트족의 썰매견으로, 강한 체력과 지구력을 바탕으로 썰매 끌기, 사냥, 어업 등 다양한 작업에 활용되었으며, 2010년 알래스카의 주 개로 지정되었다.
썰매개
기본 정보
다양한 품종의 썰매개들
다양한 품종의 썰매개들
다른 이름썰매견
용도운반
교통
특징
기원시베리아 또는 북아메리카
성격친근함
사교적
보호 본능
체중16–50 kg
수명12–15년
품종
주요 품종알래스칸 말라뮤트
시베리안 허스키
사모예드
캐나디안 에스키모견
그린란드견
유키견
카라코트견
알래스칸 허스키

2. 역사

썰매개는 캐나다, 그린란드, 시베리아, 러시아, 노르웨이, 스웨덴, 알래스카 등에서 사용되어 왔다.[2] 썰매개의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으며, 여러 지역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해왔다.


  • 러시아: 9,000년 전부터 조호프 섬(러시아 북동 시베리아)에서 썰매개 또는 사냥개로 선택적으로 사육되었으며, 쿵구르 연대기와 레메조프 연대기에 따르면 시베리아 강가 사람들의 주요 교통 수단이었다.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개체 수가 감소했다가 1998년 최저치를 기록한 후 부활 노력이 시작되었다.[3][4][5][6][49]
  • 그린란드: 그린란드 이누이트들이 오랫동안 사용해 왔으며, 현재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북극권 북쪽의 그린란드 서부와 동부에는 약 18,000마리의 그린란드 개가 사육되었으며, 이 중 절반 정도가 사냥꾼과 어부들에 의해 개썰매로 활용되었다(2010년 기준).[7] 해빙 감소, 스노모빌 사용 증가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지만(2016년 기준 15,000마리), 썰매개 문화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8] 덴마크 군대의 특수 부대인 시리우스 순찰대는 북동 그린란드 국립공원에서 장거리 개썰매 순찰을 실시한다.[9]
  • 북아메리카: 유럽인 접촉 이전부터 원주민들이 사용했으며, 1800년대 후반 알래스카 골드 러시 시대에 교통 수단으로 각광받았다.[11][12]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 알래스카에서는 우편 배달에도 썰매 개가 사용되었다.[14] 이후 항공기, 고속도로, 스노모빌 등의 등장으로 쇠퇴했으나,[11][15] 레크리에이션 머싱과 아이디타로드 같은 썰매개 경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11][16][24]
  • 남극: 초기 북극 탐험가들이 사용했으며, 카르스텐 보르흐그레빙크의 남십자성 원정(1898~1900년), 오토 노르덴스키올드 탐험(1901~1904년), 로버트 팰컨 스콧 탐험(1902년), 더글러스 모우슨과 자비에르 메르츠의 극동 파티, 로알 아문센 탐험 등에 활용되었다.[28] 남극 조약 환경보호 의정서에 의해 1992년 사용이 금지되었다.[28]
  • 스칸디나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키조링과 풀카 스타일의 썰매개 경주가 인기를 얻었으며, 저먼 쇼트헤어 포인터가 최고의 견종으로 부상했다.[18] 1970년대에는 "노옴 스타일" 썰매 경주가 관심을 끌면서 알래스칸 허스키가 수입되었고, 1985년에는 순종견 요건이 폐지되면서 유로하운드, 그레이스터 등 다양한 품종 개량이 이루어졌다.[18][19] 이러한 노르딕 스타일의 잡종견들은 유럽 전역과 북미에서도 인기를 얻었다.[20]

2. 1. 러시아

시베리아에서 진행된 예수프 탐험 당시 마차 개


2017년 연구에 따르면 9,000년 전 현재의 조호프 섬(Zhokhov Island)(러시아 북동 시베리아)에는 이미 개가 존재했으며, 당시 이 섬은 본토와 연결되어 있었다.[3] 개들은 썰매 개 또는 사냥개로 선택적으로 사육되었는데, 이는 썰매 개 표준과 사냥개 표준이 공존했음을 시사한다. 썰매 개의 최적 크기는 체온 조절을 기반으로 20kg에서 25kg이며, 고대 썰매 개는 16kg에서 25kg 사이였다.[4][5]

16세기 말과 1703년에 각각 만들어진 쿵구르 연대기(Kungur Chronicle)과 레메조프 연대기(Remezov Chronicle)는 시베리아 강가에 사는 사람들에 대해 이야기하는데, 그들의 주요 교통 수단은 순록이나 개를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 문서들에서 올레뇨크 강, 야나 강, 인디기르카 강, 콜리마 강은 개들이 먹을 물고기가 풍부했기 때문에 “개 강”이라고 불렸다.

194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러시아의 개 썰매 수는 감소했다. 1998년 개 썰매 개의 개체 수는 3,000마리로 최저치를 기록한 후 부활 노력이 시작되었다.[6][49]

2. 2. 그린란드

그린란드 이누이트는 아주 오랫동안 개썰매를 사용해 왔으며, 오늘날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북극권 북쪽의 그린란드 서부와 동부에는 약 18,000마리의 그린란드 개가 사육되었으며, 이 중 절반 정도가 사냥꾼과 어부들에 의해 개썰매로 활용되었다.[7] 이 지역에서는 그린란드 개의 순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른 품종의 개는 허용되지 않는다.[7]

그린란드 일부 지역에서는 여전히 개썰매가 주요 교통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해빙 감소로 사용 가능 지역이 제한되고, 스노모빌 사용 증가, 개 사료 가격 상승, 일부 지역의 개 질병 발생으로 인해 수십 년 동안 개 수가 점차 감소하여 2016년에는 15,000마리의 그린란드 개가 남았다.[8] 이에 그린란드의 개썰매 문화, 지식 및 활용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여러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8]

덴마크 군대의 특수 부대인 시리우스 순찰대는 외딴 무인 지역인 북동 그린란드 국립공원의 주권을 강화하고 장거리 개썰매 순찰을 실시하여 목격된 모든 야생 동물을 기록한다. 1978년부터 1998년까지 순찰대는 연평균 14876km를 이동했다. 2011년까지 그린란드 늑대는 북동쪽 국립공원에서 최대 560km에 달하는 개썰매 순찰 경로를 따라 동부 그린란드로 다시 서식지를 넓혔다.[9]

그린란드 도그는 지구력은 높지만 속도는 느린 대형견이다.[2] 이들은 개썰매 모험과 장거리 탐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이 자주 이용한다.[2] 2016년 기준으로 그린란드에는 약 15,000마리의 그린란드 도그가 서식하고 있지만, 수십 년 전에는 그 수가 훨씬 많았고 이 품종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8] 그린란드 북극권 북쪽의 많은 지역에서는 겨울철 주요 교통 수단이다.[7][40] 그린란드의 대부분 사냥꾼들은 개썰매 팀을 스노모빌보다 선호하는데, 개썰매 팀이 더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다.[40]

2. 3. 북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유럽인들이 오기 전부터 개와 썰매를 사용했다.[11] 2019년 연구에 따르면, 북아메리카 북극 지역에 처음 들어온 시베리아 북동부 출신 개들은 2000년 전부터 시작된 이누이트들의 확장과 함께 온 개들에 의해 대체되었다. 이 이누이트 개들은 이전 개들보다 유전적으로나 형태적으로 더 다양했다. 오늘날 북극 썰매 개들은 유럽인 이전 시대 이 개 혈통의 아메리카 대륙에서 마지막 남은 후손들이다.[10]

북아메리카에서는 개를 짐 끄는 동물로 이용하는 것이 널리 퍼져 있었다. 썰매 개에는 두 가지 주요 종류가 있었는데, 하나는 해안 문화권에서, 다른 하나는 아사바스칸 인디언과 같은 내륙 문화권에서 길러졌다. 내륙 개들은 알래스카 허스키의 기초가 되었다. 1800년대 중반 유콘 강을 따라 내륙으로 진출한 러시아 상인들은 강변의 내륙 마을에서 썰매 개를 구입했는데, 이 지역의 개들은 러시아 토종 썰매 개보다 더 강하고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 더 능숙한 것으로 알려졌다.[11]

1912년경 시워드에 도착한 미국 우편 배달부와 개 썰매 팀


알래스카 골드 러시는 썰매 개를 교통 수단으로 사용하는 데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켰다.[11] 대부분의 금광 캠프는 겨울에는 개 썰매로만 접근할 수 있었다.[12] "겨울철에 이동하는 모든 것은 개 썰매로 이동했습니다. 광산 탐사자, 사냥꾼, 의사, 우편, 상업, 무역, 물자 운송… 겨울에 이동해야 하는 모든 것은 썰매 개로 이동했습니다."[11]

1800년대 후반과 1900년대 초, 알래스카에서는 우편 배달에 썰매 개가 사용되었다.[14] 알래스칸 말라뮤트가 선호되는 품종이었으며, 팀당 평균 8~10마리의 개가 있었다.[14] 각 팀은 약 226.80kg~약 317.51kg의 우편물을 운반했으며, 우편물은 눈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방수 가방에 보관되었다.[14] 1901년까지 유콘 강 전체를 따라 개 썰매 길이 확립되었다.[14] 1963년 마지막 개 썰매 우편 배달부인 사보온가의 체스터 누웅웍이 은퇴하면서 개 썰매 우편 배달은 끝났다.[14]

1920년대와 1930년대에 비행기가 알래스카 우편 배달을 맡았고,[11]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썰매 개가 알래스카 서부 순찰에 사용되었다.[15] 1940년대와 1950년대의 고속도로와 트럭 운송, 1950년대와 1960년대의 스노모빌은 작업용 썰매 개의 감소에 기여했다.[11]

개 썰매 전통을 유지하기 위해 레크리에이션 머싱이 자리 잡았다.[11] 더 크고 강하며 짐을 많이 운반할 수 있는 개에 대한 욕구는 경주에 사용되는 높은 지구력을 가진 더 빠른 개에 대한 욕구로 바뀌었고, 이로 인해 개들이 역사적으로보다 가벼워졌다.[11][16]

람지 대령의 출전, 제3회 알래스카 전주 경주 우승 썰매팀, 조종사 존 존슨 (1910년경)


1925년, 디프테리아 발생이 알래스카주 놈을 덮쳤을 때, 놈에는 감염된 사람들을 치료할 혈청이 없었다.[15] 네나나에는 혈청이 있었지만, 966km 이상 떨어져 있었고 개썰매를 제외하고는 접근할 수 없었다.[15] 네나나와 놈 사이의 마을들에 의해 개썰매 중계가 설치되었고, 20개 팀이 협력하여 6일 만에 놈에 혈청을 전달했다.[15]

아이디타로드 트레일은 이 두 도시 사이의 경로에 설립되었다.[15] 1940년대에 사용되지 않게 되었으나, 1967년 알래스카 100주년 기념 행사 때 도로시 페이지가 개썰매 경주를 위해 트레일 14.5km를 정비하도록 명령했다.[15] 1973년 조 레딩턴 시니어에 의해 아이디타로드가 설립되었고,[15][24] 딕 윌머스가 3주 만에 완주하여 우승했다.[15]

머셔와 개들이 아이디타로드 결승선에 진입하다


현대 아이디타로드는 1770km의 내구력 썰매 개 경주이다.[24] 날씨가 허락하면 보통 10일에서 11일 정도 걸린다.[24] 3월 첫째 토요일 아침 알래스카주 앵커리지에서 의례적인 시작으로 시작하여, 머셔들이 이글리버까지 32km를 달리며 관중들에게 개와 머셔들을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25] 그 후 팀들은 트럭에 실려 와실라로 48km 이동하여 오후에 공식 경주가 시작된다.[25] 경주는 마지막 머셔가 중도 하차하거나 놈에서 결승선을 통과할 때 끝난다.[24] 경주 우승자는 50000USD의 상금을 받는다.[24]

2. 4. 남극

최초의 북극 탐험가들은 썰매개를 이용했다.[28] 북극에서 썰매개를 이용해 성공을 거두었기 때문에, 많은 탐험가들은 남극 탐험에도 썰매개가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썰매개를 사용하려고 시도했다.[28] 썰매개는 1992년까지 남극에서 사용되었으나, 남극 조약 환경보호 의정서에 따라 외래종 반입이 금지되면서 사용이 중단되었다.[28]

카르스텐 보르흐그레빙크는 남십자성 원정(1898~1900) 동안 썰매개와 핀란드인 핸들러를 남극에서 사용했지만, 케이프 아데어는 예상보다 훨씬 추웠다.[28] 개들은 눈 위, 그리고 훨씬 온화한 기온에서 일하는 데 익숙했기 때문에 얼음 위에서는 제대로 일하지 못했다.[28] 또한 개들에게 먹이가 제대로 주어지지 않아 결국 모든 개들이 죽었다.[28]

오토 노르덴스키올드는 1901~1904년 탐험에서 그린란드 개를 사용할 계획이었으나, 남쪽으로 가는 여정에서 그의 허스키 중 네 마리를 제외한 모든 개들이 죽었다.[28] 포클랜드 제도에서 잡종견을 데려왔지만, 남극에 도착한 후 그의 네 마리 허스키가 무리 지어 사냥을 하면서 이 개들을 모두 죽였다.[28]

로버트 팰컨 스콧은 1902년 여정 중에 20마리의 사모예드를 데려왔다.[28] 개들은 스콧이 그들을 두었던 환경에서 고군분투했는데, 네 마리의 개가 45cm의 눈 속에서 무거운 썰매를 끌면서 발이 피투성이가 되었다.[28]

더글러스 모우슨과 자비에르 메르츠는 남극의 킹 조지 5세 랜드를 조사하기 위해 3인의 개썰매 팀인 극동 파티의 일원이었다. 1912년 12월 14일, 대부분의 식량을 가진 니니스가 눈으로 덮인 크레바스에 빠져 실종되었다. 부족한 식량 때문에 그들은 약 506.94km에 이르는 귀환 여정에서 남은 개들을 먹어야 했다.[29]

로알 아문센, 그의 남극 탐험은 97마리의 썰매개를 중심으로 계획되었다


로알 아문센의 탐험은 97마리의 썰매개를 중심으로 계획되었다.[28] 그의 첫 번째 시도에서 두 마리의 개가 -56°C의 온도에서 얼어 죽었다.[28] 그는 두 번째 시도를 했고 성공했다.[28] 아문센은 55마리의 개를 데리고 있었고, 극점에서 돌아왔을 때 14마리만 남을 때까지 개들을 줄였다.[28]

2. 5. 스칸디나비아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스키조링과 풀카 스타일의 썰매개 경주가 노르웨이와 인접 스칸디나비아 국가들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18] 이러한 경주 방식에는 1~4마리의 작고 빠른 개들이 15~30km의 짧고 언덕진 거리를 달리는 것이 필요했다. 노르웨이 개썰매 경주 협회는 순종견만 사용하도록 규정했고, 저먼 쇼트헤어 포인터가 곧 최고의 견종으로 부상했다.[18] 1970년대 초, 사냥이 아닌 썰매를 위해 특별히 사육된 "썰매 포인터"가 등장했다.[18]

1970년대에는 북미식 경주에서 볼 수 있는 장거리 주행과 영하의 온도에서 야영을 하는 대형 개썰매 팀을 본떠 만든 "노옴 스타일" 썰매 경주가 스칸디나비아에서 관심을 끌기 시작했다. 1974년, 첫 번째 노옴 스타일 썰매 경주인 스켈브레이아 스윕스테이크스가 오슬로 근처에서 개최되었다. 이러한 경주 방식을 위해 노르웨이 머셔들은 알래스칸 허스키를 수입하기 시작했는데, 알래스카로 가서 이디타로드에 참가한 슈타인 하바르 펠스타드와 로저 리가르드와 같은 머셔들에 의해 대중화되었다. 그러나 알래스칸 허스키는 성능 잡종견이었기 때문에 1985년 노르웨이 개썰매 경주 협회가 썰매개가 순종견이어야 한다는 요건을 없앨 때까지 노르웨이에서 합법적으로 경주할 수 없었다.[18]

이 새로운 규정은 또한 알래스칸 허스키와 저먼 쇼트헤어 포인터를 교배하여 유로하운드를 만들고, 그레이하운드와 저먼 쇼트헤어 포인터를 교배하여 그레이스터를 만드는 등 견종에 관계없이 최고 성능의 개들을 번식할 수 있도록 했다.[19] 이러한 노르딕 스타일의 잡종견들은 유럽 전역과 나중에는 북미에서도 인기를 얻었는데, 특히 바이크조링과 캐니크로스와 같은 드라이랜드 머싱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더욱 그러했다.[20]

개썰매와 허스키 사파리는 사미(라플란드)와 핀란드에 토착종이 아니며, 순록 목축업자들에게는 생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골칫거리로 여겨진다.[21] 이러한 것들과 유리 돔으로 된 "이글루"는 1980년대 관광 산업에 의해 다른 문화권에서 도입되어 사미와 핀란드 문화의 일부인 것처럼 잘못 묘사되었다.[22][23]

3. 썰매개 품종

썰매개는 그 용도에 따라 스프린트견, 화물견, 장거리견, 원주민 다목적 썰매견 등 다양한 품종으로 나뉜다.[49] 현대 썰매개는 주로 속도와 지구력을 위해 사육되며, 대부분 25kg 정도의 체중을 갖지만,[11][16][32] 16kg에서 32kg 사이로 다양하다.[16] 썰매 운전자는 효율성을 위해 크기와 보행이 비슷한 개들로 팀을 구성하며, 이들은 최대 45km/h 속도로 달릴 수 있다.[16][30] 썰매개는 눈 위에서 신발 역할을 하는 물갈퀴 발을 가지고 있다.[16][28]

화물견은 빽빽하고 따뜻한 털, 스프린트견은 짧은 털을 가지며, 대부분 이중 모피로 단열 기능을 제공한다.[16][2][30] 꼬리는 잠잘 때 코와 발을 보호하고, 다리에는 동상을 예방하는 혈관 배열이 있다.[28] 썰매개는 고지방 식단을 섭취하며, 기름진 연어나 해양 포유류를 먹기도 하고,[16][28] 다른 개에게 공격적이지 않아야 하며, 많은 운동량이 필요하다.[16][31]

푸들,[58] 아이리시 세터,[2] 저먼 쇼트헤어드 포인터,[2] 래브라도 리트리버, 골든 리트리버,[2] 뉴펀들랜드 독,[14] 차우차우, 세인트 버나드[14] 등 썰매견 품종이 아닌 개들도 썰매를 끄는 데 사용된 역사가 있다.

3. 1. 주요 품종

알래스칸 말라뮤트


캐나다 에스키모 개


치누크


유로하운드


그린란드 도그


그레이스터 스쿠터조링


래브라도 허스키


맥켄지 강 허스키


사모예드


전시된 사할린 허스키 박제 "지로"


마차에 묶인 시베리안 허스키 두 마리


야쿠트 라이카

  • '''알래스칸 허스키''': 썰매 경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잡종견이다.[11][2] 유전적으로 구분되는 두 가지 종류(단거리 경주용, 장거리 경주용)가 있다.[13] 장거리 경주용은 알래스칸 말라뮤트와 시베리안 허스키의 유전적 기여가 가장 크며, 단거리 경주용은 잉글리시 포인터살루키의 유전적 기여가 가장 크다.[13] 아나톨리안 셰퍼드 도그는 두 종류 모두에 강한 작업 능력을 기여했다.[13] 많은 알래스칸 허스키가 일부 그레이하운드 혈통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속도를 향상시킨다.[2]
  • '''알래스칸 말라뮤트''': 크고 강한 짐꾼 개이다.[2] 체중은 36kg에서 54kg이며, 부드러운 특징을 가진 둥근 얼굴을 가지고 있다. 짐꾼 개는 혈통견과 혈통이 없는 개를 모두 포함한다.[2] 알래스칸 말라뮤트는 알래스카 코체뷰 사운드 지역에서 유래한 최초의 사육된 개 품종 중 하나로 여겨진다.[33] 넓은 가슴, 두꺼운 털, 질긴 발이 특징이다.[2] 속도보다는 견인력이 강조된다.[2] 원정 및 장거리 모험 여행과 무거운 짐을 운반하는 데 사용된다.[2]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짐 운반과 메신저 역할을 했다.[33]
  • '''캐나다 에스키모 개''': 캐나다 이누이트 개, 엑스키모 허스키, 에스키모 개라고도 불리며, ''Qimmiq''(개를 뜻하는 이누이트어)는 캐나다 북극 지역의 툴레족이 사용하던 원주민 썰매개에서 유래했다.[34] 오늘날과 같은 품종은 주로 캐나다 정부의 노력을 통해 개발되었다.[34] 한 마리당 45kg에서 80kg의 무게를 24km에서 113km 거리까지 끌 수 있다.[34] 사냥개로도 사용되어 이누이트 사냥꾼들이 물개, 무스 옥스, 북극곰을 사냥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34] 2000년 5월 1일, 누나부트 준주는 공식적으로 "캐나다 이누이트 개"를 준주의 동물 상징으로 채택했다.[35] 그린란드 개와 유전적으로 동일한 품종으로 여겨진다.[36]
  • '''치누크''': 1900년대 초 뉴햄프셔주에서 아서 트레드웰 월든이 개발한 희귀 썰매개 품종이다. 잉글리시 마스티프, 그린란드 개, 저먼 셰퍼드 독, 벨기에 셰퍼드를 혼합하여 만들어졌다.[37] 뉴햄프셔주의 주 견종이며, 2013년에 미국켄넬클럽에서 워킹 그룹으로 인정받았다.[37] 운동 능력이 뛰어나고 단단한 체격에 "지칠 줄 모르는 보행"으로 묘사된다.[37] 털 색깔은 항상 황갈색이며, 연한 꿀색에서 적갈색 금색까지 다양하다.
  • '''추코트카 썰매개''': 러시아 추크치족이 기르는 원주민 품종인 스피츠계열의 개이다. 선사 시대부터 해양 빙판에서 바다 포유류를 사냥하는 등 혹독한 환경에서 썰매를 끄는 데 사용되었다. 시베리안 허스키의 조상으로 가장 유명하다.[38]
  • '''유로하운드''': 스프린트 스타일의 개썰매 경주를 위해 사육된 개의 한 종류이다. 알래스칸 허스키 그룹과 여러 포인팅 브리드("포인터") 종들 사이의 잡종이다.[39]
  • '''그린란드 도그''': 지구력은 높지만 속도는 느린 대형견이다.[2] 개썰매 모험과 장거리 탐험을 제공하는 사람들이 자주 이용한다.[2] 2016년 기준으로 그린란드에는 약 15,000마리의 그린란드 도그가 서식하고 있지만, 수십 년 전에는 그 수가 훨씬 많았고 이 품종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8] 그린란드 북극권 북쪽의 많은 지역에서는 겨울철 주요 교통 수단이다.[7][40] 대부분의 그린란드 사냥꾼들은 스노모빌보다 개썰매 팀을 선호하는데, 개썰매 팀이 더 신뢰할 수 있기 때문이다.[40] 캐나다 에스키모 도그와 유전적으로 같은 품종으로 간주된다.[36]
  • '''그레이스터''': 캐니크로스와 바이크조링과 같은 건조 지형 스포츠를 위한 썰매개 품종이다.[18] 그레이하운드와 저먼 쇼트헤어드 포인터를 교배하여 만들어졌다.[41]
  • '''캄차카 개썰매견''': 러시아 캄차카반도에 거주하는 이텔멘족과 코랴크족이 개발한 희귀한 토착종 개썰매 라이카이다.[42][43][44] 현재 이 품종을 되살리려는 노력이 진행 중이다.[45]
  • '''라브라도 허스키''': 캐나다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주 래브라도 지역에서 유래했다. 기원후 1300년경 캐나다에 온 이누이트족과 함께 이 지역에 도착했을 가능성이 높다. 래브라도 리트리버와 관련이 없으며, 캐나다 에스키모 독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 세계적으로 50~60마리 정도로 추산된다.[46]
  • '''맥켄지 강 허스키''': 겹치는 북극 및 아북극 지역의 썰매개 개체군을 설명하지만, 하나의 견종을 구성하지는 않는다. 유콘 출신 개들은 세인트 버나드 및 뉴펀들랜드와 같은 대형 유럽 견종과 교배되어 혹독한 북극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는 강력한 화물 운반견을 만들었다.[47]
  • '''사모예드''': 시베리아사모예드족이 사슴을 치고 사냥하고 썰매를 끄는 데 사용한 라이카 종이다.[48] 매우 귀하게 여겨졌고, 주인들은 생존을 위해 이 개들에게 매우 의존했기 때문에 개들은 주인들과 함께 텐트에서 잠을 잘 수 있었다.[48] 체중은 수컷 20kg~30kg, 암컷 16kg~23kg이며, 어깨 높이는 48cm~60cm이다.[48]
  • '''사할린 허스키''': 사할린 섬에서 개발된 개 품종이다. 강인함, 훌륭한 기질, 훈련의 용이함으로 인해 높이 평가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혹독한 환경에서 장비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소련군의 선호하는 개였다.[49] 기계화된 이동 수단의 등장으로 소련 당국은 사할린 허스키를 유지하는 비용이 낭비라고 판단하고 이들을 멸종시켰으며, 일본에 소수만이 생존했다.[49] 현재 사할린 섬에는 약 20마리의 사할린 허스키가 남아 있다.[50]
  • '''시베리안 허스키''': 알래스칸 말라뮤트보다 작은 시베리안 허스키는 체중 대비 말라뮤트보다 더 많은 무게를 끌 수 있다. 1900년대 초 알래스카로 수입된 시베리아 원주민 추크치족이 사육하고 사용했던 썰매개의 후손으로, 1910년대 내내 알래스카 노메에서 작업견과 경주용 썰매개로 사용되었으며, 올 알래스카 스윕스테이크스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51] 1925년 1925년 노메 혈청 운반 작전에서 얻은 인기 덕분에 미국과 캐나다에서 레크리에이션 머셔와 애견 쇼 애호가들에 의해 널리 사육되었다.[52] 51cm~60cm의 키에, 16kg~27kg (암컷 16kg~23kg, 수컷 20kg~27kg)의 체중이며,[53] 외모와 끄는 능력 모두를 위해 선택적으로 사육되어 왔다.[2] 오늘날에도 경쟁, 레크리에이션, 관광 가이드 머셔들이 썰매개로 정기적으로 사용하고 있다.[54]
  • '''야쿠트 라이카''': 사하 공화국의 북극 해안에서 유래한 고대 썰매개 품종이다. 썰매개로서 가축을 몰고 사냥을 하고 화물을 운반할 수 있다. 국제사이놀로지연맹과 AKC의 기초혈통서비스에 의해 인정받고 있다.[55][56] 중형견으로 강하고 콤팩트하며 강력한 근육과 두꺼운 이중 모피를 가지고 있어 북극의 혹한의 기온에도 견딜 수 있다.[57] 러시아 극지 탐험가 게오르기 우샤코프가 선호하는 개였으며, 야쿠트 라이카의 강인함과 다재다능함을 높이 평가했다. 물개와 북극곰을 사냥하고 수천 마일의 썰매를 운반할 수 있었다.[49]

3. 2. 기타 품종

푸들(Poodle),[58] 아이리시 세터(Irish Setter),[2] 저먼 쇼트헤어드 포인터(German Shorthaired Pointer),[2] 래브라도 리트리버(Labrador Retriever), 골든 리트리버(Golden Retriever),[2] 뉴펀들랜드 독(Newfoundland dog|Newfoundland),[14] 차우차우(Chow Chow), 세인트 버나드(St. Bernard (dog)|St. Bernard)[14] 등도 과거에 썰매를 끈 역사가 있다.

4. 세계 선수권 대회

1990년 스위스 생모리츠에서 최초의 썰매개 세계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 당시에는 남녀 썰매 스프린트(10견, 8견, 6견)와 스키도그 풀카 종목만 있었다. 11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초기에는 매년 세계 선수권 대회가 열렸지만, 1995년 대회 이후 2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이는 입찰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주최 단체에 더 많은 준비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서였다.[59]

5. 유명한 썰매개

구나르 카센과 발토


발토는 1925년 디프테리아 유행 당시 노옴으로의 백신 수송 작전의 마지막 구간에서 디프테리아 항혈청을 운반한 개썰매 팀의 선두견이었다.[60] 그는 레온하르트 세팔라를 위해 일했던 머셔 구나르 카센이 이끌었다.[60] 세팔라는 발토를 사육하기도 했다.[60]

1925년, 발토가 수송을 완료한 지 10개월 후,[61] 청동상이 그의 명예를 기리기 위해 센트럴 파크의 티쉬 어린이 동물원 근처에 세워졌다.[62] 이 동상은 프레더릭 조지 리처드 로스가 조각했다.[62] 아이들은 종종 동상에 올라타 개를 타는 척 한다.[62] 동상 기단의 명판에는 "인내 · 충실 · 지능"이라고 적혀 있다.[62] 발토의 시체는 1933년 죽은 후 박제되었으며, 클리블랜드 자연사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60]

1995년, 그를 바탕으로 느슨하게 제작된 유니버설 픽처스의 애니메이션 영화 ''발토''가 개봉되었다.[60]

토고는 알래스카 중부와 북부를 가로지른 1925년 놈에 대한 혈청 운반 작전에서 레오나르드 세팔라와 그의 개썰매 팀의 선두 썰매개였다. 세팔라는 토고를 자신의 썰매 개 경력과 알래스카에서 그 시대 최고의 썰매개이자 선두 썰매개로 여겼으며, 1960년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토고보다 더 나은 개는 없었습니다. 그의 지구력, 충성심, 지능은 더 이상 개선될 수 없었습니다. 토고는 알래스카 트레일을 여행한 최고의 개였습니다."[63]

타임지의 캐티 스타인메츠는 토고를 역사상 가장 영웅적인 동물로 지명하며, “마을을 구한 공로로 종종 인정받는 개는 발토이지만, 그는 경주에서 마지막 55마일 구간만 달렸을 뿐입니다. 가장 많은 일을 한 썰매개는 토고였습니다. 눈보라가 몰아치는 그의 여정은 200마일이나 더 길었고, 위험한 노턴 사운드를 가로지르는 여정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그는 얼음 조각 사이를 용감하게 헤엄쳐 자신의 팀과 운전사를 구했습니다.”라고 적었다.[64]

토고는 시베리안 썰매개 품종의 기초가 되는 개 중 하나가 되었고, 결국 시베리안 허스키로 등록된 품종에도 포함되었다.[65]

2019년, 월트 디즈니 픽처스는 레오나르드 세팔라 역에 윌렘 데포가 출연하는 ''토고''라는 영화를 개봉했다.[66]

1958년, 남극으로 향했던 일본의 연구 탐험대가 불운하게도 긴급 대피를 하면서 썰매개 15마리를 남겨두게 되었다. 연구원들은 구조대가 며칠 안에 도착할 것이라고 믿었기에 개들을 먹이를 조금 남겨둔 채 밖에 묶어 놓고 떠났다. 그러나 날씨가 악화되면서 구조대는 기지에 도착하지 못했다. 1년 후 새로운 탐험대가 도착하여 타로(タロ)와 지로(ジロ) 두 마리가 살아남았다는 것을 발견했다.[67] 1983년 영화 ''남극 이야기(Nankyoku Monogatari)''가 개봉되면서 이 견종의 인기가 급상승했다. 2006년에 개봉된 두 번째 영화 ''8마리의 눈 아래(Eight Below)''는 이 사건을 각색한 허구의 이야기였지만, 견종 자체는 언급하지 않았다. 대신 이 영화에는 알래스카 맬러뮤트(Alaskan Malamute) 두 마리와 시베리안 허스키(Siberian Husky) 여섯 마리 등 총 여덟 마리의 개가 등장한다.[68]

안나는 혼자 북극을 횡단하는 최초의 여성이 되기 위한 탐험에서 팸 플라워의 팀에서 달린 작은 썰매개였다.[69] 그녀는 팀에서 가장 작은 개로 유명했으며, 북극에서의 여정에 대한 그림책이 만들어졌다.[69]

스스로 또는 팀의 다른 개들의 도움을 받아 계속 달리는 시각장애 썰매개에 대한 수많은 이야기가 있다.[30][70]

6. 한국과 썰매개

한국에서는 썰매개가 생소한 동물이지만, 최근 썰매개 경주와 같은 스포츠가 소개되면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몇몇 애견인들은 썰매개 품종을 수입하여 기르기도 한다. 썰매개는 극한 환경에 적응하여 썰매를 끄는 특별한 능력을 지니고 있어, 한국의 겨울철 레저 스포츠나 탐험 활동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참조

[1] 논문 Ancient Arctic hunters 1991-01-01
[2] 서적 Born to Pull: The Glory of Sled Dogs https://archive.org/[...] U of Minnesota Press
[3] 웹사이트 Journal of the Inuit Sled Dog International https://thefanhitch.[...] 2021-09-04
[4] 논문 Archaeological dogs from the Early Holocene Zhokhov site in the Eastern Siberian Arctic
[5] 논문 Ancient Arctic Hunters: Material Culture and Survival Strategy www.jstor.org/stable[...] 2021-07-11
[6] 웹사이트 ЯКУТСКАЯ ЛАЙКА http://rkf.org.ru/wp[...]
[7] 웹사이트 Hold af slædehunde https://web.archive.[...] Sullissivik 2019-12-22
[8] 웹사이트 Antallet af grønlandske slædehunde er halveret: Her er redningsplanen https://videnskab.dk[...] Videnskab.dk 2017-07-25
[9] 논문 Invasion of eastern Greenland by the high arctic wolf ''Canis'' lupus arctos
[10] 논문 Specialized sledge dogs accompanied Inuit dispersal across the North American Arctic
[11] 웹사이트 Sled Dogs in the North https://web.archive.[...] Yukon Quest 2013-02-15
[12] 서적 Yukon Quest Sled Dog Race https://books.google[...] Arcadia Publishing
[13] 논문 A genetic dissection of breed composition and performance enhancement in the Alaskan sled dog 2010-07-01
[14] 웹사이트 Dogsled mail in Alaska http://www.alaskadis[...] Alaska Dispatch 2011-06-02
[15] 서적 The Iditarod: Story of the Last Great Race https://books.google[...] Capstone Classroom
[16] 웹사이트 The Modern Sled Dog http://www.yukonques[...] Yukon Quest 2013-02-15
[17] 서적 Outing: Sport, Adventure, Travel, Fiction W. B. Holland 2013-03-04
[18] 서적 Dog Sledding in Norway: Multidisciplinary Research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9-04-01
[19] 논문 Cardiovascular Clinical Assessment in Greyster Dogs in Bikejöring Training 2020-09-11
[20] 서적 Dog Sledding in Norway: Multidisciplinary Research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9-01-01
[21] 간행물 SAAMI – Saamelaisten sopeutuminen ilmastonmuutokseen hankkeen tieteellinen loppuraportti https://web.archive.[...] Prime Minister's Office
[22] 웹사이트 Ethical Guidelines for Sámi Tourism https://www.samedigg[...] The Sámi Parliament (Finland)
[23] 웹사이트 Principles for Responsible and Ethically Sustainable Sámi Tourism https://dokumentit.s[...] The Sámi Parliament (Finland)
[24] 서적 Iditarod Dreams: A Year in the Life of Alaskan Sled Dog Racer DeeDee Jonrowe https://archive.org/[...] Epicenter Press 2013-02-27
[25] 서적 Iditarod Dreams: A Year in the Life of Alaskan Sled Dog Racer DeeDee Jonrowe https://archive.org/[...] Epicenter Press 2013-02-27
[26] 서적 Iditarod Dreams: A Year in the Life of Alaskan Sled Dog Racer DeeDee Jonrowe https://archive.org/[...] Epicenter Press 2013-02-27
[27] 서적 Outstanding Women Athletes: Who They Are and How They Influenced Sports in America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13-02-27
[28] 서적 Exploring Polar Frontiers: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3-02-27
[29] 웹사이트 The Home of the Blizzard http://www.gutenberg[...]
[30] 서적 Sled Dogs: Powerful Miracle https://archive.org/[...] Bearport Publishing
[31] 웹사이트 Humans and dogs have been sledding together for nearly 10,000 years https://www.national[...] 2020-06-25
[32] 웹사이트 Sled Dogs: An Alaskan Epic https://www.pbs.org/[...] PBS 1999-11-01
[33] 서적 Alaskan Malamutes https://books.google[...] Barron's Educational Series 2007-01-01
[34] 웹사이트 Canadian Eskimo Dog http://www.nzkc.org.[...] New Zealand Kennel Club
[35] 웹사이트 Legislative assembly of Nunavut: The Canadian Inuit Dog (CANIS FAMILIARIS BOREALIS) - Official Animal of Nunavut https://assembly.nu.[...]
[36] 서적 Population genetic analysis of the Greenland dog and Canadian {{sic|nolink=yes|inuit}} dog : is it the same breed? http://worldcat.org/[...] Royal Veterinary and Agricultural University,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Animal Health, Division of Animal Genetics 2005
[37] 웹사이트 AKC Recognizes Two New Breeds for 2013 http://www.dogchanne[...] Dog Channel 2013-02-20
[38] 웹사이트 The Fan Hitch: Journal of the Inuit Sled Dog International https://thefanhitch.[...] 2010-03-01
[39] 논문 Assessment of Current Musher Practices across the Sled Dog Industry with an Emphasis on Nutritional Programs Implemented https://www.research[...] 2018-01-13
[40] 비디오 Human Planet – Arctic: Greenland sled dogs https://www.youtube.[...] ABC1 2011-03-10
[41] 웹사이트 Canicross Pulls Runners To Unprecedented Paces https://www.runnersw[...] 2017-11-30
[42] 논문 Sled Dogs Of Russia https://thefanhitch.[...] 2010-03-01
[43] 웹사이트 Камчатская ездовая лайка https://egida.by/wik[...] 2016-04-18
[44] 웹사이트 Primitive and Aboriginal Dog Society https://www.jagdwind[...] 2004
[45] 웹사이트 Kamchatka sled dog https://www.zoovet.r[...]
[46] 논문 The Great Labrador Husky 1997-12-01
[47] 논문 Kenai, Dog of Alaska 1997-12-01
[48] 웹사이트 Get To Know The Samoyed http://www.akc.org/b[...] American Kennel Club
[49] 웹사이트 Nordic spirit: Sled dogs of the Siberian North and the Far East https://www.rbth.com[...] 2017-03-01
[50] 웹사이트 БЕЛЫЙ СОН https://ostrov2049.r[...] 2020-08-08
[51] 서적 Leonhard Seppala : the Siberian dog and the golden age of sleddog racing 1908-1941 https://www.worldcat[...] Pictorial Histories Publishing Company 2015
[52] 웹사이트 The Siberian Husky: A Brief History of the Breed in America https://www.shca.org[...]
[53] 웹사이트 The Standard for Siberian Huskies https://www.shca.org[...]
[54] 웹사이트 Do many Siberian Huskies run the Iditarod? If not, why? – Iditarod https://iditarod.com[...] 2020-10-12
[55] 웹사이트 Yakutskaya Laika http://www.fci.be/en[...]
[56] 웹사이트 Foundation Stock Service® Program Home https://www.akc.org/[...]
[57] 웹사이트 Yakutian Laika http://yakutian-laik[...]
[58] 웹사이트 The Very Latest In Mushing: Poodle-powered Sleds http://sportsillustr[...] Sports Illustrated 1988-03-07
[59] 웹사이트 History - International Federation of Sleddog Sports http://www.sleddogsp[...]
[60] 웹사이트 Sled Dogs: An Alaskan Epic: Balto https://www.pbs.org/[...] PBS 1999-11-21
[61] 웹사이트 Balto http://www.centralpa[...] Central Park Conservancy
[62] 웹사이트 Balto http://www.centralpa[...] Central Park.Com
[63] 웹사이트 Togo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64] 잡지 Top 10 Heroic Animals - TIME https://content.time[...] 2011-03-21
[65] 서적 Leonhard Seppala : the Siberian dog and the golden age of sleddog racing 1908-1941 http://worldcat.org/[...] Pictorial Histories Publishing Company 2015
[66] 웹사이트 Watch Togo {{!}} Full movie {{!}} Disney+ https://www.disneypl[...]
[67] 웹사이트 Sakhalin Husky dogs who survived in Antarctica for a year http://keiji-hagiwar[...] 2017-01-29
[68] 웹사이트 The Dogs in "Eight Below?" Not the Breed You Saw https://nationalpure[...] 2017-02-14
[69] 서적 Big-Enough Anna: The Little Sled Dog Who Braved The Arctic https://books.google[...] Graphic Arts Center Publishing Co. 2003-09-01
[70] 웹사이트 Gonzo, blind sled dog in New Hampshire, thrives in sled races with brother's help http://www.nydailyne[...] The Associated Press 2013-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