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롱디스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롱디스망은 프랑스어를 어원으로 하는 행정 구역의 명칭으로,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프랑스에서는 데파르트망(주)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벨기에에서는 행정, 법정, 선거 아롱디스망으로 구분된다. 캐나다 퀘벡주에서는 도시를 구획하는 단위로, 아이티에서는 데파르트망과 코뮌 사이의 행정 구역으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네덜란드, 스위스, 아프리카 여러 국가, 구소련 국가 등에서 아롱디스망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며, 각 국가의 행정 체계에 따라 그 역할과 의미가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롱디스망 | |
---|---|
개요 | |
명칭 | 아롱디스망 |
로마자 표기 | Arongdiseumang |
유형 | 행정 구역 |
국가 | 프랑스, 그 외 프랑스어 사용 국가 |
설명 | 프랑스 및 프랑스어 사용 국가에서 사용되는 행정 구역 단위 |
프랑스에서의 아롱디스망 | |
특징 | 프랑스에서는 여러 종류의 아롱디스망이 존재함 코뮌 아롱디스망, 데파르트망 아롱디스망, 레지옹 아롱디스망 |
코뮌 아롱디스망 | 프랑스의 대도시 파리, 마르세유, 리옹에 존재하는 행정 구역 각 코뮌은 여러 개의 아롱디스망으로 나뉨 |
데파르트망 아롱디스망 | 데파르트망을 나누는 행정 구역 주 (프랑스) 아래에 위치하며, 코뮌들을 묶어 구성 주요 역할은 국가 행정 서비스의 지역적 실행과 선거구 획정 |
레지옹 아롱디스망 | 프랑스의 레지옹을 세분화하는 행정 구역 (드물게 사용) 주로 통계적 목적이나 특정 지역 개발 계획에 활용됨 |
주요 기능 | |
행정 | 지방 정부 서비스 제공, 공공 정책 실행 |
선거 | 선거구 획정 및 선거 관리 |
통계 | 지역 통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
계획 | 지역 개발 및 토지 이용 계획 수립 |
2. 역사
아롱디스망(arrondissement)의 어원은 "둥글게 하다/크게 하다" 등의 의미를 가진 동사 arrondir(프랑스어)이다. 명목상으로는 1800년에 처음 설정되었지만, 이는 1790년에 설정된 district를 부활시킨 것이다.
프랑스에서 아롱디스망은 주(데파르트망)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군(郡)에 해당하며 342개가 있다.[4] 아롱디스망의 주도는 수프레펙튀르(군청 소재지)라 부른다. 아롱디스망 내에 그 데파르트망의 주도가 있다면 주도와 군청의 역할을 동시에 갖는다. 아롱디스망은 캉통과 코뮌으로 더 세분화된다.
3. 프랑스
프랑스의 아롱디스망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가 있다.3. 1. 프랑스의 아롱디스망
프랑스의 101개 데파르트망(주)는 342개의 아롱디스망으로 나뉘며, 대한민국의 시와 군에 해당한다.[4] 아롱디스망의 주도는 수프레펙튀르(군청 소재지)라 부른다. 아롱디스망 내에 그 데파르트망의 주도가 있다면 주도와 군청의 역할을 동시에 갖는다. 아롱디스망은 나아가 캉통과 코뮌으로 더 세분화된다.
3. 2. 시급 아롱디스망
시급 아롱디스망(arrondissement municipal|아롱디스망 뮈니시팔프랑스어)은 프랑스 코뮌의 하위 구역으로 파리, 리옹, 마르세유에 설치된 구역이다. 시 아롱디스망은 행정구역의 역할을 하며 대표를 뽑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구와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할 수 있다.[1] 보통 '아롱디스망'이라고 부르지만, 도시급이 아닌 주에 해당되고 코뮌들을 관할하는 아롱디스망과는 다르다.[1]
4. 벨기에
벨기에는 연방제 국가이며, 플랑드르(플라망 지역)와 왈로니아(왈롱 지역), 브뤼셀 수도 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벨기에에서 "코뮌"과 "주" 사이에 존재하는 행정 구획, 선거구, 사법 제도에서의 재판소 관할 구역은 "아롱디스망"이라고 불린다.[5]
4. 1. 벨기에의 아롱디스망
벨기에는 세 지방으로 구성된 연방국으로, 그중 플랑드르와 왈롱 지방은 각각 다섯 개의 주로 나뉜다. 브뤼셀 수도 지역은 주도 아니고 주에 속하지도 않는다.벨기에에서 적용되는 아롱디스망에는 일반적인 행정 아롱디스망 외에도 법정 행정구와 선거 행정구로도 분류된다.
5. 캐나다 (퀘벡 주)
캐나다 퀘벡주의 8개 도시(그랑빌-쉬르-라-루주, 레비, 롱게이유, 메티스-쉬르-메르, 몬트리올, 퀘벡, 사그네, 셔브룩)는 행정상 여러 개의 "아롱디스망"으로 구획되어 있다. 아롱디스망은 영어로 버러(borough)라고 부른다.
5. 1. 퀘벡의 아롱디스망
캐나다 퀘벡주에서는 8개 도시가 각 아롱디스망으로 나뉜다. 퀘벡의 아롱디스망은 각 지방별로 하위 지방자치체들이 하나로 조직되어 공인된 독립체로, 자체 시장과 시의원이 있다. 영어로는 버러 (borough)라고 부른다.[1]퀘벡주에서는 그랑빌-쉬르-라-루주, 레비, 롱게이유, 메티스-쉬르-메르, 몬트리올, 퀘벡, 사그네, 셔브룩과 같은 도시들이 각각 행정상 여러 개의 "아롱디스망"으로 구획되어 있다.[2] 아롱디스망마다 선출된 수장의 칭호는 다르다. 예를 들어 퀘벡시에서는 "프레지당(président)"이라고 부르지만, "메르(maire)"라고 부르는 도시도 있다.[3]
6. 아이티
아이티의 10개 데파르트망은 42개 아롱디스망으로 분할된다. 프랑스의 아롱디스망과 가장 유사한 위상을 가진다.[6] 아이티는 국토를 행정상 대구분에서 소구분으로 순서대로 데파르트망, 아롱디스망, 코뮌의 3층으로 구획하고 있으며, 아롱디스망은 "구"로 번역된다.
7. 네덜란드
네덜란드에서 '아론디세멘턴'(Arrondissementen)은 각 주별 법원이 위치해 있는 사법 구역을 의미한다. 2013년 기준으로 총 11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시 총 네 개의 지역으로 묶인다. 아론디세먼턴의 경계는 대체로 네덜란드의 주 경계를 따른다.[1]
행정 구역 단위의 아롱디스망이 네덜란드에 설치된 적도 있었다. 1810년 홀란드 왕국이 프랑스에 합병되면서, 이듬해인 1811년부터 1814년까지 행정 아롱디스망이 설치되었다.[1]
네덜란드에서 ''아롱디스망''은 사법권 관할 구역이다.[3] 네덜란드에서는 행정 구역과는 별도로, 사법상 재판소 관할 구역으로서 여러 코뮌을 묶은 것을 "아롱디스망"이라고 부른다.[4]
8. 스위스
2010년부터 베른 칸톤의 행정 구역에 각 지구가 신설되었는데, 이를 프랑스어로 행정 아롱디스망(arrondissements administratifs)이라 명명하였다.[1] 다른 칸톤에서는 아롱디스망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적이 없다.[1]
9. 아프리카 국가
프랑스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은 아롱디스망 행정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국가에서 아롱디스망은 주로 주(데파르트망)의 하위 행정 구역으로, 코뮌(마을)을 포함하거나 코뮌과 동등한 지위를 갖는다. 일부 국가에서는 대도시의 하위 행정 구역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1]
세네갈, 니제르, 말리, 베냉, 카메룬, 차드, 지부티, 모로코, 콩고 공화국 등 많은 국가들이 아롱디스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9. 1. 세네갈
세네갈의 주는 아롱디스망으로 나뉜다. 다카르 시도 아롱디스망으로 세분화된다. 세네갈의 아롱디스망 참고.9. 2. 니제르
니제르의 주(니제르의 주)는 1962년부터 2002년까지 아롱디스망으로 분할되었다. 2002년부터는 아롱디스망 대신 데파르트망으로 명칭을 변경하였고, 기존의 데파르트망은 레지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9. 3. 말리
말리에서 아롱디스망은 권역 (세르클)의 하위 행정 구역이다.[1]9. 4. 베냉
베냉의 주는 코뮌으로 나뉘며, 각 코뮌은 다시 아롱디스망으로 세분화된다. 베냉의 전체 행정 구역 체계에서 마을 바로 상위 행정 구역이다.[1]9. 5. 카메룬
카메룬의 주는 아롱디스망으로 나뉘며, 아롱디스망의 하위 행정 구역은 구와 코뮌으로 나뉜다.[1]9. 6. 차드
차드는 과거 아롱디스망이라는 행정구역을 두었으나, 2002년부터 은자메나 시에만 아롱디스망을 적용하고 있다. 은자메나는 10개의 구로 나뉜다.[1]9. 7. 지부티
지부티 시에는 6개의 아롱디스망이 설치되어 있다.[1]9. 8. 모로코
모로코에서는 도시권에 해당하는 주와 현에 아롱디스망을 설치하고 있다. 2004년 기준으로 인구가 50만 명이 넘는 6개의 주요 도시의 하위 행정 구역에 "아롱디스망"이라는 명칭이 사용된다.[1]9. 9. 콩고 공화국
콩고 공화국에서는 브라자빌 시에만 아롱디스망을 유지하고 있으며, 총 7개의 구가 설치되어 있다.10. 구소련 국가
일부 포스트소비에트 국가에서는 프랑스 도시가 시립 구로 분할된 방식과 유사하게 시가 시립 구(아롱디스망)로 분할되어 있다(예: 우크라이나의 구 목록, 러시아의 행정 구역, 민스크의 행정 구역,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참조).
참조
[1]
사전
arrondissement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ARRONDISSEMENT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9-12
[3]
웹사이트
arrondissement
2019-09-12
[4]
웹사이트
Circonscriptions administratives au 1er janvier 2015 : comparaisons régionales
https://web.archive.[...]
Institut national de la statistique et des études économiques
2015-07-05
[5]
웹사이트
Belgium Arrondissements (as of 2010)
http://www.statoids.[...]
[6]
웹사이트
Mars 2015 Population Totale, Population de 18 ans et Plus Menages et Densites Estimes en 2015
http://www.ihsi.ht/p[...]
Institut Haïtien de Statistique et d’Informatique (IHSI)
2017-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