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바논 공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바논 공국은 12세기 말부터 13세기 중반까지 존재했던 중세 알바니아 국가이다. 아르바논이라는 이름은 고대 일리리아 부족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비잔틴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 이후 자율성을 획득했다. 프로고니 가문이 통치했으며, 드미트리오 프로고니 시기에 공국은 최대 규모로 확장되었다. 이후 그레고리오스 카모나스와 골렘이 통치했으나, 1257년 아르바논 반란 이후 니케아 제국에 합병되며 멸망했다. 공국의 중심지는 크루야였으며, 아드리아 해에서 블랙 드리니 강까지 이르는 지역을 통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옛 후국 - 카탈루냐 공국
    카탈루냐 공국은 스페인 동북부에 위치한 역사적인 지역으로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지니고 있으며, 미술, 종교, 요리는 지역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
  • 옛 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트리어 선제후국은 트리어 대주교가 통치하며 신성 로마 제국의 선제후 지위를 가진 국가였으나, 프랑스 혁명 전쟁으로 해체되고 제국대표자회의 결의에 따라 세속화되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그리스 왕국
    그리스 왕국은 1832년부터 1924년, 그리고 1935년부터 1973년까지 존속했던 입헌 군주국으로, 바이에른 왕가와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통치를 거치며 영토 확장과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군주제 폐지와 군사 정권 수립 등 격동의 시기를 겪었다.
  • 발칸반도의 옛 나라 - 유고슬라비아
    유고슬라비아는 17세기 후반 남슬라브인 왕국 건설을 목표로 시작하여, 유고슬라비아 왕국, 공산주의 정권 수립 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변화하였으나,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거쳐 구성 공화국들의 독립으로 붕괴되었다.
아르바논 공국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아르바논 공국
현지 이름 (알바니아어)Principata e Arbërit
알바니아어 (다른 표기)Arbën
Arbër
Arbëria
라틴어Arbanum
그리스어Ἄρβανον
Ἄλβανον
위치알바니아
시대중세
정치 체제공국
존속 기간1190년 ~ 1215/16년 (1256/57년경 합병)
수도크루여
공용어알바니아어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1208년경 아르바논/아르베리아 지도
1208년경 아르바논/아르베리아 지도
역사
성립1190년
멸망1215/16년
이전 국가앙겔로스 왕조의 비잔티움 제국
이후 국가중세 알바니아 왕국
정치
주요 지도자프로곤 (초대)
진 프로고니
드미터 프로고니
그리고르 카모나
골렘 (마지막)
통치자 칭호공작
통치 기간프로곤: 1190년–1198년
진: 1198년–1208년
드미터: 1208년–1216년
그리고르: 1216년–1236년
골렘: 1252년–1256년

2. 명칭

아르바논 공국은 중세 그리스어로 ''Árvanon'' (Ἄρβανον), 중세 라틴어로 ''Arbanum''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13세기 초 세르비아 문서인 ''스테판 네마냐의 생애''에서는 ''Raban''으로 표기되었다.[8]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어로 Ἀλβανοί (알바노이)로 기록된 남부 일리리아인 부족의 이름을 나타내며, 이후 18세기에 ''Shqiptar''로 대체될 때까지 알바니아 민족의 고유 명칭을 나타냈다. 부족 이름 ''Albanoi''를 라틴어로 번역한 것이 직접적인 기원이다.[9]

"Arbën"의 변형은 기원전 2세기부터 관찰되었는데, 폴리비우스가 저술한 세계사에는 로마인들을 피하기 위해 테우타 여왕 휘하의 일리리아 군대가 흩어져 도망간 아르보나(고대 그리스어 Ἄρβωνα, 라틴어 Arbo)[10][11]라는 지명이 언급되어 있다. 아르보나는 리부르니아의 섬이거나 일리리아 내의 다른 지역이었을 것이다.[12]

아르바논 공국의 공식 문장, 티라나 국립 박물관 전시관


6세기 AD에 스테파누스 비잔티누스는 중요한 지리 사전인 《에트니카》(Ἐθνικά)[13]에서 일리리아의 도시 아르본(Ἀρβών)을 언급하고, 그 주민의 민족 명칭을 단수형 2가지 형태(아르보니오스(Ἀρβώνιος)와 아르보니테스(Ἀρβωνίτης))와 복수형 Ἀρβωνῖται로 제시한다. 그는 폴리비우스를 인용한다.[13]

3. 역사

많은 학자들이 아르바논 공국이 중세 시대에 등장한 최초의 알바니아 국가라고 지적한다.[16][17][3] 1190년에서 1204년 사이, 아르바논은 비잔틴 제국의 공국이었으며 상당한 수준의 자율성을 누렸지만, '아르콘'(프로곤이 소유)과 '판히페르세바스토스'(디미테르가 소유)라는 칭호는 비잔틴의 영향력 아래에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5]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약탈 이후 이 지역에서 비잔틴 권력이 약화되면서 아르바논 공국은 1215년 또는 1216년 데메트리오스가 사망할 때까지 완전한 자율성을 획득했다. 데메트리오스 사후, 공국은 에피루스 또는 니케아 제국의 라스카리드의 봉신이 되었다.

게지크 비문은 프로고니 가문을 ''judices''로 언급하며, 제타의 왕자 블라딘과 Đorđe Nemanjić (재위 1208–1216)에 대한 그들의 의존성을 기록하고 있다. 아르바논 공국은 마지막 단계에서 주로 에페이로스 전제공국과 연결되었으며, 세르비아 왕국과 동맹 관계를 유지했다.[18] 1252년, 골렘은 니케아 제국에 복종했다.

3. 1. 초기 발전

1166년, ''prior Arbanensis'' 안드레아와 ''episcopis Arbanensis'' 라자루스가 코토르에서 열린 의식에 참여했다는 기록이 있다.[21] 당시 아르바논은 세르비아 대공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다. 1167년,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라자루스에게 보낸 서한에서 그의 주교구를 가톨릭 신앙으로 되돌린 것을 축하하며 라구사의 대주교를 자신의 상사로 인정하도록 초대했다. 지방 관리들의 저항 이후, 아르바논 주교구는 1188년 교황 서한에 기록된 바와 같이 교황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게 되었다.

1190년에서 1198년 사이에[22] 크루야와 그 주변 지역의 첫 번째 통치자였던 ''archon'' 프로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프로고니 가문은 크루야 요새를 소유했으며, 프로곤의 뒤를 이어 그의 아들 진이 1208년(또는 1207년)에 사망할 때까지 통치했고, 이후 그의 다른 아들 드미트리가 계승했다.

3. 2. 드미트리 프로고니 시대

드미트리 프로고니는 프로고니 가문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영주로, 1208년(또는 1207년)부터 1216년(또는 1215년)까지 통치했다.[23][24] 그는 형 진 프로고니의 뒤를 이어 공국을 절정에 이르게 했다.[20] 드미트리 프로고니는 통치를 시작하면서부터 아르바논 공국의 주권을 외부 위협으로부터 지키기 위해 외교 정책에서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려 노력했다. 그의 통치 기간 대부분의 주요 위협은 베네치아 공화국과 에피로스 전제공국이었다.[27]

1208-09년에 그는 베네치아의 경쟁자들에 맞서 지원을 얻기 위해 동방 정교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하는 것을 처음으로 고려했다. 베네치아가 알바니아를 통제할 명목상의 권리를 받았기 때문에, 가톨릭으로 개종하면 아르바논 공국이 통제하는 영토에 대한 베네치아의 주장이 무효화될 것이었다. 또한 포스트 비잔틴 제국의 계승 국가인 에피로스 전제공국의 확장을 막을 수 있었다.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 보존된 서신에서, 프로고니는 그의 추종자들로 서명한 아르바논의 ''iudices''의 지도자로서 교황에게 선교사를 보내 그의 땅에 가톨릭을 전파해달라고 요청했다. 교황은 두러스의 가톨릭 부제 니콜라우스에게 선교를 준비하도록 지시했다고 답했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드미트리오는 더 이상 중요하다고 생각하지 않아 이 과정을 중단했다. 그는 북쪽으로 국경을 접하고 있는 베네치아의 봉신인 조르제 네마니치를 물리쳤고, 따라서 베네치아에 대한 위협을 덜 느꼈다.[27]



1208년 7월 3일, 네마니치는 프로고니가 베네치아 영토를 공격할 경우 베네치아에 군사 지원을 약속하는 조약에 서명했다.[26] 같은 해, 드미트리 프로고니는 조르제 네마니치의 경쟁자이자 마지막 비잔틴 황제 알렉시오스 3세 앙겔로스의 손녀인 코메나 네마니치와 결혼했다. 비잔틴 황실과의 관계 덕분에 데메트리우스는 ''판히페르세바스토스''라는 칭호로 인정받았다. 두러스의 가톨릭 대주교가 사망한 후, 베네치아인과 프로고니는 각자의 영토에서 교회의 재산을 몰수했고, 이 때문에 그는 파문되었다.[27] 그는 스스로를 ''프린켑스 아르바노룸''(알바니아인의 왕자)이라고 칭했으며, 외국 귀빈들에게도 그렇게 인정받았다. 인노첸시오 3세와의 서신에서 그가 ''프린켑스 아르바노룸''으로 주장한 영토는 슈코드라, 프리츠렌, 오흐리드, 두러스 사이의 지역(''regionis montosae inter Scodram, Dyrrachium, Achridam et Prizrenam sitae'')이었다.[19] 프로고니는 공국을 절정에 이르게 했다.[20] 공국이 통치한 지역은 슈쿰빈 강 계곡에서 북쪽의 드리니 강 계곡까지, 그리고 아드리아 해에서 동쪽의 블랙 드리니까지 이르렀다. 라틴어 문서에서 데메트리우스는 ''iudex''로, 비잔틴 기록에서는 ''메가스 아르콘''으로, 통치가 공고화된 후에는 ''판히페르세바스토스''로 칭해진다.[27]

1209년, 동맹을 찾기 위해 그는 라구사 공화국과 조약을 체결하여 라구사인 상인들이 알바니아 영토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했다.[28] 이듬해, 베네치아 공화국과 미하일 1세 콤네노스 두카스 사이에 협정이 체결되었는데, 두카스는 베네치아가 아르바논의 핵심 지역인 슈쿰빈 강 계곡까지 그의 주장을 인정한다면 베네치아의 봉신이 될 것이었다. 1212년, 베네치아는 두러스의 해안 공국을 미하일에게 넘겨주었고, 알바니아 중부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를 포기했다.[26] 이 협정은 공국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했는데, 적대 세력에 둘러싸인 공국은 드미테르 프로고니의 생애 말에 슈쿰빈 북쪽과 드리니 남쪽 지역으로 축소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대한 증거는 미르디타의 현대 레서넨 근처 Ndërfandë에 있는 Gëziq 가톨릭 교회의 기초 비문에서 제공되었다. 라틴어로 쓰여진 이 비문은 프로고니 사후에 제작되었다. 비문은 가톨릭 교회에 다시 받아들여진 프로고니가 교회의 건립 자금을 제공했음을 보여주는데, 그는 이 교회를 아르바눔 교구 또는 그의 남은 영토 중심부의 새로운 교구의 소재지로 계획했을 것이다. 새로운 교회가 성모 마리아에게 헌정된 오래된 교회의 부지에 지어졌지만, 프로고니는 새로운 교회를 아르바눔의 수호성인인 Shën Premte에게 헌정했다.[29] 그는 제타의 높은 종주권을 받아들이는 협정을 통해 이 지역의 반독립성을 유지했으며, 제타의 통치자들은 그 대가로 이 지역의 내정에 관여하지 않았다. 프로고니의 유언으로도 사용되는 이 비문에서 교회는 그의 백성(''nationi obtulit'')에게 헌정되었으며, 그의 후계자는 진 프로고니의 아들인 ''프로곤''으로 프로토세바스토스로 지정되었다.

3. 3. 그레고리 카모나스와 골렘 시대

1215년 또는 1216년 드미트리우스가 사망한 후[23][24] 권력은 그의 아내 콤네나에게 넘어갔다. 그녀는 곧 그레고리 카모나스와 결혼했는데, 그는 이전에 Gjin의 딸과 결혼했으며 권력 승계를 합법화하기 위해 결혼이 필요했다. 그가 크루야를 장악한 후, 슈코더에 대한 슬라브족의 공격 이후 약화된 세르비아 대공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26]

드미트리우스에게는 그를 계승할 아들이 없었다. 콤네나는 카모나스와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고, 그녀는 골렘이라는 지역 세력가와 결혼했다. 골렘은 에피루스 전제공국의 테오도로스 콤네노스 두카스 (1230년까지)와 불가리아의 이반 아센 2세 치하에서 아르바논의 반독립 통치자로 통치를 이어갔다. 그는 1241년 사망할 때까지 두카스와 니케아 제국를 오갔고, 마침내 1252-1256년 비잔틴 제국 재건 과정에서 니케아에 합병되었다.[30] 에피루스의 미카엘 2세 콤네노스 두카스와 니케아 황제 요한 3세 두카스 바타체스 간의 갈등 동안, 골렘과 테오도르 페트랄리파스는 처음에는 미카엘의 동맹이었으나, 결국 1252년에 요한 3세에게 귀순했다. 그러나 황제 테오도로스 2세 라스카리스가 공국의 통치자로 콘스탄틴 차바론을 임명한 최초의 니케아 정복은 곧 실패로 돌아갔고, 1257년에 아르바논 반란을 촉발했다. 골렘은 1256-1257년 겨울에 두러스에서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테스와 만난 아르바논의 다른 '유력자'들 중 마지막으로 역사 기록에 언급되었다. 아크로폴리테스는 이후 소국을 합병하고 비잔틴 민간, 군사 및 재정 행정을 설치했다.[7]

3. 4. 멸망

1215년 또는 1216년 드미트리우스가 사망한 후,[23][24] 권력은 그의 아내 콤네나에게 넘어갔다. 그녀는 곧 그레고리 카모나스와 결혼했는데, 그는 이전에 진의 딸과 결혼했으며 권력 승계를 합법화하기 위해 결혼이 필요했다. 그가 크루야를 장악한 후, 스코페에 대한 슬라브족의 공격 이후 약화된 세르비아 대공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26]

드미트리우스에게는 그를 계승할 아들이 없었다. 콤네나는 카모나스와의 사이에서 딸을 낳았고, 그녀는 골렘이라는 지역 세력가와 결혼했다. 골렘은 에페이로스 전제공국의 테오도로스 콤네노스 두카스 (1230년까지)와 불가리아이반 아센 2세 치하에서 아르바논의 반독립 통치자로 통치를 이어갔다. 그는 1241년 사망할 때까지 두카스와 니케아를 오갔고, 마침내 1252-1256년 비잔틴 제국 재건 과정에서 니케아에 합병되었다.[30] 에피루스의 미카일 2세 콤네노스 두카스와 니케아 황제 요한 3세 두카스 바타체스 간의 갈등 동안, 골렘과 테오도르 페트랄리파스는 처음에는 미카엘의 동맹이었으나, 결국 1252년에 요한 3세에게 귀순했다. 그러나 황제 테오도로스 2세 라스카리스가 공국의 통치자로 콘스탄틴 차바론을 임명한 최초의 니케아 정복은 곧 실패로 돌아갔고, 1257년에 아르바논 반란을 촉발했다. 골렘은 1256-1257년 겨울에 두러스에서 게오르기오스 아크로폴리테스와 만난 아르바논의 다른 '유력자'들 중 마지막으로 역사 기록에 언급되었다. 아크로폴리테스는 이후 소국을 합병하고 비잔틴 민간, 군사 및 재정 행정을 설치했다.[7]

4. 지리

11세기 경, ''아르바논''(Arbanon) (또는 ''알바논''Albanon)이라는 이름은 오흐리드 호 서쪽의 산악 지역과 슈쿰빈 강 상류 계곡에 적용되었다.[19] 1198년, 드리니 강 북쪽 지역의 일부는 스테판 네마니치가 잠시 통제했는데, 그는 그 해에 아르바논(''ot Rabna'')에서 풀트를 점령했다고 기록했다. 1208년, 교황 인노첸시오 3세와의 서신에서 데메트리우스 프로고니가 '아르바노룸 공(princeps Arbanorum)'이라고 주장한 영토는 슈코더, 프리즈렌, 오흐리드, 두러스 사이의 지역이었다. 일반적으로 프로고니는 공국을 절정에 이르게 했다.[20] 이 당시 공국이 통제하던 지역은 남쪽의 슈쿰빈 강 계곡에서 북쪽의 드리니 강 계곡까지, 그리고 아드리아 해에서 동쪽의 블랙 드리니 강까지 이르렀다.

조지 아크로폴리테스는 마지막 단계에 대해 상세히 기록했는데, 당시 영토를 서쪽에서 동쪽으로 두러스와 오흐리드 호 사이, 남쪽에서 북쪽으로 슈쿰빈 강 계곡과 마트 강 계곡 사이에 위치시켰다. 크루예 요새는 이 지역이 존속하는 동안 군사 및 행정 중심지였다.

아르바논은 오늘날의 알바니아 중부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며 수도는 크루야였다.[32]

11세기와 12세기에는 데볼 강에서 슈쿰빈 강까지 뻗어 있는 작은 영토였다. 알랭 뒤셀리에에 따르면, 아르바논은 바다에 직접 접근할 수 없었다. 로버트 엘시는 중세 시대 내내 오늘날 알바니아의 해안 도시에 눈에 띄는 알바니아 공동체가 없었던 반면, 뒤셀리에에 따르면 세르비아인과 그리스인이 통치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쪽으로 더 먼 에피로스 해안은 주로 알바니아인이 거주했다.

크루야 요새는 국가의 중심지였다. 프로곤은 요새 주변을 소유하게 되었고 이는 세습되었다.

5. 경제

아르바논은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비잔틴 제국 문명으로부터 부와 이익을 가져다주는 무역로인 비아 에그나티아의 수혜자였다.[1]

6. 통치자

사진칭호 및 이름재위 기간비고
프로고니1190년–1198년최초로 알려진 알바니아 국가의 통치자였다.[1]
진 프로고니1198년–1208년프로고니의 장남.[1]
드미트리오 프로고니1208년–1216년프로고니의 막내 아들. 아르바논의 독립을 확고히 했으며 공국을 최대 규모로 확장했다.[1]
그레고리오스 카모나스1216년–12??년그리스-알바니아 영주. 처음에는 진 프로고니의 딸과 결혼했고, 이후 드미트리오 프로고니의 미망인 콤네나 네마니치와 결혼하여 아르바논 공국의 통치를 상속받았다.[1]
골렘 오브 크루야12??년–1257년아르바논 공국의 마지막 통치자. 그레고리오스 카모나스의 딸과 결혼하여 권력을 잡았다. 골렘의 즉위는 알바니아의 토착 통치로의 회귀로 여겨졌다.[1]


참조

[1] 서적 1992
[2] 서적 The history of Albania: a brief survey s.n. 1964
[3] 서적 2010
[4] 서적 2007
[5] 서적 1999
[6] 서적 ΕΥΨΥΧΙΑ. Mélanges offerts à Hélène Ahrweiler https://books.google[...] Publications de la Sorbonne 2016
[7] 서적 1999
[8] 서적 Der Jugoslawien-Krieg: Handbuch zu Vorgeschichte, Verlauf und Konsequenzen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2007
[9] 서적 Concise Albanian Grammar 2000
[10] 서적 Histories
[11] 서적 Histories
[12] 서적 Geography 1903
[13] 서적 Ethnika kat' epitomen 1849
[14]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Greece Routledge 2013
[15] 서적 Hispaniae: Spain and the Development of Roman Imperialism, 218-82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16] 서적 1992
[17] 서적 2008
[18] 서적 1999
[19] 서적 1954
[20] 서적 2002
[21] 서적 1913
[22] 서적 1964
[23] 서적 1999
[24] 서적 2010
[25] 간행물 Ioannina et son arriere-pays (XIII-XV S.) un exemple des relations entre ville et campagne dans le monde byzantin tardif https://books.google[...] Presses universitaires de Perpignan 2017
[26] 서적 1999
[27] 서적 2008
[28] 서적 2008
[29] 서적 1984
[30] 서적 2017
[31] 웹사이트 George Akropolites: the history https://books.google[...]
[32] 서적 1992
[33] 웹사이트 Ducellier 1999 https://en.wiki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