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는 20세기 이탈리아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완벽한 테크닉과 섬세한 음색으로 명성을 얻었다. 1939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에서 우승하며 데뷔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성공적인 연주 여행을 통해 국제적인 명성을 쌓았다. 그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으로 연주회 취소가 잦았지만, 라벨 등 근대 작곡가의 연주에 뛰어났으며, 마르타 아르헤리치의 스승이기도 했다. 1995년 스위스 루가노에서 사망했으며, 그의 마지막 콘서트는 1993년 함부르크에서 열렸다. 미켈란젤리는 1965년 첫 내한 이후 한국을 여러 차례 방문했으나, 공연 취소와 변경으로 팬들에게 아쉬움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탈리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루도비코 에이나우디
이탈리아 토리노 출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인 루도비코 에이나우디는 음악적, 사회적으로 저명한 가족 배경 속에서 성장하여 클래식 음악 교육을 받고 다양한 음악 분야에서 활동하며 미니멀리즘과 팝 음악의 영향을 받은 독자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하고 영화, 드라마 음악 작곡 및 사회 활동 참여를 통해 대중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 이탈리아의 클래식 피아노 연주자 - 무치오 클레멘티
무치오 클레멘티는 이탈리아 출신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음악 교육가, 피아노 제작자로서, 피아노 소나타를 포함한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고전파 음악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브레시아 출신 - 니콜로 타르탈리아
니콜로 타르탈리아는 3차 방정식 해법 발견과 탄도학 연구 등의 업적을 남긴 이탈리아의 수학자이자 공학자로, 본래 니콜라 폰타나였으나 어린 시절 부상으로 '말더듬이'라는 뜻의 별명을 얻었다. - 브레시아 출신 - 주세페 바레시
주세페 바레시는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로, 인테르나치오날레에서 16시즌 동안 활약하며 세리에 A, 코파 이탈리아, UEFA컵 등에서 우승했으며,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 18경기에 출전하고 은퇴 후 인테르의 코치로 활동했다. - 1995년 사망 - 이종성 (1924년)
이종성은 충남방적을 설립하여 국내 최대 섬유류 제조업체로 성장시키고 1억불 수출탑을 수상하는 등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국회의원과 청운여고, 혜전대학, 청운대학교 등의 설립을 통해 교육 사업에도 헌신한 기업인이자 교육자, 정치인이다. - 1995년 사망 - 김상협
김상협은 삼양그룹 창업주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의 조카로, 도쿄대 졸업 후 고려대 교수와 총장,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대한적십자사 총재 등을 역임한 정치인이자 교육자이며, 친일 행적 논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가 요구된다.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20년 1월 5일 |
사망 | 스위스 티치노주 루가노 |
출생지 | 이탈리아 왕국 롬바르디아주 브레시아도 |
국적 | 이탈리아 |
직업 | 피아니스트 |
장르 | 클래식 음악 |
활동 기간 | 1938년 - 1993년 |
교육 | |
학교 | 밀라노 음악원 |
경력 | |
분야 | 피아노 |
2. 생애
바이올린 제작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브레시아에서 태어난 미켈란젤리는 4살 때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했다. 브레시아의 벤투리 음악학교를 거쳐 밀라노 음악원에서 주세페 안포시에게 가르침을 받았다. 1939년 제1회 제네바 국제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심사위원장 알프레드 코르토는 그를 "리스트의 재림"이라고 칭송했다.[39]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시즘에 대한 저항 운동에 참여하기도 했다. 종전 후 영국과 프랑스에서 연주 여행을 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1955년 쇼팽 콩쿠르 심사위원 및 공식 피아니스트로 선정되면서 다시 활동을 재개, 전 세계에서 콘서트를 열며 압도적인 테크닉과 아름다운 음색으로 명성을 확립했다.
그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으로 인해 연주회를 자주 취소하거나, 연주회 직전 기분에 따라 취소하기도 했다. 또한 자신의 음빛깔과 컨디션을 유지하기 위해 해외 연주회에서도 자신의 피아노와 조율사를 대동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레퍼토리는 넓었으나, 특히 라벨 등 근대 작곡가 연주에 뛰어났다.
1988년 연주 도중 심장 발작으로 쓰러졌으나 이듬해 복귀했다. 병의 후유증으로 이전의 완벽한 연주보다는 유연한 스타일을 보여주었다.
1965년 첫 내한 이후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했다. 1973년에는 컨디션 문제로 연주 일정 및 회장을 변경하거나 공연을 중단했고, 1980년에는 일본에서 가져온 피아노 컨디션에 만족하지 못해 야마하 피아노로 한 차례 공연만 진행하고 나머지는 취소했다. 1992년 마지막 내한에서는 첼리비다케와의 협연 및 첫 리사이틀은 예정대로 진행했으나, 다음 리사이틀은 회장과 일정을 변경, 세 번째 리사이틀은 취소했다.
1993년 5월 7일 함부르크에서 마지막 연주회를 가졌으며, 1995년 루가노에서 사망했다.
마르타 아르헤리치의 스승으로도 알려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는 바이올린 제작으로 유명한 이탈리아 브레시아에서 태어났다. 그의 생일은 보통 1920년 1월 5일로 알려져 있으나,[3] 스스로 1920년 1월 6일 새벽 첫 시간에 태어났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의 아버지인 주세페는 백작이자 변호사였으며, 동시에 음악가이자 작곡가였다. 미켈란젤리가 네 살이 되기 전에 그에게 음악을 가르치기 시작했다. 미켈란젤리는 세 살 때 바이올린을 배우기 시작했고, 나중에는 브레시아의 벤투리 연구소에서 공부했다.[4] 그 후 오디션을 거쳐 파올로 키메리 박사의 제자가 되어 피아노를 공부했다.[5] 그는 또한 오르간과 작곡을 공부했다. 아홉 살 때 그는 밀라노에서 조반니 안포시에게 개인 교습을 받기 시작했다.[6]
열 살에 미켈란젤리는 밀라노 음악원에서 정식 음악 교육을 시작하여 14세에 우등으로 졸업했다. 미켈란젤리의 부모는 음악에 열정적이었지만, 아르투로가 피아니스트가 되는 것은 원치 않았다. 가족의 태도를 고려하여[7] 미켈란젤리는 수년간 의학을 공부했지만 음악을 포기하지 않았고, 꾸준히 연주를 계속했다.[8]
2. 2. 프로 경력
1938년 5월, 18세의 미켈란젤리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린 이자이 국제 음악 콩쿠르에 참가하여 국제적인 경력을 시작했으며, 7위를 차지했다.[24] 1년 후 1939년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는데, 심사위원으로 참여했던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코르토는 그를 "새로운 리스트"라고 칭송했다. 콩쿠르에서 우승한 후, 베니토 무솔리니는 미켈란젤리에게 이탈리아 볼로냐에 있는 마르티니 음악원에서 교직을 제공했다.[9]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은 막 시작된 미켈란젤리의 경력을 중단시켰다. 그는 이탈리아 공군에 입대했고, 전쟁이 끝나자마자 다시 음악으로 돌아갔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시즘에 대한 저항 운동에도 참여했다. 종전 후 영국과 프랑스 양국에 최초로 연주여행을 하였고, 이 연주의 성공으로 세계적인 인물이 되었다.
1948년 미켈란젤리는 처음으로 미국을 순회하며, 11월 카네기 홀에서 뉴욕 필하모닉과 드미트리 미트로풀로스와 함께 슈만 피아노 협주곡 A단조 작품 54를 연주하며 오케스트라 데뷔를 했다. 1949년 1월, 그는 카네기 홀에서 독주 데뷔를 했다.[12]
그는 완벽주의적인 성향으로 인해 콘서트를 자주 취소하는 것으로 유명했으며, 연주회에서도 자신의 피아노와 조율사를 동반하는 등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제시했다. 레퍼토리 범위는 넓었으나, 특히 라벨 등 근대적 작곡가의 연주에 뛰어났다.
1988년 보르도에서 열린 콘서트 중 복부 동맥류 파열을 겪었다.[15] 7시간이 넘는 수술 후, 그는 이 건강 문제를 극복했다.[16] 몇 달 후인 1989년 6월 7일, 그는 코르드 가르벤이 지휘하는 북독일 방송 교향악단(NDR)과 함께 모차르트 협주곡 제20번과 25번을 연주했다.[17]
2. 3. 교육 활동
미켈란젤리는 마우리치오 폴리니, 마르타 아르헤리치 등 세계적인 피아니스트들을 가르쳤다.[39] 모국에서 "미켈란젤리 국제 피아노 마스터 클래스"를 개최하여 엘리오도로 솔리마[39] 등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2. 4. 말년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it는 1988년 연주회 도중 심장 발작으로 쓰러졌다.[24] 이듬해 복귀했지만, 병의 후유증으로 완벽했던 이전의 연주보다는 유연한 연주 스타일을 보여주었다.그의 마지막 콘서트는 1993년 5월 7일 독일 함부르크에서 열렸다.[24] 그는 오랜 투병 끝에 1995년 6월 12일 스위스 루가노에서 사망했다.[24] 그의 시신은 푸라에 안장되었다.[25]
3. 연주 스타일 및 특징
미켈란젤리는 20세기에 음색과 테크닉 모두 뛰어난 컨트롤 능력을 가진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음악적으로 완성도 높은 연주를 하는 완벽주의자로 명성이 높다.[40] 그는 이탈리아 피아니스트 중에서는 페루초 부소니 이후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40]
그는 연주회에서 완벽한 연주를 추구했으며, 자신의 피아노와 조율사를 동반하는 등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제시했다. 레퍼토리 범위는 넓지 않았으나, 특히 라벨 등 근대 작곡가 연주에 뛰어났다. 세르지우 첼리비다케는 미켈란젤리를 단순한 피아니스트가 아닌 동료 지휘자로 여겼으며, "미켈란젤리는 색을 만든다. 그는 지휘자다."라고 평가했다.[21] 또한 첼리비다케는 미켈란젤리를 "가장 위대한 생존 예술가" 중 한 명으로 묘사했다.[22]
리흐테르와 달리 건반 윗부분에서 나는 잡음(손가락이 건반에 닿을 때 나는 소리)을 최대한 줄이는 독특한 피아니즘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연주는 부소니나 라틴 계 연주가와 유사한 점이 있다.[40]
교사이자 평론가인 데이비드 두발은 미켈란젤리가 베토벤의 초기 작품을 연주할 때 최고의 기량을 보였지만 쇼팽의 작품에서는 불안해 보였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켈란젤리가 바흐-부소니 ''샤콘느''와 브람스의 ''파가니니 변주곡''과 같은 작품에서 "악마적"이었다고 덧붙였다.
미켈란젤리의 대표적인 연주로는 라벨의 ''밤의 가스파르'', 쇼팽의 마주르카와 소나타 2번, 슈만의 ''사육제'' 작품 9와 ''빈 사육제'' 작품 26, 그리고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5번 등이 있다.
4. 주요 업적 및 평가
미켈란젤리는 20세기 최고의 피아니스트 중 한 명으로, 뛰어난 음색과 기교, 완벽한 연주로 명성을 얻었다.[38] 페루초 부소니 이후 이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피아니스트로 꼽힌다.[38]
특히 라벨과 드뷔시 등 근대 작곡가 작품 해석에 뛰어났으며, 도이치 그라모폰에서 발매한 드뷔시 작품 녹음은 오늘날까지도 드뷔시 연주의 기준으로 여겨진다.[38] 발다사레 갈루피처럼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작곡가의 작품을 연주하여 널리 알리는 데에도 기여했다.[38]
그는 베토벤, 슈만, 쇼팽, 브람스의 작품을 즐겨 연주했지만, 연주회 레퍼토리는 매우 좁은 편이었다.[38]
말년에는 여러 콩쿠르 심사위원을 맡았고, 마우리치오 폴리니, 마르타 아르헤리치를 포함하여 1000명에서 2000명에 달하는 수많은 제자를 양성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38]
음악 외적으로는 의사, 파일럿, 자동차 경주 선수 등의 직함도 가지고 있었다.[40]
4. 1. 수상 경력
- 1938년: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7위
- 1939년: 제네바 국제 콩쿠르 1위[1]
- 1949년: 쇼팽 서거 100주년 기념 공식 피아니스트로 선정[2]
- 1972년: 제15회 그래미상 최우수 클래식 기악 독주 또는 독주자 (오케스트라 제외) 후보[3]
- 1975년: 제18회 그래미상 최우수 클래식 기악 독주 또는 독주자 (오케스트라 제외) 후보[4]
연도 | 콩쿠르 및 수상 | 등위/내용 |
---|---|---|
1938년 |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 7위 |
1939년 | 제네바 국제 콩쿠르 | 1위 |
1949년 | 쇼팽 서거 100주년 기념 | 공식 피아니스트로 선정 |
1972년 | 제15회 그래미상 최우수 클래식 기악 독주 또는 독주자 (오케스트라 제외) | 후보 |
1975년 | 제18회 그래미상 최우수 클래식 기악 독주 또는 독주자 (오케스트라 제외) | 후보 |
5. 사회 활동 및 기타
미켈란젤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파시즘에 대한 저항 운동에 참여했다.[1] 의사, 파일럿, 레이서 등의 직함을 가지고 있었다. 전설적인 자동차 경주 밀레 밀리아에 출전했다고 알려졌으나, 그의 부인은 "남편은 이야기를 만드는 것을 좋아했어요. 실제로 그런 종류의 경기에 참가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어요"라며 부인했다.[40] 그는 스피드광으로, 페라리와 메르세데스 벤츠를 애용했다. 그는 통상 시속 180km로 거리를 주행했으며, 혼자 고속도로를 달릴 때에는 시속 260km까지 속도를 낸 적이 있다고 하며, 죽음과 함께하는 긴장감을 즐긴다고 말했다.
6. 논란 및 비판
미켈란젤리는 극단적인 완벽주의 성향으로 인해 콘서트를 자주 취소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취소 마스터'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연주회 직전에 취소하거나 변경하는 일도 잦았다.[39] 이는 청중과 공연 관계자들에게 큰 불편을 주었다.
그는 연주회 취소 이유에 대해 "높은 개런티를 받는 만큼 불충분한 연주를 하는 것은 청중에게 죄송한 일"이라고 해명했지만, 실제로는 레지스탕스 시절 입은 팔 부상 때문이라는 설도 있다.[39]
일본 공연에서는 여러 차례 물의를 빚었다. 1980년 일본 공연에서는 가져온 두 대의 스타인웨이 피아노 상태에 불만을 품고 야마하 피아노를 사용했지만, 예정된 공연 대부분을 취소했다. 이 때문에 화가 난 일본 측에서 미켈란젤리가 가져온 스타인웨이 피아노를 압류하는 사건까지 벌어져, 양국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39]
1992년에는 세르지우 첼리비다케와의 협연 및 리사이틀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리사이틀 일정을 변경하고 마지막 리사이틀은 취소했다. 첼리비다케와의 협연에서는 뮌헨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 소속된 일본인 연주자 3명을 제외할 것을 요구했으나, 첼리비다케가 이를 거부하면서 두 사람의 관계가 한동안 단절되기도 했다.[39]
7. 한국과의 관계
미켈란젤리는 1965년에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하여 공연을 가졌다.[38] 이후에도 여러 차례 한국을 방문하였으나, 잦은 공연 취소와 변경으로 한국 팬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기도 했다. 1973년에는 컨디션을 이유로 연주회 일정과 장소를 변경하거나 공연을 중단하기도 했다.[38] 1974년에는 전년도 대체 공연을 위해 다시 한국을 찾았다.[38]
1980년 내한 당시에는 일본에서 가져온 두 대의 스타인웨이 피아노 상태에 만족하지 못해 야마하 피아노를 사용해야 했고, NHK 홀에서 단 한 번의 공연만 진행하고 나머지 공연은 모두 취소했다.[38] 그나마 열린 공연에서도 난방을 사용하지 않아 코트를 입은 채 연주해야 했고, 예정되었던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28번은 연주되지 않았다.[38] 이 사건으로 인해 일본 초청 측이 미켈란젤리가 가져온 두 대의 스타인웨이를 압류하는 등, 일본과의 관계가 악화되어 한동안 한국 방문이 끊기기도 했다.[38]
1992년이 마지막 내한이었는데, 첼리비다케와의 협연과 세 번의 리사이틀이 예정되어 있었다.[38] 첼리비다케와의 협연 및 첫 번째 리사이틀은 예정대로 진행되었으나, 두 번째 리사이틀은 장소와 일정이 변경되었고, 세 번째 리사이틀은 취소되었다.[38] 1993년에도 내한 계획이 있었으나, 심장병 악화로 인해 무산되었다.[38]
참조
[1]
뉴스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Reclusive Pianist, Is Dead at 75
https://www.nytimes.[...]
2021-03-03
[2]
뉴스
Michelangeli Will Play Here Again Next Year Maybe
https://www.nytimes.[...]
2021-03-01
[3]
웹사이트
Legends: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ttps://www.abc.net.[...]
2021-11-01
[4]
웹사이트
Obituary: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ttps://www.independ[...]
2021-02-28
[5]
웹사이트
Paolo Chimeri on Treccani
https://www.treccani[...]
[6]
웹사이트
Giovanni Anfossi on Treccani
https://www.treccani[...]
[7]
웹사이트
Radio Swiss Classic - Banca dati musicale - Musicista
http://www.radioswis[...]
2021-08-02
[8]
서적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as I knew him
http://worldcat.org/[...]
[9]
뉴스
Interview with Giuliana Michelangeli
http://www.jacquesle[...]
2021-02-28
[10]
웹사이트
Detail
https://queenelisabe[...]
2021-02-28
[11]
웹사이트
Pogorelich at the Chopin: Towards a sociology of competition scandals
http://chopinreview.[...]
2021-02-28
[12]
웹사이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Bio, Albums, Pictures
https://www.naxos.co[...]
2021-03-01
[13]
웹사이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ttps://www.arturobe[...]
2021-02-28
[14]
문서
Kozubek
[15]
웹사이트
Michelangeli, Arturo Benedetti: Early Recordings, Vol. 1 (1939-1948)
https://www.naxos.co[...]
2021-02-28
[16]
문서
Kozubek
[17]
웹사이트
Mozart: Piano Concertos Nos. 20 & 25
https://www.prestomu[...]
2021-02-28
[18]
문서
Kozubek
[19]
웹사이트
Nazzareno Carusi: la mia vita per il pianoforte, sognando Celano
https://www.ilcentro[...]
2016-12-12
[20]
웹사이트
Ricordando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Ogni nota una goccia di cristallo"
https://www.repubbli[...]
2021-08-03
[21]
웹사이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obnail Boots & Angel's Slippers
https://www.albionbe[...]
2021-03-01
[22]
뉴스
Radio Swiss Classic - Music database - Musician
https://www.radioswi[...]
2021-03-01
[23]
웹사이트
Musicians Gallery Tribute -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pianist
http://www.musicians[...]
2021-03-01
[24]
문서
Blackwood
[25]
웹사이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ttp://web.infinito.[...]
2021-03-01
[26]
웹사이트
Detail
https://queenelisabe[...]
2021-03-01
[27]
웹사이트
Arturo Bendedetti Michelangeli (Piano) - Short Biography
https://www.bach-can[...]
2021-03-01
[28]
웹사이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ttps://www.grammy.c[...]
2021-03-01
[29]
웹사이트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Renowned Pianist, Is Dead at 75
https://buffalonews.[...]
1995-06-13
[30]
웹사이트
Piano Festival - Donizetti Theatre Bergamo
https://www.teatrodo[...]
2021-03-01
[31]
문서
Kozubek
[32]
간행물
Brahms Variations on a theme by Paganini Op. 35
http://archive.org/d[...]
2021-02-18
[33]
간행물
Bach-Busoni Chaconne – from Partita for Solo Violin No. 2 BWV 1004
http://archive.org/d[...]
2021-02-18
[34]
간행물
Piano Concerto No. 4 In G Minor {{!}} Piano Concerto In G Major
http://archive.org/d[...]
Angel Records
2021-10-30
[35]
간행물
Brahms 4 Ballades Op. 10
https://archive.org/[...]
[36]
간행물
Beethoven: Piano Concerto #5
http://archive.org/d[...]
Nuova Era
2021-02-18
[37]
웹사이트
A Brief Biography
https://web.archive.[...]
www.angilella.it
2018-11-14
[38]
서적
ピアニストガイド
青弓社
2006-02-10
[39]
Youtube
Antonino Eliodoro Sòllima
https://www.youtube.[...]
www.youtube.com
2018-11-14
[40]
문서
マルタ・アルゲリッチ 子供と魔法
[41]
웹사이트
2° Concorso Pianistico Internazionale Arturo Benedetti Michelangeli
http://www.edumus.co[...]
2018-11-15
[42]
웹사이트
財団概要
https://www.ohgahall[...]
軽井沢大賀ホール
2022-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