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라와크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라와크어족은 남아메리카와 카리브해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언어족으로, 1783년 필리포 살바토레 질리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다. 이 언어족은 '아라와크'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남미와 북미 학자들 사이에서 사용되는 범위에 차이가 있다. 아라와크어족의 역사는 '아라와크어족 언어 행렬 가설'을 통해 설명되며, 언어적 영향은 남아메리카의 여러 언어족에서 발견된다.

아라와크어족은 페루, 볼리비아, 브라질 등을 포함한 광대한 지역에 분포하며, 타이노어를 포함한 다양한 언어를 포함한다. 이 언어족의 언어들은 접사 부가를 통한 파생이 특징이며, 인칭, 시제, 복수 등을 접사를 통해 표현한다. 아라와크어족은 또한 분류사 체계를 가지며, 동사에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하는 특징을 보인다. 아라와크어족의 내부 분류는 다양한 학자들에 의해 제시되었으며, 언어 간의 어휘적 유사성을 통해 분류가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라와크어족 - 가리푸나어
    가리푸나어는 가리나구 민족의 언어로, 아라와크어, 카리브어, 프랑스어, 영어 등 다양한 언어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남녀 어휘 사용에 차이가 있고 중앙아메리카와 미국 이민 사회에서 사용된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아라와크어족
지도 정보
남미의 마이푸레어족의 언어(카리브해와 중앙아메리카는 포함되지 않음): 북마이푸레어족(연한 파랑)과 남마이푸레어족(짙은 파랑). 점은 현존하는 언어의 위치를 나타내고, 음영 처리된 지역은 과거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는 위치를 나타냄.
언어 정보
이름아라와크어족
다른 이름마이푸레어족
사용 지역남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에콰도르, 우루과이, 칠레 제외. 과거 카리브해 지역에서도 사용됨.
어족대(大)아라와크어족 ?
조어원시 아라와크어
하위 어파북부
남부
ISO 639-5awd
글롯로그araw1281
글롯로그 이름Arawakan

2. 명칭

1782년 필리포 S. 질리는 베네수엘라의 마이푸레어를 비교 기준으로 사용하여 마이푸레어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1세기 후, 이 명칭은 문화적으로 더 중요한 아라와크어로 변경되었다. '아라와크'라는 용어가 사용되다가 북미 학자들에 의해 더 넓은 거대 아라와칸어족 제안으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그 당시, '마이푸레어'라는 이름은 핵심 어족을 위해 부활했다.[12]

3. 역사

필리포 S. 질리는 1782년 베네수엘라의 마이푸레어를 비교 기준으로 사용하여 이 어족을 "마이푸레"라고 명명했다. 1세기 후, 문화적으로 더 중요한 아라와크어를 따라 "아라와크"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후 "아라와크"라는 용어는 북미 학자들에 의해 더 넓은 거대 아라와칸어족 제안으로 확장되었다. 그 당시 핵심 어족을 지칭하기 위해 "마이푸레어"라는 이름이 다시 사용되었다.

''아라와크어족 언어 행렬 가설''(ALMH)[1]은 현대 아라와크어족의 다양성이 열대 저지대 남아메리카 전역에서 사용되었던 무역 언어 또는 공용어의 다양화에서 비롯되었다고 제안한다. 이 가설은 산토스-그라네로(2002)[2]와 에릭센(2014)[3] 등이 지지한다. 에릭센(2014)은 아라와크어족이 서기 600년 이후에 분화되었다고 주장하지만, 마이클(2020)은 이를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아라와크어족 내부의 다양성이 로망스어보다 크다고 지적한다.[1] 반면, 블렌치(2015)는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오스트로아시아어족 언어족의 확산과 유사하게 수천 년에 걸쳐 일어난 인구 증가를 제안한다.[4]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지리적으로 널리 분포된 언어족 중 하나인 아라와크어족의 언어적 영향은 남아메리카의 많은 언어족에서 발견될 수 있다. Jolkesky(2016)는 아라와, 보라-무이니네, 과히보, 하라크벳-카투키나, 하라크벳, 카투키나-카타윅시, 이렌체, 자키, 카리브, 카와파나, 카유바바, 케추아, 콰자, 레코, 매크로-제, 매크로-마타구아요-과이쿠루, 마푸둥군, 모치카, 무라-마타나위, 남비콰라, 오무라노, 파노-타카나, 파노, 타카나, 푸이나베-나다후프, 타루마, 투피, 우라리나, 위토토-오카이나, 야루로, 사파로, 살리바-호디, 그리고 티쿠나-유리 언어족과의 접촉으로 어휘적 유사성이 존재한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유사성은 상속, 접촉 또는 우연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

"아라와칸"이라는 용어는 현재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남아메리카 학자들은 마이푸레어족을 지칭하기 위해 "아루악"을 사용하는데, 이는 질리와 후대 언어학자들이 입증한 어족이다. 그러나 북미에서는 학자들이 이 용어를 사용하여 과히보어족과 아라완어족을 포함하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한다. 북미 학자들은 핵심 어족을 구별하기 위해 "마이푸레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이는 때때로 "핵심 아라와크(칸)" 또는 "정통 아라와크(칸)"라고도 불린다.[12]

Kaufman (1990: 40)은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

> [아라와칸]이라는 이름은 여기서 마이푸레어로 불리는 것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마이푸레어는 한때 아라와칸의 주요 하위 그룹으로 여겨졌지만, 적어도 모든 "현존하는" 아라와칸 언어는 일반적으로 정의된 마이푸레어 내에서 이미 발견된 언어들과 함께 하위 그룹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이푸레어와 아라와칸이라는 명칭의 분류는 비교 연구의 현재 상태로는 불가능한, 더 정교한 언어 분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라와크"라는 단어는 16세기 탐험기에 등장한다.[29] 대앤틸 제도, 소앤틸 제도 북부 등에 살았던 타이노족(도서 아라와크)의 조상은 기원 전후 수백 년 사이에 오리노코강 하구에서 카리브해 섬으로 이주했다고 여겨지지만[30], 아라와크라는 집단 전체의 역사적 기원이나 이동에 관한 정설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29] 아라와크라는 집단은 일반적으로 지리적인 관점에서 내륙 아라와크와 도서 아라와크로 구분되지만, 언어적인 관점에서도 이 둘 사이의 차이는 크다.[29]

아라와크어족, 그중에서도 특히 마이프레어로 여겨지는 언어에 관한 기록은 18세기 후반부터 이루어졌지만, 그 대부분은 어휘 목록 수준에 머물렀고, 개별 언어에 대한 치밀한 언어학적 분석에 기반한 연구가 나오기까지는 1960년대를 기다려야 했다.[31] 1972년에는 에스터 매티슨(Esther Matteson[32])이 17개 언어로부터 proto-Arawakan|아라와크 조어영어의 재구를 시도하게 된다.[33] 그러나 테런스 카우프만은 이에 대해 매티슨의 연구 내용을 통렬하게 비판했다. 아라와크어족이 아닌 아라완어족이나 하라쿰부트어를 포함시켜야 비로소 동원어 및 재구형이 성립한다는 점, 파레시어, 와유어, 갈리푸나어의 데이터 인용이 포함된다는 점, 극히 일부 언어를 제외하고는 증명되지 않은 분절음과 형태의 합성에 기반한 재구라는 점, 또한 인정되지 않은 초분절적 굴절 접두사가 다루어지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28] 카우프만은 그 밖에도, 데이비드 페인 (David Payne)의 연구에 대해, 당시 존재했던 마이프레 제어를 거의 모두 수집하여 음운을 재구하고 분기 과정을 추적하고 있다고 소개한 뒤, 페인(1990)[34]에서 조어 유래로 여겨지는 어휘에 기반한 분류를 한 것은 "아라와크어족의 비교 연구에 있어서 매우 큰 단계"라고 평했다.[28]

4. 지리적 분포

아라와크어족은 아메리카에서 오토망게어족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어족이다. 페루볼리비아안데스산맥 중부로부터 브라질아마존 분지를 거쳐 북쪽으로 남미 북해안의 수리남, 가이아나, 프랑스령 기아나, 베네수엘라, 트리니다드 토바고, 콜롬비아에 이른다. 최북단으로는 니카라과, 온두라스, 벨리즈, 과테말라까지 분포한다.[56] 과거에는 아르헨티나파라과이에서도 아라와크어족 언어가 쓰였다.

아라와크 언어를 사용하는 집단들은 카리브해의 섬으로 이주하여 대앤틸리스 제도바하마에 정착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쿠사보족과 콩거리족의 언어처럼 자료가 빈약한 몇몇 북미 언어들도 아라와크어족에 속했을 가능성이 있다.[57]

흔히 도서 아라와크어(Island Arawak)라고 불리는 타이노어는 한때 쿠바, 히스파니올라섬, 푸에르토리코, 자메이카, 바하마 지역에서 쓰였다. 오늘날 이 지역에 살면서 영어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그들의 후손은 아직까지도 몇몇 타이노어 단어를 섞어 쓰고 있다.

가리푸나어 혹은 ‘흑 카리브어’(Black Carib)는 섬에서 쓰이는 아라와크 언어의 또 다른 흥미로운 예이다. 아라와크, 카리브, 아프리카 사람들의 강제 이주와 혼합으로 탄생했다.[58] 오늘날 온두라스, 니카라과, 과테말라, 벨리즈에서 약 195,800명이 가리푸나어를 사용한다고 추산된다.[59]

오늘날 화자 수가 가장 많은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와유어가리푸나어이다. 그 다음은 캄파어파로, 아샤닌카어와 아셰닌카어가 여기 속한다. 그 다음으로 널리 쓰이는 언어는 테레나어와 야네샤어이다.

이미 사어가 된 언어를 포함하면 아라와크어족이 사용되었던 지역은 과테말라, 벨리즈, 온두라스, 니카라과, 안틸레스, 프랑스령 기아나, 수리남, 가이아나,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브라질, 파라과이,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페루 등 매우 광범위하다.[28]

5. 언어적 특징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대체로 양도가능 소유와 양도불능 소유를 구분한다. 아라와크어족 전체에서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는 아라와크조어에서 /*-tsi/로 재구되는 접미사인데, 양도불능이고 반드시 소유자를 표시해야 하는 신체부위 명사에 붙어서 소유자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어 준다.[49] 이 접미사는 양도불능인 신체부위 명사를 양도가능 명사로 바꾸어 주지만, 친족 명사에는 붙을 수 없다. 다음은 파레시어의 예시이다.[50]

no-tiho
1SG-face
내 얼굴



tiho-ti
face-ALIEN
(누군가의) 얼굴



많은 아라와크어족 언어에는 분류사 체계가 있다. 분류사는 명사구 핵어의 의미적 범주를 표시하며, 명사구의 나머지 성분 대부분에 붙는다.[51]

대부분의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분열 자동사 정렬을 보이며, 동사에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한다.[53] 자동사 및 타동사의 행위자적 논항은 동사에 접두사로, 피행위자적 논항은 접미사로 표시된다. 다음은 이사나강 유역에서 쓰이는 바니와어의 예시이다.[54]

아라와크조어에서 동사에 주어·목적어를 표시하는 접사들의 형태는 다음 표와 같이 추측된다.[55]

접두사
(행위자 표시)
접미사
(피행위자 표시)
인칭단수복수단수복수
1nu- or ta-wa--na, -te-wa
2(p)i-(h)i--pi-hi
3NFEMri-, i-na--ri, -i-na
3FEMthu-, u-na--thu, -u-na
비인칭pa-
비강조 행위자i-, a-
피행위자 대용-ni


5. 1. 유형론적 분류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포합어이자 핵어표시 언어이다.[48][15] 동사 형태론은 상당히 복잡한 반면, 명사 형태론은 비교적 단순하며 어족 전체에서 대체로 비슷한 경향을 보인다.[48][15]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주로 접미사를 사용하며 접두사는 몇 개뿐이다.[48][15]

아라와크어족 언어들은 폴리합성어이며 대부분 머리표지 언어이다.[15] 마이푸레어파로 여겨지는 언어의 대부분은 동사의 주어나 명사의 소유자를 나타내는 인칭 접사가 1인칭에서는 접두사 ''nu-'' (또는 ''n-'') 또는 접미사 ''-na''를, 2인칭에서는 접두사 ''pi-'' (또는 ''p-'') 또는 접미사 ''-bu''를 취한다. 이 특징을 가진 언어는 Nu-Arawak이라고 불리며, 아라와크 조어에서의 형태를 계승한 것으로 간주된다.[31]

이에 반해 와유어, 타이노어, 로코노어 등의 경우에는 1인칭의 접사가 ''t(''V'')-'' 이기 때문에 Ta-Arawak이라는 묶음으로 Nu-Arawak과 구별되는 경우가 있다.[42][31]

아이헨발트[42]에 의한 공통 아라와크어(Common Arawak)에서의 인칭과 관련된 접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타동사의 주어, 자동사의 주어, 소유자를 나타내는 접두사와 목적어,
상태 자동사의 주어를 나타내는 접미사
colspan="2" rowspan="2" |단수복수
접두사접미사접두사접미사
1인칭nu- 혹은 ta--na, -tewa--wa
2인칭(p)i--pi(h)i--hi
3인칭비여성ɾi-, i--ɾi, -ina--na
여성thu-, ɾu--thu, -ɾu, -una--na
"비인칭"pa---
가상의 목적어 또는 상태 자동사의 주어
(dummy O/S)
--ni-
초점이 맞지 않는 타동사 주어
또는 자동사 주어
i- /(a- or)--



주어의 인칭은 접두사로 표시된다.[31] 레시가로어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44]


  • '''''no-'''''[45] -a?mitú'' (나는 먹는다)
  • '''''p-'''''[45] -a?mitú'' (너는 먹는다)


한편, 목적어의 인칭은 접미사로 표시되며, 동사 파생 접사에 후접한다.[31] 동사의 시제는 접미사로 표시된다.[31] 명사의 복수도 일반적으로 접미사에 의해 표시된다.[31] 레시가로어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46]

  • ''an̵oógí '''-mu''''' ( 3마리 이상)
  • ''-n̵igí '''-né''''' (얼굴 3개 이상)


또한, 여러 개의 형태소가 연결될 때 모음이 탈락하거나 모음 조화가 일어나는 언어도 존재한다.[31]

5. 2. 양도가능/양도불능 소유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대체로 양도가능 소유와 양도불능 소유를 구분한다. 아라와크어족 전체에 걸쳐 나타나는 특징 중 하나는 아라와크조어에서 /*-tsi/로 재구되는 접미사인데, 양도불능이고 반드시 소유자를 표시해야 하는 신체부위 명사에 붙어서 소유자를 표시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어 준다.[49] 이 접미사는 한마디로 양도불능인 신체부위 명사를 양도가능 명사로 바꾸어 준다. 이 접사는 신체부위 명사에는 붙을 수 있지만 역시 양도불능인 친족 명사에는 붙을 수 없다. 아래는 파레시어에서 가져온 예문이다.[50]

:

no-tiho
1SG-face
내 얼굴



:

tiho-ti
face-ALIEN
(누군가의) 얼굴


5. 3. 분류사

많은 아라와크어족 언어에는 분류사 체계가 있다. 분류사는 명사구 핵어의 의미적 범주를 표시하며, 명사구의 나머지 성분 대부분에 붙는다.[51] 아래는 타리아나어에서 가져온 예문이다. 타리아나어에서는 핵어를 제외한 명사구의 모든 성분(형용사, 수사, 지시사, 소유대명사 등)과 그 절의 동사에 분류사가 붙어 명사구 핵어의 의미적 범주를 표시한다.[52]

ha-dapanapa-dapanapani-sinu-ya-dapanahanu-dapana
DEM-CL:HOUSEone-CL:HOUSEhouse-NON.POSSV1SG-POSSV-CL:HOUSEbig-CL:HOUSE



hekuna-ni-ni-dapana-mahka
wood3PL-make-TOPIC.ADVANCING.VOICE-CL.HOUSE-REC.PAST.NON.VISUAL
'나의 이 커다란 집 하나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아래 예시는 타리아나어에서 가져온 것으로, 분류사 접미사가 핵 명사를 제외한 명사구의 모든 요소(형용사, 수사, 지시사, 소유격 포함)와 절의 동사에 핵 명사의 의미 범주를 표시한다.[17]

ha-dapana pa-dapana na-tape-dapana na-ya-dapana hanu-dapana heku na-ni-ni-dapana-mahka|‘그들의 이 커다란 병원은 나무로 만들어졌다’mul

5. 4. 동사에의 주어 및 목적어 표시

대부분의 아라와크어족 언어는 동사에 주어와 목적어를 표시하며, 이는 분열 자동사 정렬을 보인다.[53] 자동사 및 타동사의 행위자적(agentive) 논항은 동사에 접두사로 표시되고, 자동사 및 타동사의 피행위자적(patientive) 논항은 동사에 접미사로 표시된다. 다음은 이사나강 유역에서 쓰이는 바니와어의 예시로, 아라와크어족의 전형적인 분열 자동사 정렬을 보여준다.[54]

동사에 주어·목적어를 표시하는 접사들은 아라와크어족 전체에 걸쳐 안정적으로 나타나므로 아라와크조어에서도 재구 가능하다. 아라와크조어에서의 형태는 다음 표처럼 추측된다.[55]

접두사
(행위자 표시)
접미사
(피행위자 표시)
인칭단수복수단수복수
1nu- or ta-wa--na, -te-wa
2(p)i-(h)i--pi-hi
3NFEMri-, i-na--ri, -i-na
3FEMthu-, u-na--thu, -u-na
비인칭pa-
비강조 행위자i-, a-
피행위자 대용-ni


6. 음운론

아라와크어족의 언어들은 음운론적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만, Aikhenvald (1999)는 일반적인 아라와크어족 언어의 음소 목록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개별 언어의 음운론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Aikhenvald (1999) pp. 76–77를 참고하면 된다.

일부 분파를 특징짓는 음운론적 혁신은 다음과 같다.[7]


  • '''해양''': 중간 원시 아라와크어 *-n- 손실.
  • '''로코노-와유''': 1인칭 단수 접두사 *ta-는 *nu-를 대체. 카르발류는 또한 이 하위 그룹의 특징으로 접미사 *-ja (아마도 지시사)와 *kabɨnɨ '셋'을 재구성.
  • '''캄파''': *iNʧato* '나무', *-taki* '껍질', *-toNki* '뼈' 등과 같은 어휘 혁신. 케추아어와 같은 안데스 언어와의 접촉으로 인한 유형론적 혁신도 존재.

7. 하위 분류

아라와크어족의 하위 분류는 매우 복잡하며, 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다음의 하위 분파는 인정된다.


  • 카리브 아라와크어파
  • 아마존상류 아라와크어파
  • 중앙아라와크어파
  • 피로어파
  • 캄파어파


대부분의 학자들은 아라와크어족을 북아라와크어파와 남아라와크어파로 나누는 데 동의하지만, 모든 언어가 이 두 분파 중 하나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나"에 대한 접두사에 따라 ''타-아라와크''와 ''누-아라와크''를 초기에 대조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누-''는 전체 어족의 조상 형태이고, ''타-''는 어족의 한 분파에서 나타난 혁신이다.

7. 1. Kaufman (1994)

Kaufman (1994:57-60)은 아라와크어족의 잠정적인 분류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북마이푸레어파

  • 아마존상류 마이푸레어파
  • 해양
  • * 아루안어 †
  • * 와피샤나어파: 아토라다어, 마피디안어, 와피샤나어
  • * 타 마이푸레어파
  • * 팔리쿠르어파
  • ** 팔리쿠르어
  • ** 마라완어 †

; 남마이푸레어파

  • 서남마이푸레어파
  • * 아무에샤어
  • * 차미쿠로어
  • 중앙마이푸레어파
  • 남부 외곽
  • * 테레나어 (방언: 키니키나오, 테레나, 구아나, 차네)
  • * 모호어군
  • ** 모호어
  • ** 바우레어
  • ** 파우나카어
  • * 피로어파
  • 캄파어파


여기에 더해 "아라와크어족이지만 마이푸레 계통이 아니거나 분류하기에는 자료가 너무 부족한"(Kaufman 1994: 58) 언어들로 셰바야어 †, 라파추어 †, 모리케어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미분류 언어를 포함하여 마이푸레아어족에는 약 64개의 언어가 있으며, 그중 29개의 언어가 현재 사멸되었다. 사멸된 언어는 와이누마, 마리아테, 아나우야, 아마리자나, 후마나, 파세, 카위샤나, 가루, 마라와, 기나오, 야비테로어, 마이푸레, 마나오, 카리아이, 와라이쿠, 야바아나, 위리나, 아루안, 타이노, 칼리포나, 마라완-카리푸라, 사르베카, 쿠스테나우, 이나파리, 카나마레, 세바예, 라파추, 모리케이다.[36]

7. 2. Aikhenvald (1999)

알렉산드라 아이헨발트(Alexandra Aikhenvald)는 코프만(Kaufman)의 분류에서 남부 마이푸레어파의 '남부 외곽'과 '서부' 분기군을 더 세분화했다. 살루망어와 라파추어('아폴리스타')를 남은 남부 외곽('남부 아라와크')에 포함시켰다. 북부 마이푸레어파의 '해양' 분기를 나누었지만, 아루안어와 팔리쿠르어는 함께 유지했다. 그리고 북부 마이푸레어파의 '북 아마존' 분기의 하위 그룹에 대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취했다.

아이헨발트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코프만의 용어와 비교)

  • 북아라와크어파 = 북마이푸레어파
  • 히우브랑코어파 = 코프만의 와피샤나어파 (2개 언어) [마피디안어는 "마와야나어"라는 이름으로, 마와콰어는 가능한 방언으로 포함]
  • 팔리쿠르어파 = 코프만의 팔리쿠르어파 + 아루안어 (3개 언어)
  • 카리브 아라와크어파 = 타 마이푸레어파 (8개 언어) [셰바야어 포함]
  • 북아마존 아라와크어파 = 아마존상류 마이푸레어파 (17개 확인)
  • 남아라와크어파 및 서남아라와크어파 = 남마이푸레어파
  • 남아라와크어파 = 테레나어 + 코프만의 모호어군 + 살루망어 + 라파추어 ('아폴리스타') (11개 언어)
  • 파레시·싱구어파 = 중앙마이푸레어파 (6개 언어)
  • 서남아라와크어파 = 피로어파 (5개 언어)
  • 캄파어파 (6개 언어)
  • 아무에샤어 (1개 언어)
  • 차미쿠로어 (1개 언어)


아이헨발트는 코프만이 미분류한 언어들을 모리케어를 제외하고 모두 분류했지만, 코프만이 분류한 15개의 사어는 분류하지 않았다.

아이헨발트(1999:69)는 마와야나어를 와피샤나어와 함께 히우 브랑쿠 분기로 분류하며, 마와야나어에 "마피디안어"와 "마와콰어"라는 이름도 부여했다(마와콰어에 대한 몇 가지 단서 포함).

7. 3. Ramirez (2001)

앙리 라미레즈(2020)는 아라와크어족의 내부 분류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8][9][10] 이 분류는 그의 이전 분류(라미레즈 2001[5])와 상당히 다르지만, 졸케스키(2016)가 제안한 분류와 매우 유사하다.[6]

56개 언어(생존 29개, 사멸 27개)로 구성된 12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다. (†la = 사멸)

  • '''아라와크어족'''
  • *'''자푸라-콜롬비아''' (포르투갈어 기사)
  • **†la ''메푸리''
  • **†la ''유마나'', †la ''파세''
  • **†la ''카우이샤나''
  • **주변부

la ''만다와카'', ''와레케나 (도 산 미겔)''; ''바니와-코리파코''
''피아포코'', ''아차가와''; ''카비야리''
la ''레시가로''
la ''와이누마-마리아테''
''유쿠나''

  • *'''상부 오리노코'''
  • **''바니바 데 마로아''
  • **†la ''파레니-야비테로''
  • **†la ''마이푸레''
  • *'''중앙-아마존-안틸레스''' ? (추정 분기)
  • **'''아마존-안틸레스'''

''과히로'', †la ''파라우하노''
la ''타이노'', ''이네리'', ''로코'', †la ''마라와''
? †la ''와라이쿠''
? †la ''비리나''

  • **'''중부 히우네그루'''

la ''바레''
la ''기나우''
la ''아나우야''; †la ''마이네이터리'', †la ''야바하나''

  • **'''중앙'''

la ''바후아나''; †la ''마나오'', †la ''카리아이''
la ''아루아''
피드자난
*†la ''마와야나''
*''와픽사나'', †la ''파라와나'', †la ''아로아퀴''
? †la ''세바요''
''팔리쿠르''
'''싱구'''
*''와우라''
*''야와라피티''
'''사레이'''
*''살루마''
*''파레시''
*†la ''사라베''

  • *'''볼리비아-푸루스-캄파-(아무에샤)''' ? (추정 분기)
  • **'''볼리비아'''

''바우레''
''파우나''; ''모헤뇨'', ''테레노''

  • **'''푸루스'''

la ''이냐파리''
''피로''
''아푸리나''
la ''카라리''

  • **'''안데스 전 지역'''

''캄파''

  • **'''포수소'''

''아무에샤''

  • *'''하부 우카얄리'''
  • **†la ''차미쿠로''
  • **? †la ''모리케''

7. 4. Walker & Ribeiro (2011)

Walker & Ribeiro (2011)는 앙리 라미레즈 (2020)가 분류한 아라와크어족의 내부 분류를 제시했다.[8][9][10] 이 분류는 라미레즈의 이전 분류(2001[5])와는 상당히 다르지만, 졸케스키(2016)가 제안한 분류와는 매우 유사하다.[6]

56개 언어(생존 29개, 사멸 27개)로 구성된 12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된다. ( = 사멸)

  • '''아라와크어족'''
  • '''자푸라-콜롬비아''' (포르투갈어 기사)
  • ''메푸리''
  • ''유마나'', ''파세''
  • ''카우이샤나''
  • 주변부
  • ''만다와카'', ''와레케나 (도 산 미겔)''; ''바니와-코리파코''
  • ''피아포코'', ''아차가와''; ''카비야리''
  • ''레시가로''
  • ''와이누마-마리아테''
  • ''유쿠나''
  • '''상부 오리노코'''
  • ''바니바 데 마로아''
  • ''파레니-야비테로''
  • ''마이푸레''
  • '''중앙-아마존-안틸레스''' ? (추정 분기)
  • '''아마존-안틸레스'''
  • ''과히로'', ''파라우하노''
  • ''타이노'', ''이네리'', ''로코'', ''마라와''
  • ? ''와라이쿠''
  • ? ''비리나''
  • '''중부 히우네그루'''
  • ''바레''
  • ''기나우''
  • ''아나우야''; ''마이네이터리'', ''야바하나''
  • '''중앙'''
  • ''바후아나''; ''마나오'', ''카리아이''
  • ''아루아''
  • 피드자난
  • ''마와야나''
  • ''와픽사나'', ''파라와나'', ''아로아퀴''
  • ? ''세바요''
  • '''마투그로수-팔리쿠르''' ? (추정 분기)
  • '''아마파'''
  • ''팔리쿠르''
  • '''마투그로수'''
  • '''싱구'''
  • ''와우라''
  • ''야와라피티''
  • '''사레이'''
  • ''살루마''
  • ''파레시''
  • ''사라베''
  • '''볼리비아-푸루스-캄파-(아무에샤)''' ? (추정 분기)
  • '''볼리비아'''
  • ''바우레''
  • ''파우나''; ''모헤뇨'', ''테레노''
  • '''푸루스'''
  • ''이냐파리''
  • ''피로''
  • ''아푸리나''
  • ''카라리''
  • '''안데스 전 지역'''
  • ''캄파''
  • '''포수소'''
  • ''아무에샤''
  • '''하부 우카얄리'''
  • ''차미쿠로''
  • ? ''모리케''

7. 5. Jolkesky (2016)

욜케스키(2016)는 아라와, 보라-무이니네, 과히보, 하라크벳-카투키나, 하라크벳, 카투키나-카타윅시, 이렌체, 자키, 카리브, 카와파나, 카유바바, 케추아, 콰자, 레코, 매크로-제, 매크로-마타구아요-과이쿠루, 마푸둥군, 모치카, 무라-마타나위, 남비콰라, 오무라노, 파노-타카나, 파노, 타카나, 푸이나베-나다후프, 타루마, 투피, 우라리나, 위토토-오카이나, 야루로, 사파로, 살리바-호디, 티쿠나-유리 등 남아메리카의 여러 언어족에서 아라와크어족과 관련된 언어적 유사성이 발견된다고 언급한다. 그러나 이러한 어휘적 유사성은 언어 상속, 접촉, 또는 우연에 의해 발생했을 수 있다.

7. 6. Nikulin & Carvalho (2019)

Nikulin & Carvalho (2019)는 주어진 소스에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7. 7. Ramirez (2020)

Ramirezes (2020)는 아라와크어족을 56개 언어(생존 29개, 사멸 27개)로 구성된 12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다.[8][9][10]

그룹세부 내용
자푸라-콜롬비아 (포르투갈어 기사)메푸리, 유마나, 파세, 카우이샤나, 만다와카, 와레케나 (도 산 미겔), 바니와-코리파코, 피아포코, 아차가와, 카비야리, 레시가로, 와이누마-마리아테, 유쿠나
상부 오리노코바니바 데 마로아, 파레니-야비테로, 마이푸레
중앙-아마존-안틸레스 (추정 분기)과히로, 파라우하노, 타이노, 이네리, 로코노, 마라와, 와라이쿠, 비리나, 바레, 기나우, 아나우야, 마이네이터리, 야바하나, 바후아나, 마나오, 카리아이, 아루아, 피드자난, 마와야나, 와픽사나, 파라와나, 아로아퀴, 세바요
마투그로수-팔리쿠르 (추정 분기)팔리쿠르, 와우라, 야와라피티, 살루마, 파레시, 사라베
볼리비아-푸루스-캄파-(아무에샤) (추정 분기)바우레, 파우나, 모헤뇨, 테레노, 이냐파리, 피로, 아푸리나, 카라리, 캄파, 아무에샤
하부 우카얄리차미쿠로, 모리케


8. 어휘

C. H. 데 고에예가 1928년에 출판한 어휘집은 수리남가이아나 지역의 로코노/아라와크어 항목 1400개를 정리했는데, 대부분 형태소(어근, 접사) 및 형태소 부분(단일 음)이며, 복합, 파생, 기타 복잡한 시퀀스는 거의 없다.[14] 낸시 P. 히커슨의 ''영국령 기아나'' 원고에는 어휘 500개 항목이 수록되어 있다.[14] 그러나 문화적 동화를 반영하여 대부분 항목이 스페인어, 네덜란드어, 영어에서 직접 차용되었다.[14] 데 고에예의 1400개 항목 중 106개가 유럽과의 접촉을 반영하며, 이 중 98개가 차용어이다.[14]

아라와크어족에서 옥수수를 뜻하는 단어는 ''마리시''이며, 관련 언어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13]


  • 로코노어, ''마리시'' (가이아나)
  • 타이노어, ''마히시'' 또는 ''마히스'' (대앤틸리스 제도)
  • 카위샤나어, ''마지'' (주푸라 강)
  • 와유어, ''마이키'' (과히라 반도)
  • 파세스, ''마리'' (하부 주푸라 강)
  • 푸리어, ''마키'' (파라이바 강)
  • 와우라어, ''마인키'' (상부 싱구 강)


루코트카(1968)는 아라와크어족의 기본 어휘 항목들을 다음과 같이 나열했다.[11]

언어분파하나머리
아모이셰로렌조파치아에파마파요-오이n-노트
과히보과히보카이나후아슈아쿠오이에비페-마타나페-완토피-타후토
추루야과히보카이카발레오모페시바
과야베로과히보카옌마그네텐부안푸ʔ우텐
마라완마라완파사찰리에므파나피-티우이피-타이비푸-아쿠
카리푸라마라완파베레ː야나파나이-티우티피-타이비푸-아코
팔리쿠르마라완파트피타나므파나테우티이-테이비이-와크-티
아루안아루안아우세이레데쿠라마겡게두케p-퀴우에페-신하쿠페-아이나우
모리케모리케아카파스토이시카라시카-베나p-도코p-다이피-오
차미쿠로차미쿠로파드라카마ʔ아 포스타키들코오-카스키악스-차이우-치스파
와우라와우라파우아메피아우아카마우쿨라누-테르자타누-티타이누-카피
메히나쿠와우라파우이차메피아마카마유쿨레누-타우누-티타이누-카푸
쿠스테나우와우라파우드자메피아마카마우쿨라누-테우누-티타이니-우리코
야울라피티와우라파우아푸르지냐마카마윤쿨라누-쿠르지우누-리타누-이리카
사라베파레시아티아이냐마아나하마노-에베노-헤아우이-카치
파레시파레시하티타이나마아나마노-세우리누-두세누-카우
와이마레파레시하키다히ː나마ː하나마ː노-체ː리누-조ː체누-카헤
차네차네
과나차네포샤피아모포아도-오티우-케우-오우
테레나차네파이수안피아모푸아도-오티우-네우-오우
키니키나오아폴리스타포이쿠아피아모푸아도-오티우-ㄴ헤w-오우
라파추아폴리스타에토아피모포야-투니화-니아
모호모호이카피아아피사임푸세누-슈티유-키누-부페
바우레모호니-포아이-키세누-아케
파우나모호이-후이케
파이코네모호포노치코바니키이-페니-키스이-부아키
이푸리나이푸리나하티카이피카마파카이-키위오-키오아-쿠티
캄파프리안딘 I아파로아피티마후아아-이토아-오키아-코
마치가프리안딘 I파니로아피마후아니노-이토노-키내-코
찬차마요프리안딘 I키파치누-치나오-에키아-에우
키리네리프리안딘 I아파루피티마나피-히타포-케
마네테네리프리안딘 I
피로프리안딘 I사페에피마파웨-이웨찰리후에-미오
촌타키로프리안딘 I수리티아피리노키리후에-시슈아웨-아리화-미아누타
이나파리프리안딘 II
쿠시치네리프리안딘 II사테피아헤피우-시웨노-야테노́-민
쿠니바프리안딘 II이-흐회위-베레워-미우
카나마레프리안딘 II사티비카헤푸마파누-쉬이누-쉬누-무유
와치파이리프리안딘 II루냐군두파야-쿡
마슈코프리안딘 II루냐군두파
우아이누마우아이누마아파게리마차마마추케바-이타노-토히노-가피
마리아테우아이누마아파케리메체마아타포노-비다노-도이노-가피
후마나후마나아플라리아과마바ʔ아과n-울라운-로노-가비
파세후마나아페알라파케아나마페아나니-올라치-로누-가폴레
카우이샤나카우이샤나바라모마타라바마 비카카나-오아노́-로나-구비
유쿠나유쿠나파스루아사히아마우에시키엘레누-일라눅스-루노-욜라
구아루유쿠나파글루아치마세야마우지케레야텔라-치마
레시가로레시가로아파ː하페네에이차ː모에이차ː모아포웨-뷔헤와-트니흐와ː-키
마라와마라와우크바슈무피아게베냐니-시우이나-코시노-카베수이
아라이쿠아라이쿠에테투푸야바나마이바노-키니-카부
마나오마나오파니무피아루쿠마피아루키파울로누-퀴우나누-쿠리타누-카이테
카리야이마나오뇨이퓌타이라마튀카후이누-퀴우이누-쿠니키누-가이
우리나우리나시시-카바나-쿠케리-카우에
야바아나우리나푸이우-다구나́-우이누-카피
아나우야우리나아히아리마호렌마라후나카눈-후이다나우-히니눈-카피
치리아나치리아나누-키위다누-아이누-나이
이페카이페카아파다야마다마다리다누́-위다누-티누-카피
파유알리네이페카아파다차야마́다마달리다누-위다누-티누-카피́
쿠리파코이페카아́페야마́데마다́르다리이-위다노́-티흐'노-카피
카르로이페카파́다야마́다마다리다후이다노́-티노-카피
카피테미나네이이페카아페́파이야므헤́파마델리파니-와이레치파누́-티누-카피
타리아나타리아나파́다야마́이테만달리테파스-후이다파-티다코피-바나
카우야리타리아나노-외테노-투누-카피
바레바레 I바쿠나칼리페쿠나메클리쿠나메후아-도시에후아-오이티후아-카비
우아레케나바레 I아파헤사다운타사나바이탈리사노́-이우아노́-부이노-카피
아드자네니바레 I아페쿠차dz아마나만달리파누-위다누-티누-카피
카루타나바레 I아ʔ아페차nts아메마달리누́-이타누-티노-코푸
카타폴리티니바레 I아파다́차dz아마́타마́달리니́-위다아우-티누-카피
시우시바레 II아파이타dz아마́만달리아파니-우이타누́-티누-카피
모리웨네바레 II아파́다zam아́다마다́리다n-이위다누-티누-카피
마파나이바레 II파́다dz아마́다마달리다니-위́다누-티누-카피
호호데네바레 II아파́다dz아므헤́파만달리히́파히-위다누-티누-카피
마울리에니바레 II아파헤데dz아마́데마달리́데ㄴ헤-위다누-티누-카피
아차과카케티오아바이차마이마타비누́-리타누-토이누-쿠헤
피아포코카케티오아베리푸치바마이시바누́-위타누-투이누-카피
아마리자나카케티오누-이타노-투이누-카기
마이푸레마이푸레파페타아파눔아페키바누-키부쿠누-푸리키누-카피
바니바바니바페야ː로에나ː바야베불리노-보́후나-보́리히나ː-비포
야비테로바니바하시아우아츠이나하누-시́후나-홀리치노-카부히
기나우기나우아바메́지야아비아마́카인-체́우에나-위́지이ㄴ-카́비
와피샤나센트럴바이다프야이탐디키네르다아이타-마웅-와윈카이
아토라이센트럴페타그파파우이테그이히케이타우브우루에이나-윈운-케이
마피디안마피디안치오니아사구디키네르다운-쿠운-오소운-치갸
마와콰마피디안아파우라워아라카타마르사운-카우아응-오소응-ㄴ코와
고아히라고아히라와니피아마아푸뉘인테-키이토-'우타-자푸토-오'우이
파라우하노고아히라마네이피미아파니토́-키타́-이타́프
타이노아일랜드지무아쿠우-구티
T. 쿠사아일랜드
칼리포남-에이에리아일랜드아반비아마이쇼케아́쿠누-카보누-구티
아라와크 서부가이아나아바비아마다-시다-쿠시우에-바부후다-코사이
아라와크 동부가이아나다-시다-쿠시다-카포다-쿠티



언어분파옥수수
아모이셰로렌조오́ñ츠소윰포르트로프바퀴아톡
과히보과히보메라이소토이카티아헤초토메차하
추루야과히보민타이시토므샤샤인트셰사
과야베로과히보민타깁탄헤스바ːㅎ메사
마라완마라완우니티케티카무이파이티올도그리
카리푸라마라완오네ː티케티카무이마이키파이티아루데이가
팔리쿠르마라완우네티케티카모이마히키파이티핀알룹플리
아루안아루안우뉘디하하모우디뷜레
모리케모리케오́ㄴ아슈코미뇨́키나시아나르하우위츠
차미쿠로차미쿠로우닉사카́치모소́스코나치악스코치마스토들리
와우라와우라우네이체이카메마이키파에테메
메히나쿠와우라오네츠에이카메마이키파이테메
쿠스테나우와우라오네츠에이샤미마이키파에테메
야울라피티와우라지로카메마이키차마
사라베파레시우네리키아이카ʔ아네코제헤오쿠티
파레시파레시오니이리카티카마이코조토하티코투이
와이마레파레시우네이리게이트카마이코제ː토ː하ː티코ː투이
차네차네우네유쿠소포로
과나차네우네유쿠카체츠소포로페티카모
테레나차네우네유쿠카체소포로오봉구가모
키니키나오아폴리스타우네유쿠카드지에오소포로페티
라파추아폴리스타차니유오이티타이피나야마
모호모호우니유쿠사체수루누페나사모
바우레모호이네야키파리소흐모초로
파우나모호에네유키̃사체세세
파이코네모호이나샤키이세세티올로
이푸리나이푸리나뷔뉴차미나아토칸티케미아이코키아마
캄파프리안딘 I나냐치치타완티신키팡고치케말리
마치가프리안딘 I니아치치부리엔테싱키임바코케마리
찬차마요프리안딘 I니야파네니파후아시시인키팡구치크
키리네리프리안딘 I닉사피시론타샨토시신키팡고차
마네테네리프리안딘 I후니아시카시이스사마
피로프리안딘 I우네치치카치식시판치시에마
촌타키로프리안딘 I우네치치카치시지이판치시에모
이나파리프리안딘 II우니티티타쿠아티체마
쿠시치네리프리안딘 II우네티티타카치시히판티세마
쿠니바프리안딘 II우네티티트ʔ카티치히판티흐이에마
카나마레프리안딘 II웨뉘가시르위시시에파니치누이에슈아타
와치파이리프리안딘 II싱카
마슈코프리안딘 II아바티키차포시에마
우아이누마우아이누마아우니이체바가무이펙스키아파니시아마
마리아테우아이누마우니이체파가무이펙예파니시제마
후마나후마나우후오예쇠만루이라리파나제마
파세후마나오이헤그휴에아구마니아리파나세마
카우이샤나카우이샤나아우비이키외마와카마시바뇌세마
유쿠나유쿠나우니치아카무카에루파시에맘
구아루유쿠나카ʔ아무
레시가로레시가로호ː니케체하히웨헤ː스아드노ː호키
마라와마라와우니이리시쿠메투우아티카코아카가마
아라이쿠아라이쿠우니이그헤그후마메치페이ʔ
마나오마나오우누아그휴가티가무이아우아티누아누게마
카리야이마나오토니아파이그후마이유아나티누아나게마
우리나우리나우네이셰카모에아우아티바쿠에카마
야바아나우리나우́니이카기
아나우야우리나우니리카리아히리
치리아나치리아나우́니파이아이에르마카나우파인티케마
이페카이페카우니티예쾨르지이카나판티헤마
파유알리네이페카우니튀예훠지카나판티헤마
쿠리파코이페카오니노타피카타헤리헤마
카르로이페카오니티에헤르시
카피테미나네이이페카우우니티예호리카나판티헤마
타리아나타리아나우니치아나케리카나파니시헤마
카우야리타리아나우니히라리에리파네티에마
바레바레 I오니가메니가무마카나시파니테마
우아레케나바레 I오니익시데카모이마카나시파니지에마
아드자네니바레 I우니지드제가무이카나판테헤마
카루타나바레 I우니티드지에카무이마카나치파니시헤마
카타폴리티니바레 I우니티드제가무이카나판티헤마
시우시바레 II우니티드제가무이카나판티헤마
모리웨네바레 II우니티드제카무이카나판티헤마
마파나이바레 II우니티이드제카모이카나판티헤마
호호데네바레 II우니티드제카무이카나판티헤마
마울리에니바레 II우니티드제카모이카나파니치헤마
아차과카케티오우니치치아이에리카나바니시에마
피아포코카케티오우니키체이에리카나이카피에마
아마리자나카케티오시에타이에리에피케이빈칵쉬
마이푸레마이푸레우에니카티카모시지욤키파니티
바니바바니바웨니아ː시아모ː시마카나치파니시에ː마
야비테로바니바웨니카ː티카ː모티카나파니시에마
기나우기나우우네체케가무후유누바니제마
와피샤나센트럴웨네티케르카모마릭카부른쿠두이
아토라이센트럴티키르카무
마피디안마피디안히케시아마리키쿠두이
마와콰마피디안우네치카시카무
고아히라고아히라뷔인시키카'이마이키m/피이치카마우치이
파라우하노고아히라치기기가카카이마이찰라
타이노아일랜드아마쿠요보이니알마이즈보히오보기에
T. 쿠사아일랜드코치마이시보히오이피스
칼리포남-에이에리아일랜드오네일레메카시투호노코나르구티
아라와크 서부가이아나부니아부이키하다리마리시바흐쿠디비우
아라와크 동부가이아나우́이니히키키하다리바ʔ아체


참조

[1] 논문 Computational phylogenetics and the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languages https://escholarship[...] 2021-06-22
[2] 서적 The Arawakan matrix: ethos, language, and history in native South Americ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3] 서적 The Arawakan matrix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A expansão Arawak: tecendo linguística, arqueologia e antropologia https://www.academia[...] 2021-06-24
[5] 간행물 Línguas arawak da Amazônia Setentrional http://www.etnolingu[...] Universidade Federal do Amazonas 2020-07-18
[6] 간행물 Estudo arqueo-ecolinguístico das terras tropicais sul-americanas http://www.etnolingu[...] 2021-04-18
[7] 간행물 Estudos diacrônicos de línguas indígenas brasileiras: um panorama http://periodicos.ur[...] 2020-06-16
[8] 서적 Enciclopédia das línguas Arawak: acrescida de seis novas línguas e dois bancos de dados https://publishercrv[...] Editora CRV 2020
[9] 서적 Enciclopédia das línguas Arawak: acrescida de seis novas línguas e dois bancos de dados https://publishercrv[...] Editora CRV 2020
[10] 간행물 Línguas Arawak da Bolívia https://periodicos.s[...] 2022-03-31
[11] 서적 Classification of South American Indian languages https://archive.org/[...] UCLA Latin American Center
[12] 문서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문서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뉴스 Invaders nearly wiped out Caribbean's first people long before Spanish came, DNA reveals https://www.national[...] 2020-12-23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Garifuna
[26] 서적 Language contact in Amazonia https://diacl.ht.lu.[...] Oxford University Press 2023-03-07
[27] 간행물 Enciclopédia das línguas arawak: acrescida de seis novas línguas e dois bancos de dados http://www.etnolingu[...] 2022-03-31
[28] 문서
[29] 문서
[30] 문서
[31] 문서
[32] 웹사이트 Matteson, Esther https://ci.nii.ac.jp[...] 2024-12-10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논문
[37] 논문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서적 Upper Perené Arawak narratives of history, landscape, and ritual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42] 논문
[43] 웹사이트 Ta-Maipurean https://tips.transla[...] 聖書協会#聖書協会世界連盟 2024-12-10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문서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Garifun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