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린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린토스는 아테네에서 서쪽으로 약 78km 떨어진 코린토스 지협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부터 교통과 교역의 요충지였다. 기원전 9세기에 도리스인에 의해 건설되어 상업 도시로 번영했으며, 아프로디테 숭배와 이스트미아 경기 개최로 유명했다. 로마 시대에는 파괴와 재건을 거쳐 남그리스의 중심지가 되었고, 사도 바울의 활동 무대가 되기도 했다. 중세 시대에는 지진과 약탈을 겪었으며,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쳐 그리스 독립 전쟁 이후 현재의 코린토스가 건설되었다. 현재 코린토스는 그리스의 주요 산업 중심지 중 하나이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지중해와 에게해를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코린토스 - 사도 바울로
사도 바울로는 1세기 로마 제국에서 활동하며 이방인 선교에 헌신하여 기독교를 보편적인 종교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한 기독교 선교가이자 신학자이다. - 코린티아현 - 시키온
시키온은 미케네 시대부터 번성한 고대 그리스 도시 국가로, 격동의 역사를 거쳐 예술의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현재는 유적지로 남아 시키오나로 불린다. - 코린티아현 - 코린토스만
코린토스만은 그리스에 위치하며, 이오니아해의 만입부로 리오 해협 안쪽에 위치하고, 에게해 판과 유라시아 판의 경계에 있어 지진이 활발하며,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사로니코스만과 연결된다. - 그리스의 항구 도시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그리스의 항구 도시 - 파트라
파트라는 그리스 아카이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서그리스의 중심지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시대의 지배를 거쳐 풍부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그리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였고 현재는 문화 유적과 현대 도시의 모습을 갖춘 그리스 경제와 문화의 중심지이다.
코린토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이름 | 코린토스 |
유형 | 자치구 |
데모님 | 코린토스인 |
지리 | |
최소 고도 | 0m |
최대 고도 | 10m |
면적 (자치구) | 102.19km² |
행정 | |
국가 | 그리스 |
광역 | 펠로폰네소스 주 |
현 | 코린티아현 |
자치체 | 코린토스 |
인구 통계 | |
인구 (2021년) | 38485명 (자치구) |
인구 (2021년) | 30816명 (코뮌) |
인구 (2001년) | 36555명 (자치구) |
인구 (2001년) | 29787명 (코뮌) |
인구 밀도 | 370명/km² |
상징 | |
![]() | |
![]() |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20100 |
지역 번호 | (+30) 27410 |
자동차 번호판 코드 | KP |
웹사이트 | 코린토스 공식 웹사이트 |
이미지 | |
![]() | |
![]() | |
![]() | |
![]() | |
![]() | |
![]() |
2. 역사
코린토스는 고대 코린토스라는 고대 도시 국가에서 유래했다. 이 지역은 기원전 3000년 이전부터 사람이 살았던 곳이다.
고대 코린토스에 대한 역사 기록은 기원전 8세기 초, 코린토스가 상업 중심지로 발전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나타난다.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는 바키아드 가문이 코린토스를 다스렸다. 킵셀루스는 바키아드 가문을 몰아내고, 기원전 657년부터 550년까지 아들 페리안드로스와 함께 코린토스를 참주로서 통치했다.
기원전 550년경에는 과두정부가 권력을 잡았다. 이 정부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에서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었고, 코린토스는 스파르타의 동맹국으로서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참여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가 승리한 후, 두 동맹국은 갈등을 겪었고, 코린토스는 기원전 4세기 초 여러 전쟁에서 독자적인 길을 걸었다. 마케도니아가 그리스를 정복한 후, 아크로코린토스는 기원전 243년 도시가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할 때까지 마케도니아 수비대가 머무는 곳이었다.
기원전 146년, 코린토스는 로마 군대에 함락되어 완전히 파괴되었다. 기원전 44년 로마의 식민지로 다시 세워진 코린토스는 번영하여 로마 아카이아 속주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다.[2]
856년에는 큰 지진이 코린토스와 그 지역을 강타하여 약 4만 5천 명이 사망했다.[3] 1858년에는 규모 6.5의 지진으로 고대 코린토스(Αρχαία Κόρινθος, Archaia Korinthos)로 알려진 구시가지가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 후, 코린토스 만 해안에 위치한 구시가지의 북동쪽에 신 코린토스(Nea Korinthos)가 건설되었다. 1928년에는 규모 6.3의 지진이 신 코린토스를 파괴했고, 같은 장소에 다시 건설되었다.[4] 1933년에는 큰 화재가 발생했고, 신 코린토스는 다시 한번 재건되었다.
1458년,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5년 후에 코린토스 도시와 요새를 정복했다. 터키인들은 코린토스의 지명을 'Gördeş'(괴르데슈)로 바꾸고, 루멜리 주(남 발칸 지역)의 펠로폰네소스 반도 지역을 통치하는 모레아[23]의 산자크(현) 중심지로 삼았다.
168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이곳을 점령했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가 되었으나, 1715년 오스만 제국이 다시 이곳을 획득했다. 1715년부터 1731년까지는 모레아 주의 주도가 되었고, 1731년부터 1821년까지는 산자크의 중심지가 되었다.
1821년~1830년의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터키군에 의해 도시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1832년의 에 의해 코린토스는 공식적으로 해방되었다. 1833년, 그리스 왕국의 새로운 수도 후보로 코린토스가 그 역사적 중요성과 전략적 위치 때문에 거론되었으나, 결국 아테네가 새로운 수도로 선택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점령 기간 동안 독일군은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세르비아 포로들을 위한 둘라그(Dulag) 수용소와 강제 노동 수용소를 운영했다.[5][6]
2. 1. 고대 코린토스
기원전 8세기경 도리스인이 코린토스를 건설하여 상업 도시로 번영하였다. 바키아드 가문이 지배하였으며, 기원전 657년부터 킵셀로스와 페리안드로스 부자의 참주 정치가 이어졌다. 기원전 550년경에는 과두정부가 들어섰다.코린토스는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일원으로서 스파르타와 동맹을 맺고 페르시아 전쟁과 펠로폰네소스 전쟁에 참전했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스파르타가 승리한 후, 두 동맹국은 갈등을 겪었고, 코린토스는 기원전 4세기 초 여러 전쟁에서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 마케도니아의 그리스 정복 이후, 아크로코린토스는 마케도니아 수비대의 주둔지였다가 기원전 243년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했다.
기원전 146년, 루키우스 뭄미우스가 이끄는 로마군에 의해 코린토스는 함락되어 완전히 파괴되었다.(코린토스 전투)
2. 1. 1. 고대 코린토스의 문화
고대 코린토스는 도리아인에 의해 건설되어 상업 도시로 번영하였다. 아프로디테를 수호신으로 삼았으며, 그 제사로 유명했다. 코린토스의 아크로폴리스에는 도시의 주신인 아프로디테의 대신전이 건립되었다. 여러 문헌에는 이 신전에 고용된 1,000명의 성창녀에 대한 기록이 전해진다. 코린토스는 4대 범그리스 경기 대회 중 하나인 이스트미아 대제를 개최했다.2. 2. 로마 시대
기원전 44년,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는 코린토스를 콜로니아 라우스 율리아 코린티엔시스[20]라는 이름의 식민시로 재건했다. 이는 카이사르가 암살되기 직전이었다.아피아누스에 따르면, 재건된 코린토스에는 로마의 해방 노예들이 이주해왔다. 로마 제국 지배하에 코린토스는 아카이아 속주의 행정 중심지가 되었으며, 다시 번영하여 부유한 도시로 알려졌다. 주민은 그리스인, 로마인, 유대인 등으로 구성되었다.
바울은 코린토스를 여러 차례 방문했다. 첫 번째 방문(사도행전 18:1-18) 당시 총독은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의 동생 갈리오였다. 바울은 이때 코린토스에 18개월 동안 머물렀으며, 두 번째 방문 시에는 로마서를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
2. 2. 1. 사도 바울로스와 코린토스 (한국의 관점)
사도 바울은 클라우디우스 황제의 반유대주의 정책(45년)에 따라 코린토스로 이주한 유대인들에게 전도하였다.[27] 바울은 2차 선교 여행 중 코린토스에 1년 6개월 동안 머물렀으며, 이때 아굴라와 브리스길라 부부를 만났다. 이 기간 동안 바울은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를 작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27]한국 개신교에서는 고린도전서와 고린도후서를 각각 '고린도전서', '고린도후서'로 표기하며, 한국 천주교에서는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서간',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둘째 서간'으로 표기한다.
바울은 여러 차례 코린토스를 방문했는데, 첫 번째 방문 시에는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의 동생 갈리오가 총독으로 있었다. 바울은 아마도 두 번째 방문 시에 로마서를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
2. 3. 중세 시대
395년~396년, 서고트족의 알라리크 1세가 그리스를 침공하여 코린토스를 약탈하고 많은 시민들을 노예로 팔았다.[3] 이전에 도시는 375년과 551년에 지진으로 파괴된 적이 있었다.동로마 제국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재위: 527년 - 565년) 치하에서, 테살로니키 만에서 코린토스 만까지 코린토스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북쪽의 야만인 침략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큰 돌담을 세웠다. 이 돌담은 길이 약 10km에 달했으며, 엑사밀리온[21]이라고 불렸다. 이 시대에 코린토스는 헬라스(현대 그리스를 의미함)의 테마(군구)의 중심지였다.
12세기(콤네누스 왕조의 지배 기간) 코린토스는 서유럽의 라틴 국가들과의 비단 무역으로 번영했다. 그러나 그 부는 루제로 2세 치하 시칠리아의 노르만족의 주목을 끌어 1147년 약탈당하게 되었다.
1204년, 제4차 십자군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조프루아 1세 드 비유아르두앵(Geoffroi I de Villehardouin)은 아카이아 공국의 일부로 코린토스(Κόρινθος)를 할양받았다.
1205년부터 1208년까지 코린토스 사람들은 그리스 장군 레오 스구로스(Leo Sgouros)의 지휘 아래 아크로코린토스 요새를 근거지로 프랑크족의 지배에 저항했다. 1208년 레오 스구로스는 전세를 비관하고 아크로코린토스에서 뛰어내려 자살했지만, 코린토스 사람들은 1210년까지도 적군에 저항을 계속했다.
저항이 무너진 후, 코린토스는 아카이아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 코린토스는 다른 십자군 국가인 아테네 공국과 함께 아카이아의 북부 국경 최후의 중요 도시였다. 비잔티움 제국은 1388년에 코린토스를 재정복하여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일부로 만들었다. 그 후 1395년에 오스만 제국이 이 도시를 점령했고, 1403년에 비잔티움 제국이 탈환했다. 모레아 데스포타트의 테오도로스 2세 팔레올로고스(Θεόδωρος Β΄ Παλαιολόγος) (재위: 1407년 - 1443년)는 코린토스 지협을 가로지르는 엑사밀리온(Εξαμίλιον) 성벽을 건설했다.[22]
2. 4. 오스만 제국 시대
1458년, 오스만 제국은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5년 후에 코린토스 도시와 요새를 정복했다.[23] 터키인들은 코린토스의 지명을 'Gördeş'(괴르데슈)로 바꾸고, 루멜리 주(남 발칸 지역)의 펠로폰네소스 반도 지역을 통치하는 모레아[23]의 산자크(현) 중심지로 삼았다.168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이곳을 점령했고,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가 되었으나, 1715년 오스만 제국이 다시 이곳을 획득했다. 1715년부터 1731년까지는 모레아 주의 주도가 되었고, 1731년부터 1821년까지는 산자크의 중심지가 되었다.
2. 5. 근대
1821년부터 1830년까지 벌어진 그리스 독립 전쟁 당시 코린토스는 터키군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4] 1832년 런던 조약에 의해 코린토스는 공식적으로 해방되어 그리스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1833년, 그리스 왕국의 새로운 수도 후보로 코린토스가 그 역사적 중요성과 전략적 위치 때문에 거론되었으나, 결국 아테네가 수도로 결정되었다.2. 6. 현대
1858년 대지진으로 코린토스 시가지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지진 후, 구시가지(알헤아 코린토스) 대신 3km 북동쪽 해안가에 새로운 시가지가 건설되었다. 네아 코린토스(신 코린토스)라고 불린 새로운 도시가 현재의 코린토스 시가지이다.[4] 이후에도 신 코린토스는 1928년 지진과 1933년 대화재를 겪었지만, 매번 재건되었다.1885년에는 피레우스-아테네-펠로폰네소스 철도[24]가 코린토스까지 연장되었다. 이 노선은 1000mm의 미터궤를 채택했다. 나중에 국유화되었다.
코린토스 운하 건설은 고대부터 생각되었으나, 19세기 후반 수에즈 운하 개통(1869년) 등에 영향을 받아 운하 건설 여론이 높아졌다. 본격적인 공사는 1882년부터 시작되어 1893년에 코린토스 운하가 개통되었다.
3. 지리
아테네에서 서쪽으로 약 78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코린토스는 레카이오, 이스트미아, 케크리에스 해안 마을들과 엑사밀리아 내륙 마을, 그리고 고대 코린토스의 고고학 유적지와 마을에 둘러싸여 있다.[17] 도시 주변의 자연 지형으로는 보카의 좁은 해안 평야, 코린토스 만, 코린토스 운하로 잘린 코린토스 지협, 사로니크 만, 오네이아 산맥, 그리고 중세 아크로폴리스가 세워진 거대한 암석 아크로코린토스가 있다.
코린토스는 코린토스 만과 사로니코스 만 사이에 낀 코린토스 지협의 코린토스 만 쪽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펠로폰네소스 반도가 그리스 본토에 연결되는 지점에 해당한다. 200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29,787명으로, 펠로폰네소스 지방에서는 칼라마타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17] 코린토스 시가지의 북동쪽 약 3km에는 코린토스 지협을 가로지르는 코린토스 운하가 있다.
현재의 항구 도시 코린토스의 시가지는 1858년 대지진 이후 새롭게 건설된 것이다.[18] 1858년 대지진으로 코린토스 시가지는 완전히 파괴되었고, 구시가지(알헤아 코린토스) 대신 3km 북동쪽 해안가에 새로운 시가지(네아 코린토스)가 건설되었다. 이후에도 신 코린토스는 1928년 지진과 1933년 대화재를 겪었지만, 매번 재건되었다.[4]
3. 1. 기후
헬레닉 국립기상청(HNMS)이 운영하는 벨로 인근 기상관측소에 따르면, 코린토스는 덥고 건조한 여름과 시원하고 비가 많은 겨울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해성 기후(쾨펜 기후 분류: ''Csa'')를 가지고 있다.[7]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평균 기온이 28.7°C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평균 기온이 9.1°C이다. 코린토스는 연간 약 463mm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연평균 기온은 18.1°C이다.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 | 13.4°C | 13.9°C | 16.5°C | 20.3°C | 25.7°C | 30.7°C | 33.2°C | 32.9°C | 28.4°C | 23.6°C | 18.5°C | 14.4°C |
평균 기온 (℃) | 9.1°C | 9.4°C | 11.9°C | 15.7°C | 21.1°C | 26.1°C | 28.7°C | 28.1°C | 23.4°C | 18.8°C | 13.8°C | 10.5°C |
평균 최저 기온 (℃) | 5.3°C | 5°C | 6.5°C | 9°C | 12.9°C | 16.8°C | 19.5°C | 19.8°C | 16.9°C | 13.8°C | 9.9°C | 6.9°C |
강수량 (mm) | 72mm | 50.9mm | 53.7mm | 28.7mm | 22.3mm | 6.4mm | 5mm | 11.9mm | 19.4mm | 40.8mm | 73.5mm | 78.6mm |
4. 인구
2021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코린토스 시(Δήμος Κορινθίων)의 인구는 55,941명으로, 펠로폰네소스 주에서 칼라마타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두 번째 시정촌이다. 코린토스 시정촌 단위의 인구는 38,485명이며, 그중 코린토스 자체의 인구는 30,816명으로, 펠로폰네소스 주 도시 중 칼라마타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다.
코린토스 시정촌 단위(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 Κορινθίων)에는 코린토스 자체 외에도 고대 코린토스, 엑사밀리아, 그리고 크실로케리자, 솔로모스 등의 작은 마을이 포함된다. 시정촌 단위의 면적은 102.187km2이다.[9]
도시/마을 | 지역 | 인구 |
---|---|---|
코린토스 | 코린토스 지역 | 29,787명 |
레헤오 | 아소스-레헤오 지역 | 3,952명 |
아소스 | 아소스-레헤오 지역 | 2,458명 |
아티키아 | 사로니코스 지역 | 2,003명 |
5. 경제
코린토스는 그리스의 주요 산업 중심지 가운데 하나이다. 코린토스 정유소는 유럽에서 가장 큰 석유 정제 산업 단지 중 하나이다.[1] 인근에서는 세라믹 타일, 구리 케이블, 고무, 석고, 가죽, 대리석, 육류 제품, 의료 장비, 광천수 및 음료, 석유 제품, 소금 등이 생산된다.[1] 2005년부터 대규모 배관 단지, 섬유 공장 및 육류 포장 시설의 운영이 축소되면서 경제적 변화를 겪었다.[1]
6. 교통
그리스 본토와 펠로폰네소스반도를 잇는 코린토스 지협에 위치하여, 코린토스는 여러 교통로의 결절점이 되고 있다. 1885년 피레우스-아테네-펠로폰네소스 철도가 코린토스까지 연장되었고,[24] 1893년에는 코린토스 운하가 개통되었다.
6. 1. 도로
코린토스는 주요 도로 허브이다. 트리폴리와 칼라마타를 잇는 A7 고속도로(A7 motorway (Greece)영어) 유료 도로는 스파르타로 가는 A71 고속도로(A71 motorway (Greece)영어) 유료 도로와 분기되며, 아테네에서 출발하는 A8 고속도로(A8 motorway (Greece)영어)/E94 유럽 고속도로(European route E94영어) 유료 도로에서 코린토스에서 갈라진다. 코린토스는 그리스 본토 남단 지역인 펠로폰네소스반도의 주요 진입 지점이다.그리스의 "본토"와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잇는 코린토스 지협에 위치하기 때문에, 여러 교통로의 결절점이 되고 있다. 아테네에서 파트라로 이어지는 GR-8·8A선과,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가로질러 칼라마타로 이어지는 국도 7호선·고속도로 A7호선이 시역을 통과한다. 국도 8A호선의 일부는 고속도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아테네를 기점으로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부 해안·서부 해안의 도시들을 잇는 건설 중인 고속도로 올림피아 오도스(A8호선)에 통합될 예정이다.
도로 | 구간 |
---|---|
A7 Moreas Motorway영어 | 코린토스 - 칼라마타 |
A8 Olympia Odos영어 | 아테네 - 코린토스 - 파트라 |
GR-7호선 National Road 7 (Greece)영어 | 코린토스 - 힐리오모디 - 칼라마타 |
GR-8호선 Greek National Road 8영어 | 아테네 - 코린토스 - 파트라 |
GR-8A호선 Greek National Road 8A영어 | 아테네 - 코린토스 - 파트라 |
GR-70호선 Greek National Road 70영어 | 이스티미아 - 루트라·엘레니스 - 소피코 - 에피다우로스 - 나프플리오 |
도로 | 구간 |
---|---|
E65호선 European route E65영어 | … - 리오 - 코린토스 - 칼라마타 - … (GR-8A, GR-7호선) |
E94호선 European route E94영어 | 아테네 - 코린토스 (GR-8A호선) |
6. 2. 버스
KTEL 코린티아스는[10] 반도 내 및 이스토모스 역(도심 남동쪽)을 경유하여 아테네로 가는 시외버스 서비스를 제공한다.[11] 시내버스 서비스도 이용 가능하다.6. 3. 철도
1884년 아테네와 피레우스를 잇는 미터궤 철도가 코린토스에 들어왔다. 이 철도역은 2007년에 일반 대중교통 운행을 중단했다. 2005년에 새로운 코린토스 역(Corinth railway station)이 완공되면서 아테네 교외 철도가 도시와 연결되었다. 아테네에서 코린토스까지는 기차로 약 55분이 소요된다. 기차역은 시내 중심부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으며, 무료 주차장을 갖추고 있다.[23]2005년에 그리스 철도청(ΟΣΕ,OSE)의 프로아스티아코스(Προαστιακός) 근교철도의 신코린토스 역(Κόρινθος)이 개업하고, 구코린토스 역(Κόρινθος)은 2007년에 폐지되었다. 신역은 시 중심부에서 2km 떨어진 시가지 외곽에 건설되었다.
구분 | 노선 | 주요 역 |
---|---|---|
그리스 철도청(ΟΣΕ,OSE) 프로아스티아코스(Προαστιακός) 근교철도 | 아테네 국제공항(Athens International Airport) – 키아토(Κιάτο)선 | 코린토스 역(Κόρινθος) |
그리스 철도청 펠로폰네소스 협궤철도망(미터궤 철도) | 아테네(Αθήνα)=구코린토스 역(Κόρινθος)=키아토(Κιάτο)선 | 폐지 |
구코린토스 역(Κόρινθος)=아르고스(Άργος)=나프프리오(Ναύπλιο)=트리폴리(Τρίπολη)=칼라마타(Καλαμάτα)선 | 폐지 |
6. 4. 항구
코린토스 항구는 도시 중심부 북쪽, 코린토스 운하의 북서쪽 입구 근처(북위 37°56.0', 동경 22°56.0')에 있으며, 지역 산업 및 농업 수요를 충족시킨다. 주로 화물 수출 시설로 이용된다.9m 수심의 인공 항구이며, 콘크리트 방파제(길이 약 930m, 너비 100m, 면적 93000m2)로 보호된다. 1980년대 후반에 완공된 새로운 부두로 항구 용량이 두 배로 늘었다. 강화된 방파제는 북풍으로부터 정박한 선박을 보호한다.
항구 내에는 세관 사무소와 헬레닉 해안경비대 주둔지가 있다. 해상 교통은 주로 감귤류, 포도, 대리석, 골재 등 지역 농산물 수출과 일부 국내 수입으로 제한된다. 피레우스 항구의 파업 발생 시 일반 화물선, 벌크선, 롤온롤오프선(RORO)을 위한 비상 시설로 운영된다.
과거에는 시칠리아의 카타니아와 이탈리아의 제노바를 잇는 페리가 운항되었다.[23]
6. 5. 코린토스 운하
서쪽 지중해와 에게 해 사이의 선박 교통을 담당하는 코린토스 운하는 도시에서 약 4km 동쪽에 있으며,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그리스 본토와 연결하는 코린토스 지협을 관통하여 사실상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섬으로 만든다. 건설자들은 해수면 높이에서 지협을 파서 운하를 건설했으며, 배수구는 사용되지 않는다. 길이는 6.4km이고, 바닥 폭은 21.3m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현대 선박은 통과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는 경제적 중요성이 거의 없다.
이 운하는 고대 시대부터 구상되었으며, 기원후 1세기에 건설이 시도되었으나 실패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칼리굴라 모두 운하 건설을 고려했지만 착공 전에 사망했다.[12] 네로 황제가 처음으로 운하 건설을 시도했다. 초기 굴착을 담당했던 로마 노동자는 6,000명의 유대인 포로였다.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그리스가 독립한 후인 1882년에 현대식 건설이 시작되었지만, 지질학적 및 재정적 문제로 인해 최초 건설업체가 파산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1893년에 완공되었지만, 운하의 협소함, 항해상의 문제, 그리고 가파른 벽에서 발생하는 산사태를 수리하기 위한 주기적인 폐쇄로 인해 운영자들이 예상했던 수준의 교통량을 유치하지 못했다. 현재는 주로 관광객을 위한 교통수단으로 사용된다.
7. 스포츠
이 도시의 축구 팀은 코린토스 FC(''Π.Α.E. Κόρινθος'')로, 1999년 판코린티아코스 축구 클럽(''Παγκορινθιακός'')과 코린토스 축구 클럽(''Κόρινθος'')의 합병 이후 설립되었다. 2006-2007 시즌 동안 이 팀은 그리스 4부 리그 지역 7조에서 활동했으며, 그 시즌 무패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13] 이로써 2007-2008 시즌 감마 에트니키(3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2008-2009 시즌에는 코린토스 FC가 감마 에트니키(3부 리그) 남부 그룹에서 활동했다.[25]
8. 자매 도시
코린토스는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9. 갤러리
10. 기타
사도 바울이 고대 코린토스에 머물렀던 사실 때문에 전 세계 여러 지역이 코린토스라는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참조
[1]
웹사이트
ΦΕΚ B 1292/2010, Kallikratis reform municipalities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
웹사이트
Corinth | Greece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08
[3]
웹사이트
IISEENET (Information Network of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ies) - Search Page
http://iisee.kenken.[...]
[4]
논문
Deterministic seismic hazard analysis for the city of Corinth, central Greece
http://www.balkangeo[...]
2015-07-21
[5]
서적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V
Indiana University Press,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6]
웹사이트
Barackenlager Korinth
https://www.bundesar[...]
2023-02-26
[7]
웹사이트
Κλιματικά Δεδομένα ανά Πόλη- ΜΕΤΕΩΓΡΑΜΜΑΤΑ, ΕΜΥ, Εθνική Μετεωρολογική Υπηρεσία
http://www.emy.gr/em[...]
[8]
웹사이트
Απογραφή Πληθυσμού - Κατοικιών 2011. ΜΟΝΙΜΟΣ Πληθυσμός
http://www.statistic[...]
Hellenic Statistical Authority
[9]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10]
웹사이트
Έναρξη παροχής της ηλεκτρονικής υπηρεσίας E-Services – Παρασκευή, 20 Φεβρουαρίου 2009
https://www.ktelkori[...]
2013-09-18
[11]
웹사이트
Corinth – Map and trave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2016-04-26
[12]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Corinth Canal
https://theculturetr[...]
2016-12-09
[13]
웹사이트
http://www.paskorint[...]
[14]
뉴스
Gemellaggio tra Siracusa e Corinto
https://web.archive.[...]
Liberta Sicilia
2008-01-08
[15]
문서
Ancient Corinth
[16]
문서
Corinth
[17]
문서
Κόρινθος
[18]
문서
Αρχαία Κόρινθος
[19]
문서
Δήμος Κορινθίων
[20]
문서
Colonia Iaus Iulia Coloniensis
[21]
문서
examilion
[22]
문서
Hexamilion wall
[23]
문서
Morea Eyalet
[24]
문서
Piraeus, Athens and Peloponnese Railways
[25]
문서
Π.Α.Σ. Κόρινθος
[26]
문서
Δήμος Κορινθίας
[27]
서적
지중해문화기행
일빛
[28]
서적
이야기세계사
청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