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의 파포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는 4세기경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이다. 그는 프톨레마이오스보다 늦고, 프로클로스보다 앞선 시기에 활동했으며, 320년경에 일식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이 시기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파푸스는 8권으로 구성된 《수학집성》을 저술했으나, 현재는 첫 번째 책이 유실되고 일부 내용만 남아있다. 《수학집성》은 기하학, 대수학 등 다양한 수학 분야를 다루며, 이전 수학자들의 연구를 정리하고 자신의 독창적인 연구를 더한 중요한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그의 저작은 페데리코 코만디노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되어 17세기 수학에 영향을 미쳤으며, 르네 데카르트, 피에르 드 페르마 등 많은 수학자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는 기원전 3세기 사모스 출신 천문학자로, 지구 중심설에 기반한 천체 계산법을 제시한 저서와 더불어 태양 중심설을 주장하여 코페르니쿠스 혁명의 선구자로 인정받고 있다. -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 히파르코스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2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니카이아 출신의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이자 수학자로, 삼각함수표 작성, 별의 밝기 등급 분류, 춘분점 세차 운동 발견, 정밀한 별 목록 편찬 등 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삼각법의 아버지"라 불린다. - 알렉산드리아 출신 - 에릭 홉스봄
에릭 홉스봄은 영국 출신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자로, 《혁명의 시대》, 《자본의 시대》, 《제국의 시대》, 《극단의 시대》 등 저술을 통해 근대와 20세기를 분석했으며, 공산주의에 대한 옹호적 시각과 소련의 범죄에 대한 침묵 등의 비판을 받기도 한다. - 알렉산드리아 출신 - 가말 압델 나세르
가말 압델 나세르는 이집트 혁명을 이끌고 초대 대통령이 된 정치가이자 혁명가로, 범아랍주의와 반제국주의를 내세워 아랍 세계의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수에즈 운하 국유화, 경제 개발, 사회주의 정책 추진 등의 업적과 권위주의적 통치, 6일 전쟁 패배 등의 비판을 동시에 받으며 이집트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알렉산드리아의 파포스 | |
---|---|
기본 정보 | |
이름 | 파포스 |
출생 | 서기 290년 경 |
사망 | 서기 350년 경 |
국적 | 고대 그리스 |
직업 | 수학자, 천문학자 |
분야 | 기하학 |
영향 | 프로클로스, 테온, 히파티아 |
업적 | |
주요 저서 | 수학 집성 |
파포스의 정리 | 파포스의 정리, 벌집 추측, 파포스 체인, 파포스 그래프, 파포스-굴딘 정리 |
주석 | 알마게스트, 유클리드 원론 |
2. 생애와 연대
파푸스는 현존하는 저작에서 자신이 참고한 작가들의 저작 연대나 자신이 저술한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2] 다만, 그가 인용한 프톨레마이오스(기원후 168년경 사망)보다 늦고, 그를 인용한 프로클로스(411년경 출생)보다 앞선 시기라는 것만 알 수 있다.[2]
10세기의 ''수다''는 파푸스가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 치세(372–395)에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 테온과 동시대 인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 10세기 말의 필사본(테온의 연대 표의 사본)의 여백에는 다른 연대가 기록되어 있는데,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 재위)에 대한 기록 옆에 "그때 파푸스가 저술했다"고 적혀 있다.[4]
하지만 파푸스 자신이 언급한 일식의 연대를 통해 검증 가능한 연대가 제시된다. 그는 ''알마게스트'' 주석에서 "나보나사르 시대 이후 1068년 토비 달에 일식을 일으킨 합의 장소와 시간"을 계산했다. 이는 서기 320년 10월 18일에 해당하며, 따라서 파푸스는 320년경에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2]
2. 1. 연대 추정
파푸스는 현존하는 저작에서 자신이 참고한 작가들의 저작 연대나 자신이 저술한 시기에 대한 정보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2] 다만, 그가 인용한 프톨레마이오스(기원후 168년경 사망)보다 늦고, 그를 인용한 프로클로스(411년경 출생)보다 앞선 시기라는 것만 알 수 있다.[2]10세기의 ''수다''는 파푸스가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 치세(372–395)에 활동한 알렉산드리아의 테온과 동시대 인물이라고 기록하고 있다.[3] 10세기 말의 필사본(테온의 연대 표의 사본)의 여백에는 다른 연대가 기록되어 있는데, 황제 디오클레티아누스(284–305 재위)에 대한 기록 옆에 "그때 파푸스가 저술했다"고 적혀 있다.[4]
하지만 파푸스 자신이 언급한 일식의 연대를 통해 검증 가능한 연대가 제시된다. 그는 ''알마게스트'' 주석에서 "나보나사르 시대 이후 1068년 토비 달에 일식을 일으킨 합의 장소와 시간"을 계산했다. 이는 서기 320년 10월 18일에 해당하며, 따라서 파푸스는 320년경에 활동했던 것으로 보인다.[2]
3. 저작
파푸스의 위대한 작품은 8권으로 구성된 ''수학집성(Synagoge)'' 이지만, 완전한 형태로 남아 있지는 않다. 첫 번째 책은 유실되었고, 나머지 책들도 상당 부분 훼손되었다. ''수다 사전''은 파푸스의 다른 작품들을 열거하고 있는데, ''Χωρογραφία οἰκουμενική'' (''지리 에큐메네'' 또는 ''거주 세계의 묘사''),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4권에 대한 주석, ''Ποταμοὺς τοὺς ἐν Λιβύῃ'' (''리비아의 강''), 그리고 ''Ὀνειροκριτικά'' (''꿈의 해석'')가 그것이다.[3] 파푸스 본인은 자신의 또 다른 주석,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도루스의 ''Ἀνάλημμα'' (''아날레마'')에 대한 주석을 언급했다. 파푸스는 또한 유클리드의 ''유클리드 원론''에 대한 주석(그 조각들이 프로클로스와 Scholia에 보존되어 있으며, 10번째 책에 대한 주석은 아랍어 필사본에서 발견되었다)과 프톨레마이오스의 ''Ἁρμονικά'' (''조화론'')에 대한 주석을 썼다.
페데리코 코만디노는 1588년에 파푸스의 ''집대성''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독일의 고전학자이자 수학사학자인 프리드리히 훌츠(1833–1908)는 코만디노의 번역본과 그리스어 및 라틴어 버전을 함께 묶은 결정적인 3권짜리 발표본을 출판했다(베를린, 1875–1878). 훌츠의 작품을 바탕으로 벨기에의 수학사학자인 폴 베르 에케는 ''집대성''을 현대 유럽 언어로 번역하여 출판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의 2권짜리 프랑스어 번역본의 제목은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 수학 집대성'' (파리와 브뤼헤, 1933)이다.[5]
3. 1. 《수학집성》 (Synagoge)
《수학집성》(그리스어: Συναγωγή, Synagoge)은 고대 그리스 수학의 다양한 분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전의 연구 결과들에 대한 해설과 독창적인 연구를 추가한 중요한 저작이다.[6] 소실된 첫 번째 책을 제외하고, 나머지 책들도 상당 부분 훼손된 상태로 전해진다.[6]《수학집성》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선배 수학자들의 중요한 결과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설명한다.
- 이전의 발견들을 설명하거나 확장하는 주석을 포함한다.
- 내용의 개요와 다루어질 주제의 일반적인 범위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체계적인 소개가 각 권에 포함되어 있다.
토머스 리틀 히스는 파푸스의 정확성 덕분에 《수학집성》이 "시간이 우리에게서 빼앗아간 이전 수학자들의 많은 가치 있는 논문들을 대체하는 가장 훌륭한 대용물"이라고 평가했다.

현존하는 《수학집성》의 각 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제2권: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의 곱셈 방법을 다루며, 마지막 명제들은 그리스 문자의 수치를 곱하여 매우 큰 숫자를 생성하는 것을 다룬다.[7] (전반부는 유실되었으며, 현존하는 단편은 제14 명제 중간부터 시작한다)
- 제3권: 평면 및 입체 기하학 문제를 다룬다.
- 주어진 두 선분 사이에서 두 개의 비례 평균을 찾는 문제와 히포크라테스가 제시한 입방체 배증 문제에 대한 여러 해법을 제시한다.
- 두 직선 사이의 산술, 기하, 조화 평균과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 구에 각 정다면체 다섯 개를 내접시키는 문제를 다룬다.
- 제4권: 파푸스의 넓이 정리를 시작으로, 원에 관한 다양한 정리와 아르벨로스("구두 수선공 칼")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아르키메데스의 나선, 니코메데스의 조개 곡선, 엘리스의 히피아스가 발견한 각적법 곡선 등의 특정 곡선의 속성을 고찰한다.
- 각의 3등분 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 제5권: 벌집의 육각형 세포 형태에 대한 언급을 한 후, 동일한 둘레를 가진 서로 다른 평면 도형의 면적 비교, 동일한 표면적을 가진 서로 다른 입체 도형의 부피 비교, 플라톤의 5가지 정다면체를 비교한다.
- 아르키메데스가 발견한 13개의 반정다면체를 설명한다.
- 제6권: 소(小) 천문학 저작(Μικρὸς Ἀστρονομούμενος)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테오도시우스의 ''구면기하학''(Sphaerica), 아우톨리코스의 ''운동하는 구''(Moving Sphere), 아리스타르코스의 ''해와 달의 크기와 거리에 관하여(On the Sizes and Distances of the Sun and Moon)'' 등을 다룬다.
- 제7권: 분석과 종합, 정리와 문제의 차이점을 설명하고, 유클리드, 아폴로니우스, 아리스테우스, 에라토스테네스의 저작물 33권의 목록과 해설에 필요한 보조정리를 제공한다.
- 파푸스의 육각형 정리를 포함한다.
- 극과 극선의 개념이 Book VII의 보조정리로 밝혀졌다.[12]
- 제8권: 주로 역학, 무게 중심의 성질, 그리고 몇 가지 기계적 힘에 대해 다룬다.
- 다섯 개의 주어진 점을 통과하는 타원을 그리는 방법과 공액 지름 쌍이 주어졌을 때 타원의 축을 작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3. 2. 기타 저작
《수다 사전》에는 파푸스의 다른 저작으로 《지리》(Χωρογραφία οἰκουμενική) 에큐메네 또는 '거주 세계의 묘사'),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4권에 대한 주석, 《리비아의 강》(Ποταμοὺς τοὺς ἐν Λιβύῃ), 《꿈의 해석》(Ὀνειροκριτικά)이 언급되어 있다.[3] 파푸스 자신은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도루스의 《아날레마》(Ἀνάλημμα)에 대한 주석을 언급했다. 파푸스는 또한 유클리드의 《유클리드 원론》에 대한 주석(그 조각들이 프로클로스와 Scholia에 보존되어 있으며, 10번째 책에 대한 주석은 아랍어 필사본에서 발견되었다)과 프톨레마이오스의 《조화론》(Ἁρμονικά)에 대한 주석을 썼다.페데리코 코만디노는 1588년에 파푸스의 《집대성》을 라틴어로 번역했다. 독일의 고전학자이자 수학사학자인 프리드리히 훌츠(1833–1908)는 코만디노의 번역본과 그리스어 및 라틴어 버전을 함께 묶은 결정적인 3권짜리 발표본을 출판했다(베를린, 1875–1878). 훌츠의 작품을 바탕으로 벨기에의 수학사학자인 폴 베르 에케는 《집대성》을 현대 유럽 언어로 번역하여 출판한 최초의 인물이다. 그의 2권짜리 프랑스어 번역본의 제목은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 수학 집대성》 (파리와 브뤼헤, 1933)이다.[5]
4. 영향 및 평가
파푸스의 《수집》은 페데리코 코만디노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된 후 17세기 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3][18] 프랑수아 비에트는 디오판토스의 《산술》과 파푸스의 《수집》을 주요 자료로 삼아 《해석 기법 입문》(1591)을 저술했다.[14][19] 파푸스 문제와 그 일반화는 르네 데카르트가 해석 기하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15][20] 피에르 드 페르마 또한 아폴로니우스의 소실된 저서인 《평면 궤적》과 《결정 절단에 관하여》에 대한 파푸스의 요약을 통해 해석 기하학의 한 형태와 극대 및 극소 방법을 개발했다.[16][21] 루카 파치올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요하네스 케플러, 아드리안 판 로먼/Adriaan van Roomen영어, 블레즈 파스칼, 아이작 뉴턴, 야코프 베르누이, 레온하르트 오일러,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조제프 제르곤, 야코프 슈타이너, 장 빅토르 퐁슬레 등 많은 수학자들이 파푸스의 영향을 받았다.[17][22]
4. 1. 해석기하학 발전에 기여
페데리코 코만디노가 파푸스의 《수집》을 라틴어로 번역한 후, 17세기 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3] 프랑수아 비에트는 디오판토스의 《산술》과 파푸스의 《수집》을 주요 자료로 삼아 《해석 기법 입문》(1591)을 저술했다.[14] 파푸스 문제와 그 일반화는 르네 데카르트가 해석 기하학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했다.[15] 피에르 드 페르마는 파푸스가 요약한 아폴로니우스의 소실된 저서 《평면 궤적》과 《결정 절단에 관하여》를 통해 해석기하학의 버전을 개발하고 극대 및 극소 방법을 개발했다.[16] 루카 파치올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요하네스 케플러, 아드리안 판 로먼, 블레즈 파스칼, 아이작 뉴턴, 야코프 베르누이, 레온하르트 오일러,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조제프 제르곤, 야코프 슈타이너, 장 빅토르 퐁슬레 등이 파푸스의 영향을 받은 수학자들이다.[17]4. 2. 후대 수학자들에게 미친 영향
파푸스의 《수집》은 페데리코 코만디노에 의해 라틴어로 번역된 후 17세기 수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3][18] 프랑수아 비에트는 디오판토스의 《산술》과 파푸스의 《수집》을 주요 자료로 삼아 《해석 기법 입문》(1591)을 저술했다.[14][19] 파푸스 문제와 그 일반화는 르네 데카르트가 해석 기하학을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다.[15][20] 피에르 드 페르마 또한 아폴로니우스의 소실된 저서인 《평면 궤적》과 《결정 절단에 관하여》에 대한 파푸스의 요약을 통해 해석 기하학의 한 형태와 극대 및 극소 방법을 개발했다.[16][21] 루카 파치올리, 레오나르도 다 빈치, 요하네스 케플러, 아드리안 판 로먼, 블레즈 파스칼, 아이작 뉴턴, 야코프 베르누이, 레온하르트 오일러,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 조제프 제르곤, 야코프 슈타이너, 장 빅토르 퐁슬레 등 많은 수학자들이 파푸스의 영향을 받았다.[17][22]4. 3. 한국 수학사 관점
참조
[1]
서적
Engineering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14
[2]
서적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Transworld Student Library
1959
[3]
웹사이트
Suda On Line – Pappos
http://www.stoa.org/[...]
Suda On Line and the Stoa Consortium
2012-07-11
[4]
학위논문
Pappus Reborn: Pappus of Alexandria and the Changing Face of Analysis and Synthesis in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Canterbury Humanities
[5]
논문
Review of ''Pappus d'Alexandrie. La Collection Mathématique.'' by Paul ver Eecke
https://www.ams.org/[...]
1934-01
[6]
논문
Pappus. introductory paper
[7]
서적
Pappi Alexandrini collectionis quae supersunt
https://archive.org/[...]
Apud Weidmannos
1877
[8]
서적
Regular Polytopes
https://books.google[...]
Courier Corporation
2012-05-23
[9]
서적
Aperçu historique sur l'origine et le développement des méthodes en géométrie
1837
[10]
서적
Projektiva Geometrie
1948
[11]
서적
Lectures in Analytic and Projective Geometry
Addison-Wesley
1953
[12]
간행물
[13]
논문
The Theorem of Pappus: A Bridge between Algebra and Geometry
2002-06
[14]
논문
Descartes and the birth of analytic geometry
1977-05
[15]
논문
The Invention of Analytic Geometry
https://www.scientif[...]
[16]
논문
Fermat's Mathematics: Proofs and Conjectures: Fermat's working habits as a mathematician shed new light on the mystery of his famous 'last theorem'
1972-10-06
[17]
논문
The importance of Pappu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2012
[18]
논문
The Theorem of Pappus: A Bridge between Algebra and Geometry
2002-06
[19]
논문
Descartes and the birth of analytic geometry
1977-05
[20]
논문
The Invention of Analytic Geometry
https://www.scientif[...]
[21]
논문
Fermat's Mathematics: Proofs and Conjectures: Fermat's working habits as a mathematician shed new light on the mystery of his famous 'last theorem'
1972-10-06
[22]
논문
The importance of Pappus f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s
2012
[23]
서적
Mathematics And Mathematicians
Transworld Student Library
1959
[24]
서적
Engineering Mathematic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7-07-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