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는 2세기경에 설립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교리 학교 중 하나이다. 이 학교는 알렉산드리아가 지적, 문화적 중심지였던 시기에 기독교 신앙의 옹호자를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신학, 철학, 과학, 수학 등 다양한 분야를 가르쳤다. 판타이누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오리게네스와 같은 주요 학자들이 이 학교를 이끌었으며, 성경 연구와 기독교 철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이후 학교는 파괴되었으나, 1893년에 재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렉산드리아 - 콥트 신학교
    콥트 신학교는 4세기경 설립된 콥트 교회의 초기 학문 중심지로, 알렉산드리아 정복 후 폐쇄되었다가 1893년 재건되어 현재는 여러 도시에 분교를 두고 콥트 교회 신학 교육을 전 세계로 확장하고 있다.
  • 이집트 - 아랍의 봄
    2010년 튀니지에서 시작되어 중동과 북아프리카로 확산된 아랍의 봄은 사회경제적 불만과 정치적 억압에 대한 저항으로, 소셜 미디어의 도움을 받아 여러 국가에서 정권 붕괴를 야기했으나 진압되거나 불안정을 초래하여 현재까지도 정치적, 사회적 불안정이 지속되고 있다.
  • 이집트 - 무함마드 후사인 탄타위
    무함마드 후세인 탄타위는 이집트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여러 전쟁에 참전하여 군 총사령관 겸 국방장관까지 역임하며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의 측근으로 활동하다 2011년 이집트 혁명 후 최고군사평의회 의장으로서 과도정부를 이끌었으나 2012년 해임 후 대통령 고문으로 활동했다.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개요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상징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상징
유형기독교 신학교
위치이집트 알렉산드리아
설립190년 경
창립자성 마르코
소속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청
종교적 제휴동방 정교회
웹사이트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 역사
역사적 중요성
중요성기독교 신학 발전에 중요한 역할 수행, 성경 주석 및 철학적 연구 중심지
영향오리게네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등 유명 신학자 배출
교육 및 연구
교육성경 해석, 기독교 철학, 변증론 등
연구기독교 교리 발전, 이단 논쟁에 대한 반박, 성경 주석 연구
주요 인물
초대 학장성 바돌로매 혹은 성 마르코
저명한 학자오리게네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알렉산드리아의 디오니시오스
맹인 디디모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오스
알렉산드리아의 키릴로스
유산
영향초기 기독교 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
니케아 신경 형성에 기여
기독교 교육 및 학문 전통 확립
추가 정보
관련 주제알렉산드리아 학파
기독교 철학
성경 주석

2. 역사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2세기경부터 이후 2세기 동안 지적 문화의 중심지이자 그리스 철학의 본고장이었다.[6] 세 대륙의 접점에 위치하여 동방의 종교와 서방의 철학이 충돌하는 격전지였으며, 양측은 최고의 지성인들을 내세워 경쟁했다.[6]

알렉산드리아의 역사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으로부터 시작된다.[7] 이집트를 정복한 그는 프톨레마이오스 라구스에게 알렉산드리아 건설을 맡겼다.[7] 도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이상적인 도시 계획에 따라 설계되었으며, 직사각형 격자 형태로 북풍을 피하고 서풍을 이용하도록 남서쪽으로 배치되었다.[7] 세라피움 옆에는 딸 도서관이 있었는데, 칼리마코스에 따르면 42,800권의 책을 소장하고 있었다.[7] 도시 중심에는 최초의 공공 연구 기관인 무세이온과 70만 개의 두루마리를 소장했다는 대도서관이 있었다.[7] 박물관과 도서관은 일반에 공개되지 않고, 어학, 수학, 천문학 연구를 수행하는 학자들을 위해 마련되었다.[7] 수학 학교는 기원전 4세기에 유클리드에 의해 설립되었다.[7] 도서관의 초대 관장인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처음으로 계산한 사람으로, 현대 측정치와 2% 오차를 보였다.[7]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성 아타나시우스 사후 "이집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11] 로마 주교의 수위권을 알렉산드리아의 권위에 반하여 선언하자, 폭동으로 인해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가 파괴되었다.[11] 그러나 1893년에 다른 장소에서 재건되었다.[11]

2. 1. 설립과 초기 발전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교리 학교이다.[3] 예로니모는 알렉산드리아의 기독교 학교가 성 마르코에 의해 설립되었으며,[3] 성 마르코가 임명한 첫 번째 관리자는 알렉산드리아의 여섯 번째 주교가 된 성 유스투스였다고 기록했다.[4] 학교가 2세기 중반, 대략 190년경에 설립되었다는 또 다른 의견도 있다.[5]

학자 판타이누스의 지도 아래 알렉산드리아 학교는 아테나고라스, 클레멘트, 디디무스, 그리고 신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주석 및 비교 성서 연구 분야에서도 활동했던 위대한 오리게네스와 같은 학자들이 학생들을 가르치는 중요한 종교 교육 기관이 되었다. 예로니모와 같은 많은 학자들이 알렉산드리아 학교를 방문하여 아이디어를 교환하고 학자들과 직접 소통했다.

thumb

이 학교의 범위는 신학 과목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신학, 기독교 철학, 성경 외에도 과학, 수학, 그리스 및 로마 문학, 논리학, 예술도 가르쳤다. 질문과 답변 방식의 주석이 이곳에서 시작되었으며, 점자가 생기기 15세기 전에 학교의 시각 장애 학생들은 나무 조각 기술을 사용하여 읽고 썼다.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의 목적은 기독교 신앙의 옹호자를 배출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는 판타이누스가 교사가 되기 전까지는 세계적인 명성을 얻지 못했다. 그는 시칠리아 출신으로, 기독교로 개종하기 전에는 스토아 철학자였다. 그는 성 마르코의 제자 중 한 명에 의해 개종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약 180년에 교리 학교의 교장이 되었고, 즉시 미래의 명성에 크게 기여할 변화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그가 신학과 철학 사이에서 이룬 통합은 그의 후임자인 클레멘스에게 의심을 받았다.

판타이누스의 지지자들은 "이 철학을 '신의 선물', '신의 섭리의 작품'으로 간주했으며, 이는 율법이 유대인에게 그러했듯이 이방인에게 정당화의 수단이자 복음을 위한 준비가 되도록 의도되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계시된 종교와 철학 사이에는, 이렇게 이해되고 설명될 때, 어떤 적대감도 있을 수 없으며, 오히려 후자는 여러 면에서 전자의 이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a) 마음을 훈련하여 정확하게 생각하고 추론하게 함으로써 신학의 더 높은 연구를 위한 마음을 준비한다.

(b) 두 학문에 공통적인 많은 진리에 대한 증거와 설명을 제공한다.

(c) 계시의 진리를 펼치고 과학적인 형태로 제시한다.

이 통합은 서방 교회의 '실증적 교사들', 특히 테르툴리아누스와 성 키프리아누스에 의해 반대받았다.

판타이누스의 후임자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인 티투스 플라비우스 클레멘스였다. 클레멘스는 192년에 임명되었다. 그의 강의에는 많은 수의 이교도들이 참석했다. 그는 청취자들이 점차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기 위해 철학에서 증명될 수 있는 진리부터 시작했다. 그는 구두 지침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그는 그의 강의에 참석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 많은 작품을 저술했다.

202년, 그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박해로 인해 팔레스타인으로 도망쳤다. 4년 후 그는 돌아왔다.

이집트 교회의 첫 번째 주요 인물은 주교가 아닌 학자들이었고,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의 교장이었다: 클레멘스(160-215)와 오리게네스(185-251). 둘 다 그리스 철학에 정통했으며, 그들의 일생의 업적은 위대한 통합이었다: 그들은 기독교를 최빈층을 위한 지역적 숭배에서 철학과 우주론을 갖춘 완전한 종교로 변모시켰다.

2. 2. 전성기와 학문적 성과

판타이누스는 시칠리아 출신으로, 스토아 철학자였다가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그는 성 마르코의 제자 중 한 명에 의해 개종했다고 전해진다. 180년경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의 교장이 된 그는 신학과 철학을 통합하는 변화를 도입하여 학교의 명성을 높였다. 판타이누스와 그의 지지자들은 철학을 '신의 선물'이자 '신의 섭리의 작품'으로 여겼으며, 철학이 이방인에게 복음을 위한 준비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들은 계시된 종교와 철학 사이에 적대감이 없으며, 오히려 철학이 마음을 훈련하고, 두 학문에 공통된 진리를 제공하며, 계시의 진리를 과학적인 형태로 제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은 테르툴리아누스와 성 키프리아누스를 비롯한 서방 교회의 '실증적 교사들'에게는 반대를 받았다.

판타이누스의 후임자는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였다. 192년에 임명된 클레멘스는 철학에서 증명될 수 있는 진리부터 시작하여 청중들이 점차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도록 이끌었다. 그는 강의뿐만 아니라 저술 활동도 병행하여 더 많은 사람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전파하고자 했다. 202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박해로 인해 팔레스타인으로 피신했다가 4년 후 돌아왔다.

이집트 교회의 초기 주요 인물은 주교가 아닌 클레멘스와 오리게네스와 같은 알렉산드리아 교리 학교의 학자들이었다. 이들은 그리스 철학에 정통했으며, 기독교를 철학과 우주론을 갖춘 완전한 종교로 변모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2. 3. 쇠퇴와 재건

381년에 열린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는 성 아타나시우스가 사망한 직후 "이집트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11] 로마 주교의 수위권을 알렉산드리아의 권위에 반하여 선언한 후, 폭동으로 학교가 파괴되었다.[11] 그러나 1893년에 다른 장소에서 재개교했다.[11]

3. 주요 학자 및 교장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의 주요 학자 및 교장은 다음과 같다.

주요 학자



역대 교장


3. 1. 주요 학자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의 주요 학자로는 아테나고라스, 판타이노스,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가 있다. 헤라클라스, 알렉산더, 오리게네스, 디오니시오스도 주요 학자였다.

오리게네스70인역 성경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원본 필사본은 카이사레아에 보존되어 있었는데, 653년 아랍인들이 그 도시를 점령했을 때 파괴되었다고 전해진다. 오리게네스는 성서 비평의 아버지로 여겨지며,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가 성서 연구로 높은 명성을 누리도록 했다. 그는 성경이 가질 수 있는 '문자적', '도덕적', '신비적' 또는 '비유적'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베드로, 아킬라스, 알렉산더, 아타나시우스도 주요 학자였다. 티모테오, 키릴로스, 디오스코로스, 그레고리오스도 주요 학자 목록에 포함된다. 디디무스, 하비브 기르기스, 셰누다 3세 역시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의 주요 학자이다.

에우메네스, 마르키아노스, 율리아노스도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의 주요 학자였다.

3. 2. 역대 교장

유스투스 (62-118)

에우메니우스 (118-129)

마르키아노스 (129-152)

판타이노스 (181-190)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 (190-202)

오리게네스 (203-?)

헤라클라스 (?-231)

디오니시우스 (231-247)

테오그노스투스 (3세기)

피에리우스 (4세기)

아킬라스 (4세기)

베드로 (4세기)

세라피온 (4세기)

마카리우스 (4세기)

디디무스 (340-391)

로돈 (5세기)

성 마카리우스 수도원의 수도원장 (5세기 - 19세기)

유세프 마카리우스 (1893-1918)

하비브 기르기스 (1918-1951)

이브라힘 아티아 신부 (1951-1962)

셰누다 3세 (1962-1987)

주교 그레고리 (1987–현재)

4. 학문적 특징 및 영향

오리게네스는 70인역 성경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원본 필사본은 카이사레아에 보존되어 있었는데, 653년 아랍인들이 그 도시를 점령했을 때 파괴되었다고 전해진다. 오리게네스는 일반적으로 성서 비평의 아버지로 여겨지는데, 그는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가 성서 연구로 높은 명성을 누리도록 했다. 그는 성경이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의미, 즉 '문자적', '도덕적', '신비적' 또는 '비유적'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4. 1. 학문적 특징

오리게네스는 70인역 성경의 정당성을 옹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원본 필사본은 카이사레아에 보존되어 있었는데, 653년 아랍인들이 그 도시를 점령했을 때 파괴되었다고 전해진다. 오리게네스는 일반적으로 성서 비평의 아버지로 여겨지는데, 그는 알렉산드리아 교리학교가 성서 연구로 높은 명성을 누리도록 했다. 그는 성경이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의미, 즉 '문자적', '도덕적', '신비적' 또는 '비유적' 의미를 명확하게 구별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4. 2. 한국 기독교에 미친 영향

참조

[1] 논문 How Alexandrian was Clement of Alexandria? Reflections on Clement and his Alexandrian Background The Heythrop Journal 1990
[2] 서적 Clement of Alexandria, St. Oxford University Press 1974
[3] 웹사이트 The School of Alexandria - Part I - An Introduction to the School of Alexandria http://www.copticchu[...] 2017-09-17
[4] 웹사이트 Saint Mark and the Church of Alexandria https://web.archive.[...] 2017-09-17
[5] 뉴스 School of Alexandria {{!}} institution, Alexandria, Egypt http://www.britannic[...] 2017-09-17
[6] 서적 Manual of Church History, Vol.I 1890
[7] 서적 Alexandria Lost 2010
[8] 서적 Manual of Church History, Vol.I 1890
[9] 서적 Manual of Church History, Vol.I 1890
[10] 서적 Alexandria Lost 2010
[11] 서적 Alexandria Lost 2010
[12] 서적 Manual of Church History, Vol.I 1890
[13] 문서 How Alexandrian was Clement of Alexandria?
[14] 문서 Cross, F.L.; Livingstone, E.A., eds. (197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