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13세기의 독일 출신 철학자, 신학자, 과학자이다. 1200년 이전에 태어나 1280년에 사망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중세 스콜라 철학 발전에 기여했다. 파도바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도미니크 수도회에 입회하여 신학을 공부했다. 쾰른 대학교 등에서 강의하며 토마스 아퀴나스를 제자로 두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 대한 주석을 남기고, 자연 과학 분야에서도 업적을 남겼다. 그는 연금술과 점성술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1622년 시복, 1931년 시성되어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93년 출생 - 쩐투도
쩐투도는 리 왕조 말기에 권력을 장악하여 쩐 왕조를 세우고 태사로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한 인물로, 그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다. - 1193년 출생 - 구조 미치이에
구조 미치이에는 가마쿠라 시대 초기에 섭정과 관백을 지낸 공경으로, 막부와의 협력을 통해 권력을 확대하고 외척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만년에 막부와의 관계 악화로 실각한 인물이다. - 14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라몬 류이
라몬 류이는 마요르카 왕국 출신의 철학자, 신학자, 선교사, 작가로서, 종교 간 대화를 추구하며 '아르스'라는 논리 체계를 개발하고 저술 및 선교 활동을 펼쳤으며, 그의 사상은 후대에 영향을 미쳐 현대에 재평가되고 복자로 시성되었다. - 14세기 로마 가톨릭 신학자 - 요한 타울러
요한 타울러는 도미니크 수도회 소속의 독일 신비주의 신학자이자 설교가로, 독일어 설교를 통해 신비주의 사상을 전파하고 내면적 변화와 신과의 직접적인 교감을 강조했으며, 흑사병 시기 시민들을 격려하며 종교개혁 이전 독일 신비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3세기 독일 사람 - 루돌프 1세 (독일)
루돌프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백작으로, 독일 왕으로 재임하며 가문의 영지를 확장하고 오타카르 2세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오스트리아를 합스부르크 가문의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교황과의 관계 개선과 제국 내 평화 유지에 힘썼다. - 13세기 독일 사람 - 실레시아의 헤드비지스
실레시아의 헤드비지스는 헨리크 1세와 결혼하여 실레시아 공작부인이 되었고, 남편의 정치적 야망을 지원하며 폴란드 정치에 기여했으며, 사후에는 종교에 귀의하여 실레시아 지역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인 |
이름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존칭 접미사 | OP |
칭호 | 레겐스부르크 주교 교회학자 |
출생지 | 라우잉겐, 바이에른 공국 |
사망일 | 1280년 11월 15일 |
사망지 | 쾰른, 신성 로마 제국 |
공경하는 곳 | 가톨릭교회 |
시복일 | 1622년 |
시복 장소 | 로마, 교황령 |
시복자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
시성일 | 1931년 12월 16일 |
시성 장소 | 바티칸 시국 |
시성자 | 교황 비오 11세 |
주요 성지 | 쾰른 성 안드레아 교회 |
축일 | 11월 15일 |
상징 | 도미니코회 수도복, 주교관, 책, 깃펜 |
수호 | 자연 과학 연구자, 의료 기술자, 철학자, 과학자 |
다른 이름 | 알베르투스 테우토니쿠스, 알베르투스 콜로니엔시스, 위대한 알베르트, 쾰른의 알베르트 |
과학 | |
분야 | 자연 과학 연금술 법학 외교 신학 자연 철학 |
알려진 업적 | 신학 교육 아리스토텔레스 연구 개척 광물 체계적 연구 원소 비소 발견 |
철학 | |
지역 | 서양 철학 |
시대 | 중세 철학 |
학교/전통 | 스콜라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주의 중세 실재론 |
주요 관심사 | 철학 생리학 광물학 점성술 지리학 천문학 음악 이론 자연 과학 연금술 법학 외교 신학 자연 철학 |
박사 지도 교수 | 작센의 요르단 |
주요 제자 | 토마스 아퀴나스, 페트루스 페란디 히스파누스 |
주요 사상 | 자연법 아이붐 |
종교 | |
종교 | 기독교 |
교단 | 가톨릭교회 |
역임 직책 | 레겐스부르크 주교 |
2. 생애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1200년 이전 독일 바이에른의 라우잉겐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파도바 대학교에서 교육받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 대한 지식을 쌓았다. 1223년(또는 1229년) 도미니크 수도회에 입회하여 볼로냐 등지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저술의 전부에 대해 주석을 단 최초의 인물로, 이를 통해 아리스토텔레스 저술이 더 넓은 학계 논쟁에 접근 가능하게 했다. 그는 이슬람 학자들, 특히 아비켄나와 아베로에스의 가르침을 연구하고 주석을 달아 학문적 논쟁의 중심에 섰다.
쾰른, 레겐스부르크, 프라이부르크, 스트라스부르, 힐데스하임 등 여러 도시에서 신학과 철학을 가르쳤다. 1245년 파리 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학위를 받고 정교수가 되었으며, 토마스 아퀴나스가 그의 제자가 되었다. 1254년 도미니크 수도회 지방 수장이 되었고, 1260년에는 레겐스부르크 주교로 임명되었으나 3년 후 사임했다. 이후 독일어권 국가에서 8차 십자군 설교를 담당했으며, 분쟁 중재자로도 활동했다.
알베르투스는 과학자, 철학자, 점성가, 신학자, 영적 작가, 에큐메니스트, 외교관이었다. 그는 움베르토 디 로마의 후원 아래 도미니크 수도회 학생들을 위한 교육 과정을 만들고, 아리스토텔레스를 교실에 도입했으며, 플로티누스 같은 네오플라톤주의자들의 연구를 탐구했다.
1278년 건강이 악화된 후, 1280년 11월 15일 독일 쾰른의 도미니크 수도원에서 사망했다. 1622년 시복되었고, 1931년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어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으며, 1941년에는 자연 과학자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1280년 사망 당시 80세가 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어, 1200년 이전에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8] 후대의 두 자료는 알베르투스가 사망 당시 약 87세였다고 전하며, 이로 인해 그의 출생 연도는 1193년으로 흔히 알려져 있지만, 이 정보를 확인할 만한 충분한 증거는 없다.[8] 알베르투스는 자신을 '라우잉겐의 알베르트'라고 불렀기 때문에, 아마도 라우잉겐(현재는 바이에른에 속함)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것은 단순한 가족 이름일 수도 있다. 그의 가족은 아마도 ''미니스테리아리스'' 계급 출신이었을 것이다. 볼슈테트 귀족 가문의 아들이라는 그의 친족 관계는 거의 확실히 15세기 성인전 저술가들의 추측일 뿐이다.[8]알베르투스는 주로 파도바 대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으며, 그곳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술에 대한 교육을 받았다. 루돌프 드 노바마기아의 후대 기록은 알베르투스가 성모 마리아를 만나 성직 서품을 받도록 설득받았다는 이야기를 전한다. 1223년(또는 1229년)에 그는 도미니크 수도회에 입회하여 볼로냐 등지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독일 쾰른에 있는 도미니크 수도회에서 강사직을 맡게 된 그는 여러 해 동안 쾰른뿐만 아니라 레겐스부르크, 프라이부르크, 스트라스부르, 힐데스하임에서도 강의했다. 쾰른에서 처음 강사로 재직하던 중, 알베르투스는 필립 챈슬러와 존재의 초월적 속성에 관해 논의한 후 그의 저서 ''Summa de bono''를 저술했다.[9] 1245년, 알베르투스는 생캉탱의 게리크 밑에서 신학 석사가 되었는데, 이는 독일 도미니크 수도회 신부로서는 최초였다. 이후 알베르투스는 파리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신학을 가르치게 되었고, 생자크 대학 신학과 교수직을 맡았다.[9] 이 기간 동안 토마스 아퀴나스가 알베르투스 밑에서 공부를 시작했다.[10]
2. 2. 교수 및 사목 활동
파도바 대학교에서 교육받은 알베르투스는 1223년(혹은 1229년) 도미니크 수도회에 입회하여 볼로냐 등지에서 신학을 공부했다.[8] 쾰른 도미니크 수도회에서 강사직을 맡게 된 그는 레겐스부르크, 프라이부르크, 스트라스부르, 힐데스하임 등지에서도 강의했다. 쾰른에서 강사로 재직하던 중 필립 챈슬러와 존재의 초월적 속성에 관해 논의한 후 ''Summa de bono''를 저술했다.[9]1245년 알베르투스는 생캉탱의 게리크 밑에서 신학 석사가 되었고, 파리 대학교에서 정교수로 신학을 가르치게 되었다.[9] 이 기간 동안 토마스 아퀴나스가 알베르투스 밑에서 공부했다.[10]
1254년 알베르투스는 도미니크 수도회의 지방 수장이 되었고,[10] 재임 기간 중 파리 대학교 세속 교수진의 공격으로부터 도미니크 수도회를 공개적으로 옹호하고, 요한 복음사가에 대한 주석을 달았으며, 이슬람 철학자 아베로에스의 오류라고 생각하는 것들에 대해 답변했다.
1259년 알베르투스는 발랑시엔에서 열린 도미니크 수도회 총회에 참석하여 도미니크 수도회를 위한 ''ratio studiorum'' 교육 과정을 수립했다.[13] 이 과정에는 신학 공부를 할 만큼 충분히 훈련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철학 연구를 포함하는 혁신적인 내용이 담겨 있었다.
1260년 교황 알렉산데르 4세는 그를 레겐스부르크 주교로 임명했지만, 3년 후 사임했다. 주교직을 수행하는 동안 그는 수도회 규칙에 따라 말을 타기를 거부하고 거대한 교구를 걸어 다니면서 겸손함으로 명성을 높였다. 1263년 교황 우르반 4세는 그를 주교직에서 해방시키고 독일어권 국가에서 8차 십자군을 설교해 달라고 요청했다.[15] 그 후 그는 특히 분쟁 당사자들 사이의 중재자로 잘 알려지게 되었다. 쾰른에서는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설립자로서뿐만 아니라 1258년 쾰른 시민과 대주교 간의 갈등을 종식시킨 "대심판"(der Große Schied)으로도 유명하다.
2. 3. 말년 및 죽음
1278년 건강이 악화된 후, 알베르투스는 1280년 11월 15일 독일 쾰른의 도미니크 수도원에서 사망했다.[16] 그의 유해는 쾰른의 도미니크 수도회 성 안드레아스 교회 지하 납골당에 있는 로마식 석관에 안치되어 있다.[16] 사후 3년 후 발굴 당시 그의 시신은 부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1483년 후대의 발굴에서는 해골만 남아 있었다.[17] 그의 마지막 업적 중에는 1274년 사망한 그의 제자 토마스 아퀴나스의 정통성을 옹호한 일이 있다.알베르투스는 1622년 시복되었고, 1931년 12월 16일 교황 비오 11세에 의해 시성되어 교회 박사로 선포되었으며,[15][18] 1941년에는 자연 과학자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되었다. 성 알베르투스의 축일은 11월 15일이다.
3. 사상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적극 수용하여, 보나벤투라 등 프란체스코 수도회 학파와는 다른 사상적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아베로에스 등 아랍 학자들의 주석 번역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를 주로 학습했기에, 플라톤 사상이 혼합된 부분이 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주석서 외에도 『피조물에 관한 대전』(Summa de creaturis)을 저술하여 자연 관찰에 기반한 자연학을 발전시켰다. 신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에 기반한 사변과 함께, 『거짓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타』 주석서를 저술하여 독일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그의 제자들을 "알베르투스 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광물서(鉱物書)》에서 마그누스는 자신이 직접 연금술을 행했지만, 금이나 은과 비슷한 것만 만들 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연금술에 관한 소책자(錬金術に関する小冊子)》에서는 자신이 직접 실험한 것만을 기록하고 있으며, 금과 은의 제조법과 생성된 금속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1250년 저서에서 비소에 대해 언급하여, 비소의 발견자로 여겨진다.
알베르투스는 점성술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천체의 영향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그리스도교 교리에 더 부합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의 점성술적 신념은 『천문학의 거울』과 『운명에 관하여』(De Fato)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나타난다. 그는 조석이 달의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했으며, 달이 물을 이중으로 끌어당긴다는 혼합 이론을 제시했다.
알베르투스는 당대 음악 관행에 대한 논평으로 유명하다. 그는 “구체의 음악” 개념을 터무니없다고 일축했으며, 천체의 운동은 소리를 생성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음악의 비율과 그레고리오 성가가 인간의 영혼에 작용하는 세 가지 주관적인 수준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특히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침묵에 주목했다.
3. 1.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수용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동시대 보나벤투라 등 프란체스코 수도회 학파와는 대조적인 사상적 특징을 보인다. 다만, 아베로에스 등 아랍 학자들의 주석 번역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주로 학습했기 때문에, 그의 이해에는 플라톤 사상이 혼입된 부분이 있다.아리스토텔레스 주석서 외에도 『피조물에 관한 대전』(Summa de creaturis)을 저술하여 자연 관찰에 기반한 자연학을 발전시켰다. 또한 신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에 기반한 사변과 함께, 『거짓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타(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 주석서를 저술하여 독일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일부 연구자들은 알베르투스의 제자들을 "알베르투스 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3. 2. 자연 과학 연구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점성술에 깊은 관심을 가졌는데, 이는 파올라 잠벨리[28]와 스콧 헨드릭스[29]와 같은 학자들이 밝힌 내용이다. 중세와 근대 초기까지 과학자들과 지식인들은 지구가 거대한 우주, 즉 미시우주라는 견해를 널리 받아들였다. 이들은 천체가 지구상의 것과 유사한 패턴과 순환을 따르며 상호 대응 관계가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세계관을 바탕으로 알베르투스는 점성술을 통해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고, 천체의 영향을 이해하여 그리스도교 교리에 부합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29] 그의 점성술적 신념은 1260년경 저술한 《천문학의 거울》과 《운명에 관하여》(De Fato)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드러나며,[30] 초기 저서인 《선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boni)부터 마지막 저서인 《신학총론》(Summa theologiae)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저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31] 그러나 그의 《천문학의 거울》은 실테오의 게라르두스에게 비판받았다.[32]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조석이 달의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했다. 그는 고대 그리스의 빛 이론과 아부 마샤르 알 발키의 점성술적 설명을 바탕으로, 달이 본질적인 점성술적인 습한 성질과 달빛이 생성하는 열에 의해 물을 이중으로 끌어당긴다는 혼합 이론을 제시했다.[33]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는 점에서 동시대 보나벤투라 등 프란체스코 수도회 학파와 대조를 이룬다. 다만, 아베로에스 등 아랍 학자들의 주석 번역을 통해 주로 학습했기 때문에, 그의 아리스토텔레스 이해에는 플라톤 사상이 혼입된 부분이 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서 외에도 《피조물에 관한 대전》(Summa de creaturis)을 저술하여 자연 관찰에 기반한 자연학을 발전시켰다. 또한 신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에 기반한 사변과 함께, 《거짓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타》에 대한 주석서를 저술하여 독일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알베르투스의 제자들을 "알베르투스 학파"라고 부르는 연구자들도 있다.
《광물서(鉱物書)》에서 마그누스는 자신이 직접 연금술을 행했지만, 금이나 은과 비슷한 것만 만들 수 있었다고 서술했다. 《연금술에 관한 소책자(錬金術に関する小冊子)》에서는 자신이 직접 실험한 것만을 기록하고 있으며, 금과 은의 제조법과 생성된 금속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또한 1250년 저서에서 비소에 대해 언급하여, 비소의 발견자로 여겨진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모든 자연물이 물질(materia, ''quod est'')과 형상(forma, ''quo est'')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보았는데,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견해와 매우 유사한 형상론이다. 그는 또한 신만이 절대적인 지배자라고 믿었다.
3. 3. 신학 및 형이상학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점성술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중세 시대와 근대 초기에 널리 퍼져있던 미시우주와 거시우주 간의 상호 대응 관계에 대한 믿음을 공유했다. 그는 천체의 영향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함으로써 그리스도교 교리에 더 부합하는 삶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29] 그의 점성술적 신념은 1260년경에 저술한 『천문학의 거울』(Speculum astronomiae)과 『운명에 관하여』(De Fato)에서 가장 포괄적으로 나타나며, 초기 저서인 『선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boni)부터 마지막 저서인 『신학총론』(Summa theologiae)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저서에서 찾아볼 수 있다.[31] 그의 『천문학의 거울』은 실테오의 게라르두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32]알베르투스는 모든 자연물이 물질(''materia'', ''quod est'')과 형상(''forma'', ''quo est'')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아리스토텔레스주의적 형상론(hylomorphism)을 믿었다. 또한 그는 신만이 절대적인 지배자라고 믿었다.
알베르투스는 초기 논문 『선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boni)와 『선에 관하여』(De bono)에서 일반적인 선과 물리적 선("bonum naturae")의 개념을 형이상학적으로 탐구했다. 그는 인간 또는 도덕적 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선이 무엇인지 인식하고 선행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이는 가짜 디오니시우스의 교리와 신플라톤주의적 선 이론에 대한 그의 몰두를 반영한다.[34]
알베르투스는 『데 보노』(De Bono)의 마지막 논고를 정의론과 자연법 이론에 할애했다. 그는 하느님을 정의와 자연법의 정점으로 보았으며, 신의 권위가 최고라고 여겼다. 그의 저서는 당시 신학자나 철학자가 쓴 자연법에 특별히 전념한 유일한 저서였다.[35]
알베르투스는 『데 보노』(De bono)에서 우정을 언급하고, 『윤리학 논고』(Super Ethica)를 출판했다.[36] 그는 키케로의 말을 인용하여 "우정이란 신성한 것과 인간적인 것 사이의 조화, 즉 선의와 사랑"이라고 정의하며, 여기에 조화 또는 일치("consensio")를 추가했다.[37] 그는 우정을 덕으로 보았으며, 우정과 도덕적 선 사이의 형이상학적 만족감을 연결시켰다. 그는 유용한 것(utile), 즐거운 것(delectabile), 진정한 또는 무조건적인 선(honestum)의 세 가지 수준의 선과, 이에 기반한 세 가지 수준의 우정, 즉 유용성에 기반한 우정(amicitia utilis), 즐거움에 기반한 우정(amicitia delectabilis), 무조건적인 선에 뿌리를 둔 우정(amicitia honesti; amicitia quae fundatur super honestum)을 설명했다.[38]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적극적으로 수용했지만, 아베로에스 등 아랍 학자들의 주석 번역을 통해 학습했기 때문에 그의 아리스토텔레스 이해에는 플라톤 사상이 혼입된 부분이 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주석서 외에도 『피조물에 관한 대전』(Summa de creaturis)을 저술하여 자연 관찰에 기반한 자연학을 발전시켰다. 또한 『거짓 디오니시오스 아레오파기타』(Pseudo-Dionysius the Areopagite)에 대한 주석서를 저술하여 독일 신비주의에 영향을 주었다. 그의 제자들을 "알베르투스 학파"라고 부르기도 한다.
3. 4. 음악, 점성술 및 연금술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사후 수세기 동안, 그가 연금술사이자 마술사라는 많은 이야기가 생겨났다. 현대의 혼란은 후대의 연금술 작품인 ''Secreta Alberti'' 또는 ''Experimenta Alberti'' 등이 저자들에 의해 텍스트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알베르투스의 이름으로 잘못 기재되었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21] 알베르투스는 자신의 저술에서 연금술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으며, 주로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논평을 통해 언급했다. 예를 들어, ''De mineralibus''에서 그는 돌의 힘에 대해 언급했지만, 그 힘이 무엇일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는다.[22]하지만, 알베르투스 사후 세대에서 그가 연금술을 숙달했다는 믿음이 발전했음을 보여주는 광범위한 위작 알베르투스 저서들이 존재한다. 여기에는 ''금속과 재료'', ''화학의 비밀'', ''금속의 기원'', ''화합물의 기원'', 그리고 현자의 돌에 대한 관찰을 모은 ''일치'' 등이 포함되며, ''Theatrum Chemicum''이라는 이름으로 수집된 다른 연금술-화학 주제들도 포함된다.[23] 그는 비소 원소의 발견자로 인정받고 있으며,[24] 질산은을 포함한 감광성 화학 물질을 실험했다.[25][26] 그는 그의 저서 ''De mineralibus''에서 언급했듯이 돌이 오컬트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그러나 그가 직접 연금술 실험을 했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전설에 따르면, 알베르투스는 현자의 돌을 발견하여 사망 직전에 제자인 토마스 아퀴나스에게 전수했다고 한다. 알베르투스는 자신의 저술에서 돌을 발견했다고 확인하지는 않지만, "변환"을 통해 금의 생성을 목격했다고 기록했다.[27] 토마스 아퀴나스가 알베르투스보다 6년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이 전설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파올라 잠벨리[28]와 스콧 헨드릭스[29]와 같은 학자들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가 점성술에 깊은 관심을 가졌다고 밝혔다. 중세 시대와 근대 초기까지 점성술은 지구상의 삶이 거시우주(우주 그 자체) 내의 미시우주라는 견해를 가진 과학자들과 지식인들 사이에서 널리 받아들여졌다. 따라서 두 세계 사이에는 상호 대응 관계가 존재하며, 천체는 지구상의 것과 유사한 패턴과 순환을 따른다고 믿었다. 이러한 세계관을 가지고 인간의 미래를 예측하는 데 점성술을 사용하는 것은 합리적인 것으로 보였다. 알베르투스는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는 천체의 영향에 대한 이해가 우리가 그리스도교 교리에 더 부합하는 삶을 살도록 도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29]
그의 점성술적 신념에 대한 가장 포괄적인 진술은 그가 1260년경에 저술한 두 개의 별개의 저서인 『천문학의 거울』(《천문학의 거울》)과 『운명에 관하여』(De Fato)에서 찾을 수 있다.[30] 그러나 그의 초기 저서인 『선의 본성에 관하여』(De natura boni)에서부터 그의 마지막 저서인 『신학총론』(Summa theologiae)에 이르기까지 그의 거의 모든 저서에서 이러한 신념에 대한 세부 사항을 찾아볼 수 있다.[31] 그의 『천문학의 거울』은 실테오의 게라르두스에 의해 비판을 받았다.[32]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조석이 달의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했다. 고대 그리스의 빛에 대한 이론과 아부 마샤르 알 발키의 점성술적 설명을 바탕으로, 그는 달이 본질적인 점성술적인 습한 성질과 달빛이 생성하는 열에 의해 물을 이중으로 끌어당긴다는 혼합 이론을 제시했다.[33]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는 당대 음악 관행에 대한 그의 논평으로 유명하다. 그의 저술된 음악적 관찰의 대부분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 대한 그의 주석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는 “구체의 음악”이라는 개념을 터무니없다고 일축했다. 그는 천체의 운동은 소리를 생성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는 음악의 비율과, 그레고리오 성가가 인간의 영혼에 작용하는 세 가지 주관적인 수준(불순한 것을 정화하는 것, 명상으로 이끄는 깨달음, 명상을 통한 완벽의 양육)에 대해 광범위하게 저술했다. 20세기 음악 이론가들에게 특히 흥미로운 것은 그가 음악의 필수적인 부분으로서 침묵에 주목한 점이다.
『광물서(鉱物書)』에서 마그누스 자신이 직접 연금술을 행했지만, 금이나 은과 비슷한 것만 만들 수 있었다고 서술되어 있다. 『연금술에 관한 소책자(錬金術に関する小冊子)』에서는 자신이 직접 실험한 것만을 기록하고 있으며, 금과 은의 제조법과 생성된 금속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또한 1250년 저서에서 비소에 대해 언급하여, 비소의 발견자로 여겨진다.
4. 영향 및 유산
13세기 후반 스트라스부르 노트르담 대성당의 문 티판과 아치볼트의 이콘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저술에서 영감을 받았다.[39] 단테는 그의 ''신곡''에서 알베르투스를 그의 제자 토마스 아퀴나스와 함께 태양의 천국에서 지혜를 사랑하는 위대한 영혼들 (''Spiriti Sapienti'') 사이에 위치시키며, 그의 자유 의지에 대한 교리를 윤리 체계의 기초로 삼았다고 자주 언급했다.
쇠렌 키르케고르는 ''불안의 개념''에서 알베르투스가 "신 앞에서 자신의 추측을 거만하게 자랑하고 갑자기 어리석어졌다"고 썼다. 키르케고르는 고트하르트 오스발트 마르바흐를 인용하며 "''Albertus repente ex asino factus philosophus et ex philosopho asinus''" (알베르투스는 갑자기 당나귀에서 철학자로, 철학자에서 당나귀로 변신했다)라고 말했다고 언급한다.[40]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에서 주인공 과학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은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작품을 연구한다.[41]
요한 에두아르트 에르드만은 알베르투스를 그의 제자 아퀴나스보다 더 위대하고 독창적이라고 생각한다.[42]
오픈 올 아워스에서 아크라이트는 그랜빌이 손님들의 호주머니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성 알베르투스의 날을 발명한다.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이름을 딴 학교들이 여러 곳에 있다.
학교 이름 | 위치 |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고등학교(Albertus Magnus High School) | 뉴욕주 바르도니아(Bardonia, New York)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리세움(Albertus Magnus Lyceum) | 일리노이주 리버 포레스트(River Forest, Illinois) |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대학교(Albertus Magnus College) | 코네티컷주 뉴 헤이븐(New Haven, Connecticut) |
- 캘리포니아주 산타 파울라에 있는 토마스 아퀴나스 대학교(Thomas Aquinas College)의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과학관(Albertus Magnus Science Hall)도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
- 프로비던스 대학교(Providence College)와 미시간주 그랜드래피즈에 있는 아퀴나스 대학교의 주요 과학 건물들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 쾰른 대학교(University of Cologne) 캠퍼스의 중앙 광장에는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동상이 있으며,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950년대경 게르하르트 마르크스(Gerhard Marcks)가 제작한 이 동상은 전 세계 여러 곳(예나 대학교(University of Jena)[46], 안데스 대학교[47][48], 휴스턴 대학교(University of Houston)[49] 등)에 있는 4개의 복제품 중 하나이다.
- 뉴햄프셔(New Hampshire)의 과학 및 디자인 아카데미(Academy for Science and Design)는 4개의 기숙사 중 하나에 마그누스 하우스(Magnus House)라는 이름을 붙여 알베르투스 마그누스를 기념했다.
- 휴스턴 대학교 로스쿨(University of Houston Law Center)에는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동상이 전시되어 있다.
- 알베르투스-마그누스-김나지움(Albertus-Magnus-Gymnasium)은 독일 로트바일(Rottweil)에 있다.
- 니카라과 마나과(Managua)에는 2004년에 설립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국제 연구소(Albertus Magnus International Institute)라는 비즈니스 및 경제 개발 연구 센터가 있다.
- 필리핀에서는 산토 토마스 대학교(University of Santo Tomas)의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건물(Albertus Magnus Building)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음악원, 관광 및 호텔 경영학과, 교육학과, UST 교육 고등학교를 수용하고 있다.
- 팡가시난주 산 카를로스 시(San Carlos City, Pangasinan)에 있는 성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과학 아카데미(Saint Albert the Great Science Academy)는 유치원, 초등학교 및 고등학교 교육을 제공하며 성 알베르투스를 수호 성인으로 삼고 있다. 본관은 2008년에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홀(Albertus Magnus Hall)로 명명되었다.
- 라 우니온주 투바오(Tubao, La Union)에 있는 산 알베르토 마그노 아카데미(San Alberto Magno Academy)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이 100년 된 가톨릭 고등학교는 오늘날까지 비전과 사명을 이어가며 고등학교 과정을 제공하고 있다.
자연 철학에 대한 그의 공헌으로 인해, 박테리아 ''Agrobacterium albertimagni''[50], 식물 종 ''Alberta magna'', 갑각류 ''Bodigiella albertimagni''[51], 화석 완족류 ''Albasphe albertimagni''[52], 그리고 소행성 20006 Albertus Magnus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토론토, 캘거리, 쾰른, 오하이오주 데이턴 등지에 있는 많은 가톨릭 초·중등학교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알베르투스 서체(Albertus typeface)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53]
인디애나주 노터데임(Notre Dame, Indiana)에 있는 노터데임 대학교(University of Notre Dame)의 잠 홀] 예배당은 성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에게 봉헌되어 있다. 남성 기숙사의 이름이 된
5. 저작
1899년에 수집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저술은 38권에 달한다. 이는 논리학, 신학, 식물학, 지리학, 천문학, 점성술, 광물학, 연금술, 동물학, 생리학, 골상학, 정의, 법, 우정, 사랑 등 방대한 주제에 대한 그의 백과사전적인 지식을 보여준다. 그는 아랍 주석가들의 라틴어 번역과 주석에서 얻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저작을 교리에 따라 소화, 해석, 체계화했으며, 현대의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지식 대부분은 알베르투스에 의해 보존되고 제시되었다.[10]
그의 주요 신학 저술로는 피터 롬바르드의 명제서(Magister Sententiarum)에 대한 3권짜리 주석과 2권짜리 ''신학총론''(Summa Theologiae)이 있다. 후자는 본질적으로 전자의 보다 교훈적인 반복이다.
알베르투스의 활동은 신학적이라기보다는 철학적이었다. 21권 중 처음 6권과 마지막 권을 차지하는 철학적 저술들은 일반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적 과학 체계에 따라 분류되며, 아리스토텔레스의 관련 저술에 대한 해석과 요약, 당대 주제에 대한 보충 논의, 그리고 스승의 견해와의 때때로 다른 의견으로 구성된다.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철학적 접근 방식이 기독교적 자연 질서에 대한 철학적 관점의 발전에 아무런 장애가 되지 않는다고 믿었다.[15]
알베르투스의 자연 과학에 대한 지식은 상당했으며, 당시로서는 놀라울 정도로 정확했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 전집, 즉 그의 과학 저술을 포함한 모든 저술에 대한 주석과 해설을 만들었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더하고 개선하기도 했다. 식물학, 동물학, 광물학과 같은 주제에 대한 그의 저술에는 고대 자료뿐만 아니라 그 자신의 경험적 조사 결과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조사는 고전 텍스트에 대한 의존성을 넘어 여러 특수 과학을 발전시켰다. 예를 들어 알베르투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다루지 않은 광물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여 ''만능 박사(Doctor Universalis)''라는 칭호를 받았다.[20]
''광물에 관하여''(De Mineralibus)에서 알베르투스는 "자연 과학의 과제는 단순히 우리에게 알려진 것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원인을 탐구하는 것이다"라고 주장한다.[20]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주요 저작은 다음과 같다:
- 『영혼의 낙원: 천국에 이르는 42가지 미덕』(Paradisus Animae)
- 『운명에 관하여』(De fato)
- 『부활에 관하여』(De resurrectione)
- 『주님의 몸에 관하여』(De corpore Domini)
- 『원소의 성질의 원인에 관하여』(Liber de causis proprietatum elementorum)
- 『아리스토텔레스의 동물에 관한 질문들』(Quaestiones super De animalibus)
- 『추기경적 미덕: 아퀴나스, 알베르투스, 필립 대찬사』(The Cardinal Virtues)
-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 제1권에 대한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의 주석』(The Commentary of Albertus Magnus on Book 1 of Euclid's Elements of Geometry)
- 『동물에 관하여: 중세 동물학 총서』(On Animals: A Medieval Summa Zoologica)
- 파올라 잠벨리의 『천문학적 거울과 그 수수께끼: 알베르투스 마그누스와 그의 동시대인들의 점성술, 신학 및 과학』(The Speculum Astronomiae and Its Enigma)
- 『알베르투스와 토마스: 선정 저작』(Albert & Thomas: Selected Writings)
- 『하느님과의 일치에 관하여』(De adherendo Deo)
- 『식물에 관하여』(De vegetabilibus)
- 『동물에 관하여』(De animalibus) 전26권 (19권까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석서)
참조
[1]
웹사이트
St. Albertus Magnus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0-07-19
[2]
서적
A History of the University in Europe: Volume 1, Universities in the Middle 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De IV coaequaevis
[4]
서적
The Bible and the Saints
https://books.google[...]
Flammarion
2023-11-05
[5]
웹사이트
Alberti Magni e-corpus
http://albertusmagnu[...]
[6]
간행물
Albertus Magnus and the Sciences: Commemorative Essays
Pontifical Institute of Mediaeval Studies
[7]
서적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Scribner
[8]
서적
Albert and Thomas
Paulist Press
[9]
서적
Albert the Great: Commemorative Essays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10]
웹사이트
St. Albertus Magnus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4-09-10
[11]
서적
Histoire littéraire de la France: XIIIe siècle
https://books.google[...]
2012-10-27
[12]
서적
Histoire littéraire de la France: XIIIe siècle
https://books.google[...]
2012-10-27
[13]
서적
Encyclopaedia of Religion and Ethics
https://books.google[...]
2011-06-09
[14]
웹사이트
The Place of Study In the Ideal of St. Dominic
http://www.domcentra[...]
2013-03-19
[15]
웹사이트
Albert the Great
http://plato.stanfor[...]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16]
웹사이트
Zeittafel
https://web.archive.[...]
Gemeinden.erzbistum-koeln.de
2013-08-09
[17]
서적
The Incorruptibles: A Study of the Incorruption of the Bodies of Various Catholic Saints and Beati
https://archive.org/[...]
TAN Books
[18]
논문
The canonization of Albert the Great in 1931
https://www.academia[...]
Fra trionfi e sconfitte. "Politica della santità" dell'Ordine dei predicatori
[19]
학술지
Much more from the chicken's egg than breakfast – a wonderful model system
2004-09-01
[20]
서적
Book of Minerals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21]
서적
An Illustrated History of Alchemy and Early Chemistry
[22]
서적
Albert der Grosse. Der Entwurf einer eigenständigen Philosophie
Primus
[23]
서적
The Thirteenth, Greatest of Centuries
https://books.google[...]
[24]
서적
Nature's Building Blocks: An A-Z Guide to the Elem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5]
웹사이트
Molecular Expressions: Science, Optics and You — Timeline — Albertus Magnus
https://web.archive.[...]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003-08-01
[26]
서적
History of analytical chemistr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7]
서적
A Survey of the Occult
Electric Book Company
[28]
서적
The Speculum Astronomiae and its Enigma
Dordrecht
[29]
서적
How Albert the Great's Speculum Astronomiae Was Interpreted and Used by Four Centuries of Readers
Lewiston
[30]
서적
On Fate (De Fato)
https://books.google[...]
Dalcassian Publishing Company
2023-02-01
[31]
서적
[32]
서적
The Speculum Astronomiae and its enigma. Astrology, Theology and Science in Albertus Magnus and his Contemporaries
Springer
[33]
학술지
Investigations of Tides from the Antiquity to Laplace
https://link.spring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3
[34]
서적
Reclaiming Moral Agency: The Moral Philosophy of Albert the Gre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35]
서적
Reclaiming Moral Agency: The Moral Philosophy of Albert the Gre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36]
서적
Reclaiming Moral Agency: The Moral Philosophy of Albert the Gre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8
[37]
서적
Reclaiming Moral Agency: The Moral Philosophy of Albert the Gre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8
[38]
서적
Reclaiming Moral Agency: The Moral Philosophy of Albert the Gre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8
[39]
서적
France: A Phaidon Cultural Guide
Phaidon Press
1985
[40]
서적
The Concept of Anxie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0
[41]
웹사이트
A Cultural History of Mary Shelley's Frankenstein
https://web.archive.[...]
2021-11-06
[42]
서적
History of Philosophy vol 1
London
1910
[43]
웹사이트
Open All Hours Season 2
https://web.archive.[...]
2021-04-16
[44]
웹사이트
Albertus Magnus High School
http://www.albertusm[...]
Albertusmagnus.net
2013-08-09
[45]
웹사이트
Albertus Magnus College
http://www.albertus.[...]
Albertus.edu
2013-08-09
[46]
웹사이트
Frommann Garden - A gem and wonderful resting place
https://www.visit-je[...]
visit-jena.de
2024-02-27
[47]
웹사이트
San Alberto Magno
https://badac.uniand[...]
Universidad de los Andes - Repositorio BADAC
2024-02-27
[48]
웹사이트
Nuestros símbolos
https://uniandes.edu[...]
Universidad de los Andes
2016-11-25
[49]
웹사이트
Albertus Magnus, Original casting 1955, 3 of 3 casting 1970
https://publicartuhs[...]
University of Houston
2019-03-08
[50]
논문
Oxidation of Arsenite by Agrobacterium albertimagni, AOL15, sp. nov., isolated from Hot Creek, California
2002
[51]
논문
Bogidiella albertimagni sp.nov., ein neuer Grundwasseramphipode aus der Rheinebene bei Strassburg
1933
[52]
논문
Unusual brachiopod fauna from the Middle Triassic algal meadows of Mt. Svilaja (Outer Dinarides, Croatia)
2015
[53]
서적
The Visual Dictionary of Typography
https://books.google[...]
AVA
2010-10-04
[54]
웹사이트
St. Albertus Magnus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1-07-11
[55]
백과사전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2017-10-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