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신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독교 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연구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창조, 구원, 완성을 이루는 하나님의 구속사를 탐구한다. 신학은 성경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와 창조 역사를 탐구하며, 모든 인간은 신학적 관점을 가질 수 있다. 신학은 창조주와 구속주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독교인의 삶 속에서 경험을 통해 얻어진다. 신학 방법론으로는 성경의 유추, 믿음의 유추, 성령의 내적 조명, 기도, 그리스도 중심성이 있으며, 교리는 기독교 신앙의 기준이 된다. 기독교 신학은 이론신학과 실천신학으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와 교파별로 발전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신학 - 예수의 동정녀 탄생
예수의 동정녀 탄생은 기독교의 핵심 교리로서 예수가 인간 아버지 없이 성령으로 마리아에게 잉태되어 태어났다는 신념이며, 예수의 신성을 강조하고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을 바탕으로 하지만 역사적 근거에 대한 학계의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기독교 미술, 전례, 마리아 공경, 서구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기독교 신학 - 신정론
신정론은 전지전능하고 선한 신의 존재 하에 세상의 악과 고통의 존재 이유를 설명하고 신의 선함과 전능함을 정당화하려는 이론으로, 다양한 해석과 비판적 시각, 그리고 대안적 접근 방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기독교 신학 | |
---|---|
개요 | |
학문 분야 | 기독교 신앙과 실천에 대한 연구 |
관련 분야 | 신학, 종교학, 교회사, 성서학 |
주요 내용 | 신론, 기독론, 성령론, 교회론, 종말론, 구원론 |
접근 방법 | 성경, 전통, 이성, 경험 |
역사적 발전 | |
초기 기독교 신학 | 사도 교부, 교부 철학, 니케아 공의회, 칼케돈 공의회 |
중세 기독교 신학 | 스콜라 철학, 토마스 아퀴나스, 신비주의 |
종교 개혁 시대 신학 | 마르틴 루터, 존 칼빈, 개혁교회, 재침례파 |
근현대 기독교 신학 | 자유주의 신학, 칼 바르트, 해방 신학, 페미니즘 신학 |
주요 교리 | |
삼위일체 | 성부, 성자, 성령의 하나됨 |
기독론 |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구원의 중재자 |
성령론 | 성령의 사역과 은사, 교회의 능력 |
교회론 | 교회의 본질과 사명, 성례, 직분 |
종말론 | 재림, 심판, 천국, 지옥 |
구원론 | 죄, 회개, 믿음, 칭의, 성화 |
신학 방법론 | |
성서 신학 | 성경 본문의 역사적, 문학적, 신학적 연구 |
조직 신학 | 기독교 교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설명 |
역사 신학 | 기독교 신학의 역사적 발전 과정 연구 |
실천 신학 | 기독교 신앙을 실제 삶에 적용하는 방법 연구 |
비교 신학 | 다른 종교나 사상과의 비교 연구 |
주요 논쟁 | |
예정론 | 구원의 예정 여부에 대한 논쟁 |
은사주의 | 성령의 은사 지속 여부에 대한 논쟁 |
동성애 | 동성애에 대한 성경적, 신학적 입장 논쟁 |
여성 안수 | 여성의 목사 안수 가능 여부에 대한 논쟁 |
영향 | |
문화 | 미술, 음악, 문학, 철학 등 다양한 문화 영역에 영향 |
사회 | 윤리, 정치, 경제, 사회복지 등 사회 전반에 영향 |
개인 | 개인의 가치관, 세계관, 삶의 방식에 영향 |
참고 문헌 | |
관련 자료 | 성경, 교리서, 신학 서적, 신학 논문 |
2. 신학의 정의와 본질
기독교 신학은 '신'(theo-)과 '학문'(-logy)의 합성어로서 말 그대로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모든 연구이며, 좁은 의미로는 사람이 된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261]를 통하여 창조하고 구원하고 구원을 완성하는 하나님의 구속사에 대한 연구이자 경외이다. 모든 인간은 궁극적으로 신학자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세계와 우주, 자연과 질서, 우리의 모든 삶에서 보고 느끼고 관찰하는 모든 것들이 결국 신학적 행위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함을 받은 존재로서 그 마음에 종교의 씨앗이 있기 때문이다.[262] 인간의 행위는 종교와 연결되지 않는 것이 없다. 인간은 모두 하나님을 직접적으로(성서), 간접적(일반계시)으로 배우는 존재이다. 실제로 성공회 신학자인 존 스토트 신부는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과 그분의 창조세계인 자연을 통해 자신을 드러낸다고 말한다.[263] 기독교 신학은 철학, 종교학, 윤리학, 심리학이 아니다. 신학의 참된 본질은 신의 참된 존재와 신의 창조 역사를 성경을 통하여 탐구하는 것에서 참된 의의를 찾는다.
신학은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모든 연구이며, 좁은 의미로는 사람이 된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창조하고 구원하고 구원을 완성하는 하나님의 구속사에 대한 연구이자 경외이다.[261] 모든 인간은 궁극적으로 신학자의 관점을 가지고 있다. 세계와 우주, 자연과 질서, 우리의 모든 삶에서 보고 느끼고 관찰하는 모든 것들이 결국 신학적 행위로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함을 받은 존재로서 그 마음에 종교의 씨앗이 있기 때문이다.[262]
신학은 성경을 유일한 원천(fons or principium unicum)으로 삼아[266] 성경의 유추, 믿음의 유추, 성령의 내적 조명, 기도, 그리스도 중심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종교개혁자들은 그리스도 신앙의 원천은 성서이지 교회가 아니라는 뜻에서 sola scriptura(오직 성서)를 주장하였다.
3. 신학의 목적과 의의
기독교 신학은 철학이 아니며, 종교학도 아니며, 윤리학이나 심리학도 아니다. 신학의 참된 본질은 신의 참된 존재와 신의 창조 역사를 성경을 통하여 탐구하는 것에서 참된 의의를 찾는다.
기독교 신학은 책상에서의 사색적 활동도, 추상적 개념에 대한 철학적 논의도 아니다. 신학 연구의 목적은 창조주 하나님과 구속주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소개하는 활동이다. 신학은 또한 기독교인의 삶에서의 체험에서 얻어진다. 고대교회의 신학자요 사도인 성 바울의 신학은 그가 성도의 사귐(사도신조 참조)을 나누던 교회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 로마제국이 제국의 유지를 위해 민중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면서도 로마의 평화와 로마제국의 황제를 신격화하는 제국신학으로 은폐하는 문제라는 현실 속의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적인 해석과 저항이었다.[264][265] 즉, 신학의 목적은 우리가 사는 사회의 현상들과 지배질서를 기독교 사상으로 해석하고 극복하려는 것에 있다.
신학은 진실로 학문의 가치에 있어서 어떤 학문보다도 더 소중하고 우리 인간에게 참된 소망의 학문이다. 신학은 창조와 구속의 하나님을 배우고 그를 증거하기에 귀중한 의미가 있으며 무엇보다도 신학의 중심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인간의 근본적인 죄의 문제를 해결하고 영생을 얻는 크나큰 기쁨을 누리는 학문이다. 이 감격으로 복된 소식을 온 세상에 증거하는 제자의 삶을 살 가치를 갖게 된다. 마태 28:19-20은 죄의 용서와 구원의 은혜 그리고 영원한 생명의 삶에 대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다. 신학의 의의는 죄인이 변화되어 창조주를 만나 그 분의 의지에 맞게 창조 세계에서 인류가 하나님의 기쁘신 목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4. 신학 방법론
4. 1. 성서의 유추 (analogia scripturae)
성경의 유추란 성경을 성경으로 해석하는 원리(scriptura sui ipsius interpres)이다.[266] 성경 본문들을 전체 문맥에서 고려하여 해석하며 이해하는 방식이다. 신학자 안명준 교수에 의하면 칼빈의 성경해석학이 바로 이 원리에 근거하고 있다고 한다.[267]
4. 2. 믿음의 유추 (analogia fidei)
기독교는 이성, 논리, 과학을 배제하지 않지만, 전능하고 초월적인 하나님을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다. 따라서 기독교인은 성육신하신 하나님이자 하나님의 공현(Epiphany)인 그리스도에 대한 믿음으로 하나님을 만나고, 점차 그분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된다. 성서는 믿음이 인간에게서 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라고 말한다.(그러므로 믿음은 들음에서 생기고, 들음은 그리스도를 전하는 말씀에서 비롯됩니다. /로마서 10:17, 표준새번역)[12]
4. 3. 성령의 내적 조명 (testimonium spirtus sancti internum)
성령의 조명은 신학이 하나님의 계시와 교통해 가는 데 있어서 절대적이다. 인간의 이성과 학문성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경 저자들에게 영감을 주신 성령의 인도하심이 필요하다.[268] 기독교는 일반적으로 합의된 책 모음으로 알려진 성경을 권위 있는 것으로 여기며, 성령의 영감 아래 인간 저자들이 기록했다고 본다.
4. 4. 기도 (prex)
기도는 절대 타자이신 하나님으로부터 자신의 소원을 응답받는 것이 아니다.[269] 지속적으로 겸손하게 모든 사람의 아버지이신 하나님을 의뢰하는 믿음의 훈련이다. 하나님에 대한 경외, 겸손, 기도를 통해 신학적 자세를 갖출 수 있다. 신학은 경건한 용어로 표현하면 기도이다. 우리의 모든 것을 창조주와 구속주이신 그분에게 감사와 찬양, 고백으로 표현한다.
4. 5. 그리스도 중심성
로버트 L. 레이몬드(R. L. Raymond)는 누가복음서 4장 16-21절, 24장 27절, 요한복음서 5장 46절을 근거로 모든 신학적 활동이 최종적으로 그리스도에게 이르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다.[57]
5. 교의 (신조, 신앙고백서)
기독교에서는 교리의 중요성을 늘 강조했으며, 성경과 교리를 동시에 교육하였다. 기독교의 범주와 전통을 형성한 보편공의회도 교리의 기준을 형성하기 위한 회의였다.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과 각 보편공의회의 교리적 결정사항은 기독교 신학을 이해하는 기준이자 지침이다.
그러나 신복음주의와 근본주의에서 교리보다도 신앙만 강조하는 경향은 위험하다. 이런 위험을 경계하고 교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신복음주의 신학자들인 개혁교회의 마이클 호턴 목사와 성공회 존 스토트 신부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아우구스부르크 신앙고백, 니케아 신경, 사도신조 등의 전통적인 교의들은 기독교인이 성서와 더불어 기독교 신앙의 기준과 안내가 된다고 보았다.
기독교인이 천주교 교인이든, 정교회 교인이든, 개신교 교인이든지 교단 구분 없이 기독교 교의를 체계적으로 공부해야 하며, 교의는 기독교 신앙이 성서와 전통에 따르는 신앙을 위한 안전장치라고 이해해야 한다.[270][271]
6. 신학 분야 및 분류
기독교 신학은 크게 "이론신학"과 "실천신학"으로 나눌 수 있다. 이론신학은 성서신학, 역사신학(교회사), 조직신학 등으로 구성된다. 성서신학은 성서 본문을 연구하고, 역사신학은 교회 역사에서 논의된 회의와 신학적 주제들을 연구하며, 조직신학은 하나님, 인간, 교회 등 성서의 주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과거 교리들에 뿌리를 두고 있다.
실천신학은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는 다른 학문과의 결합이나 교회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오늘날 기독교의 신념을 어떻게 현실에 적용시킬 것인지를 논한다. 실천신학에는 기독교 신앙 및 신학과 교육학이 결합한 기독교교육학, 심리학과 결합한 목회상담학, 조직신학에서 갈라져 나온 기독교윤리학이 있으며, 교회의 현실적 과제를 다루는 설교학, 선교학, 예전학 등이 있다.[260]
신학은 신을 뜻하는 "theo-"와 학문을 뜻하는 "-logy"의 합성어로서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모든 연구이며, 좁은 의미로는 사람이 된 하나님의 말씀인 예수 그리스도[261]를 통하여 창조하고 구원하고 구원을 완성하는 하나님의 구속사에 대한 연구이자 경외이다.
기독교 신학은 철학, 종교학, 윤리학, 심리학이 아니다. 신학의 참된 본질은 신의 참된 존재와 신의 창조 역사를 성경을 통하여 탐구하는 것에서 참된 의의를 찾는다.
신학의 연구 목적은 창조주 하나님과 구속주 하나님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소개하는 활동이며, 기독교인의 삶에서의 체험에서 얻어지기도 한다. 고대교회의 신학자이자 사도인 성 바울의 신학은 성도의 사귐(사도신조 참조)을 나누던 교회들이 겪고 있는 문제들, 로마제국이 제국 유지를 위해 민중들을 억압하고 착취하면서도 로마의 평화와 로마제국의 황제를 신격화하는 제국신학으로 은폐하는 문제라는 현실 속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적인 해석과 저항이었다.[264][265] 즉, 신학의 목적은 우리가 사는 사회의 현상들과 지배질서를 기독교 사상으로 해석하고 극복하려는 것에 있다.
신학은 죄인이 변화되어 창조주를 만나 그 분의 의지에 맞게 창조 세계에서 인류가 하나님의 기쁘신 목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6. 1. 학제로서 신학 분야
기독교는 313년 로마 제국에서 공인된 이후 11세기 교회 대분열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나뉘었다. 16세기 종교개혁을 거치며 서방교회는 천주교와 개신교로 다시 분열되었다. 각 교파는 동일한 성경과 신조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교리적 해석을 주장하며 신학 사상을 발전시켰다.[27] 근대에는 과학과 사상의 발달로 신학 사상이 더욱 다양해졌고, 각 지역별 특성에 맞는 기독교 신앙과 신학이 발전했다.기독교 신학의 주요 분파는 다음과 같다:
- 보수 기독교
- 자유주의 기독교
- 진보 기독교
- 중도 기독교
많은 개혁신학 신학자들은 하나님께만 속한 '전달 불가능한 속성'과 인간도 가질 수 있는 '전달 가능한 속성'을 구분한다.[27] 기독교 신학에서 하나님께 귀속되는 몇 가지 속성은 다음과 같다:[28]
- 자존성: 하나님은 스스로 존재하며, 인간의 도움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29]
- 영원성: 하나님은 시간을 초월하여 존재한다.
- 은혜: 하나님은 조건 없이 인간에게 호의와 선물을 베푼다.
- 거룩함: 하나님은 죄와 부패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 내재성: 하나님은 초월적이지만, 인간이 경험할 수 있다.
- 불변성: 하나님의 본성은 변하지 않는다.
- 무정념: 하나님은 감정이나 고통을 경험하지 않는다. (논쟁의 여지가 있는 교리)
- 무죄함: 하나님은 죄를 범할 수 없다.
- 무형성: 하나님은 육체를 가지지 않는다.
- 사랑: 하나님은 돌봄과 자비이다.
- 선교: 하나님은 최고의 해방자이다.
- 전선함: 하나님은 전적으로 선하다.
- 전능: 하나님은 모든 능력을 가지고 있다.
- 편재: 하나님은 모든 곳에, 모든 시간에 존재한다.
- 전지: 하나님은 모든 것을 안다.
- 유일성: 하나님은 비할 데 없는 유일한 존재이다.
- 섭리: 하나님은 자신의 창조물을 돌본다.
- 의: 하나님은 인간 행위의 유일한 척도이다.
- 초월: 하나님은 물리 법칙을 넘어선다.
- 삼위일체: 하나님은 성부, 성자, 성령의 세 위격으로 존재하지만, 본질적으로 하나이다.
- 진실성: 하나님은 진리이며,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 지혜: 하나님은 인간 본성과 세상을 완전히 이해한다.
기독교 신학의 세부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철학적 신학: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의 존재 증명 등 철학적 방법론을 사용한다.
- 형이상학
- 인식론
- 인간론
- 자연 신학
- 역사 신학(교회사): 기독교의 역사를 고찰한다.
- 마리아 신학
- 신조학: 사도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등 신앙 조항을 연구한다.
- 변증학: 기독교 신앙과 교리의 진실성을 옹호한다.
- 실천 신학(목회 신학):
- 전례학: 전례의 의미 내용과 전례사를 연구한다. 가톨릭에서의 호칭이며, 개신교에서는 예배학이라 한다.
- 설교학: 설교가 기독교 신앙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 연구하고, 설교 방법에 대해 가르친다.
- 교회법: 교회의 기본법인 교회법을 연구한다.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은 캐논법이다.
- 사목학: 기독교 생활의 실천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이다. 가톨릭에서의 호칭이며, 개신교에서는 목회학이라 한다.
- 선교학: 전도와 선교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영성 신학(신비 신학)
현대 신학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제 종교의 신학: 기독교 이외 종교의 구원 가능성을 고찰한다. (익명의 그리스도인론 등)
- 해방 신학: 20세기 중반 남미에서 탄생, 억압받는 민중의 해방을 지향한다.
- 페미니즘 신학: 북미에서 해방 신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전개, 여성의 관점에서 성서를 재해석한다.
기타 미분류 분야:
6. 1. 1. 이론 신학
기독교 신학은 크게 "이론신학"과 "실천신학"으로 나뉜다. 이론 신학에는 다음과 같은 분야들이 있다.- 성서신학: 성서 본문을 연구한다.
- 역사신학(교회사): 교회 역사에서 논의된 회의와 신학적 주제들을 연구한다.
- 조직신학: 성서의 주제들(하나님, 인간, 교회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과거 교리들에 뿌리를 둔다.
이 외에도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는 실천신학이 있다. 실천신학은 기독교 신념을 현실에 어떻게 적용할지를 다루며, 기독교교육학, 목회상담학, 기독교윤리학, 설교학, 선교학, 예전학[260] 등이 있다.
6. 1. 2. 실천 신학
기독교 신앙 및 신학과 교육학이 결합한 기독교교육학, 심리학과 결합한 목회상담학, 조직신학에서 갈라져 나온 기독교윤리학이 있으며, 교회의 현실적 과제를 다루는 설교학, 선교학, 예배학 등이 있다.[260]- 예배학: 예배의 형식과 성례전 및 예배의 핵심 요소에 대한 연구와 실행
- 설교학: 성경 주석을 바탕으로 시대에 맞는 바른 복음을 전하는 기법 연구
- 기독교교육학: 교회 학교의 운영과 학습 계획, 지도에 대한 연구
- 선교학: 교회의 복음을 사회에 전하기 위한 방식과 이론에 대한 연구
- 기독교상담학: 복음에 따른 상담을 통해 문제를 인식하고 극복하도록 돕는 기독교적 상담 연구
6. 2. 교파별 신학
기독교는 313년 로마 제국에서 공인된 이후, 11세기 교회 대분열을 겪으며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나뉘었다. 서방교회는 16세기 종교개혁을 통해 로마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로 다시 분열되었다.[260] 각 교파는 동일한 성경과 신조를 바탕으로 하면서도 서로 다른 교리 해석을 주장하며 독자적인 신학 사상을 발전시켰다.- 개혁신학
- 로마가톨릭 신학
- 개신교 신학
- 동방가톨릭 신학
많은 개혁신학 신학자들은 하나님의 속성을 인간도 가질 수 있는 '전달 가능한' 속성과 하나님께만 속한 '전달 불가능한' 속성으로 구분한다.[27]
일신교에서 하느님은 아버지로 불리는데, 이는 하느님이 인간사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기 때문이다.[44] 기독교에서 하느님은 창조주이자 양육자이며, 자녀들을 돌보는 존재일 뿐 아니라, 더 문자적인 의미에서 "아버지"로 불린다.[45] 예수 그리스도는 독생자로서 하느님 아버지와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46]
기독교에서 하느님 아버지와 인류의 관계는 창조주와 피조물의 관계이며, 그런 의미에서 그는 만인의 아버지이다. 신약성경은 가족이라는 개념 자체가 하느님 아버지로부터 유래되었다고 말한다.[47] 그러나 기독교인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하느님 아버지와 아들의 특별한 관계에 참여하게 되었다고 믿으며, 스스로를 하느님의 '양자'라고 부른다.[48]
니케아 신경에 따르면, 예수 그리스도는 "아버지로부터 영원히 나셨다"고 표현되어, 그들의 신성한 아버지-아들 관계가 시간에 묶여 있지 않음을 나타낸다.[49] 동방 정교회 신학에서 하느님 아버지는 아들과 성령의 "근원"이며, 이는 세 인격의 삼위일체성을 강조한다.
6. 3. 신학 사조
기독교 신학은 유대교[259]에서 유래한 여호와 하나님을 믿는 유일신 신앙에서 시작되었다. 나사렛 예수를 메시아, 즉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제자들과 이후 사도 바울이 그 신앙을 체계화하면서 발전했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바울을 최초의 기독교 신학자로 보기도 한다. 성서와 전통보다는 인간의 종교적 감정과 경험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신학이 등장하기 전까지, 기독교 신학은 교리를 제정하고 성경 신학으로 검증하며 변호하는 교의학(오늘날의 조직신학)을 의미했다.오늘날 기독교 신학은 크게 "이론신학"과 "실천신학"으로 나뉜다. "이론 신학"에는 성서 본문을 연구하는 성서신학, 교회 역사 속 신학적 주제들을 연구하는 역사신학(교회사), 성서의 주제들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과거 교리에 기반을 둔 조직신학 등이 있다. "실천신학"은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는 학문으로, 기독교 신앙/신학과 교육학이 결합한 기독교교육학, 심리학과 결합한 목회상담학, 조직신학에서 분리된 기독교윤리학, 그리고 교회의 현실적 과제를 다루는 설교학, 선교학, 예전학[260] 등이 있다.
기독교는 313년 로마 제국에서 공인된 이후 11세기 교회 대분열까지 동일한 신학과 신앙고백을 유지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안디오키아에서 로마 지역이 정치적 이유로 분리되면서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나뉘었다. 16세기 종교개혁을 기점으로 서방교회는 '개혁 반대파'(천주교(로마 가톨릭), 구천주교회, 독립천주교회, 반교황파 천주교회 등)와 '개혁 찬성파'(루터교, 개혁교회(장로교), 성공회, 침례교, 감리교 등)로 다시 나뉘었다. 이들은 동일한 성경과 신조를 바탕으로 하지만, 각 교파별로 서로 다른 교리적 해석을 주장하며 신학 사상을 정립해 나갔다. 근대에 들어서면서 과학의 발달 등 근현대 사상과의 만남 속에서 신학 사상이 발전했고, 각 지역별 상황에 맞는 기독교 신앙과 신학도 발전했다.
주요 신학 사조는 다음과 같다:
6. 4. 지역별(제3세계) 신학
해방신학은 20세기 중반, 남미에서의 사회, 정치, 경제적 환경에 의해 탄생한 신학이다. '구원=해방'으로 해석하여, 지배층으로부터 억압받는 민중의 해방을 지향한다. 이와 유사한 신학으로, 일본에서는 부락 문제의 고난을 나타내는 '가시 면류관(케이칸)의 신학'이 있으며, 인도에는 '달리트 신학' 등이 있다.민중신학
7. 신학자
최초의 기독교 신학자는 바울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259] 그 후 성서와 전통보다는 인간의 종교적 감정과 경험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신학의 등장 이전까지 기독교 신학은 교리를 제정하고, 그 교리를 성경신학으로 검증하고 변호하는 교의학 즉 오늘날의 조직신학을 의미했다.
오늘날에는 크게 "이론신학"과 "실천신학"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실천신학"에는 기독교 신앙/신학과 교육학이 결합한 기독교교육학, 심리학과 결합한 목회상담학, 조직신학에서 갈라져 나온 기독교윤리학이 있으며, 교회의 현실적 과제를 다루는 설교학, 선교학, 예전학 등이 있다.[260]
기독교는 313년 로마제국에서 공인된 이후 동일한 신학과 신앙고백을 유지하였으나, 11세기 교회 대분열 시기에 콘스탄티노폴리스, 알렉산드리아, 예루살렘, 안디오키아에서 로마 지역이 정치적 이유로 분리되었다. 이후 교회가 양분되어 서방교회와 동방교회로 나뉘었고, 서방교회 지역인 서유럽과 북유럽은 16세기 종교개혁을 기점으로 '개혁 반대파'(천주교(로마 가톨릭), 구천주교회, 독립천주교회, 반교황파 천주교회 등)와 '개혁 찬성파'(루터교, 개혁교회(장로교), 성공회, 침례교, 감리교 등)로 구분되었다. 동일한 성경과 신조를 바탕으로 하지만, 각 교파별로 서로 다른 교리적 해석을 주장하면서 그에 관한 신학 사상을 정립해 나갔다.
대표적인 기독교 신학자는 다음과 같다.
8. 기독교의 전통
기독교의 주요 분파인 가톨릭, 정교회, 개신교는 각자 고유한 신학교와 사역자(성직자) 양성 방식을 가지고 있다.[270][271]
9. 조직신학
기독교 신학은 유대교(헤브라이즘)[259]에서 유래한 여호와 하나님을 믿는 유일신 신앙에서 시작되었다. 나사렛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이자 메시아인 그리스도로 고백하는 제자들과 후에 사도 바울이 그 신앙을 체계화하면서 발전했다. 따라서 최초의 기독교 신학자는 바울이라고 보는 학자도 있다. 그 후 성서와 전통보다는 인간의 종교적 감정과 경험을 강조하는 자유주의 신학의 등장 이전까지 기독교 신학은 교리를 제정하고, 그 교리를 성서신학으로 검증하고 변호하는 교의학, 즉 오늘날의 조직신학을 의미했다.
오늘날 기독교 신학은 크게 "이론신학"과 "실천신학"으로 나뉜다. 조직신학은 기독교 신앙과 믿음에 대한 질서정연하고 합리적이며 일관성 있는 설명을 공식화하는 학문이다.[9] 성서 본문을 연구하는 성서신학, 교회 역사에서 논의된 회의와 신학적 주제들에 대한 연구 학문인 역사신학(교회사), 하나님, 인간, 교회 등과 같은 성서의 주제들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과거 교리들에 뿌리를 둔 조직신학과 같은 "이론 신학"이 있다. 그리고 현실적인 문제를 다루는 타 학문과의 결합이나 교회의 현실적인 문제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오늘날 기독교의 신념을 어떻게 현실에 적용시킬 것인지를 논하는 "실천신학"이 있다. "실천신학"에는 기독교 신앙/신학과 교육학이 결합한 기독교교육학, 심리학과 결합한 목회상담학, 조직신학에서 갈라져 나온 기독교윤리학이 있으며, 교회의 현실적 과제를 다루는 설교학, 선교학, 예전학 등이 있다.[260]
루이스 벌코프는 자신의 저서 '조직신학'에서 신학 방법론과 관련하여 5가지 틀을 제시하며, 이 중 한 가지만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방법으로 하나님에 대한 계시를 논리적으로 신론에서 종말론까지 통일성을 산출하는 종합적 방법을 주장한다. 그가 제시한 5가지 틀은 다음과 같다.
- 삼위일체적 방법: 사도신경에서 인출되었으나, 인간론과 구원론이 미흡하다는 약점이 있다.
- 분석적 방법: Calixtus는 신학의 궁극적 목적을 축복이라고 보았는데, 이는 하느님의 영광보다 축복이 더 신학의 목적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 언약론적 방법: 코게이우스(Coccejus)는 하느님과 인간의 언약 관계를 중심으로 강조하지만, 신론과 인간론 중심으로 제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 기독론적 방법: 계시의 중심이 되지만, 신학의 출발점이 되어서는 안 된다.
- 왕국 개념에 기초된 방법: 리츨의 영향으로 왕국 개념을 사용하게 되면 인간, 죄, 신인이신 그리스도에 대한 교리를 세우기에 문제가 있다고 한다.
9. 1. 주요 주제
조직신학은 기독교 신앙과 믿음에 대한 질서정연하고, 합리적이며, 일관성 있는 설명을 공식화하는 기독교 신학의 한 분야이다.[9] 조직신학은 성경을 바탕으로 하며, 동시에 초기 교회의 에큐메니컬 공의회(예: 제1차 니케아 공의회)와 기독교 철학의 발전을 통해 기독교 교리의 역사를 탐구한다. 신학적 체계의 본질은 광범위하게, 그리고 특히 적용할 수 있는 방법론의 개발에 있다. 기독교 조직신학은 일반적으로 다음을 탐구한다.
10. 기타 분류
-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의 존재 증명 등)
- * 형이상학
- * 인식론
- * 인간론
- *
- 역사 신학: 기독교의 역사를 고찰 (기독교사, 교회사)
- * 마리아 신학
- * 신조학: 사도신경,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등 신앙 조항 연구
- * 변증학: 이교 세계의 비판에 대해 기독교 신앙과 교리의 진실성을 옹호하기 위한 연구
- 실천 신학 (목회 신학)
- * 전례학 (): 전례의 의미, 내용, 전례사 연구 (가톨릭에서의 호칭, 개신교에서는 예배학)
- * 설교학 (): 설교가 기독교 신앙에서 수행하는 역할 연구 및 설교 방법 교수
- * 교회법: 교회의 기본법인 교회법 연구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은 캐논법)
- * 사목학: 기독교 생활의 실천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 (가톨릭에서의 호칭, 개신교에서는 목회학)
- * 선교학: 전도, 선교 방법에 대해 연구
- * 영성 신학 (신비 신학)
- 현대 신학의 과제
- * 제 종교의 신학: 기독교 이외의 다른 종교들의 구원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는 신학
- * 해방 신학: 20세기 중반 남미의 사회, 정치, 경제 환경에 의해 탄생한 신학으로, '구원=해방'으로 해석하여 지배층으로부터 억압받는 민중의 해방을 지향. (유사한 사례: 일본 부락 문제의 고난을 나타내는 가시 면류관(케이칸)의 신학, 인도 달리트 신학)
- * 페미니즘 신학: 북미에서 해방 신학의 방법론을 사용하여 전개된 신학. 남존여비 사상이 성서 기술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여성의 관점에서 성서를 재검토하고 시대적, 문화적 제약으로부터의 해방을 지향
- 기타 (미분류)
- * 교부학 (성부학)
- * 신정론
- * 재림
- * 이단, 컬트론
- * 디스펜세이션 신학
- * 세컨드 찬스론
참조
[1]
서적
Integrative Approaches to Psychology and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Cascade Books
2015-06-30
[2]
서적
Faith Seeking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Eerdmans
2004
[3]
서적
Freedom and Creation in Three Tradition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4
[4]
서적
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
Harper Collins
2001
[5]
서적
Anglicanism, the Answer to Modernity
Continuum
2003
[6]
서적
Crime
SPCK
2004
[7]
서적
The Origins of the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enys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8]
서적
A History of God
Alfred A. Knopf
1993
[9]
서적
Systematic The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0]
서적
THE BOOK OF LIFE, KNOWLEDGE AND CONFIDENCE
https://books.google[...]
Lulu.com
2012-06-06
[11]
웹사이트
Thomas Aquinas (1224/6—1274)
https://iep.utm.edu/[...]
Internet Encyclopedia of Philosophy
2024-08-07
[12]
성경
2 Pet 1:20–21
http://www.biblegate[...]
[13]
서적
The Authority of the Bible
Collins
[14]
서적
Douay–Rheims Bible
Darton Longman Todd
1985
[15]
서적
Greek Grammar Beyond the Basics: An Exegetical Syntax of the New Testament
Zondervan
[16]
사전
inspire
[17]
서적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Bible
Moody Press
[18]
학술지
Biblical Inerrancy: Are We Going Anywhere?
[19]
웹사이트
Inspiration and Truth of Sacred Scripture
https://www.vatican.[...]
[20]
웹사이트
Of the Holy Scripture Being the True Word of God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Chicago Statement on Biblical Inerrancy
https://library.dts.[...]
[22]
웹사이트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 Sacred Scripture
https://www.vatican.[...]
[23]
학술지
Bible Infallibility - 'Evangelical' Defenders of the Faith
https://books.google[...]
Leonard Scott Publication
1861-01
[24]
서적
The Shape of Sola Scriptura
https://books.google[...]
Canon Press & Book Service
2001
[25]
웹사이트
Why Are Protestant and Catholic Bibles Different? by John Meade
https://textandcanon[...]
2021-11-07
[2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Canon of the New Testament
http://www.newadvent[...]
[27]
서적
The Doctrine of God
The Banner of Truth Trust
1979
[28]
웹사이트
What is God?
http://www.biblicalh[...]
[29]
서적
The Gagging of God
Zondervan
1996
[30]
서적
Transforming Mission
Orbis Books
1991
[31]
웹사이트
Providence
http://www.encyclope[...]
[32]
서적
God Transcendent
Banner of Truth publishers
[33]
서적
Critical Terms for Religious Studi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7-27
[34]
웹사이트
Purgatory in world religions
https://www.britanni[...]
[35]
백과사전
Person
[36]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Inter-Varsity Press; Zondervan
[37]
서적
The Story of Christian Theology: Twenty Centuries of Tradition & Reform
https://archive.org/[...]
InterVarsity Press
[38]
웹사이트
Tertullian, Against Praxeas, chapter II
http://www.ccel.org/[...]
Ccel.org
2005-06-01
[39]
백과사전
Trinity, doctrine of the
Oxford University Press
[40]
성경
John 4:24
[41]
서적
Early Christian Doctrines,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Historical Theology
[42]
성경
1 John 5:7
[43]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https://archive.org/[...]
Broadman Press
[44]
서적
Encountering God: A Spiritual Journey from Bozeman to Banaras
[45]
성경
Hebrews 1:2–5, Galatians 4:1–7
[46]
성경
Matthew 11:27
[47]
성경
Ephesians 3:15
[48]
성경
Galatians 4:4–7
[49]
성경
Hebrews 1:2–5
[50]
성경
John 1:1
[51]
서적
Systematic Theology: An Introduction to Biblical Doctrine
https://archive.org/[...]
Zondervan
[52]
성경
Matthew 1:18–25, Luke 1:35, Luke 3:23
[53]
성경
Matthew 16:16
[54]
웹사이트
Etymology Online: Christ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55]
성경
Romans 1:3–4
[56]
성경
Galatians 4:4, John 1:1–14, John 5:18–25, John 10:30–38
[57]
서적
New Testament Theology
Broadman
[58]
성경
John 17:3
[59]
논문
A Defense of the Doctrine of the Eternal Subordination of the Son
[60]
성경
Mark 1:10
[61]
서적
Know the Truth
Inter-Varsity Press
[62]
서적
Westminster dictionary of theological terms
Westminster John Knox Press
[63]
웹사이트
Jacques Maritain Center: GC 4.54
http://www2.nd.edu/D[...]
.nd.edu
[64]
웹사이트
Advent Prayer and the Incarnation
http://www.ewtn.com/[...]
Ewtn.com
[65]
웹사이트
The Seven Ecumenical Councils
http://www.ccel.org/[...]
[66]
강의
Meetings with the World's Religions
[67]
서적
Antirrheticus adversus Apollinarem
[68]
백과사전
Theodore
Westminster Press
[69]
서적
Denzinger
[70]
웹사이트
The Oriental Orthodox Rejection of Chalcedon
http://www.britishor[...]
[71]
서적
The Person of Christ
InterVarsity Press
[72]
성경
[7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74]
서적
(추가 정보 필요)
[75]
서적
(추가 정보 필요)
[76]
서적
(추가 정보 필요)
[77]
서적
(추가 정보 필요)
[78]
서적
Formation and struggles : the church, A.D. 33–450
https://books.google[...]
St. Vladimir's Seminary Press
[79]
웹사이트
Athenagoras of Athens: A Plea for the Christians
http://www.earlychri[...]
Earlychristianwritings.com
2006-02-02
[80]
서적
Christology in Cultural Perspective: Marking Out the Horizons
Paternoster Press
[81]
서적
(추가 정보 필요)
[82]
서적
(추가 정보 필요)
[83]
서적
(추가 정보 필요)
[84]
서적
The Foundations of New Testament Christology
[85]
웹사이트
Calvins Calvinism BOOK II Chapter 15
http://www.reformed.[...]
[86]
웹사이트
Christian Theology Chapter 22
http://wesley.nnu.ed[...]
[87]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88]
서적
In Understanding be Men:A Handbook of Christian Doctrine.
Inter-Varsity Press
[8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Holy Spirit
http://www.newadvent[...]
[90]
성경
[91]
성경
[92]
성경
[93]
웹사이트
The Comforter
http://www.spurgeon.[...]
[94]
성경
[95]
성경
[96]
서적
The Holy Spirit and His Gifts
Inter-Varsity Press
[97]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9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99]
서적
In Understanding be Men:A Handbook of Christian Doctrine.
Inter-Varsity Press
[100]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101]
서적
Dogmatics in Outline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102]
서적
Fruit of the Spirit
Inter-Varsity Press
[103]
서적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104]
서적
De Sacramentis
[105]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Baker Book House
[106]
웹사이트
Communion and Stewardship: Human Person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https://www.vatican.[...]
International Theological Commission, La Civiltà Cattolica
2004-07-23
[107]
웹사이트
CCC Search Result– Paragraph # 291
http://www.scborrome[...]
Scborromeo.org
2010-08-08
[108]
서적
Christian Theology
[109]
서적
Hebrew–English Lexicon
Hendrickson Publishers
[110]
서적
Baker's Evangelical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111]
서적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1985
[112]
서적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113]
서적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114]
백과사전
Man
Britannica
2004
[115]
서적
Exegetical Dictionary of the New Testament
[116]
백과사전
Soul
Britannica
2004
[117]
서적
Bultmann
[118]
서적
New Bible Dictionary
IVP
1996
[119]
백과사전
Cherubim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00
[120]
서적
A Dictionary of Fallen Angels, Including the Fallen Angels
Macmillan, Inc.
1994
[121]
웹사이트
ScriptureText.com
http://scripturetext[...]
ScriptureText.com
2010-08-08
[122]
웹사이트
Etymonline.com
http://www.etymonlin[...]
Etymonline.com
2010-08-08
[123]
웹사이트
Online-Literature.com
http://www.online-li[...]
Online-Literature.com
2010-08-08
[124]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Revelation 21:1-4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4-06-10
[125]
웹사이트
What do you think?
http://www.allaboutj[...]
AllAboutJesusChrist.org
2008-10-05
[126]
서적
Book for Commemoration of the Living and the Dead
Holy Trinity Monastery, Jordanville NY
[127]
서적
The Discarded Image: An Introduction to Medieval and Renaissance Literature
1964
[128]
웹사이트
http://forums.cathol[...]
[129]
서적
Mélanges sur la question millénariste de l'Antiquité à nos jours
Bibliothèque d'étude des mondes chrétiens
2018
[130]
웹사이트
What happens after a person dies?
http://www.umc.org/s[...]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11-03-10
[131]
웹사이트
Heavenly minded: It's time to get our eschatology right, say scholars, authors
http://www.umportal.[...]
UM Portal
2011-03-10
[132]
웹사이트
Orthodox Confession of Faith
http://esoptron.umd.[...]
[133]
서적
L'Église orthodoxe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2006
[134]
웹사이트
LDS Life After Death
http://www.mormon.or[...]
[135]
웹사이트
GEHENNA
http://jewishencyclo[...]
[136]
웹사이트
Browse by Subject
https://www.chabad.o[...]
[137]
웹사이트
Biblical Reference: John 3:18
http://www.ibs.org/b[...]
Ibs.org
2010-08-08
[138]
웹사이트
hell– Definitions from Dictionary.com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0-08-08
[139]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Revelation 20:7-10 - New International Version
https://www.biblegat[...]
2024-06-10
[140]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the Christian church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41]
서적
New Bible Dictionary
IVP
[142]
서적
The Nature of Hell
Acute, Paternoster (London)
[143]
서적
The Great Divorce
[144]
서적
The Case for Faith
[145]
서적
Introducing Christian Doctrine, 2nd ed
Baker Academic
[146]
학술지
The Nature of Hell.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http://www.eauk.org/[...]
Evangelical Alliance
2019-06-11
[147]
서적
New Dictionary of Biblical Theology
IVP Leicester
[148]
백과사전
Theodicy
[149]
웹사이트
The Problem of Evil
http://plato.stanfor[...]
2018-09-06
[150]
웹사이트
The Evidential Problem of Evil
http://www.iep.utm.e[...]
2009-04-10
[151]
백과사전
theodicy
[152]
백과사전
evil, the problem of
[153]
서적
The Problem of Pain
HarperCollins
[154]
서적
The End of Christianity: Finding a Good God in an Evil World
Broadman and Holman
[155]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Isaiah 45:7 – King James Version
https://www.biblegat[...]
[156]
서적
God's Problem: How the Bible Fails to Answer Our Most Important Question – Why We Suffer
HarperOne
[157]
서적
Reformed Dogmatics
Baker Academic
[158]
성경
Paul's Epistle to the Romans, chapter 3 verse 23
https://www.biblegat[...]
[159]
성경
[160]
웹사이트
ancestral sin
{http://www.parembas[...]
{2011-07-21, 2016-06-17, 2017-02-15, 2020-09-21, 2010-04-27}
[161]
백과사전
Original Sin
Oxford University Press
[162]
서적
World Religions
Saint Mary's Press
[163]
문서
[164]
문서
[165]
문서
[166]
문서
[167]
문서
[168]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Volume 2 (From Augustine to the eve of the Reformation)
Abingdon Press
1970–1975
[169]
백과사전
Jansenius and Jansenism
http://www.newadvent[...]
2010-08-08
[170]
성경
[171]
웹사이트
The Thorough Declaration of the Formula of Concord, chapter II, sections 11 and 12 & Augsburg Confession, Article 2
{http://www.bookofco[...]
{2008-05-16, 2010-06-12}
[172]
서적
The Writings of James Arminius
Baker
[173]
웹사이트
The Third and Fourth Main Points of Doctrine (Canons of Dordrecht), chapter 6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Question 25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question 8 (Heidelberg Catechism)
{http://www.reformed[...]
{2013-07-29, 2010-06-13, 2010-06-13, 2020-09-03}
[174]
웹사이트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9.3
http://www.reformed.[...]
2010-06-13
[175]
학술지
Total Depravity, part 1
http://thirdmill.org[...]
2008-07-14
[176]
서적
The Theology of John Calvin
Westminster John Knox
2008
[177]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78]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79]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80]
서적
Forgiveness, Reconciliation, and Moral Courage
Eerdmans
2004
[181]
서적
Martin Luther on the Bondage of the Will
T. Bensley
1823
[182]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183]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2012
[184]
웹사이트
Soteriology
http://dictionary.re[...]
2008-03-02
[185]
웹사이트
soteriology– Definition from th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2007-04-25
[186]
서적
God So Loved the World: A Study of Christian Doctrine
Northwestern Publishing House
2006
[187]
웹사이트
Calvinism and Lutheranism Compared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1-26
[188]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89]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90]
서적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
[191]
서적
The Historic Church: An Orthodox View of Christian History
[192]
서적
Encyclopedia of Protestantism
[193]
웹사이트
WELS vs Assembly of God
https://web.archive.[...]
[194]
웹사이트
Augsburg Confessional, Article XVIII, Of Free Will
http://bookofconcord[...]
[195]
서적
Martin Luther on the Bondage of the Will
T. Bensley
1823
[196]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11-15
[197]
서적
The Book of Concord: The Confessions of the Lutheran Church
[198]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199]
서적
The Westminster Confession
[200]
웹사이트
Justification / Salvation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1-29
[201]
웹사이트
IV. Justification by Grace through Faith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5
[202]
웹사이트
Objective Justification
http://www.wlsessays[...]
Wisconsin Lutheran Seminary
2015-01-26
[203]
웹사이트
Universal Justification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5
[204]
서적
Augsburg Confession
[205]
서적
Jacob Arminius: Theologian of Grac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2-11-15
[206]
서적
Justification: The Imputation of Christ's Righteousness from Reformation Theology to the American Great Awakening and the Korean Revivals
Peter Lang
2006
[207]
웹사이트
The Age of Accountability
https://www.wels.net[...]
Wisconsin Lutheran Seminary
2015-02-10
[208]
웹사이트
Monergism
http://www.thefreedi[...]
[209]
웹사이트
Calvinism and Lutheranism Compared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9
[210]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211]
서적
Arminian Theology: Myths and Realities
InterVarsity Press
2009
[212]
문서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Ch XVII, "Of the Perseverance of the Saints"
[213]
웹사이트
Once saved always saved
https://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7
[214]
웹사이트
Perseverance of the Saints (Once Saved Always Saved)
http://www.wels.net/[...]
Wisconsin Evangelical Lutheran Synod
2015-02-07
[215]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Books
[216]
서적
The Cross and Salvation: The Doctrine of Salvation
Crossway Books
[217]
웹사이트
Bishop– Definition and More from the Free Merriam-Webster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webster.com
2007-04-25
[218]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Mission Stud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219]
사전
Evangelical Dictionary of Theology
Baker Academic
2001
[220]
웹사이트
Hexam's Concise Dictionary of Religion "Sacrament"
https://www.ucalgary[...]
[221]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aedia: "Sacraments"
http://www.newadvent[...]
[222]
웹사이트
The Sacraments
http://www.oca.org/Q[...]
[223]
서적
Bread and Wine
1937
[224]
백과사전
Encyclopædia Britannica, s.v. Eucharist
https://www.britanni[...]
[225]
웹사이트
The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Fourth Edition 2000
http://www.bartleby.[...]
[226]
웹사이트
Parallel Translations
http://bible.cc/1_co[...]
Bible.cc
[227]
성경
[228]
백과사전
Lord's Supper, The
[229]
백과사전
Eucharist
[230]
성경
[231]
성경
[232]
성경
[233]
성경
[234]
서적
Understanding the Bible
Mayfield
1985
[235]
백과사전
John, Gospel of
[236]
서적
The International Standard Bible Encyclopedia
https://archive.org/[...]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37]
서적
The canon of the New Testament
1997
[238]
서적
The historical Jesus
[239]
웹사이트
Letter to the Smyrnaeans, 6, 8
http://www.earlychri[...]
[240]
웹사이트
First Apology
http://www.ccel.org/[...]
[241]
웹사이트
Baptism, Eucharist and Ministry document
http://www.oikoumene[...]
[242]
웹사이트
Encyclopædia Britannica Online
https://www.britanni[...]
[243]
저널
Philippe Bobichon, Millénarisme et orthodoxie dans les écrits de Justin Martyr
https://www.academia[...]
[244]
서적
Ante-Nicene Fathers
Hendrickson
1994
[245]
서적
Faith Seeking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Eerdmans
2004
[246]
서적
Freedom and Creation in Three Tradition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4
[247]
서적
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
Harper Collins
2001
[248]
서적
Anglicanism, the Answer to Modernity
Continuum
2003
[249]
서적
Crime, Changing Society and the Churches Series
SPCK
2004
[250]
서적
The Origins of the Christian Mystical Tradition: From Plato to Denys
Oxford University Press
1983
[251]
서적
A History of God
Alfred A. Knopf
1993
[252]
서적
Systematic The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53]
서적
カトリック神学への招き
上智大学出版
2009-04-10
[254]
서적
Faith Seeking Understanding: An Introduction to Christian Theology
Eerdmans
2004
[255]
서적
Freedom and Creation in Three Traditions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94
[256]
서적
Why Christianity Must Change or Die
Harper Collins
2001
[257]
서적
Anglicanism, the Answer to Modernity
Continuum
2003
[258]
서적
Crime, Changing Society and the Churches Series
SPCK
2004
[259]
문서
현대의 바리새파 계열의 유대교와는 차이가 있다.
[260]
문서
이 성격별 분류는 미국의 상황에 따른 것이다.
[261]
성경
요한복음서 1:1
[262]
문서
장 칼뱅
[263]
서적
우리시대의 위대한 설교자들
브니엘
[264]
서적
영원한 인류의 고전-신약성서
아이세움
[265]
서적
바울의 첫 번째 복음
한국 기독교 연구소
[266]
서적
조직신학
[267]
웹사이트
칼빈의 성경해석학
https://www.kirs.kr/[...]
기독교문선교회
1997
[268]
성경
디모데후서 3:16
[269]
서적
주의 기도
한국신학연구소
[270]
서적
미국제 복음주의를 경계하라
나침반
[271]
간행물
Anglican Journal
[272]
성경
마 11:27, 고전 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