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이클로헥세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이클로헥세인은 6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고리형 포화 탄화수소이다. 다양한 입체 이성질체를 가지며, 그중 의자형이 가장 안정적이다. 사이클로헥세인은 무색의 가연성 액체로, 유기 용매, 나일론의 원료, DSC 기기 보정, 진공 침탄로 등에 사용된다. 벤젠을 수소화하여 공업적으로 생산하며, 과거에는 여러 과학자들이 다른 방법으로 합성하기도 했다. 사이클로헥세인은 피부,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며, 흡입 시 두통이나 의식 장애를 유발할 수 있어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육원자 고리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 육원자 고리 - 싸이에인
    싸이에인은 화학식 C5H10S를 갖는 유기 황 화합물로, 1,5-디브로모펜탄과 황화나트륨의 반응 등을 통해 합성되며, 입방정계 결정 구조를 가지고 친핵체로 작용한다.
  • 사이클로알케인 - 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펜테인은 촉매 개질을 통해 생성되는 사이클로알케인으로, 폴리우레탄 폼 발포제, 냉장고 단열재, 화학 합성 등에 사용되며, 인화성이 매우 높고 흡입 시 호흡 정지를 유발할 수 있다.
  • 사이클로알케인 - 사이클로뷰테인
    사이클로뷰테인은 네 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고리형 포화 탄화수소이며, 고리 변형을 받고 500°C 이상에서 불안정하며, 자연계에서 발견되고 다양한 합성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 탄화수소 용매 - 메시틸렌
    메시틸렌은 벤젠 고리에 세 개의 메틸기가 1,3,5 위치에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다양한 방법으로 합성되어 2,4,6-트리메틸아닐린 생산, 특수 용매, NMR 내부 표준 물질, 유기금속 화합물 리간드 등으로 사용되며 대기오염 물질로서 환경적 영향도 갖는다.
  • 탄화수소 용매 - 벤젠
    벤젠은 6개의 탄소 원자가 정육각형으로 배열된 방향족 탄화수소로, 높은 안정성을 가지며 유기 화합물 합성에 중요하게 사용되지만 발암물질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사이클로헥세인 - [화학 물질]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헥세인 분자의 3D 구조
사이클로헥세인 분자의 3D 구조
의자 형태의 사이클로헥세인의 골격 구조
의자 형태의 사이클로헥세인의 골격 구조
의자 형태의 사이클로헥세인의 공-막대 모델
의자 형태의 사이클로헥세인의 공-막대 모델
관용명헥사나프텐 (고어)
화학식C6H12
몰 질량84.161 g/mol
외형무색 액체
냄새달콤하고 휘발유와 유사
밀도0.7739 g/mL (액체); 0.996 g/mL (고체)
용해도불혼화성
다른 용매에 대한 용해도다이에틸 에터, 에탄올, 아세톤에 용해됨
녹는점6.47 °C
끓는점80.74 °C
점성17 °C에서 1.02 cP
굴절률1.42662
증기압20 °C에서 78 mmHg
자기 감수율−68.13·10−6 cm3/mol
열화학
생성 엔탈피−156 kJ/mol
연소열−3920 kJ/mol
위험성
GHS 그림 문자' '
신호어위험
H 문구''
P 문구''
인화점-20 °C
자연 발화점245 °C
NFPA 704건강: 1
화재: 3
반응성: 0
PELTWA 300 ppm (1050 mg/m3)
폭발 한계1.3–8%
IDLH1300 ppm
RELTWA 300 ppm (1050 mg/m3)
LD5012705 mg/kg (쥐, 경구)
813 mg/kg (생쥐, 경구)
LCLo17,142 ppm (생쥐, 2시간)
26,600 ppm (토끼, 1시간)
관련 화합물
관련 사이클로알케인사이클로펜테인
사이클로헵테인
관련 화합물사이클로헥센
벤젠
식별자
CAS 등록번호110-82-7
ChEBI29005
DrugBankDB03561
ChemSpider7787
PubChem CID8078
UNII48K5MKG32S
KEGGC11249
ChEMBL15980
Gmelin1662
Beilstein 레코드1900225
3DMetB04304
RTECS 번호GU6300000
UN 번호1145
SMILESC1CCCCC1
InChI1/C6H12/c1-2-4-6-5-3-1/h1-6H2
InChIKeyXDTMQSROBMDMFD-UHFFFAOYAZ

2. 이성질체

사이클로헥세인은 의자 모양, 배 모양, 봉투 모양, 꼬인 모양 등 다양한 입체 이성질체가 존재하지만, 의자 모양이 가장 안정적이다. 그러나 치환된 사이클로헥세인 고리의 경우, 치환기의 입체 장애 현상에 따라 다른 구조가 더 안정적일 수 있다.[1]

6개의 꼭짓점을 가진 링은 완벽한 육각형 형태를 따르지 않는다. 평면 2차원 육각형은 C-H 결합이 가려진 형태가 되기 때문에 큰 변형을 가진다. 비틀림 변형을 줄이기 위해 사이클로헥세인은 의자형 입체배치로 알려진 3차원 구조를 취하며, 이는 의자 뒤집기를 통해 실온에서 빠르게 상호 변환된다.[2] 의자 뒤집기 동안에는 반의자형(가장 불안정), 보트형, 비틀림 보트형(보트형보다 안정적) 등의 중간 형태가 나타난다.[3] 의자형과 비틀림 보트형은 에너지 극소이므로 컨포머이며, 반의자형과 보트형은 전이 상태이며 에너지 극대값이다.[4]

(1) 의자형, (2) 반의자형, (3), (5) 비틀린 보트형, (4) 보트형

사이클로헥세인은 모든 고리형 알칸 중에서 가장 낮은 각도 변형과 비틀림 변형을 가져, 총 고리 변형이 0으로 간주된다.[5]

2. 1. 축 방향, 적도 방향

사이클로헥세인 또는 사이클로헥세인 형태의 구조를 가진 고리 화합물의 의자 모양 입체 배치에서, 치환기는 고리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구별된다. 고리가 이루는 평면과 평행한 것을 '''적도 방향'''(equatorial), 수직인 것을 '''축 방향'''(axial)이라고 부른다. 고리뒤집기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6개의 꼭짓점을 가진 고리 화합물은 완전한 육각형의 형태를 따르지 않는다. 사이클로헥세인은 의자형 입체배치로 알려진 3차원 구조를 취하며, 이는 의자 뒤집기를 통해 실온에서 빠르게 상호 변환된다. 이때 수소 원자의 절반은 고리 평면에 위치하며(''적도 방향''), 나머지 절반은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한다(''축 방향'').[1]

고리 화합물을 형성하는 각 결합 축에서 자유 회전함으로써, 사이클로헥세인의 두 의자형 입체 배좌는 보트형 입체배치를 경유하여 서로 교환된다 ('고리 반전'). 이 입체 배좌의 교환에 의해 축 방향은 적도 방향으로, 적도 방향은 축 방향으로 바뀐다. 이때, 치환기 간의 거리는 적도 방향에 비해 축 방향이 더 가깝기 때문에, 부피가 큰 치환기의 경우 입체 배좌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고, 치환기가 축 방향을 피하고 적도 방향을 취하는 입체 배좌가 우세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입체 장애).[2]

3. 성질

사이클로헥세인은 가연성이며, 마취 작용이 있다.[13] 비교적 반응성이 적지만, 자동 산화를 거쳐 사이클로헥사논과 사이클로헥산올의 혼합물을 생성한다. "KA 오일"이라고 불리는 사이클로헥사논-사이클로헥산올 혼합물은 나일론의 전구체인 아디프산카프로락탐의 원료이다. 매년 수백만 킬로그램의 사이클로헥사논과 사이클로헥산올이 생산된다.[13]

일부 수정액 브랜드의 용매로 사용된다. 사이클로헥세인은 때때로 비극성 유기 용매로 사용되지만, n-헥산이 이 목적으로 더 널리 사용된다. 많은 유기 화합물이 뜨거운 사이클로헥세인에서는 용해도가 좋고 저온에서는 용해도가 낮기 때문에, 재결정 용매로 자주 사용된다.

사이클로헥세인은 또한 -87.1°C에서 편리한 결정-결정 전이 특성 때문에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 기기의 보정에 사용된다.[14]

사이클로헥세인 증기는 열처리 장비 제조 시 진공 침탄로에서 사용된다. 가연성이며, 마취 작용을 가지므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4. 제법

사이클로헥세인은 납사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이며, 정밀 증류 방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증류는 메틸사이클로펜테인의 이성질화와 결합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러한 추출 방식은 전체 수요의 일부(15-20%)만을 충족시키기 때문에, 나머지는 합성을 통해 생산된다.[7]

공업적으로는 벤젠니켈 또는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여 수소 첨가 반응을 일으켜 사이클로헥세인을 생산한다. 라니 니켈 촉매를 이용한 벤젠의 수소화 반응은 매우 발열 반응이다.[13] 석유 정제 과정에서 생기는 메틸사이클로펜테인에 촉매를 사용하여 사이클로헥세인을 만들기도 한다.

라니 니켈 촉매를 사용한 벤젠의 사이클로헥세인으로의 촉매 수소화 반응

4. 1. 역사

벤젠과는 달리, 사이클로헥세인은 석탄과 같은 천연 자원에서 발견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초창기 연구자들은 사이클로헥세인 샘플을 합성했다.[9]

  • 1867년 마르셀랭 베르트는 높은 온도에서 벤젠아이오딘화 수소로 환원시켰다.[10][11]
  • 1870년 아돌프 폰 바이어는 이 반응을 반복[12]하여 동일한 반응 생성물을 "헥사히드로벤젠"이라고 명명했다.
  • 1890년 블라디미르 마르코프니코프는 코카서스 석유에서 동일한 화합물을 증류할 수 있다고 믿고 자신의 조제품을 "헥사나프텐"이라고 불렀다.


놀랍게도, 그들의 사이클로헥세인은 헥사히드로벤젠이나 헥사나프텐보다 10°C 더 높게 끓었지만, 이 수수께끼는 1895년 마르코프니코프, N.M. 키시너, 니콜라이 젤린스키에 의해 해결되었다. 그들은 "헥사히드로벤젠"과 "헥사나프텐"을 예상치 못한 재배열 반응의 결과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으로 재지정했다.

벤젠의 메틸사이클로펜테인으로의 환원


1894년, 바이어는 피멜산의 케톤화 반응을 시작으로 여러 번의 환원 반응을 거쳐 사이클로헥세인을 합성했다.

1894 cyclohexane synthesis Baeyer


같은 해, E. 하워스와 W.H. 퍼킨 주니어(1860–1929)는 1,6-디브로모헥세인의 뷔르츠 반응을 통해 이를 제조했다.

1894 cyclohexane synthesis Perkin / haworth

5. 이용

공업적으로 생산되는 사이클로헥세인은 사이클로헥사논으로 전환되고, ε-카프로락탐, 아디프산, 헥사메틸렌다이아민을 거쳐 6-나일론, 6,6-나일론의 원료로 이용된다.[13]

사이클로헥세인 자체는 주로 유기 용매 상태로 세정액이나 접착제 등에 사용된다. 방독면의 시험용 기체로 사용되기도 하며,[16] 시차 주사 열량 측정법 (DSC) 기기의 보정에도 사용된다.[14] 또한 열처리 장비 제조 시 진공 침탄로에서도 사용되며, 일부 수정액 브랜드의 용매로도 사용된다.

6. 입체화학

6개의 꼭짓점을 가진 링은 완벽한 육각형의 형태를 따르지 않는다. 평면 2차원 육각형의 형태는 C-H 결합이 가려진 형태가 되기 때문에 상당한 변형을 가진다. 따라서 비틀림 변형을 줄이기 위해 사이클로헥세인은 의자형 입체배치로 알려진 3차원 구조를 취하며, 이는 의자 뒤집기로 알려진 과정을 통해 실온에서 빠르게 상호 변환된다.

의자 뒤집기 동안에는 반의자형, 보트형, 비틀림 보트형의 세 가지 다른 중간 형태가 나타난다. 이중 의자형과 비틀림 보트형은 에너지 극소이므로 컨포머이며, 반의자형과 보트형은 전이 상태이며 에너지 극대값을 나타낸다.

새로운 형태는 탄소를 109.5° 각도로 만든다. 수소의 절반은 고리 평면에 있고(''적도 방향''), 나머지 절반은 평면에 수직(''축 방향'')이다. 이 형태는 사이클로헥세인의 가장 안정적인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사이클로헥세인의 또 다른 형태인 보트형 입체배치가 존재하지만, 이는 약간 더 안정적인 의자형으로 상호 변환된다. 사이클로헥세인이 큰 치환기로 단일 치환되면, 치환기는 약간 더 안정적인 입체배치인 적도 위치에 부착된 상태로 발견될 가능성이 높다.

사이클로헥세인은 모든 고리형 알칸 중에서 가장 낮은 각도 변형과 비틀림 변형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사이클로헥세인은 총 고리 변형에서 0으로 간주되었다.

6. 1. 고체상

사이클로헥세인은 두 가지 결정상을 갖는다. 고온상 I은 186 K에서 녹는점 280 K 사이에서 안정하며, 분자들이 어느 정도 회전의 자유도를 유지하는 가소성 결정이다.[15] 저온상 II (186 K 미만)는 정렬되어 있다. 다른 두 개의 저온 (준안정)상 III과 IV는 30 MPa 이상의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얻어졌으며, 여기서 상 IV는 중수소화된 사이클로헥세인에서만 나타난다 (압력을 가하면 모든 전이 온도의 값이 증가한다).[15]

사이클로헥세인 상[15]
No.대칭공간군a (Å)b (Å)c (Å)ZT (K)P (MPa)
I입방정계Fm3m8.6141950.1
II단사정계C2/c11.236.448.2041150.1
III사방정계Pmnn6.547.955.29223530
IV단사정계P12(1)/n16.507.645.51416037



여기서 Z는 단위 세포당 구조 단위의 수이며, 단위 세포 상수 a, b, c는 주어진 온도 T와 압력 P에서 측정되었다.

7. 위험성

피부 등에 장기간 노출되면 피부염 등의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 흡입하면 저농도에서는 두통을, 고농도에서는 의식 장애를 일으킨다. 낮은 농도에서는 냄새가 거의 없기 때문에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 눈에 접촉 시 심한 자극을 주며 각막혼탁증을 유발한다. 가연성이며, 마취 작용을 가지므로 취급에 주의가 필요하다. 소방법에 정하는 제4류 위험물 제1석유류에 해당한다.

참조

[1]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2] 웹사이트 Hexanaphthene http://www.dictionar[...]
[3] 문서 PGCH 0163
[4] 문서 Cyclohexane
[5] 서적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6] 웹사이트 Standard Abbreviations and Acronyms http://pubs.acs.org/[...] The Journal of Organic Chemistry
[7] 서적 Industrial Organic Chemistry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08-07-11
[8] 웹사이트 Benzene - Study: Market, Analysis, Trends 2021 - Ceresana http://www.ceresana.[...] 2018-05-04
[9] 학술지 The Curiously Intertwined Histories of Benzene and Cyclohexane
[10] 학술지 Nouvelles applications des méthodes de réduction en chimie organique https://books.google[...]
[11] 학술지 Méthode universelle pour réduire et saturer d'hydrogène les composés organiques https://books.google[...]
[12] 학술지 Ueber die Reduction aromatischer Kohlenwasserstoffe durch Jodphosphonium https://books.google[...]
[13] 백과사전 Cyclohexanol and Cyclohexanone Wiley-VCH
[14] 학술지 Temperature Calibration of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s
[15] 학술지 Neutron Scattering Studies of C6H12 and C6D12 Cyclohexane under High Pressure
[16] 웹사이트 経済産業省生産動態統計年報 化学工業統計編 https://www.meti.go.[...]
[17] 웹사이트 C0469 法規情報 https://www.tcichemi[...] 東京化成工業株式会社
[18] 서적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19] 웹사이트 Hexanaphthene http://www.dictionar[...]
[20] 문서 PGCH 0163
[21] 문서 Cyclohexa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